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916A -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916A
KR20140055916A KR1020130015571A KR20130015571A KR20140055916A KR 20140055916 A KR20140055916 A KR 20140055916A KR 1020130015571 A KR1020130015571 A KR 1020130015571A KR 20130015571 A KR20130015571 A KR 20130015571A KR 20140055916 A KR20140055916 A KR 20140055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tical axis
sensor
sensors
axi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528B1 (ko
Inventor
강종대
이정식
이성진
배병우
김병화
이혜진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5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함으로써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차종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VEHICLE CLASS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용 도로 또는 도로상에 설치된 터널 등을 관리하는 관리부처나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는 해당 도로나 터널 등을 통행하는 차량들에게 소정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 이때, 관리 부처나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는 차량의 크기나 배기량 등에 의해 차종을 구분하고(예컨대,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 등), 그 차종별로 통행료를 차등 적용한다.
이를 위해, 관리 부처나 지방 자치 단체들은 도로나 터널 등의 진입로에 해당 도로나 터널에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기 위한 장치가 부가된 요금 징수 시스템을 설치한다.
이때, 사용되는 차종분류장치는 일반적으로 접촉식과 비접촉식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접촉식 차종분류장치는 사용하는 감지기에 따라 답판방식, 루프코일방식, 광섬유방식 등이 있으며 주 용도는 통과차량의 바퀴 축수를 세는데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06150호(2006.10.12.) "차종분류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접촉식 차종분류장치는 통과한 차량의 축수를 셈으로써, 차량분류결과는 정확하지만, 감지장치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수시로 교체해야 하며, 사용 중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답판방식의 경우 고무 프레임 안에 접점을 구성하여 차량의 바퀴가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통전된 접점을 검사하여 바퀴 폭 및 바퀴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답판센서를 사용하나, 답판센서의 경우 제품의 설치가 어렵고, 비교적 빈번한 고장 발생률 및 높은 제조 단가로 인하여 현장에서의 사용상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속도로의 하이패스 차로에서 고속으로 진행하는 차량의 하중이 답판센서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오판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종분류장치는 진입로 바닥에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를 이중으로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진입로의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여부 및 전장과 전고를 감지하는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진입로의 노변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폭을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 및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피에조센서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제 1광축센서의 정중앙에 설치되며, 제 2피에조센서는 제 1광축센서를 지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는 진입로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발광센서와, 타측에 다수의 발광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광축센서와 제 2광축센서의 간격은 3.65±0.1m이고, 제 1광축센서와 제 3광축센서의 간격은 5.5±0.1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내지 제 레이저센서는 진입로의 노면으로부터 60±5cm 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차종의 분류 결과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의 오류를 출력하는 하기 위한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제 1광축센서가 온 될 경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를 측정하고, 제 2내지 제 3광축센서와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을 측정하는 단계;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2내지 제 3광축센서의 상태와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차량의 전장과 전고 및 전폭을 산출하는 단계;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하는 단계; 및 차종의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광축센서가 온 될 경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와 제 2내지 제3광축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광축센서와 제 2광축센서의 간격은 3.65±0.1m이고, 제 1광축센서와 제 3광축센서의 간격은 5.5±0.1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는 진입로의 노면으로부터 60±5cm 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종을 분류하는 단계는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2광축센서와 제 3광축센서가 오프된 상태이면 경차로 분류하는 단계;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2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이고, 제 3광축센서가 오프된 상태일 경우 전고가 설정전고 이상이고 전폭이 제 2설정전폭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면 중형차로 분류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소형차로 분류하는 단계;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2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이고, 제 3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일 경우 축수가 3축 이상인 경우 대형차로 분류하고, 축수가 3축 미만인 경우 전고가 설정전고 이상이고 전폭이 제 1설정전폭 초과인 조건을 만족하면 중형차로 분류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소형차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축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제 1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에서 제 1피에조센서와 제 2피에조센서의 출력값을 통해 축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1피에조센서의 축수와 제 2피에조센서의 축수가 동일한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축수가 동일하면 측정된 축수를 출력하고, 축수가 다르면 제 1피에조센서의 축수와 제 2피에조센서의 축수 중 큰 축수를 출력하고, 센서오류 발생을 위한 센서오류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센서오류값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 센서오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고는 제 1광축센서가 온 된 후 제 1피에조센서가 온 되는 구간에서 설정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측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전폭은 진입로의 노변 양측에 설치된 제 1레이저센서와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측정한 거리를 차로폭에서 각각 차감한 값 중 설정시간 이상 지속된 최대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함으로써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차종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종분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경차, 소형차, 중형차와 대형차의 분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에서 전폭의 측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에서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를 통한 축수의 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차종분류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경차, 소형차, 중형차와 대형차의 분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에서 전폭의 측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 및 제어부(30)를 비롯하여 출력부(50)와 경고부(40)를 포함한다.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는 진입로 바닥에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5)의 축수를 이중으로 측정한다.
이때 제 1피에조센서(11)는 차량(5)의 진행방향으로 제 1광축센서(21)의 정중앙에 설치되며, 제 2피에조센서(12)는 제 1광축센서(21)를 지나 안쪽에 설치되며, 50cm 간격의 막대형으로 설치된다.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는 진입로의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5)의 진입여부 및 전장과 전고를 감지한다.
즉,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는 진입로의 노변을 따라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발광센서(210)와, 타측에 다수의 발광센서(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수광센서(215)를 설치하여 진입하는 차량(5)의 전고와 전장을 측정한다.
차량(5)의 전고는 제 1광축센서(21)가 온 된 후 제 1피에조센서(11)가 온 되는 구간에서 10ms 이상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제일 높은 값으로 진입하는 차량(5)의 전고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차종분류를 위한 차량(5)의 전고는 제 1피에조센서(11)를 통해 차량의 차축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 제 1광축센서(21)를 통해 설정전고인 1.5m 이상과 미만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종분류를 위한 차량(5)의 전장을 측정하기 위해 제 1광축센서(21)와 제 2광축센서(22)는 3.65±0.1m 간격으로 설치하고, 제 1광축센서(21)와 제 3광축센서(23)는 5.5±0.1m 간격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차량(5)의 전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광축센서(21)에서 차량(5)이 측정된 후 다시 측정되지 않게 되는 시점에 제 2광축센서(22)에서 차량(5)이 측정되지 않을 경우 차량(5)의 전장은 3.65m 미만으로 판단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광축센서(22)에서 차량(5)이 측정되었지만 제 3광축센서(23)에서 차량(5)이 측정되지 않을 경우 차량(5)의 전장은 3.65m 이상이고 5.5m 미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광축센서(22)와 제 3광축센서(23)에서 모두 차량(5)이 측정될 경우에는 차량(5)의 전장은 5.5m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광축센서 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를 통해 차량(5)의 전고와 전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는 진입로의 노변 양측에 노면으로부터 60±5cm 의 높이에 설치되어 차량(5)의 전폭을 측정한다.
이때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는 독립적인 함체를 통해 노변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로 노변을 따라 이미 설치된 제 1광축센서(21)가 설치된 함체에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광축센서(21)와 함께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를 설치하였으나, 전폭은 차량(5)이 진입로를 통과하는 동안 어느 위치에서라도 측정할 수 있다.
차량(5)의 전폭(L)은 제 1레이저센서(24)와 제 2레이저센서(25)를 통해 측정한 거리(L1, L2)를 차로폭(W)에서 각각 차감한 값으로 설정시간 이상 지속된 최대값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를 통해 측정된 차량(5)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전장이 3.65m 미만인 차량(5)은 경차로 분류하고, 전장이 3.65m 이상이고 5.5m 미만인 차량(5) 중 전고가 1.5m 이상과 전폭이 1.87m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5)은 중형차로 분류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차량은 소형차로 분류한다.
그리고, 차량(5)의 전장이 5.5m 이상이고 3축 이상인 차량(5)은 대형차로 분류하고, 2축 이하인 차량(5) 중 전고가 1.5m 이상과 전폭이 1.77m 초과인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5)은 중형차로 분류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차량(5)은 소형차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차량(5)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함으로써 적재불량이나 차량(5)의 제원미달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여 정확한 차종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5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차종의 분류 결과를 과금장치(60)로 출력하여 차종에 따른 통행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고부(40)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의 오류를 출력한다.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의 경우 2식의 막대형을 설치하여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에서 각각 측정한 축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센서오류를 위한 센서오류값을 증가하여 센서오류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센서오류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종분류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함으로써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차종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에서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를 통한 축수의 측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30)에서 제 1광축센서(21)를 작동시켜 진입하는 차량(5)에 의해 제 1광축센서(21)가 온 되는가 판단한다(S10).
이때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가 모두 작동되는 상태에서 제 1광축센서(21)가 온되는지 판단할 수도 있으나, 제 1광축센서(21)가 온 될 경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2내지 제3광축센서(22,23)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별도의 센서를 통해 차량(5)의 진입여부를 판단한 후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 제 1내지 제3광축센서(21,22,23) 및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의 온상태는 발광센서(210)에서 발광된 빛이 차량(5)의 진입으로 차광되어 수광센서(215)에 입광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키며, 오프상태는 발광센서(210)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센서(215)에 입광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이렇게 제 1광축센서(21)가 온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5)의 축수를 측정하고,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21,22,23)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5)의 전장과 전고를 측정하며,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5)의 전폭을 측정한다(S20).
차량(5)의 전고는 제 1광축센서(21)가 온 된 후 제 1피에조센서(11)가 온 되는 구간에서 10ms 이상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제일 높은 값으로 진입하는 차량(5)의 전고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차종분류를 위한 차량(5)의 전고는 제 1피에조센서(11)를 통해 차량의 차축신호가 입력되는 시점까지 제 1광축센서(21)를 통해 설정전고인 1.5m 이상과 미만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5)의 전폭(L)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레이저센서(24)와 제 2레이저센서(25)를 통해 측정한 거리(L1, L2)를 차로폭(W)에서 각각 차감한 값으로 10ms 이상 지속된 최대값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5)의 전장을 측정하기 위해 제 1광축센서(21)와 제 2광축센서(22)는 3.65±0.1m 간격으로 설치하고, 제 1광축센서(21)와 제 3광축센서(23)는 5.5±0.1m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제 1광축센서(21)가 온될 경우 측정을 시작하여 다시 제 1광축센서(21)가 오프될 때까지 측정한다(S30).
따라서, 제 1광축센서(21)가 오프될 경우 제 2광축센서(22)와 제 3광축센서(23)의 상태와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24,25)의 측정값으로부터 산출된 차량의 전장, 전고 및 전폭과,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를 통해 측정된 축수를 기반으로 진입로를 통해 진입하는 차종을 분류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광축센서(21)가 온된 후 다시 오프되는 시점에 제 2광축센서(22)가 오프상태이고, 제 3광축센서(23)가 오프상태이면(S40) 차량(5)의 전장이 3.65m 미만인 경차로 분류한다(S4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광축센서(22)가 온상태이고, 제 3광축센서(23)가 오프상태이면(S50) 차량(5)의 전장이 3.65m 이상이고 5.5m 미만인 차량으로 소형차와 중형차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차량(5)의 전고와 설정전고를 비교하고, 전폭과 제 2설정전폭을 비교하여 최종 분류한다(S51). 이때 설정전고는 1.5m이고, 제 1설정전폭은 1.87m이다.
즉, 차량의 전고가 1.5m 이상과 전폭이 1.87m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5)은 중형차로 분류하고(S68),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차량은 소형차로 분류한다(S52).
또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광축센서(22)가 온상태이고, 제 3광축센서(23)가 온상태이면(S60) 차량(5)의 전장이 5.5m 이상으로 중형차와 대형차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차량(5)의 전장이 5.5m 이상인 차량(5)의 경우에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를 통해 측정한 차량(5)의 축수를 판단한다(S62).
이때 축수가 3축이상인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대형차로 분류한다(S64).
그러나, 3축 미만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차량(5)의 전고와 설정전고를 비교하고, 전폭과 제 1설정전폭을 비교하여 최종 분류한다(S66). 이때 설정전고는 1.5m이고, 제 1설정전폭은 1.77m이다.
즉, 차량(5)의 전고가 1.5m 이상과 전폭이 1.77m 초과인 조건을 만족하는 차량(5)은 중형차로 분류하고(S68),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차량(5)은 소형차로 분류한다(S52).
이와 같이 차종의 분류결과는 출력부(50)를 통해 외부장치인 과금장치(60)로 출력된다(S70).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하는 차량(5)의 축수를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의 경우 제 1광축센서(21)가 온된 상태부터 다시 제 1광축센서(21)가 오프되는 시점까지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11,1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각각 축수를 카운트한다(S71,S72,S73).
이후 카운트한 제 1피에조센서(11)의 축수(X1)와 제 2피에조센서(12)의 축수(X2)를 비교하여 동일한가 판단한다(S74).
이때 동일할 경우에는 카운트한 축수를 출력한다(S79).
그러나,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 1피에조센서(11)의 축수(X1)와 제 2피에조센서(12)의 축수(X2) 중 큰값을 축수로 출력하고(S75), 센서오류 발생을 위한 센서오류값을 증가시킨다(S76).
이와 같이 일시적인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값과 비교한다(S76).
이후 센서오류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경고부(40)를 통해 센서오류를 출력한다(S78).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진입로에 설치된 복수의 피에조 센서와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광축센서 및 진입로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레이저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함으로써 생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차종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 : 차량 11 : 제 1피에조센서
12 : 제 2피에조센서 21 : 제 1광축센서
22 : 제 2광축센서 23 : 제 3광축센서
24 : 제 1레이저센서 25 : 제 2레이저센서
30 : 제어부 40 : 경고부
50 : 출력부 60 : 과금장치
210 : 발광센서 215 : 수광센서

Claims (15)

  1. 진입로 바닥에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를 이중으로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상기 진입로의 노변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 및 전장과 전고를 감지하는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상기 진입로의 노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폭을 측정하는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 및
    상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상기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및 상기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차종을 분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에조센서는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제 1광축센서의 정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피에조센서는 상기 제 1광축센서를 지나 안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는 상기 진입로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발광센서와, 타측에 상기 다수의 발광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축센서와 상기 제 2광축센서의 간격은 3.65±0.1m이고, 상기 제 1광축센서와 상기 제 3광축센서의 간격은 5.5±0.1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레이저센서는 상기 진입로의 노면으로부터 60±5cm 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차종의 분류 결과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 상기 제 1내지 제 3광축센서 및 상기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의 오류를 출력하는 하기 위한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8. 제어부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제 1광축센서가 온 될 경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를 통해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축수를 측정하고, 제 2내지 제 3광축센서와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진입하는 상기 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상기 제 2내지 제 3광축센서의 상태와 상기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전장과 전고 및 전폭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축수, 전장, 전고 및 전폭을 기반으로 상기 차종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차종의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온 될 경우 상기 제 1내지 제 2피에조센서와 상기 제 2내지 제3광축센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축센서와 상기 제 2광축센서의 간격은 3.65±0.1m이고, 상기 제 1광축센서와 상기 제 3광축센서의 간격은 5.5±0.1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2레이저센서는 진입로의 노면으로부터 60±5cm 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종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제 2광축센서와 제 3광축센서가 오프된 상태이면 경차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상기 제 2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이고, 상기 제 3광축센서가 오프된 상태일 경우 상기 전고가 설정전고 이상이고 상기 전폭이 제 2설정전폭 이상인 조건을 만족하면 중형차로 분류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소형차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상기 제 2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이고, 상기 제 3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일 경우 축수가 3축 이상인 경우 대형차로 분류하고, 상기 축수가 3축 미만인 경우 상기 전고가 상기 설정전고 이상이고 상기 전폭이 제 1설정전폭 초과인 조건을 만족하면 중형차로 분류하고 만족하지 않으면 소형차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축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피에조센서와 상기 제 2피에조센서의 출력값을 통해 축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오프될 경우 상기 제 1피에조센서의 축수와 상기 제 2피에조센서의 축수가 동일한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축수가 동일하면 측정된 축수를 출력하고, 축수가 다르면 상기 제 1피에조센서의 축수와 상기 제 2피에조센서의 축수 중 큰 축수를 출력하고, 센서오류 발생을 위한 센서오류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센서오류값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 센서오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는 상기 제 1광축센서가 온 된 후 상기 제 1피에조센서가 온 되는 구간에서 설정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측정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폭은 진입로의 노변 양측에 설치된 상기 제 1레이저센서와 상기 제 2레이저센서를 통해 측정한 거리를 차로폭에서 각각 차감한 값 중 설정시간 이상 지속된 최대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15571A 2012-10-30 2013-02-13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1486 2012-10-30
KR1020120121486 2012-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916A true KR20140055916A (ko) 2014-05-09
KR101442528B1 KR101442528B1 (ko) 2014-09-26

Family

ID=5088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571A KR101442528B1 (ko) 2012-10-30 2013-02-13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36B1 (ko) * 2016-08-09 2016-12-21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US9984704B2 (en) 2016-08-05 2018-05-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066318A (ko) * 2016-12-07 2018-06-1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101275A (ja) * 2016-12-20 2018-06-28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車幅計測装置、車幅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41704A (ko) * 2018-10-12 2020-04-22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 감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통합 차로 관리 시스템
KR102461862B1 (ko) * 2022-05-30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주행 중인 차량의 정보 측정 시스템 및 차량 정보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982A (ja) * 1995-08-25 1997-03-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車種判別装置
JP4076196B2 (ja) * 1999-04-14 2008-04-16 株式会社Ihi 車幅計測方法及び装置
KR100863134B1 (ko) * 2007-04-24 2008-10-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KR20090049155A (ko) * 2007-11-13 2009-05-18 한국도로공사 도로용 차장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4704B2 (en) 2016-08-05 2018-05-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88536B1 (ko) * 2016-08-09 2016-12-21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66318A (ko) * 2016-12-07 2018-06-1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101275A (ja) * 2016-12-20 2018-06-28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車幅計測装置、車幅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41704A (ko) * 2018-10-12 2020-04-22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량 감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통합 차로 관리 시스템
KR102461862B1 (ko) * 2022-05-30 2022-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주행 중인 차량의 정보 측정 시스템 및 차량 정보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528B1 (ko)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28B1 (ko)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965438B2 (en) Vehicl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oll collection system
US103526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read depth of a tire
KR100860394B1 (ko)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JP2011022064A (ja) 車両の重量測定装置
CN204115661U (zh) 一种基于激光检测技术的车辆轴型与胎型识别系统
KR100906432B1 (ko) 피에조센서를 이용한 교통량조사장비
JP5059519B2 (ja) 軸重計測装置
JP2022042580A (ja) 故障検知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故障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96133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량종류 판별장치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CN202995057U (zh) 一种用于车辆检测的光幕装置
KR20100133264A (ko) 차량의 윤폭비를 이용한 차종분류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9690B1 (ko) 무정차 다차로에서의 차종 분류장치 및 차종 분류방법
KR102270883B1 (ko)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2198699A (ja) 車両検出装置
KR101516579B1 (ko) 차량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950344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20010097490A (ko) 차량의 축수계수 및 타이어 크기에 따른 비접촉식차종판별장치 및 차종판별방법
KR101468502B1 (ko) 다차로상의 답판을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
JPH0468680B2 (ko)
JP5955715B2 (ja) 車両の軸数検知装置、車種判別装置及び車両の軸数検知方法
CN210155834U (zh) 一种货车车型自动检测识别系统
KR101230506B1 (ko)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KR20190000049A (ko)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