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345B1 -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345B1
KR101950345B1 KR1020170078889A KR20170078889A KR101950345B1 KR 101950345 B1 KR101950345 B1 KR 101950345B1 KR 1020170078889 A KR1020170078889 A KR 1020170078889A KR 20170078889 A KR20170078889 A KR 20170078889A KR 101950345 B1 KR101950345 B1 KR 10195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support
weigh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49A (ko
Inventor
조헌
이황기
Original Assignee
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헌 filed Critical 조헌
Priority to KR102017007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3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21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는 차량이 통과할 때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여 일부가 돌출되도록 격자로 배치되고, 돌출된 각 부분으로 전달되는 중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MEASURING SENSOR FOR WEIGHT OF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일부가 지면보다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중량을 접촉식으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용 도로 또는 도로상에 설치된 터널 등을 관리하는 관리부처나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는 해당 도로나 터널 등을 통행하는 차량들에게 소정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
이때, 상기 관리 부처나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는 차종분류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크기나 배기량 등에 의해 차종을 구분하고(예컨대,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 등과 같은 차량정보), 그 차종별로 통행료를 차등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차종분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접촉식과 비접촉식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접촉식 차종분류시스템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초단파감지기, 초음파감지기, 레이저 등의 비접촉식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종 및 교통량을 분석하는 반면,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되고, 도로의 상태, 날씨, 주위환경, 도로의 종류(아스팔트도로, 콘크리트도로 등)에 따라 감지되는 정보가 변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비접촉식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도로에 특허등록번호 제10 - 731808호와 같이 도로에 루프회로센서나 피에조센서회로만을 설치하여,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차 축간의 거리나 차량길이만을 측정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접촉식 차종분류시스템은 사용하는 감지기에 따라 답판방식, 루프코일방식, 광섬유방식 등이 있으며 주 용도는 통과차량의 바퀴 축수를 세는 방식으로, 차량분류결과는 비교적 정확하지만, 감지장치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아 수시로 교체해야 하고, 사용중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차 축간거리 및 차량길이만을 측정하게 되면, 유사한 배기량의 차량이라도 차 축간의 거리에 따라 차량정보가 다르게 나타나게 되어, 차량정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정보 및 무게를 측정하는 피에조센서는 차량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차량정보를 확인하게 되는데 차량이 저속으로 운행하게 되면, 차량의 속도에 의해 진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기 피에조 센서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상기 피에조센서를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가 빠르게 운행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피에조센서에 타이어가 접촉이 안되거나 순간적으로 접촉되게 되어, 피에조센서가 차량정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속도가 저속뿐만 아니라 고속일 때에도, 차종을 정확히 파악하는 동시에, 수명이 보완된 구조를 갖는 접촉식과 비접촉식 센서들을 통해 차종을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1. 등록특허번호 제10-731808호(2007.06.18. 등록)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6150호(2006.10.12. 공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일부가 지면보다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제1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2 프레임과 3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하중으로 인한 손상 및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는 차량이 통과할 때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여 일부가 돌출되도록 격자로 배치되고, 돌출된 각 부분으로 전달되는 중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통신가능 여부에 따라 메인부와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이상의 보조부들은 상기 도로의 폭에 따라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메인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이 동일한 접촉 주기에서 감지된 중량을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3 프레임에 분산시키고, 상기 제3 프레임과 고정결합 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부들이 상기 제3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연통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일부가 지면보다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차량의 중량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제1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제2 프레임과 3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켜, 상기 하중으로 인한 손상 및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로드 시스템을 실시한 예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센서부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프로세스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스마트 로드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로드 시스템을 실시한 예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로드 시스템(1000)은 제1 센서부(100), 제2 센서부(200) 및 분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100)는 도로의 폭 방향으로 매설되어 통과되는 차량(1)의 바퀴과 접촉될 때, 각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센서부(200)는 상기 도로의 양측으로부터 세워진 구조물 예컨대, 교통신호기 또는 도로위의 도로전광표지판을 지지하는데 쓰이는 문형식 구조물인 겐트리(Gantry)에 의해 지지되어,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거나 기설정된 영역의 도로를 주행 또는 정지한 차량(1)의 외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200)는 구비된 레이저 또는 초음파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외형을 감지할 수 있는 외형감지 센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분석부(300)는 제1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중량에 기초하여 차량(1)의 축간거리, 차폭, 타이어 폭, 타이어 크기, 타이어 개수, 차축 간 거리, 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도출하고, 제2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된 차량(1)의 외형에 기초하여 차량의 폭, 길이, 높이,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00, 200)를 통해 측정된 중량과 감지된 외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차종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과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부(300)는 제1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중량으로부터 도출되는 차량(1) 바퀴의 접촉 주기에서 감지된 중량들을 모두 더하여 윤중을 도출하고, 각 바퀴의 도출되는 윤중을 통해 상기 차량(1)의 실제하중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실제하중과 상기 검출된 차종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1)의 과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2 센서부(200)는 차량(1)의 영상을 확보하도록 카메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200)는 차량(1)의 차종에 대한 제1 센서부(100)를 통해 감지된 제1 정보와 제2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된 제2 정보가 분석부(300)에 의해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촬영된 차량(1)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보하여 분석부(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300)는 확보된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부터 감지되는 차량번호를 통해 차량(1)의 차종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1 센서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100)는 분석부(300)와의 통신가능 여부에 따라 메인부(101)와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103-1~103-N)로 구성되고, 상기 도로의 폭에 길이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103-1~103-N)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인부(101)는 상기 메인부와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부(100)에서 동일한 주기에 감지된 한쌍의 중량을 분석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부(101)는 메인부(101)에서 측정된 제1 중량과,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 중 어느 하나(103-3)로부터 동일한 주기에 측정된 제2 중량을 분석부(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 중 어느 하나(103-3)와 다른 하나(103-5)로부터 동일한 주기에 측정된 제1 및 제2 중량을 분석부(300)로 중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측정 오차를 줄이고, 차량 바퀴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다 향상된 제1 센서부(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100) 예컨대, 메인부(101)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103-1~103-N)는 스트레인 게이지부(110), 제1 프레임(120), 제2 프레임(130) 및 제3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프레임(120)은 차량(1)이 통과할 때, 차량(1)의 바퀴와 접촉되어 차량(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스틸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의 방향의 2열로 격자 형태로 위치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이고, 차량(1)이 통과할 때,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 중 각각이 접촉된 바퀴로부터 전달받는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은 차량의 바퀴와 접촉될 때, 기계적인 미세한 변화(Strain)를, 전기신호(저항변화)로 검출하는 센서들일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부(110)는 차량(1)의 바퀴와 직접 접촉하기 위하여 제1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돌출된 각 부분으로 전달되는 차량(1)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20)은, 차량(1)의 바퀴와 직접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의 지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의 각 일 측이 상기 도로의 지면보다 돌출되도록 일정 위치마다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의 형상에 대응되는 내부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프레임(120)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제3 프레임(140)에 분산시키고, 제3 프레임(140)과 고정결합 되도록 양측에 삽입부(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프레임(130)은 스트레인 게이지부(11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30)은 차량(1)으로부터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111-1~111-N)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프레임(140)은 제2 프레임(1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프레임(130)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4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100)는 제3 프레임(140)과 제2 프레임(13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량(1)이 통과할 때, 접촉되는 바퀴로부터 제1 프레임(120)과 스트레인 게이지부(110)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프레임(140)은 지지부(141)로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완충부(14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143)는 탄성이 유지되는 재질 예컨대, 고무나 아스팔트와 같은 재질로서, 제1 프레임(120)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된 삽입부(123)들이 제3 프레임(140)에 고정되도록 삽입부(1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홀(145)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140)은 차량(1)이 통과할 때, 접촉되는 바퀴로부터 제1 프레임(120)의 삽입부(123)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부(141)에 위치한 완충부(143)에 의해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프레임(140)은, 지지부(141)에 제1 프레임(120)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20)으로부터 삽입부(123)를 통해 지지부(141) 내부로 연통되는 결합홀(14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홀(147)은 차량(1)이 통과할 때, 접촉되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프레임(120)의 x, y축의 움직임인 수평하중을 제한하기 위하여, 결합나사(145-1)와 고정결합되어 제1 프레임(120)과 제3 프레임(1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센서부(100)는 차량(1)의 바퀴와 접촉되어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제2 센서부(200)는 기설정된 도로를 통과하는 상기 차량(1)의 외형을 감지하고, 구비된 카메라(미도시)의 촬영을 통해 차량(1)의 차량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분석부(300)는 제1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중량들을 메인부(101)로부터 전송받음에 따라 접촉주기와 접촉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부(300)는 제1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중량들을 메인부(101)로부터 전송받는 누적시간에 기초하여 접촉주기를 결정하고, 메인부(101)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중량들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접촉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식별정보는 메인부(101) 및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보조부들(103-1~103-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이때, 분석부(300)는 결정된 상기 접촉주기와 상기 접촉면적에 기초하여 차량(1)의 축간거리, 차폭, 타이어 폭, 타이어 크기, 타이어 개수, 차축 간 거리, 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부정보에 대응되는 제1 차종을 도출할 수 있다(S130).
또한, 분석부(300)는 제2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된 차량(1)의 외형에 기초하여 차량(1)의 폭, 길이, 높이,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부정보에 대응되는 제2 차종을 도출할 수 있다(S140).
다음으로, 분석부(300)는 도출된 제1 차종과 제2 차종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고(S150), 일치할 때, 상기 접촉주기에서 측정된 상기 중량들을 모두 더하여 차량(1)의 하중을 계산할 수 있다(S160).
즉, 분석부(300)는 제1 센서부(100)를 통해 측정된 중량으로부터 도출되는 차량(1) 바퀴의 접촉 주기에서 감지된 중량들을 모두 더하여 윤중을 도출하고, 각 바퀴로부터 도출되는 윤중들을 통해 차량(1)의 하중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윤중이란, 접촉주기에서, 차량(1)의 어느 하나의 바퀴로부터 감지되는 중량들의 합인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분석부(300)는 계산된 차량(1)의 하중과 상기 제1 차종에 따른 기설정된 과적허용량 정보를 비교하여 과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0).
한편, 분석부(300)는 도출된 제1 차종과 제2 차종이 일치하지 않거나, 제1 차종 또는 제2 차종이 도출되지 않을 때, 제2 센서부(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확보된 차량(1)의 차량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제3 차종을 검출하고(S180), 계산된 차량(1)의 하중과 상기 제3 차종에 따른 기설정된 과적허용량 정보를 비교하여 과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90).
예컨대, 분석부(300)는 차량(1)의 불법개조 등으로 인하여 제1 및 제2 정보에 대응되는 차량(1)의 차종이 기저장된 차종정보로부터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불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제2 센서부(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확보된 차량(1)의 차량번호를 근거로, 검출되는 제3 차종을 차량(1)의 차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스마트 로드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1: 차량
100: 제1 센서부
101: 메인부
103-1~103-N: 보조부
110: 스트레인 게이지
111-1~111-N: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들
120: 제1 프레임
121: 내부홀
123: 삽입부
130: 제2 프레임
140: 제3 프레임
141: 지지부
143: 완충부
145: 지지홀
147: 결합홀
200: 제2 센서부
300: 분석부
1000: 스마트 로드 시스템

Claims (5)

  1. 차량이 통과할 때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일부는 격자로 배치되고, 돌출된 각 부분으로 전달되는 중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가능 여부에 따라 메인부와 어느 하나 이상의 보조부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어느 하나의 이상의 보조부들은 도로의 폭에 따라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메인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조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이 동일한 접촉 주기에서 감지된 중량을 전송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제3 프레임에 분산시키고, 상기 제3 프레임과 고정결합 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 삽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제3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 내부로 연통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KR1020170078889A 2017-06-22 2017-06-22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KR10195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889A KR101950345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889A KR101950345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49A KR20190000049A (ko) 2019-01-02
KR101950345B1 true KR101950345B1 (ko) 2019-02-20

Family

ID=6502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889A KR101950345B1 (ko) 2017-06-22 2017-06-22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437B1 (ko) * 2021-10-13 2022-07-27 (주)유디엔에스 적재물 자동 식별 기능을 구비하는 고정식 축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73B1 (ko) 2005-09-01 2006-09-20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고정식 축중기의 보호겸 과속방지장치
KR101130306B1 (ko) * 2011-08-04 2012-03-22 한국도로공사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JP5327796B2 (ja) * 2009-02-25 2013-10-3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橋梁通過車両の車重計測システム、橋梁通過車両の車重計測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56237B1 (ko) 2015-05-19 2015-10-01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축중기 센서 혼합형 트럭스케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381B1 (ko) 2005-04-06 2007-01-10 김함곤 차종분류시스템
KR100731808B1 (ko) 2005-10-07 2007-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가형 매설식 차량정보 검출시스템 및 차량정보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273B1 (ko) 2005-09-01 2006-09-20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고정식 축중기의 보호겸 과속방지장치
JP5327796B2 (ja) * 2009-02-25 2013-10-30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橋梁通過車両の車重計測システム、橋梁通過車両の車重計測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30306B1 (ko) * 2011-08-04 2012-03-22 한국도로공사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KR101556237B1 (ko) 2015-05-19 2015-10-01 삼인데이타시스템 (주) 축중기 센서 혼합형 트럭스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49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jon et al. Application of weigh-in-motion technologies for pavement and bridge response monitoring: State-of-the-art review
WO2018159003A1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6463059B (zh) 障碍物信息管理装置
CN105006150B (zh) 车辆轮轴数量的检测方法及装置
KR100860394B1 (ko)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US10203241B2 (en) Slow speed weigh-in-motion system with flexure
KR101950343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101051772B1 (ko) 비접촉식 차량 감지장치
KR101816566B1 (ko) 차량센서를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22117A1 (en) System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a tire,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US20220068129A1 (en) Vehicle and vehicular diagnostic system
KR100892956B1 (ko) 통합교통량 측정장치
KR101892532B1 (ko) 자계 기반 무인 주행 차량의 주행 위치 검출 장치 및 도로정보 제공장치
KR101950345B1 (ko)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KR20190053151A (ko) 노면 평탄도 진동감지 단말을 이용한 도로 요철·파손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6104399A (zh) 输送车系统、输送车系统的检查方法以及检查台车
KR101160191B1 (ko) 축 외장형 트럭스케일 및 과적근원지에서의 과적단속방법
KR101950344B1 (ko)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20140055916A (ko)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7424945B2 (ja) 故障検知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故障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1751B1 (ko) 교량 조인트부 원격 위험 감지 시스템
KR101922767B1 (ko) 이동식 도로 지지력 평가장비
KR101082009B1 (ko)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KR101980607B1 (ko)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차량용 중량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6191592A (ja) 路面平滑性評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