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506B1 -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506B1
KR101230506B1 KR1020120042118A KR20120042118A KR101230506B1 KR 101230506 B1 KR101230506 B1 KR 101230506B1 KR 1020120042118 A KR1020120042118 A KR 1020120042118A KR 20120042118 A KR20120042118 A KR 20120042118A KR 101230506 B1 KR101230506 B1 KR 10123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vehicle
measuring plate
weight
load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5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상부에 다수 개의 차량축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며 차량의 축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하중측정플레이트(200); 및,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외형과 크기 및 색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는 더미패드(300); 및,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축별 중량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계측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상기 더미패드(3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Trickery Protection 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Dummy Pads}
본 발명은 고정식 과적 차량 검문소 및 고속도로 진출입로의 상의 중차량진입로에서 발생되는 차량 운전자의 축조작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더미패드를 중량 초과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장비인 하중측정플레이트와 함께 배열하여 운전자가 어느 순간에 축하중 계측이 이루어지는지 구분할 수 없도록 한 것이다.
현재 중차량은 도로의 포장 및 교량과 같은 구조의 성능저하와 수명단축의 핵심원인이 되고 있다. 도로를 관리하는 기관에서는 도로 포장의 성능과 수명유지를 위해서 유지관리비용으로 매년 1,300억원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부에서는 이러한 도로법 59조에서 제시하는 중량초과 차량(축중량 10톤, 총중량 40톤)에 대해서 통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중량에 대한 규제는 고속도로의 경우는 진입로에서 일반국도 및 도시부 도로에서 고정식 과적검문소 혹은 이동식 과적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고정식 단속에서는 벤딩플레이트 방식의 저속 축중계를 설치하여 저속(25km/hr)이하로 주행하면서 다축 차량의 축중량들을 계중하고 이들의 합으로 총중량를 산출하고 있다. 또한 이동식 단속에서는 이동식 축중계를 활용하여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축중량들을 단속 인원이 계중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물류비 절감과 공차 운행시 타이어 마모 방지 등을 이유로 화물차량에 가변축(Lift Axle)을 설치할 수 있게끔 하고 있다. 이러한 가변축은 차량의 출고 당시에 장착하는 경우와 출고 후에 장착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으며 형식승인을 받는 경우는 모두 합법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가변축의 운용을 살펴보면 공차시에는 가변축을 도로의 포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이격시켜서 주행하고, 화물을 적재했을 때는 지면에 내려 차량의 전체 중량의 일부를 감당하게 할 수 있는 축이다. 해당 가변축이 얼마만큼의 하중을 분담할 것인지는 가변축을 지면으로 내리게 하는 매체인 공기압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가변축이 분담하는 축중량에 따라 해당 차량의 다른 축의 중량들이 변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가변축에 압력을 많이 가하게 되면 차체가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되고 따라서 가변축이 아닌 다른 축들에 부담되는 중량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일부 운전자들은 현행 고정식 검문소 및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차량의 축중량 계중시 법정 기준인 축중량 10톤을 초과하는 축이 중량 초과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장비인 벤딩플레이트에서 계중될 시점에 가변축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계중하는 축의 중량을 변화시키고 있는 실태이다. 이러한 행위는 도로법 제60조(적재량 측정 방해행위의 등)에서 축조작 행위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사항이고 이를 위반할 때는 500만원의 과태료에 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축조작이 이루어지면 축중량 10톤과 총중량 40톤이 넘는 차량이 법규를 위반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도로의 성능 저하와 수명 단축을 유발하게 된다.
현재 고정식 과적차량 검문소 및 고속도로 진출입로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가 내장된 벤딩플레이트(크기:508mm * 1250mm * 23mm)가 단속 기준 방비로 설치되어 있는데, 차량이 저속(통상 25km/hr 이하)으로 진행하면서 차량의 첫 번째 축(Axle)부터 마지막 축까지 차례로 계측되고 이들 축중량의 합을 총중량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벤딩플레이트는 1개축 씩 혹은 동일 축의 좌측과 우측의 차량 바퀴를 각각 계중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축중량 계중 센서로 활용되는 대표적인 센서로는 피에죠센서, 스트레인게이지, 로드셀, 광섬유센서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중량계중 센서를 활용하여 중량을 산출하는 방법도 널리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피에죠센서를 활용한 차량 축의 중량계중 원리는 다음과 같다. 피에죠센서는 주행 중인 차량의 축(axle)을 감지함과 동시에 축중량을 측정하게 할 수 있는 센서이다. 차량이 피에죠센서를 통과하면 전기신호 파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신호파형 발생 그래프를 이용하여 중량을 산정한다. 즉 그래프에 표시된 임계치 이상의 신호파형 구간을 적분하여 면적(A)을 구함으로써 통과차량의 축하중을 산정할 수 있는데, 통상 중량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W = (V/Ls) × A × C
여기서, W는 축하중, V는 차량속도, Ls는 센서의 폭, C는 교정계수를 의미한다. 교정계수는 무게를 알고 있는 기준차량을 수차례 반복 주행시켜 발생되는 면적과의 비율로 결정되는 값이다.
현재 과적 차량의 중량 초과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 장비로 사용되는 벤딩플레이트의 경우는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ge)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만이 다르고, 피에죠센서에서 중량을 산출하는 것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중량을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축중량 검지시 어느 축의 하중이 계측되고 있는지 운전자가 알지 못하게 하여 축조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상부에 다수 개의 차량축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며 차량의 축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하중측정플레이트(200); 및,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는 더미패드(300); 및,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축별 중량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계측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상기 더미패드(3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중량 검지시 현재 어느 축의 하중이 계측되고 있는지 운전자가 알지 못하게 하여 축조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운전자에 의한 불법적인 축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재검측을 요구할 수 있다.
셋째, 과적 차량의 도로 유입을 방지하여 도로의 기능 저하와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단속 기준 장비를 여러 개 설치하여 축조작 행위를 방지하는 경제적인 방법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더미패드(300)에 피에죠센서(500)가 추가 설치된 경우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케이스부(100)가 2열로 배열되는 경우이다.
도4는 케이스부(100)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a) 도로 상부에 매설되고 개방된 상부 공간을 통하여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설치하는 경우이고, (b) 도로의 일측 측면으로 노출된 부위를 통하여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5는 축조작 여부를 판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6은 종래의 고정식 과적차량 검문소에서 하중측정플레이트(벤딩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축중량을 계측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부(100)는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상부에 다수 개의 차량축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데, 케이스부(1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공간은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채우게 된다.
이러한 케이스부(100)는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폭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의 폭으로 제작되어 도로에 매설될 수도 있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좌우 양측에 2열로 배열되어 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각각 통과하도록 도로에 매설될 수도 있다.
케이스부(100)의 구체적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상부에 매설되고 개방된 상부 공간을 통하여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일측 측면으로 노출된 부위에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슬라이드 서랍식으로 삽입하는 절개부(110)가 구비되어 이를 통하여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삽입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케이스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 형상이 됨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하중측정플레이트(200)는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스부(10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며 차량의 축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이러한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센서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인게이지가 사용되는데, 축하중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반드시 스트레인게이지가 아니라도 상관이 없다. 이러한 하중측정플레이트(200)는 첨부도면에 세부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센서가 내장되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하중측정플레이트(200)는 케이스부(100)의 외형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이러한 하중측정플레이트(200)의 외형도 사각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차지하지 않는 케이스부(100)의 나머지 영역은 더미패드(300)가 설치된다.
더미패드(300)는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케이스부(100)의 어느 영역에서 실질적인 계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인지 구분할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 하증측정플레이트(200)와 더미패드(300)을 동일한 색상으로 도포하여 운전자가 계중되는 영역이 어디인지 구분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외형과 색상 측면에서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동일하여 어느 곳에 축하중을 검지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지 운전자는 알 수가 없으므로 축조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1 내지 도4에는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의 외형이 다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며, 실재 적용되는 더미패드(300)와 하중측정플레이트(200)는 외형 및 크기가 동일하여 운전자는 어느 것이 하중측정플레이트(200)인지 구분할 수 없다.
더구나 계측자(단속 인원)는 필요에 따라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더미패드(300)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 설치할 수 있어 운전자로서는 하중측정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더미패드(300)에는 아무런 계측 센서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도1 참조), 도2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축을 검지하고 축중량을 계측하는 피에죠센서(5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피에죠센서(500)를 대표적으로 제시했지만 차량 축 계중 기능이 있는 센서(예:스트레인 게이지. 로드셀, 광섬유 센서 등)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에죠센서(500)는 진행하는 차량의 방향과 일정 각도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일한 축상에 연결된 좌우 바퀴를 순차적으로 검지하게 된다.
더미패드(300)의 구조도 첨부도면에 세부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고 피에죠센서(500)가 그 사이에 내장되는 구조가 된다.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 내장된 스트레인게이지와 같은 센서, 그리고 더미패드(300)에 설치된 피에죠센서(500)가 축을 검지하고 축중량을 계측하는 원리나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되는 바,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400)는 이러한 하중측정플레이트(200)나 피에죠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축수, 차량의 축별 중량, 및 총중량 등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00)는 각각의 더미패드(300)에 설치된 피에죠센서(500)에 의해서 차량의 축중량을 계중한다.
이때 더미패드(300) 1개당 차량의 첫 번째 축부터 마지막 축까지 순차적으로 계중하게 된다. 따라서 더미패드(300)가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 어떤 차량의 동일 차량 축이 더미패드(300)의 수량만큼 반복해서 계중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두 개의 축을 갖는 트럭이 도2의 예와 같이 1개의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4개의 더미패드(300)를 통과하게 되면 얻게 되는 중량은 다음 같다.
B1: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첫 번째 축의 중량
B2: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두 번째 축의 중량
P1 ,1: 첫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첫 번째 축의 중량
P2 ,1: 두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첫 번째 축의 중량
P3 ,1: 세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첫 번째 축의 중량
P4 ,1: 네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첫 번째 축의 중량
P1 ,2: 첫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두 번째 축의 중량
P2 ,2: 두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두 번째 축의 중량
P3 ,2: 세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두 번째 축의 중량
P4 ,2: 네 번째 더미패드(300)에 의해서 계중된 트럭의 두 번째 축의 중량
βj = max[|Bj - Pi,j|/Bj] × 100 는 차량의 j번째 축에 대한 하중플레이트(200) 계중값(Bj)과 더미패드(300)들에 의한 측정치(Pi,j)들 간의 편차의 최대값의 비율이 된다.
αj = max[|Pj,ave - Pi,j|/|Pj,ave] × 100는 더미패드(300)들 사이에서 측정되는 차량 각 축들 의 평균값(Pj,ave)과 각각의 더미패드(300)에서 측정되는 축중량(Pi,j)의 편차의 최대값 비율이 된다.
계측되는 각 축 중량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편차 범위를 βj의 경우 10%로 설정하고, αj의 경우 15%로 설정하였는데, 이런 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하중플레이트(200)와 더미패드(300)의 정기적인 영점 조절을 할 때 축중량을 미리 알고 있는 차량을 활용하여 축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수차례에 걸친 반복 계중을 통하여 허용되는 편차의 최대값 비율 βj와 αj를 각각 결정한다. 또한 필요시에 차량 축수 별로 차량을 분류하고 분류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축수 그룹별로 βj와 αj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400)는 피에죠센서(500)에서 계측되는 각 축의 중량과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계측되는 각 축의 중량 사이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편차 범위를 10%로 설정하였는데, 이런 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5에 도시된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을 살펴본다.
(1) 제1단계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를 검지하여 확인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별도로 설치된 속도센서를 이용하거나 피에죠센서(500) 사이의 차륜 통과 시간을 검지하여 차량 속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각각의 더미패드(300)와 하중플레이트(200)에서 계수된 차량축의 개수가 불일치하는 경우는 축조작으로 간주하고 계중을 위한 재진입을 지시한다.
(2) 제2단계
각각의 더미패드(300)에 설치된 피에죠센서(500)를 이용하여 계측되는 차량의 각 축의 중량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축의 중량은 제어부(400)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3) 제3단계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이용하여 계측되는 차량의 각 축의 중량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축의 중량은 제2단계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00)를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4) 제4단계
제2단계에서 산정한 각 축의 중량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예를 들어 15%)를 벗어난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만약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축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5) 제5단계
제2단계에서 산정된 각 축의 중량과 제3단계에서 산정된 각 축의 중량을 비교하여 그 사이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예를 들어 10%)를 벗어난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제4단계나 제5단계에서 축조작으로 판단되면 해당 차량은 재검측을 받도록 조치할 수 있다. 만약 제5단계에서도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축조작이 없는 것으로 최종 판단하여 해당 차량을 통과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케이스부
110:절개부
200:하중측정플레이트
300:더미패드
400:제어부
500:피에죠센서

Claims (11)

  1.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상부에 다수 개의 차량축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며 차량의 축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하중측정플레이트(200);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는 더미패드(300);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축별 중량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더미패드(300)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축을 검지하고 축중량을 계측하는 피에죠센서(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상기 더미패드(300)의 위치가 변경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더미패드(300)는 다수 개가 하나의 케이스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피에죠센서(500)에서 계측되는 각 축의 중량과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계측되는 각 축의 중량 사이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2.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 상부에 다수 개의 차량축이 동시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진행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부(100);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부(100)의 일정 영역을 차지하며 차량의 축하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하중측정플레이트(200);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외형과 크기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을 차지하는 더미패드(300); 및,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축별 중량 및 총중량을 산출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와 상기 더미패드(300)의 위치가 변경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부(100)는,
    좌우측 측면 가운데 어느 일측이 도로의 일측 측면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측면을 통하여 상기 더미패드(300)와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더미패드(300)는 다수 개가 하나의 케이스부(100)에 설치되고,
    상기 더미패드(300) 각각에 설치되어 차량의 축을 검지하고 축중량을 계측하는 피에죠센서(5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하중측정플레이트(200)에는 스트레인게이지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케이스부(100)는 계측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좌우 양측에 2열로 배열되어 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각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피에죠센서(500)는 진행하는 차량의 방향과 일정 각도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피에죠센서(500)에 의해서 계측되는 각 축 중량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7. 제4항에 기재된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진입하는 차량의 축수를 검지하는 제1단계;
    더미패드(300)에 설치된 피에죠센서(500)를 이용하여 계측되는 차량의 각 축의 중량을 산정하는 제2단계;
    하중측정플레이트(200)를 이용하여 계측되는 차량의 각 축의 중량을 산정하는 제3단계;
    제2단계에서 산정한 각 축의 중량 편차가 미리 정해진 범위(βj)를 벗어난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제4단계; 및,
    제2단계에서 산정된 각 축의 중량과 제3단계에서 산정된 각 축의 중량 사이의 편차(αj)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축조작으로 판단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8. 제7항에서,
    제4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βj)는 10%이고,
    제5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αj)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9. 제7항에서,
    제4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βj)와 제5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αj)는 각각 축중량을 알고 있는 차량을 이용하여 축조작이 없는 상태에서 수차례 반복 계중을 통하여 얻은 편차의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10. 제9항에서,
    제4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βj)와 제5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αj)는 각각 차량의 축수별로 구분된 차량분류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11. 삭제
KR1020120042118A 2012-04-23 2012-04-23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KR10123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118A KR101230506B1 (ko) 2012-04-23 2012-04-23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118A KR101230506B1 (ko) 2012-04-23 2012-04-23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506B1 true KR101230506B1 (ko) 2013-02-06

Family

ID=4789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118A KR101230506B1 (ko) 2012-04-23 2012-04-23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06B1 (ko) * 2012-05-07 2013-04-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차량의 축 조작 방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228A (ko) * 2002-12-26 2004-07-02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축 조작에 의한 트라이뎀축 차량의 부정진입을 막기 위한고정식 축중기
KR20090130718A (ko) *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차량 과적 측정구조물
KR20090131824A (ko) * 2008-06-19 2009-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식 원더링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산출 방법
US20110232974A1 (en) * 2010-03-26 2011-09-29 Robert Knox Abercrombie Portable weigh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7228A (ko) * 2002-12-26 2004-07-02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축 조작에 의한 트라이뎀축 차량의 부정진입을 막기 위한고정식 축중기
KR20090130718A (ko) *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차량 과적 측정구조물
KR20090131824A (ko) * 2008-06-19 2009-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영상식 원더링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통파라메타산출 방법
US20110232974A1 (en) * 2010-03-26 2011-09-29 Robert Knox Abercrombie Portable weigh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06B1 (ko) * 2012-05-07 2013-04-19 한국도로전산 주식회사 차량의 축 조작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2490B1 (en) Method for measuring a moving vehicle
KR101812358B1 (ko) Wim 센서 교정 방법
KR100985734B1 (ko) 주행 차량 자동 계중 시스템
CN104949746B (zh) 一种车载式非接触车辆荷载质量动态监测装置及检测方法
CA2663653C (en)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sure in a vehicle tire and/or the speed of the vehicle
KR101231791B1 (ko) 강교량 수직보강재의 응답특성을 이용한 차량중량 계측 시스템
WO2012038955A1 (en) Piezoelectric-based weigh-in-motion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vehicles
CN109855711A (zh) 一种车辆超载超限动态称重系统
KR20140063719A (ko) 차량 타이어 압력 점검
KR102108320B1 (ko) 축중기 시스템에서 축하중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 산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축중기 중량 보정 시스템
CN202090301U (zh) 用于机动车辆轮轴识别的一体化点阵式压敏传感器装置
EP3350553B1 (en) Weight measuring device and the measuring method
US6112600A (en) Measuring platform for weight and brake system monitoring
KR101230506B1 (ko) 더미패드를 이용한 축조작 방지 계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조작 판정 방법
KR101401958B1 (ko) 개별 오차 보정 방식의 이동식 축중기
CN104266734B (zh) 一种微波称重传感器及车辆的动态称重方法
KR101764601B1 (ko) 화물차 축 간격 측정용 다기능 패드 센서 및 이를 이용한 과적단속 장치
KR100815203B1 (ko) 차량 계중기 및 그 설치 방법
KR101980607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차량용 중량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15317A (ko) 차량의 과적 및 부정계측 검출장치
KR101192421B1 (ko)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는 중량센서용 고속 동적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077292B1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중량측정 어셈블리
KR20180138459A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101516579B1 (ko) 차량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2551982B1 (ko) 차량의 윤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저속 축중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