KR20140055973A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973A
KR20140055973A KR1020130112608A KR20130112608A KR20140055973A KR 20140055973 A KR20140055973 A KR 20140055973A KR 1020130112608 A KR1020130112608 A KR 1020130112608A KR 20130112608 A KR20130112608 A KR 20130112608A KR 20140055973 A KR20140055973 A KR 2014005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assage
fuel supply
pump
supp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052B1 (ko
Inventor
요시히코 혼다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02M37/0094Saddle tanks; Tanks having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1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main and auxiliar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vapour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1Swirl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35Combined with fluid receiver
    • Y10T137/86067Fluid s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연료 펌프 정지시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연료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 (10) 는, 연료 탱크 (12) 와, 리저브컵 (14) 과, 연료 펌프 (20) 와, 제트 펌프 (60) 와, 연료 공급 통로 (50) 와, 공기 도입 통로와,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를 구비한다. 제트 펌프 (60) 는, 연료 펌프 (20) 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리저브컵 내로 토출한다. 연료 공급 통로 (50) 는, 연료 펌프 (20) 와 제트 펌프 (60) 를 접속시키고, 연료 펌프 (20) 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제트 펌프 (60) 에 공급한다. 공기 도입 통로는, 연료 공급 통로 (50) 에 연통되어 있고, 연료 펌프 밖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는, 연료 펌프 (20)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을 폐구하고, 연료 펌프 (20)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을 개구한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서는 연료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는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펌프와 제트 펌프가 통로 부재에 의해 접속되고,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는 통로 부재를 통하여 제트 펌프에 공급된다. 이 통로 부재에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구멍은 리저브컵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된 연료는 리저브컵 내로 되돌아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93524호
특허문헌 1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펌프가 정지된 경우, 공기 구멍을 통하여 통로 부재가 대기압으로 유지되어, 사이펀 현상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이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공기 구멍을 리저브컵의 내측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 펌프 구동시에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연료가 리저브컵으로 되돌려진다. 이 때문에,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연료에 의해 리저브컵 내의 연료량의 감소가 방지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연료 펌프로부터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연료의 일부가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면, 제트 펌프의 효율이 저하되고, 제트 펌프가 퍼 올리는 연료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연료 펌프로부터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연료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생기고, 그 만큼 연료 펌프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특허문헌 1 에서는, 공기 구멍의 직경의 크기와 제트 펌프가 퍼 올리는 연료량의 관계에 주목하여, 제트 펌프가 퍼 올리는 연료량이 대폭 감소하는 경우가 없는 공기 구멍의 직경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료 공급 통로에 공기 구멍을 형성하는 한, 연료 펌프로부터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연료의 일부가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 결과, 특허문헌 1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펌프의 효율의 저하가 불가피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연료 펌프 정지시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함과 함께, 연료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탱크와, 리저브컵과, 연료 펌프와, 제트 펌프와,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와, 개폐 기구를 구비한다. 리저브컵은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된다. 연료 펌프는, 리저브컵 내에 설치되고, 리저브컵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연료 탱크 밖으로 토출한다. 제트 펌프는,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리저브컵 내로 토출한다. 연료 공급 통로는, 연료 펌프와 제트 펌프를 접속시키고,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제트 펌프에 공급한다. 공기 도입 통로는, 연료 공급 통로에 연통되어 있고, 연료 펌프 밖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기구는, 연료 펌프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을 폐구하고, 연료 펌프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을 개구한다.
이 연료 공급 장치에는, 연료 공급 통로에 연통되는 공기 도입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개폐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펌프가 구동되면, 개폐 기구는 공기 구멍을 폐구한다. 한편, 연료 펌프가 정지되면, 개폐 기구는 공기 구멍을 개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가 구동된 경우에는 공기 구멍이 폐구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로부터 제트 펌프에 연료를 공급할 때, 그 연료가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연료 펌프가 정지된 경우에는 공기 구멍이 개구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 밖으로부터 공기 도입 통로에 공기가 도입된다. 그 결과, 공기 도입 통로와 연통되어 있는 연료 공급 통로에도 공기가 도입되어, 공기 도입 통로 및 연료 공급 통로는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 펌프 정지시에 리저브컵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가 연료 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사이펀 현상에 의해 리저브컵 내의 연료가 연료 탱크 내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연료 펌프의 구동시에 공기 구멍을 폐구하고, 연료 펌프의 정지시에 공기 구멍을 개구하는 개폐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연료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함과 함께, 연료 펌프 정지시에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의 상세 및 추가적인 개량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및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연료 펌프의 어퍼 바디 근방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의 연료 펌프의 어퍼 바디 근방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 은,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7 의 연료 공급 통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 는,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0 은,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 은,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 는, 실시예 4 의 연료 공급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열기해 둔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된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징 1)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연료가 리저브컵 내에 저류되어 있을 때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연료가 리저브컵 내에 저류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시부터 적절히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특징 2)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공급 통로 내의 연료의 흐름이 개폐 기구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트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징 3)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공기 도입 통로가 연료 펌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연료 펌프의 내부에서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도입 통로를 연료 펌프의 내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연료 공급 장치의 사이즈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4)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접속되어 있고,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접속되는 부분에서는, 연료 공급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과 공기 도입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 기구는, 연료 펌프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을 확실하게 폐구하고, 연료 펌프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을 확실하게 개구할 수 있다.
(특징 5)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분기되고,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연료 공급 통로를 갖고 있고, 공기 도입 통로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제 2 연료 공급 통로의 일방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공기 도입 통로는, 2 개의 연료 공급 통로 중 일방의 연료 공급 통로에 접속된다. 연료 펌프 구동시, 개폐 기구가 그 일방의 연료 공급 통로의 일부를 막거나 하여, 그 연료 공급 통로를 흐르는 연료량이 감소해도,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는 타방의 연료 공급 통로 (즉, 공기 도입 통로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통로) 를 통하여 제트 펌프에 공급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 기구에 의한 연료 공급 통로의 유로 저항의 증가가 억제되고, 제트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징 6)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개폐 기구가 공기 구멍을 개구한 경우,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개폐 기구가 공기 구멍을 폐구한 경우, 개폐 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연료 공급 통로로부터 퇴피해도 된다. 이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펌프 정지시에는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연료 펌프가 구동되면, 개폐 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연료 공급 통로를 연료가 흐르기 위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료 펌프 정지시에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연료 펌프 구동시에 제트 펌프에 공급되는 연료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제트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징 7)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공급 장치는, 개폐 기구가 밸브체 및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연료 펌프 구동시의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밀착하여 공기 구멍을 폐구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구멍은 밸브체 및 밸브 시트에 의해 확실하게 개구 또는 폐구될 수 있다. 또, 개폐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를 새롭게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 기구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1]
실시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 (10) 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 (12) 는 상벽에 개구 (12a) 를 갖는다. 플랜지 (16) 는 수지제의 판으로, 연료 탱크 (12) 의 개구 (12a) 를 덮도록 개구 (12a) 에 끼워 넣어져 있다. 플랜지 (16) 에는 접속관 (16a) 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관 (16a) 의 일단은, 후술하는 연료 공급관 (46) 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 탱크 (12) 내에는 리저브컵 (14) 이 배치되어 있다. 리저브컵 (14) 은 뚜껑이 없고 바닥이 있는 용기로, 그 내부에는 연료 펌프 (20), 석션 필터 (32), 필터 (38), 제트 펌프 (60) 가 수용되어 있다. 연료 탱크 (12), 리저브컵 (14) 내에는 각각 연료가 저류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 의 외벽은, 원통상의 하우징 (22) 과, 하우징 (22) 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하는 어퍼 바디 (24) 와, 하우징 (22) 의 하단의 개구를 폐색하는 케이싱 (26) 으로 구성된다. 어퍼 바디 (24) 에는, 토출구 (34),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및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34) 에는, 연료 공급관 (36)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는, 어퍼 바디 (24) 에 형성된 안내관 (124) 과 연통되어 있다. 안내관 (124) 은 제 1 접속관 (52), 제 2 접속관 (54), 제 3 접속관 (56) 및 제 4 접속관 (57) 을 통하여 제트 펌프 (60) 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 1 접속관 (52), 제 2 접속관 (54), 제 2 접속관 (54), 제 3 접속관 (56) 및 제 4 접속관 (57) 은 모두 수지제이다. 안내관 (124), 제 1 접속관 (52), 제 2 접속관 (54), 제 3 접속관 (56) 및 제 4 접속관 (57) 에 의해 연료 공급 통로 (50) 가 형성된다. 즉, 연료 공급 통로 (50) 를 통하여 연료 펌프 (20) 와 제트 펌프 (60) 가 접속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는 연료 공급 통로 (50)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싱 (26) 에는,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를 흡입하는 흡입구 (28)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 (28) 에는 석션 필터 (32) 가 장착되어 있다. 석션 필터 (32) 는, 연료 펌프 (20) 내에 흡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케이싱 (26) 은 임펠러 (30) 을 수용하고 있다. 임펠러 (30) 는, 연료 펌프 (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흡입구 (28) 로부터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를 흡입한다.
필터 (38) 는, 연료 펌프 (20) 의 외주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필터 흡입구 (40) 와 필터 토출구 (44) 를, 그 하부에 압력 조정 밸브 (42) 를 구비한다. 필터 흡입구 (40) 에는 연료 공급관 (36) 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필터 토출구 (44) 에는 연료 공급관 (46) 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연료 공급관 (46) 의 타단은 접속관 (16a) 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압력 조정 밸브 (42) 는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을 조정한다. 즉, 압력 조정 밸브 (42) 는,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된 경우에 밸브를 개방하여 압력을 낮춤으로써,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을 조정한다. 이로써, 필터 (38) 로부터 연료 공급관 (46) 에 토출되는 연료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으로 조정된다. 압력 조정 밸브 (42) 로부터 배출된 연료는 리저브컵 (14) 으로 되돌려진다.
제트 펌프 (60) 는 리저브컵 (14) 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제트 펌프 (60) 는 흡입구 (62) 및 역지 밸브 (64) 를 구비한다. 흡입구 (62) 는, 제 4 접속관 (57) 에 형성된 분사구 (58) 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 (64) 는, 연료 탱크 (12) 로부터 리저브컵 (14) 내에 흡입된 연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도 1 의 연료 공급 장치 (10) 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100) 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어퍼 바디 (24) 에는 공기 도입 통로 (76) 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도입 통로 (76) 는, 제 1 통로 (73), 제 2 통로 (74) 및 제 3 통로 (75) 로 구성된다. 제 1 통로 (73) 는 높이 (h1) 에서 높이 (h2)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2 통로는 높이 (h2) 에서 높이 (h3)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3 통로 (75) 는 높이 (h3) 에서 높이 (H) 까지의 통로를 가리킨다. 각 통로 (73, 74, 75) 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제 1 통로 (73) 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 (74) 는, 그 상부가 상방 (지면의 상방향) 을 향하여 유발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고, 그 선단의 직경이 제 1 통로 (73) 의 직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유발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부분을 「테이퍼부」라고 칭한다.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통로는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을 참조하여 제 3 통로 (75)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도 2 의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단면 (80) 은, 도 2 에 있어서의 지면의 안쪽 방향과 앞쪽 방향으로 각각 돌출부 (80a, 80b) 를 갖는다. 제 3 통로 (75) 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이 단면 (80) 의 형상을 갖는 기둥상의 통로이다. 이하에서는, 돌출부 (80a, 80b) 를 포함하지 않는 단면 (80) 의 직경을 d1, 돌출부 (80a, 80b) 를 포함하는 단면 (80) 의 직경을 d2 라고 칭한다.
도 2 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통로의 직경은, 제 1 통로 (73) 의 직경 및 제 3 통로 (75) 의 직경 (d1) 보다 크고, 제 3 통로 (75) 의 직경 (d2) 이상의 직경이다. 제 2 통로 (74) 의 내부 공간에는 볼 (72) 이 수용된다. 볼 (72) 의 직경은,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통로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제 1 통로 (73) 의 직경 및 제 3 통로 (75) 의 직경 (d1) 보다 크다. 따라서, 볼 (72) 은 제 2 통로 (74) 의 내부 공간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 (72) 이 연료 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 (72) 은 제 1 통로 (73) 와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 (즉, 높이 (h2) 로 나타내는 위치) 에 맞닿고, 그 이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이 위치를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라고도 칭한다). 마찬가지로, 볼 (72) 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볼 (72) 은 제 3 통로 (75) 의 상단면 (즉, 높이 (h3) 로 나타내는 위치) 에 맞닿고, 그 이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이 위치를 「제 2 통로 (74) 의 최하부」라고도 칭한다). 상기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위치하면, 엄밀하게는 볼 (72) 의 일부가 제 1 통로 (73) 또는 제 3 통로 (75) 내에 위치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볼 (72) 의 중심이 위치하는 공간을 볼 (72) 이 이동하는 공간이라고 칭하는 것에 유의하길 바란다. 공기 도입 통로 (76) 와 볼 (72) 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구성된다.
제 1 통로 (73) 는 어퍼 바디 (24) 의 상벽에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에 의해, 제 1 통로 (73) 는 연료 펌프 (20) 의 외부와 연통된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 개구를 공기 구멍이라고 칭한다. 공기 구멍은, 연료 펌프 (20) 의 외부의 공기를 유입한다.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볼 (72) 은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와 맞닿고, 제 1 통로 (73) 의 하단부를 봉지한다. 이로써, 볼 (72) 은, 제 1 통로 (73) 와 제 2 통로 (74) 의 연통을 차단한다. 즉, 공기 구멍은 볼 (72) 에 의해 폐구된다. 이하에서는, 이것을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폐쇄된다」라고도 칭한다. 한편,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통로 (73) 와 제 2 통로 (74) 가 연통되고, 공기 구멍이 개구된다. 이하에서는, 이것을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된다」라고도 칭한다.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돌출부 (80a, 80b) 가 있기 때문에, 제 3 통로 (75) 의 상단부가 볼 (72) 에 의해 봉지되는 경우는 없다. 즉, 제 2 통로 (74) 와 제 3 통로 (75) 는, 볼 (72) 의 위치에 상관없이 돌출부 (80a, 80b) 에 의해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되면, 공기 구멍으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제 1 통로 (73) 로부터 제 2 통로 (74) 를 통하여 제 3 통로 (75) 에 흘러 들어간다. 즉, 공기 도입 통로 (76) 에 공기가 도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둘레 방향의 2 개 지점에 형성하였지만, 돌출부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돌출부의 형상도, 제 2 통로 (74) 와 제 3 통로 (75) 를 연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내부 공간에서만 이동하는 한, 단면 (80)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정방형상이나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하부에 위치해도, 단면의 모서리부를 통하여 제 2 통로 (74) 와 제 3 통로 (75) 가 연통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돌출부 (80a, 80b) 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 통로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 및 제 3 통로 (75) 의 돌출부 (80a, 80b) 를 제외함) 는 원기둥상이었지만,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를 제외한 통로 및 제 3 통로 (75)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각기둥상이어도 된다. 또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는 「개폐 기구」의 일례에 상당하고, 볼 (72) 은 「밸브체」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볼 (72) 이 접촉하는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는 「밸브 시트」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 제 3 통로 (75) 와 연료 공급 통로 (50) 는, 연료 펌프 (20) 의 내부에 있어서, 파선 (H) 으로 나타내는 높이에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볼 (72) 이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되고,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 통로 (50) 에도 공기가 도입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료 공급 통로 (50) 가 연통되는 높이 (H) 는, 연료 펌프 (20) 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양의 연료가 리저브컵 (14) 내에 저류되어 있을 때의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연료 공급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 (도시 생략) 로부터 연료 펌프 (20) 에 전류가 공급되면, 연료 펌프 (20) 가 구동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가 회전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임펠러 (30) 가 회전한다. 임펠러 (30) 가 회전하면, 연료 펌프 (20) 는 흡입구 (28) 로부터 석션 필터 (32) 를 통하여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를 흡입한다. 흡입된 연료는, 임펠러 (30) 의 회전에 의해 승압되고, 연료 펌프 (20) 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일부가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가 토출구 (34) 로부터 토출된다. 또, 승압된 연료는, 공기 도입 통로 (76) 의 제 3 통로 (75) 에도 공급된다. 제 3 통로 (75) 에 공급된 승압 연료는, 그 유체력에 의해 볼 (72) 을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까지 밀어 올린다. 연료 펌프 (20) 의 구동 중에는, 공기 도입 통로 (76) 내의 볼 (72) 보다 하방의 공간에는 항상 승압 연료가 충만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펌프 (20) 의 구동 중에는 볼 (72) 은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에 계속 위치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폐쇄되고, 연료 펌프 (20) 는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토출구 (34) 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연료 공급관 (36) 을 경유하여 필터 흡입구 (40) 로부터 필터 (38) 에 흡입된다. 연료는 필터 (38) 로 여과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후, 필터 토출구 (44) 로부터 토출된다. 이 때,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은 압력 조정 밸브 (42) 에 의해 제어된다. 즉,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압력 조정 밸브 (42) 가 개방되어 연료의 일부를 리저브컵 (14) 내로 되돌림으로써, 필터 (38) 내의 연료의 압력을 소정의 압력 범위 내로 유지하고 있다. 토출된 연료는, 연료 공급관 (46) 을 경유하여 접속관 (16a) 으로부터 엔진측에 공급된다.
한편,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연료 공급 통로 (50) 를 통하여 분사구 (58) 로부터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된다. 분사구 (58) 로부터 연료가 분사되면, 분사구 (58) 주위가 부압이 되고, 제트 펌프 (60) 는 흡입구로부터 분사구 (58) 주위의 연료 (즉,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 를 흡인하여 리저브컵 (14) 내에 유입한다. 즉, 연료 펌프 (20) 가 연료 공급 통로 (50) 를 경유하여 분사구 (58) 로부터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제트 펌프 (60) 는 구동되어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를 리저브컵 (14) 내에 흡입한다. 제트 펌프 (60) 는 역지 밸브 (64) 를 구비하고 있어, 흡입구 (62) 로부터 흡입한 연료가 리저브컵 (14) 으로부터 연료 탱크 (12) 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배터리로부터 연료 펌프 (20) 로의 전류 공급이 종료되면, 연료 펌프 (20) 는 연료의 흡입을 정지한다. 그러면, 공기 도입 통로 (76) 의 제 2 통로 (74) 내의 볼 (72) 이 중력에 의해 제 2 통로 (74) 의 최하부로 이동하고,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된다.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되면, 공기 구멍으로부터 연료 펌프 (20) 의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제 1 통로 (73) 및 제 2 통로 (74) 를 경유하여 제 3 통로 (75) 가 대기압이 된다. 즉, 공기 도입 통로 (76) 내가 대기압이 된다. 이 때문에,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통되어 있는 연료 공급 통로 (50) 의 내부도 대기압이 된다.
본 실시예의 연료 공급 장치 (10) 의 이점을 설명한다. 연료 펌프 (20) 의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폐쇄되기 때문에, 연료 펌프 (20) 가 흡입한 연료는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경우가 없다. 흡입한 연료 전부가 엔진 및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료 공급 장치와 같이, 공기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연료량을 보충하기 위해 연료 펌프가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연료량을 늘릴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연료 펌프 (20) 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료 펌프 (20) 의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되고,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 통로 (50) 가 대기압이 된다. 따라서, 연료 펌프 정지시의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가 연료 탱크 (12)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도, 사이펀 현상에 의해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가 연료 탱크 (12) 내에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연료 펌프 (20) 의 정지시에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가 연료 탱크 (12) 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료 공급 통로 (50) 가 연통되는 높이 (H) 는, 연료 펌프 (20) 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양의 연료가 리저브컵 (14) 내에 저류되어 있을 때의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펌프 (20) 가 정지되어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되면, 연료 공급 통로 (50) 내는 신속하게 대기압이 되고, 연료 탱크 (12) 로의 연료의 유출이 신속하게 방지된다. 이 때문에, 리저브컵 (14) 내에 충분한 양의 연료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연료 공급 장치 (10) 의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는 연료 공급 통로 (50)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연료 공급 통로 (50) 의 일부를 막거나 하여 연료 공급 통로 (50) 를 흐르는 연료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되는 연료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트 펌프 (60) 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공기 도입 통로 (76) 는 연료 펌프 (20)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료 공급 통로 (50) 는 공기 도입 통로 (76) 와 연료 펌프 (20) 의 내부에서 연통되어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연료 공급 장치 (10) 의 사이즈를 소형화하는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공기 도입 통로 (76) 를 형성하기 위해 연료 공급 장치 (10) 가 대형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연료 공급 통로 (50) 의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에서는, 볼 (72) 및 공기 도입 통로 (76) 의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에 의해 밸브체와 밸브 시트가 구성된다. 연료 펌프 (20) 의 구동시에는, 볼 (72) 이 승압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밀어 올려짐으로써 제 2 통로 (74) 의 테이퍼부에 밀착되고,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폐쇄된다. 한편, 연료 펌프 (20) 의 정지시에는, 볼 (72) 이 중력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가 개방된다. 즉,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는 연료의 유체력과 중력를 이용한 간이한 구조이다. 따라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 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나 액츄에이터를 새롭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도, 연료 공급 장치 (10) 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통로 (74) 의 상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테이퍼부가 볼 (72) 을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료 펌프 (20) 가 구동되어 연료가 공기 도입 통로 (76) 에 진입하고, 볼 (72) 을 밀어 올릴 때, 볼 (72) 은 통로의 도중에 걸리거나 하여 정체되지 않고, 신속하게 제 2 통로 (74) 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를 도 4,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는, 실시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 (10) 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 (10) 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4 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를 나타내고, 도 5 는 도 4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100a) 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바디 (24a) 에는 안내관 (124a) 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 (124a) 은 대략 직각으로 굴곡된 대략 L 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안내관 (124a) 의 일단은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와 연통되어 있고, 타단은 제 1 접속관 (52) 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안내관 (124a) 중 상하 방향 (지면의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되는 관을 제 1 안내관 (124a1), 제 1 안내관 (124a1) 에 대략 직교하여 연결되어 있는 관을 제 2 안내관 (124a2) 이라고 칭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안내관 (124a1) 내의 통로와 제 2 안내관 (124a2) 내의 통로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을 간단히 「연통부」라고도 칭한다). 파선 (h4) 은, 연통부의 최상부의 높이를 나타낸다. 제 2 안내관 (124a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관 (52, 54, 56, 57) 을 통하여 제트 펌프 (60) 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관 (124a) 및 접속관 (52, 54, 56, 57) 에 의해 연료 공급 통로 (50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내관 (124a1) 중 높이 (h4) 보다 상방의 통로는,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되는 연료가 흐르는 통로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도입 통로 (76a) 가 제 1 안내관 (124a1)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도입 통로 (76a) 는 제 1 통로 (73a), 제 2 통로 (74a) 및 제 3 통로 (75a) 로 구성된다. 각 통로의 형상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제 1 통로 (73a) 는 제 1 안내관 (124a1) 의 상부에 개구되어 있다 (즉,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통로 (75a) 는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와 연통되어 있다. 제 2 통로 (74a) 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 제 2 안내관 (124a2) 과 연통되어 있다. 제 2 통로 (74a) 는 볼 (72a) 을 수용하고 있다. 즉,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는 제 1 안내관 (124a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관 (124a) 은, 볼 (72a) 이 제 2 통로 (74a) 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볼 (72a) 가 연결부를 막는 경우가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a) 의 정지시에는, 볼 (72a) 은 제 2 통로 (74a) 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 통로 (50a) 와 공기 도입 통로 (76a)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 (즉, 연통부) 의 높이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연료 펌프 (20) 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양의 연료가 리저브컵 (14) 내에 저류되어 있을 때의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a) 가 구동되면, 연료 펌프 (20a) 는 흡입구 (28) 로부터 연료를 흡입, 승압한다. 승압 연료의 일부는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 연료는 토출구 (34) 로부터 토출된다.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연료가 토출되면,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볼 (72a) 은 제 2 통로 (74a) 의 최하부에서 제 2 통로 (74a) 의 최상부까지 밀어 올려지고,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폐쇄된다. 이 때, 볼 (72a) 의 일부는, 높이 (h4) 보다 상방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볼 (72a) 의 일부는, 연료 공급 통로 (50a) 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의 폐쇄시에는, 볼 (72a) 의 일부가 연료 공급 통로 (50a) 로부터 퇴피할 수도 있다. 볼 (72a) 의 일부가 연료 공급 통로 (50a) 로부터 퇴피함으로써, 연료 공급 통로 (50a) 에 충분한 유로가 확보된다. 그 결과,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제 1 안내관 (124a1) 으로부터 제 2 안내관 (124a2) 에 원활하게 흘러 들어가고, 연료 공급 통로 (50a) 를 통하여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된다. 연료 펌프 (20a) 가 정지되면,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의 연료의 토출이 정지되기 때문에, 볼 (72a) 은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제 2 통로 (74a) 의 최하부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개방되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연료 공급 통로 (50a) 는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 에 있어서도, 연료 펌프 (20a) 의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폐쇄되기 때문에,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도중에 누출되지 않고, 전부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된다. 따라서, 연료 펌프 (20a) 및 제트 펌프 (60) 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연료 펌프 (20a) 의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개방되고, 연료 공급 통로 (50a) 는 대기압이 된다. 따라서, 리저브컵 (14) 으로부터 연료 탱크 (12) 로의 연료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통로 (74a) 와 제 3 통로 (75a) 의 경계에 있어서의 단면의 형상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고 하였지만, 단면의 형상은 돌출부를 갖지 않는 원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연료 펌프 (20a) 의 정지시에는 볼 (72a) 에 의해 제 2 통로 (74a) 와 제 3 통로 (75a) 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공기가 제 3 통로 (75a) 에 도입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사이펀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트 펌프 (60) 에 도달할 때까지의 연료 공급 통로에 공기가 도입되면 충분하며, 연료 공급 통로 전역에 공기가 도입될 필요는 없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도 6 을 참조하여 실시예 2 의 변형예 1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 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실시예 2 와 동일한 구조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필터 (38) 를 수용하는 케이스에 돌출 배관 (38b) 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 배관 (38b) 은 좌우 방향 (즉, 지면의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되는 배관으로, 돌출 배관 (38b) 의 일단은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를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돌출 배관 (38b) 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구 (39) 라고 칭한다. 돌출 배관 (38b) 의 타단은 제 1 접속관 (52b) 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어퍼 바디 (24b) 에는 안내관 (124b) 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 (124b) 을 돌출 배관 (38b) 의 개구 (39) 에 압입함으로써, 안내관 (124b) 과 돌출 배관 (38b) 이 연결된다. 이로써, 공기 도입 통로 (76b) 가 형성된다. 공기 도입 통로 (76b) 는, 제 1 통로 (73b), 제 2 통로 (74b), 제 3 통로 (75b) 에 의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통로 (73b) 는 돌출 배관 (38b) 의 개구 (즉, 공기 구멍) 에서 높이 (h5)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2 통로 (74b) 는 높이 (h5) 에서 높이 (h6)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3 통로 (75b) 는 높이 (h6) 에서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b) 까지의 통로를 가리킨다. 제 2 통로 (74b) 의 하부는, 그 하부가 하방 (지면의 하방향) 을 향하여 유발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고, 그 선단의 직경이 제 3 통로 (75) 의 직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하, 그 부분을 「테이퍼부」라고 칭한다). 제 2 통로 (74b) 는 볼 (72b) 을 수용한다. 공기 도입 통로 (76b) 와 볼 (72b) 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b) 가 구성된다. 연료 펌프 (20b) 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의 연료 펌프 (20b) 에 있어서는, 어퍼 바디에 대략 L 자형의 안내관을 형성하는 대신에, 필터 (38) 의 케이스에 돌출 배관 (38b) 을 형성함으로써, 연료 공급 통로 (50b) 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연료 공급 통로 (50b) 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예 1 에서는 압입에 의해 안내관 (124b) 에 돌출 배관 (38b) 을 장착하고 있지만, 장착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 2 통로 (74b) 의 하부에 테이퍼부를 형성함으로써, 볼 (72b) 이 중력에 의해 낙하할 때, 테이퍼부가 볼 (72b) 을 제 2 통로 (74b) 의 최하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볼 (72b) 이 제 2 통로 (74b) 의 모서리부 등에서 정체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연료 펌프 (20b) 의 구동시에 연료가 볼 (72b) 과 충분히 접촉하여, 볼 (72b) 은 적절히 밀어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필터 (38) 의 케이스에 돌출 배관 (38b) 을 형성하였지만, 연료 공급 장치가 연료 펌프를 수용하는 펌프 케이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펌프 케이스에 배관을 형성하고, 이 배관에 제트 펌프용 토출구을 접속시켜도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 (10c) 를 도 7, 도 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 (10c) 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7 은 실시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 (10c) 를 나타내고, 도 8 은 도 7 의 연료 공급 장치 (10c) 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100c) 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26c) 에는 관통공 (29)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29) 은, 케이싱 (26c) 의 내부 공간 (즉, 임펠러 (30) 를 수용하는 공간) 에 연통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c) 의 하부에는, 관통공 (29) 과 연통되도록 제 1 접속관 (52c) 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접속관 (52c) 은, 제 2 접속관 (54c), 제 3 접속관 (56) 및 제 4 접속관 (57) 을 통하여 제트 펌프 (60) 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 (52c, 54c, 56, 57) 에 의해 연료 공급 통로 (50c) 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 공급 통로 (50c) 는 연료 펌프 (20c) 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리저브컵 (14) 을 넘어 제트 펌프 (60) 에 이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c) 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도입 통로 (76c) 는, 제 2 접속관 (54c) 이 제 1 접속관 (52c) 과 접속되어 있는 측의 모서리부 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도입 통로 (76c) 는 제 1 통로 (73c), 제 2 통로 (74c) 및 제 3 통로 (75c) 로 구성된다. 제 2 접속관 (54c) 의 상부에는 개구 (즉, 공기 구멍)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통로 (73c) 는 그 개구에서 높이 (h7)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2 통로 (74c) 는 높이 (h7) 에서 높이 (h9) 까지의 통로를 가리키고, 제 3 통로 (75c) 는 높이 (h9) 에서 높이 (h10) 까지의 통로를 가리킨다. 도 8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높이 (h8) 보다 상방의 통로는, 제트 펌프 (60) 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통로로서는 기능하고 있지 않다. 제 2 통로 (74c) 는, 그 외주면에 있어서, 제 2 접속관 (54c) 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와 연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연통되어 있는 부분을 「연통부」라고도 칭한다). 제 2 통로 (74c) 는 볼 (72c) 을 수용하고 있다. 제 2 접속관 (54c) 은, 볼 (72c) 이 제 2 통로 (74c) 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볼 (72c) 이 연통부를 막는 경우가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c) 의 정지시에는, 볼 (72c) 은 제 2 통로 (74c) 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공급 통로 (50c) 와 공기 도입 통로 (76c)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 (즉, 연통부) 의 높이는,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연료 공급 통로 (50c) 와 공기 도입 통로 (76c)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이란, 연료 펌프 (20c) 의 정지시에 볼 (72c) 보다 하류에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즉, 제 3 통로 (75c) 와 그 하방의 통로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도 「연료 공급 통로 (50c) 와 공기 도입 통로 (76c)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이지만, 연료 펌프 (20c) 의 정지시에는 이 부분은 볼 (72c) 보다 상류에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정의하는 「연료 공급 통로 (50c) 와 공기 도입 통로 (76c)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연료 공급 통로 (50) 와 공기 도입 통로 (76)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정의에 따른다.
연료 펌프 (20c) 가 구동되면, 연료 펌프 (20c) 는 흡입구 (28) 로부터 연료를 흡입, 승압한다. 승압 연료의 일부는 관통공 (29) 으로부터 토출되고, 나머지 연료는 연료 펌프 (20c) 의 내부를 상승하여 토출구 (34) 로부터 토출된다. 관통공 (29) 으로부터 연료가 토출되면, 연료는 제 1 접속관 (52c) 을 통하여 제 2 접속관 (54c) 내에 형성된 제 3 통로 (75c) 에 흘러 들어간다. 제 3 통로 (75c) 에 연료가 흘러 들어가면,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볼 (72c) 은 제 2 통로 (74c) 의 최하부에서 최상부까지 밀어 올려지고,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c) 가 폐쇄된다. 이 때, 볼 (72c) 의 일부는 높이 (h8) 보다 상방의 공간에 위치하고, 연료 공급 통로 (50c) 로부터 퇴피한다. 이 때문에, 연통부는 볼 (72c) 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없고, 관통공 (29) 으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제 2 접속관 (54c) 내를 원활하게 흐른다. 연료 펌프 (20c) 가 정지되면, 관통공 (29) 으로부터의 연료의 토출이 정지되기 때문에, 볼 (72c) 은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제 2 통로 (74c) 의 최하부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c) 가 개되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연료 공급 통로 (50c) 의 제 2 통로 (74c) 보다 하류의 통로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3 에서는, 연료 펌프 (20c) 의 하부로부터 제트 펌프 (60) 에 연료를 공급한다. 또, 본 실시예의 관통공 (29) 은, 연료 펌프 (20c) 의 구동시에 연료에 생성되는 베이퍼를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관통공 (29) 으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로 제트 펌프 (60) 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연료 펌프 (20c) 에 제트 펌프용 토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흡입구 (28) 로부터 흡입한 연료 중, 관통공 (29) 으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를 제외한 연료 전부를 토출구로부터 엔진측에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 펌프 (20c) 의 펌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도 9 를 참조하여 실시예 3 의 변형예 1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3 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실시예 3 과 동일한 구조나 동작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1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제 1 통로 (73d) 가 제 2 접속관 (54d) 의 측부에 개구되어 있다 (즉,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통로 (73d)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이다. 제 3 통로 (75d) 의 형상은 실시예 3 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통로 (73d) 와 제 3 통로 (75d) 사이에 개재하는 제 2 통로 (74d) 는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 (74d) 는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통로 (73d) 와 연통되어 있는 측의 제 2 통로 (74d) 의 단부 근방을 「제 2 통로 (74d) 의 상부」, 제 3 통로 (75d) 와 연통되어 있는 측의 제 2 통로 (74d) 의 단부 근방을 「제 2 통로 (74d) 의 하부」라고 칭한다. 또, 「제 2 통로 (74d) 의 최상부」및 「제 2 통로 (74d) 의 최하부」의 정의는 실시예 3 에 따른다. 제 2 통로 (74d) 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통로 (74d) 는 볼 (72d) 을 수용한다. 공기 도입 통로 (76d) 와 볼 (72d) 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d) 가 구성된다.
연료 펌프가 구동되면, 관통공으로부터 토출된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볼 (72d) 이 밀어 올려진다. 볼 (72d) 은 제 2 통로 (74d) 의 상부의 테이퍼부를 따라 이동하고,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d) 가 폐쇄된다. 이 때, 볼 (72d) 의 일부는, 제 1 통로 (73d) 및 제 2 통로 (74d) 의 테이퍼부에 위치하고, 연료 공급 통로 (50d) 로부터 퇴피한다. 이로써, 관통공으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제 1 접속관 (52c) 을 통하여 제 2 접속관 (54d) 을 원활하게 흐르고, 제트 펌프에 공급된다. 연료 펌프가 정지되면, 볼 (72d) 은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이 때, 제 2 통로 (74d) 의 하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 (72d) 은 테이퍼부의 경사를 따라 제 2 통로 (74d) 의 최하부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d) 가 개방되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연료 공급 통로 (50d) 는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형예 1 은 실시예 3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변형예 2)
다음으로, 도 10 을 참조하여 실시예 3 의 변형예 2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3 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실시예 3 과 동일한 구조, 동작 및 이점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제 2 접속관 (54e) 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돌출관 (54e1) 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관 (54e1) 의 내부에 공기 도입 통로 (76e) 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도입 통로 (76e) 는 제 1 통로 (73e), 제 2 통로 (74e) 및 제 3 통로 (75e) 로 구성된다. 제 1 통로 (73e) 는 돌출관 (54e1) 의 상부에 개구되어 있다 (즉,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통로 (75e) 는 연료 공급 통로 (50e) 와 연통되어 있다. 제 2 통로 (74e) 는 볼 (72e) 을 수용한다. 공기 도입 통로 (76e) 와 볼 (72e) 로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가 구성된다. 도 10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돌출관 (54e1) 은 연료 공급 통로 (50e) 의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는 연료 공급 통로 (50e)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도입 통로 (76e) 는, 연료 공급 통로 (50e) 와 공기 도입 통로 (76e) 가 연통되어 있는 부분 (즉, 제 3 통로 (75e)) 에 있어서, 연료 공급 통로 (50e) 가 연장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 과 공기 도입 통로 (76e) 가 연장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 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Ⅲ-Ⅲ 선에 있어서의 단면 (즉, 제 2 통로 (74e) 와 제 3 통로 (75e) 의 경계에 있어서의 단면) 의 형상은, 단면 (80) (도 3 참조) 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통로 (74e) 와 제 3 통로 (75e) 는, 볼 (72e) 의 위치에 상관없이 돌출부 (80a, 80b) 에 의해 항상 연통되어 있다.
연료 펌프가 구동되면, 관통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볼 (72e) 이 제 2 통로 (74e) 의 최하부에서 최상부로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가 폐쇄된다. 연료 펌프가 정지되면, 볼 (72e) 은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제 2 통로 (74e) 의 최하부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가 개방된다.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가 개방되면, 공기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통로 (73e, 74e, 75e) 를 통하여 연료 공급 통로 (50e) 의 내부도 대기압이 된다.
변형예 2 에 있어서의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는, 연료 공급 통로 (50e) 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료 공급 통로 (50e) 를 흐르는 연료는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가 없이, 제트 펌프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트 펌프의 효율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공기 도입 통로 (76e) 는 연료 공급 통로 (50e) 에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e) 는, 중력과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개방, 폐쇄될 수 있는 간이한 구조가 된다.
(변형예 3)
다음으로, 도 11 을 참조하여 실시예 3 의 변형예 3 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3 의 변형예 1 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실시예 3 의 변형예 1 과 동일한 구조, 동작 및 이점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 3 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제 2 접속관 (54f) 내의 연료 공급 통로 (50f) 가, 분기 시작점 (B1) 에서 2 개의 통로 (이하에서는, 이들 통로를 각각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라고 칭한다) 로 분기되고, 분기 종료점 (B2) 에서 합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는, 분기 시작점 (B1) 에 있어서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와 분기되고,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분기 종료점 (B2) 에서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와 합류한다. 이 때문에,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의 축선과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의 축선을 연결한 선의 외형상은 사각형상이 된다.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에는 공기 도입 통로 (76f) 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에 공기 도입 통로 (76f) 가 접속되는 구성은, 변형예 1 의 연료 공급 통로 (50d) 에 공기 도입 통로 (76d) 가 접속되는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연료 펌프가 구동되면, 관통공으로부터 토출된 연료는, 제 2 접속관 (54f) 내의 연료 공급 통로 (50f) 에 흘러 들어간다. 흘러 들어간 연료는 분기 시작점 (B1) 에서 분기되고, 일부의 연료가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에 접속되어 있는 공기 도입 통로 (76f) 의 제 3 통로 (75f) 에 흘러 들어가고, 나머지 연료가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에 흘러 들어간다. 제 3 통로 (75f) 에 연료가 흘러 들어가면,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볼 (72f) 이 제 2 통로 (74f) 의 최상부까지 밀어 올려지고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f) 가 폐쇄된다. 이 때, 볼 (72f) 의 일부는, 제 1 통로 (73f) 및 제 2 통로 (74f) 의 테이퍼부에 위치하고,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로부터 퇴피하고 있다. 연료 펌프가 정지되면, 볼 (72f) 은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제 2 통로 (74f) 의 최하부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f) 가 개방되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에 공기가 도입되어, 연료 공급 통로 (50f) 는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f) 의 폐쇄시에는 볼 (72f) 의 일부가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로부터 퇴피하기 때문에, 연료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를 통하여 제트 펌프에 공급될 수 있다. 또, 분기 시작점 (B1) 에서부터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가 분기되고 있기 때문에, 연료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 (50f1) 뿐만 아니라 제 2 연료 공급 통로 (50f2) 를 통하여 제트 펌프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공급 통로 (50f) 를 흐르는 연료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 의 연료 공급 장치 (10g) 를 도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4 의 연료 공급 장치 (10g) 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2 의 연료 공급 장치 (10a) 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4 의 연료 공급 장치 (10g) 에서는, 연료 탱크 (12g) 는 격벽 (12g1) 을 갖는 안장형의 형상으로, 격벽 (12g1) 을 개재하여 제 1 연료실 (13a) 과 제 2 연료실 (13b) 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연료실 (13a) 내에는 리저브컵 (14) 이 배치되어 있다. 리저브컵 (14) 의 내부에는, 연료 펌프 (20a), 필터 (38), 제트 펌프 (60) 및 제트 펌프 (81) 가 수용되어 있다. 리저브컵 (14), 제 1 연료실 (13a) 및 제 2 연료실 (13b) 에는 각각 연료가 저류되어 있다.
연료 공급 통로 (50g) 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접속관 (54g) 은, 분기점 (B3) 에서부터 2 개의 관으로 분기되어 있다. 일방의 관은 제 3 접속관 (56) 에 접속되어 있고, 타방의 관에는 분사구 (59) 가 형성되어 있다. 제트 펌프 (81) 는 분사구 (59), 흡입구 (82) 및 토출구 (84) 를 구비한다. 흡입구 (82) 를 형성하는 관 (이하, 「흡입관」이라고도 칭한다) 에는 이송관 (86) 이 접속되어 있다. 이송관 (86) 은 제 1 연료실 (13a) 내에 있는 흡입관으로부터, 격벽 (12g1) 을 넘어 제 2 연료실 (13b) 의 저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료 펌프 (20a) 가 구동되면, 연료 펌프 (20a) 에 의해 승압된 승압 연료의 일부는 제트 펌프용 토출구 (48) 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연료는 그 유체력에 의해 볼 (72a) 을 제 2 통로 (74a) 의 최상부까지 밀어 올리고, 이로써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폐쇄된다. 연료 공급 통로 (50g) 를 흐르는 연료는, 분기점 (B3) 에 있어서 연료의 일부가 제 3 접속관 (56) 및 제 4 접속관 (57) 을 통하여 제트 펌프 (60) 에 공급되고, 나머지 연료가 분사구 (59) 로부터 분사된다. 그러면, 분사구 (59) 주위가 부압이 되고, 제트 펌프 (81) 는 흡입구 (82) 로부터 흡입관 및 이송관 (86) 을 통하여 제 2 연료실 (13b) 내의 연료를 흡입하고, 토출구 (84) 로부터 리저브컵 (14) 내로 토출한다. 즉, 제트 펌프 (81) 는 제 2 연료실 (13b) 내의 연료를 리저브컵 (14) 내에 이송한다. 연료 펌프 (20a) 가 정지되면,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0a) 가 개방되고, 공기 구멍으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연료 공급 통로 (50g), 제트 펌프 (81), 흡입관 및 이송관 (86) 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4 는, 실시예 2 의 구성에 제 2 연료실 (13b) 및 이송용 제트 펌프 (81) 가 추가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실시예 2 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즉, 연료 펌프 (20a) 의 정지시에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가 제 2 연료실 (13b) 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리저브컵 (14) 내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에서는 연료 펌프 (20a) 를 사용하였지만, 연료 펌프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연료 펌프 (20) 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기술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연료 펌프는 상기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제의 접속관을 서로 연결하여 연료 공급 통로를 형성하였지만, 연료 공급 통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제의 관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나일론제의 관은 유연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연료 공급 통로의 접속 등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통로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었지만,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제 2 통로의 최상부에 적절히 밀어 올려지고, 중력에 의해 제 2 통로의 최하부에 적절히 낙하하는 한은, 제 2 통로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즉, 제 2 통로의 직경이 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기 도입 통로는 제 1 통로, 제 2 통로 및 제 3 통로로 구성되었지만, 제 1 통로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제 2 통로의 테이퍼부의 선단이 어퍼 바디, 혹은 제 2 접속관에 개구됨으로써 공기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접속관 (54) 을 생략하여, 제 1 접속관 (52) 과 제 3 접속관 (56) 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 : 연료 공급 장치
12 : 연료 탱크
14 : 리저브컵
16 : 플랜지
20 : 연료 펌프
24 : 어퍼 바디
28 : 흡입구
34 : 토출구
38 : 필터
48 : 제트 펌프용 토출구
50 : 연료 공급 통로
52 : 제 1 접속관
54 : 제 2 접속관
56 : 제 3 접속관
57 : 제 4 접속관
60 : 제트 펌프
70 : 공기 구멍 봉지 밸브
72 : 볼
73 : 제 1 통로
74 : 제 2 통로
75 : 제 3 통로
76 : 공기 도입 통로
81 : 제트 펌프

Claims (8)

  1. 연료 탱크와,
    연료 탱크 내에 배치되는 리저브컵과,
    리저브컵 내에 설치되고, 리저브컵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연료 탱크 밖으로 토출하는 연료 펌프와,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에 의해 구동되고,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리저브컵 내로 토출하는 제트 펌프와,
    연료 펌프와 제트 펌프를 접속시키고, 연료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연료의 일부를 제트 펌프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통로와,
    연료 공급 통로에 연통되어 있고, 연료 펌프 밖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 도입 통로와,
    연료 펌프 구동시에는 공기 구멍을 폐구하고, 연료 펌프 정지시에는 공기 구멍을 개구하는 개폐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는, 연료 펌프의 구동 개시시에 필요한 연료가 리저브컵 내에 저류되어 있을 때의 연료의 액면의 높이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 기구는 연료 공급 통로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 도입 통로가 연료 펌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연료 펌프의 내부에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접속되어 있고,
    연료 공급 통로와 공기 도입 통로가 접속되는 부분에서는, 연료 공급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과 공기 도입 통로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통로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분기되고,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연료 공급 통로를 갖고 있고,
    공기 도입 통로는, 제 1 연료 공급 통로와 제 2 연료 공급 통로의 일방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 기구가 공기 구멍을 개구한 경우, 개폐 기구가 연료 공급 통로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개폐 기구가 공기 구멍을 폐구한 경우, 개페 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연료 공급 통로로부터 퇴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개폐 기구는 밸브체 및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연료 펌프 구동시의 연료의 유체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밀착하여 공기 구멍을 폐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공급 장치.
KR1020130112608A 2012-11-01 2013-09-23 연료 공급 장치 KR10147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1606A JP6086696B2 (ja) 2012-11-01 2012-11-01 燃料供給装置
JPJP-P-2012-241606 2012-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73A true KR20140055973A (ko) 2014-05-09
KR101476052B1 KR101476052B1 (ko) 2014-12-23

Family

ID=5054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608A KR101476052B1 (ko) 2012-11-01 2013-09-23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16547A1 (ko)
JP (1) JP6086696B2 (ko)
KR (1) KR101476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8294B3 (de) 2016-09-23 2018-03-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fördereinheit
US10544763B2 (en) 2017-03-13 2020-01-28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pump and fuel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JP2020016158A (ja) * 2018-07-23 2020-01-30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US20240082937A1 (en) * 2021-01-28 2024-03-14 Fanuc Corporatio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3283A (en) * 1958-11-03 1960-12-06 Gen Motors Corp Fuel injection system anti-siphon device
US4288086A (en) * 1980-01-22 1981-09-08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Fuel tank arrangement for a tractor
JPS6385254A (ja) * 1986-09-25 1988-04-15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燃料吸込装置
DE19833696C2 (de) * 1998-07-27 2000-07-06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tank
US6505644B2 (en) * 2000-06-09 2003-01-14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barrel jet fuel pump assembly for a fuel tank
DE10060294A1 (de) * 2000-12-05 2002-06-06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Kraftstoffversorgung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Kraftstoffilter
DE10314223A1 (de) * 2003-03-28 2004-10-21 Siemens Ag Fördereinrichtung
JP3931828B2 (ja) * 2003-03-28 2007-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4324611A (ja) * 2003-04-28 2004-11-18 Aisan Ind Co Ltd リザーブ容器ユニットとジェットポンプ
JP2005009506A (ja) * 2003-06-16 2005-01-13 Naoyuki Ikuta 逆止弁
JP2005069171A (ja) * 2003-08-27 2005-03-17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JP2006112398A (ja) * 2004-10-18 2006-04-27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の内部構造
WO2006097443A1 (en) * 2005-03-14 2006-09-21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Fuel system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fuel pump, jet pump and fuel filter
JP2008533377A (ja) * 2005-03-14 2008-08-21 イネルジ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システムズ リサーチ 一体型弁を有する燃料リザーバ
JP2009127514A (ja) * 2007-11-22 2009-06-11 Nifco Inc リザーバカップ
JP2009144542A (ja) * 2007-12-12 2009-07-02 Aisan Ind Co Ltd 燃料供給装置
US8459960B2 (en) * 2009-02-09 2013-06-11 Robert Bosch Gmbh Jet pump assembly
US8726886B2 (en) * 2011-08-24 2014-05-20 Robert Bosch Gmbh Fuel supply system and anti-siphon je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052B1 (ko) 2014-12-23
US20140116547A1 (en) 2014-05-01
JP6086696B2 (ja) 2017-03-01
JP2014092041A (ja)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243B2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motor cycle
US6453884B2 (en) Fuel supply device
US8485214B2 (en) Small engine emissions control valve
KR101476052B1 (ko) 연료 공급 장치
US20110139278A1 (en) Fuel pump
CN108474331B (zh) 燃料供给装置
JP2007239682A (ja) 燃料供給装置
JP2003536005A (ja) 燃料を貯蔵タンクから自動車の内燃機関にフィードするための装置
KR101454725B1 (ko) 연료 공급 장치
WO2008105721A1 (en) Fuel tank arrangement for a vehicle
JP4788730B2 (ja) 燃料供給装置
JP3651365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9068420A (ja) 燃料供給装置
JP5809948B2 (ja) 燃料供給ユニット
JP4867885B2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JP4370528B2 (ja) 燃料供給装置
JP2011122562A (ja) 燃料供給装置
JP2008175094A (ja)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3622064B2 (ja) 燃料供給装置
JP6716003B1 (ja) 燃料供給装置
JP2001080372A (ja) 燃料タンク
JP5158141B2 (ja) 燃料供給装置
JP3891289B2 (ja) 燃料供給装置
JP2011153600A (ja) 燃料供給装置
KR101428321B1 (ko) 제트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