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306B1 -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306B1
KR101130306B1 KR1020110077952A KR20110077952A KR101130306B1 KR 101130306 B1 KR101130306 B1 KR 101130306B1 KR 1020110077952 A KR1020110077952 A KR 1020110077952A KR 20110077952 A KR20110077952 A KR 20110077952A KR 101130306 B1 KR101130306 B1 KR 101130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part
sensor
answer
pl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곤
박경진
이동주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1007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ㄴ형강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부가 노면과 접하게 변경함으로써, 접합면 부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답판 프레임의 철구조물과 답판 센서가 밀착되지 않아서, 답판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답판의 철거와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답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측면 지지부의 내측면과 상기 답판 센서의 양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보호용 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답판 센서가 상면과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패널의 하면 및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지지부; 및 상기 안착패널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지지부 상면에 고정되는 중앙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호용 고무부재에는 일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공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Treadle System Frame for Discrimination of Automobile Model}
본 발명은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ㄴ형강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부가 노면과 접하게 변경함으로써, 접합면 부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답판 프레임의 철구조물과 답판 센서가 밀착되지 않아서, 답판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답판의 철거와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상에서는 차량별 종류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을 징수하므로, 차종을 실시간으로 판별하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도로상의 통행료 징수시스템에 대하여 하이패스 등과 같이 무인화를 도모하기 위해, 차량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통행권을 발행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차종 판단 원리는 통행차량의 차폭이나 차륜간 거리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차량의 윤거, 윤폭, 축수 등을 판별하기 위한 답판 센서가 활용되고 있으며, 그 답판 센서는 차종 인식을 위한 콘크리트물로 형성된 측정 구간에 배치되는 답판 장치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답판 장치의 프레임은, ㄷ형강(100)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부가 양측면에 형성되어 노면과 접합한다. 이 때, ㄷ형강(100)의 상면에는 차량의 통행에 따라 충격이 작용하고, 이 충격은 ㄷ형강(100) 사이의 콘크리트 노면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 때문에 ㄷ형강(100) 사이의 콘크리트에는 크랙이 발생하여, 빈 공간이 생기면서 ㄷ형강(100)의 상부 면의 지지가 불안정해지고, 차량의 통행시 흔들림 현상을 보이게 된다. 그에 따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ㄷ형강(100)을 포함한 답판 장치의 프레임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기존의 답판 장치에 설치되는 답판 센서에 대해서는, 차량의 통행에 따른 하중에 의해 센서 자체가 훼손되거나 단선과 같은 고장에 따른 교체 및 보수 행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답판 센서가 답판 장치의 프레임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이유로 이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프레임에 작용되는 충격이 답판 센서에도 고스란히 전달되므로 센서 자체의 파손 확률도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ㄴ형강으로 이루어진 측면 지지부가 노면과 접하게 변경함으로써, 접합면 부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강화시킨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답판 프레임의 철구조물과 답판 센서가 밀착되지 않아서, 답판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답판의 보수와 교체가 용이한 구조의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답판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측면 지지부의 내측면과 상기 답판 센서의 양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보호용 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답판 센서가 상면과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패널의 하면 및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지지부; 및 상기 안착패널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지지부 상면에 고정되는 중앙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호용 고무부재에는 일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공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과의 접합면을 ㄴ형태로 변경함으로써, 접합면 부근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철구조물과 답판 센서가 직접 접촉되지 않아서, 답판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답판의 철거와 설치가 용이하므로, 장비를 정비하거나 교체할 시에 시간이 크게 단축되므로, 차로 폐쇄로 인한 장비 가동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이 노면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이 노면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은 본체부(20), 측면 지지부(21) 및 보호용 고무부재(30)로 구성된다.
본체부(20)는 답판 센서(1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답판 센서(10)가 본체부(20) 내에 안착된다. 상기 본체부(20)의 외측면에 설치된 측면 지지부(21)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때문에 측면 지지부(21)는 ㄴ형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부(20) 내에 안착된 답판 센서(10)의 양측면과, 상기 측면 지지부(21)의 내측면 사이에는, 보호용 고무부재(30)가 삽입되어 답판 센서(10)를 본체부(20)와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부(2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정두께를 갖는 철재와 같은 금속 재질의 패널을, 상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20)와 상기 측면 지지부(21)는 같은 재질의 금속을 이용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 과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체부(20)의 폭은 답판 센서(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본체부(20) 내에 답판 센서(10)가 안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해서, 본체부(20)에는 답판 센서(10)가 상면과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패널(2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패널(22)은 그 상면이 답판 센서(10)의 하면과 접면하게 되는 부분으로, 안착패널(22)에 답판 센서(10)가 배치될 시에 본체부(20)의 최상단부와 답판 센서(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되도록, 본체부(2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패널(22)의 형성 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본체부(20)가 콘크리트에 매립될 시에, 답판 센서(10)와 콘크리트의 상면이 수평하게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측면 지지부(21)는 본체부(20)의 하단부에서 콘크리트 노면과 접하여 배치되는 부분으로, 본체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체부(20)와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ㄷ형강(100)의 구조와 달리,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ㄴ형강의 구조를 갖게 되어, 콘크리트 노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상면이 없으므로 차량이 통행할 때 충격을 직접적으로 받는 프레임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20)의 양 측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ㄷ형강(10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크랙으로 인한 공간이 생겨서, 상면 부분이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도 해결된다. 참고로, 측면 지지부(2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답판 센서(10)의 전선을 본체부(20) 양끝단으로 인출하는데 사용되는 전선보호용 파이프(40)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20)의 안착패널(22)의 중심선과 답판 센서(10)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면, 본체부(20)의 폭이 답판 센서(10)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측면 지지부(21)의 내측면과 상기 답판 센서(10)의 양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때, 빈 공간과 동일한 폭의 보호용 고무부재(30)를 압입함으로써, 답판 센서(10)와 본체부(20)를 고정시켜 준다. 보호용 고무부재(30)는 측면 지지부(21)의 내측면과 답판 센서(10) 사이에 생긴 공간을 빈틈없이 메꾸기 위해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체부(20)가 콘크리트에 매립될 시에,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답판 센서(10)와 보호용 고무부재(30) 및 콘크리트의 상면이 모두 수평하게 위치된다.
상기 보호용 고무부재(30)는 우레탄 등의 고무 재질을 사용해 제작하므로, 답판 센서(10)의 양 측면에 작용하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연성 재질이기 때문에 답판 장치의 본체부(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답판 센서(10)를 탈착해야 할 경우에, 보호용 고무부재(30)를 우선 분리함으로써 간단하게 답판 센서(10)의 탈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보호용 고무부재(30)는 그 자체만으로도 분리가 용이하나, 효율성을 더 높이기 위해 보호용 고무부재(30)의 일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공구삽입홈(3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구삽입홈(31)에 공구 끝단이 보호용 고무부재(30)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공구를 삽입하여,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보호용 고무부재(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때문에 종래기술의 답판 장치에서 답판 센서(10)를 교체나 정비할 때 무리하게 분리 작업을 실시하여, 답판에 손상이 발생하고, 고가의 정비 비용과 긴 처리 시간이 소요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용 고무부재(30)는 차량이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답판 장치 위를 통과할 때, 답판 센서(10) 상면에 차량의 바퀴가 도달하기 전에 평탄한 면 위를 지나게 함으로써, 차량의 양 바퀴가 답판 센서(10)의 초입부에서부터 균형을 유지한 채 진입할 수 있게 해준다. 때문에 센서가 차량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측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오측정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의 답판 장치에서는 측면에 형성된 ㄷ형강(100) 구조의 측면 지지부 상면 부분이 비슷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답판 장치에서는 보호용 고무부재(30)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의 답판 장치에서보다 증대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부(20) 내부의 바람직한 지지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상기 안착패널(22)의 하면 및 본체부(20)의 내측면을 따라, 사각기둥 빔 형상의 제 1 지지부(23)가 고정된다. 답판 센서(10)가 일반적으로 고중량임을 고려하여, 답판 센서(10)가 배치되는 안착패널(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체부(20) 및 안착패널(22)에 용접 등의 방식에 따라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제 2 지지부(24)가 2개의 제 1 지지부(23) 사이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4)는 본체부(2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해지는 압축력 등에 저항하는 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각기둥이나 T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24)의 상면에는, 안착패널(22)과 수평하게 중앙패널(25)이 고정될 수 있다. 일반적인 답판 장치의 프레임이 전체적으로 철제 등의 무거운 금속을 재료로 하여, 부분적인 구성요소들을 용접방식에 따라 고정하여 제작되므로, 답판 센서(10)의 하면이 안착되는 면을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가공하는 것이 어렵고, 재료 소모의 부담이 있었다. 이때, 안착패널(22)과 중앙패널(25)의 면적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에 배치되는 답판 센서(10)가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체부(20) 내부의 지지 구조는, 상기와 같은 지지 구조를 일례로 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부(20)에 설치되는 답판 센서(10)와 보호용 고무부재(3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형태로든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답판 센서 20 : 본체부
21 : 측면 지지부 22 : 안착패널
23 : 제 1 지지부 24 : 제 2 지지부
25 : 중앙패널 30 : 보호용 고무부재
31 : 공구삽입홈 40 : 전선보호용 파이프

Claims (4)

  1.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답판 프레임에 있어서,
    상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답판 센서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측면 지지부; 및
    상기 측면 지지부의 내측면과 상기 답판 센서의 양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보호용 고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답판 센서가 상면과 수평하게 안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패널과;
    상기 안착패널의 하면 및 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1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 2 지지부; 및
    상기 안착패널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지지부 상면에 고정되는 중앙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고무부재에는 일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공구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3. 삭제
  4. 삭제
KR1020110077952A 2011-08-04 2011-08-04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KR10113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52A KR101130306B1 (ko) 2011-08-04 2011-08-04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952A KR101130306B1 (ko) 2011-08-04 2011-08-04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306B1 true KR101130306B1 (ko) 2012-03-22

Family

ID=4614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952A KR101130306B1 (ko) 2011-08-04 2011-08-04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3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59A (ko) * 2017-06-21 2018-12-31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20180138468A (ko) * 2017-06-21 2018-12-31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20190000049A (ko) * 2017-06-22 2019-01-02 조헌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8B1 (ko) * 2005-11-05 2008-01-23 서정수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8B1 (ko) * 2005-11-05 2008-01-23 서정수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8459A (ko) * 2017-06-21 2018-12-31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20180138468A (ko) * 2017-06-21 2018-12-31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101950343B1 (ko) * 2017-06-21 2019-02-20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의 차량의 과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KR101950344B1 (ko) * 2017-06-21 2019-02-20 조헌 스마트 로드 시스템
KR20190000049A (ko) * 2017-06-22 2019-01-02 조헌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KR101950345B1 (ko) * 2017-06-22 2019-02-20 조헌 차량의 중량 측정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859B2 (en) Vehicle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08657280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KR101130306B1 (ko)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CN108025693B (zh) 缓冲梁
CN107031734A (zh) 车辆的前部车体构造
JP5976119B2 (ja) 車両構体
KR20110040876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CN101812821A (zh) 铁甲板及其制造方法
CN111851281A (zh) 一种用于钢-混组合桥梁的防共振装置的工作方法
KR101856240B1 (ko) 쇽업쇼버 하우징 및 그의 체결구조
CN105780645A (zh) 一种无缝型大跨径多向变位梳形板桥梁伸缩装置
KR101880189B1 (ko) 바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도로표지판
CN102874086A (zh) 发动机安装支座
KR20140121228A (ko) 트럭 적재함의 플로어패널
JP2018021330A (ja) 橋梁用防護柵
KR101262537B1 (ko) 전기 자동차 차체
KR102000114B1 (ko) 가설교량용 모듈형 트러스 거더 및 그 설치 구조
KR101184762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에이치형 단면 강재 보
KR100879159B1 (ko) 답판센서의 분리가 용이한 답판프레임
KR100999752B1 (ko) 차량의 범퍼 장치
KR200370302Y1 (ko) 지하철공사의 경사면 도로구간용 밀림방지 조립식 복공판
CN201997384U (zh) 静电除尘器阳极振打杆限位装置
JP2013018369A (ja) 鉄道車両の構体構造
KR20130000243U (ko)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KR102266734B1 (ko) 수평지지력을 향상시킨 가드레일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