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43U -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243U
KR20130000243U KR2020110006022U KR20110006022U KR20130000243U KR 20130000243 U KR20130000243 U KR 20130000243U KR 2020110006022 U KR2020110006022 U KR 2020110006022U KR 20110006022 U KR20110006022 U KR 20110006022U KR 20130000243 U KR20130000243 U KR 20130000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haped steel
jig
horizonta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계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243U/ko
Publication of KR20130000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2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본체부, 및 상기 'ㄱ'자 형강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브라켓과 이격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그,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브라켓 간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는 작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지그가 'ㄱ'자 형강에 접촉식으로 고정되므로 지그를 'ㄱ'자 형강으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고 'ㄱ'자 형강에 용접 자국 등이 남지 않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elding bracket of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전세계 물자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서는,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블록을 조립한 후에 블록을 정반 위에 탑재하여 조립하는 블록건조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선체의 조립에는 용접에 의한 접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 건조방식은 론지(Longi)나 거더(Girder) 같은 부속품을 제조하는 소조립 공정, 주판에 론지나 거더 같은 보강판을 용접하는 중조립 공정, 중조립체 및 소조립체 등을 종합하여 선체의 한 구역을 조립하는 작업인 블록 조립 공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블록 건조방식에 있어서, 론지와 같은 'ㄱ'자 형강, 평판 형상의 주판, 및 이들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브라켓(Bracket)이 매우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들 상호 간을 용접할 때 용접 품질을 높이는 일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22)을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22)을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22)을 용접하는 방법은 여러 피스(11, 12)와 쐐기(13)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주판(20)에 이미 용접되어 있는 'ㄱ'자 형강(21) 상에 단차진 형상의 제1 피스(11)를 용접하고, 'ㄱ'자 형강(21)에 수직하게 주판(20)에 용접될 브라켓(22) 상에 다수의 제2 피스(12)를 위치시켜 높이를 맞춘 후, 제1 피스(11)와 제2 피스(12) 간의 이격 공간에 쐐기(13)를 해머로 삽입시킨다.
이때, 제1 피스(11)는 'ㄱ'자 형강(21)에 용접되어 있는바 제1 피스(11)의 위치는 변하지 않게 되므로, 쐐기(13)가 삽입될수록 쐐기(13)는 제2 피스(12)를 통해 브라켓(22)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라켓(22)이 하강되어 주판(20)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22)이 주판(20)에 접촉되면 브라켓(22)을 주판(20)에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22)을 용접하는 방법은 브라켓(22)과 주판(20)을 용접한 후에 피스(11, 12)와 쐐기(13)를 제거해야하는데, 제1 피스(11)가 'ㄱ'자 형강(21)과 용접된 상태인바 그라인딩 공정을 거치는 등 제1 피스(11)를 제거하는 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피스(11)를 제거하고 난 후에는 'ㄱ'자 형강(21) 상에 용접 자국 또는 흠집이 남아 선박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쐐기(13)를 해머로 내리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바, 쐐기(13)가 다른 곳으로 튀거나 해머에 작업자의 손가락을 다치는 등 인명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켓을 주판에 용접하고 난 후 고정장치의 제거가 용이하고, 'ㄱ'자 형강 상에 용접 자국이나 흠집 등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선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쐐기나 해머 등을 이용한 타격력이 아닌 방법으로 브라켓을 주판에 접촉시킴으로써 인명사고를 예방하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는,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본체부, 및 상기 'ㄱ'자 형강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브라켓과 이격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그,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브라켓 간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는 작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 상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본체부, 상기 제1 수평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수직본체부, 및 상기 수직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의 하면 및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수평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는 상기 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그를 상기 'ㄱ'자 형강에 세우는 세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는 지그가 'ㄱ'자 형강에 용접되지 않고 접촉식으로 고정되는바, 브라켓을 주판에 용접하고 난 후 'ㄱ'자 형강으로부터 지그를 제거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ㄱ'자 형강으로부터 지그를 제거하더라도 'ㄱ'자 형강에 용접 자국이나 흠집 등이 남지 않는바 선박의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작키의 상승력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하강시켜 주판에 접촉시키는바 적은 힘으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인명사고의 발생을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ㄱ'자 형강 및 브라켓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ㄱ'자 형강 및 브라켓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를 'ㄱ'자 형강(210) 및 브라켓(220)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를 'ㄱ'자 형강(210) 및 브라켓(220)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는 본체부(111) 및 연장부(112)를 포함하는 지그(110), 및 작키(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그(110)는 브라켓(220)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ㄱ'자 형강(210)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본체부(111), 연장부(112), 및 세움부(1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1)는 수직부(212)와 수평부(211)로 이루어진 'ㄱ'자 형강(210)의 수평부(211)를 감싸도록, 제1 수평본체부(111a), 수직본체부(111b), 및 제2 수평본체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본체부(111a)는 수평부(211)의 상면에 위치되고, 수직본체부(111b)는 제1 수평본체부(111a)에서 절곡되어 수평부(211)의 측면에 위치되며, 제2 수평본체부(111c)는 수직본체부(111b)에서 절곡되어 수평부(211)의 하면 및 수직부(212)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평본체부(111a), 수직본체부(111b), 및 제2 수평본체부(111c)를 포함하는 본체부(111)는 전체적으로 절곡되어 수평부(211)의 상면, 측면, 하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본체부(111)에 형성된 끼움홀(115)에 'ㄱ'자 형강(210)의 수평부(211)가 삽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1)는 수평부(211)의 상면, 측면, 하면 및 수직부(212)의 측면과 접촉되게 구현될 수도 있고, 약간 이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접촉되는 경우 본체부(111)가 'ㄱ'자 형강(21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격되는 경우에는 지그(110)의 설치 및 분리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수평본체부(111a), 수직본체부(111b), 및 제2 수평본체부(111c)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그(110)는 'ㄱ'자 형강(210)에 대하여 접촉식으로 고정되는바, 이후에 작업을 마친 후 지그(110)를 제거하기 용이하고 'ㄱ'자 형강(210)에 용접 자국 또는 흠집을 남기지 않아 선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2)는 본체부(111)로부터 연장되어 브라켓(220)의 상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제1 수평본체부(111a)로부터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1)와 단차를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2)의 하부에는 이하에 기술하는 작키(120)가 위치되어 연장부(112)는 작키(120)와 함께 브라켓(220)과 'ㄱ'자 형강(210)을 연결하는 매개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2)는 본체부(111)와 별도의 부재일 수도 있고 본체부(111)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세움부(113)는 본체부(111)와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재로서, 본체부(111)를 포함한 지그(110)를 'ㄱ'자 형강(210)에 세우는 부재이다. 여기서, 세움부(113)는 본체부(111) 중 제1 수평본체부(111a)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본체부(111)를 세울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평본체부(111a)의 측면으로부터 삼각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세움부(113)의 하면은 'ㄱ'자 형강(210)의 수평부(211)의 상면에 접촉되어 본체부(111)가 쓰러지지 않도록 본체부(111)를 'ㄱ'자 형강(210)에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그(110)에는 손잡이부(114)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114)에 의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지그(110)를 설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작키(120)는 연장부(112)와 브라켓(220) 간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유체가 주입되면 상면이 상승되거나 하면이 하강되어 전체 부피가 상하방향으로 증가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작키(120)의 상면에는 지그(110)의 연장부(112)가 접촉되어 있고 지그(110)는 이미 주판(200)에 용접된 'ㄱ'자 형강(2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키(120)에 유체가 주입되면 작키(120)의 상면의 높이는 변경되지 않고 작키(120)의 하면이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작키(120)의 하면은 브라켓(220)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고, 주판(200)으로부터 들떠있는 브라켓(220)을 주판(2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브라켓(220)이 주판(200)과 접촉되면 용이하게 브라켓(220)을 주판(200)에 용접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220)과 주판(200)이 용접되고 난 후에는 작키(120)에서 유체를 배출시켜 작키(120)를 본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작키(120)와 지그(110)를 'ㄱ'자 형강(210) 및 브라켓(2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작키(120)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브라켓(220)을 주판(200)에 접촉시킬 수 있고 타격력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지그 111 : 본체부
111a : 제1 수평본체부 111b : 수직본체부
111c : 제2 수평본체부 112 : 연장부
113 : 세움부 114 : 손잡이부
115 : 끼움홀 120 : 작키
200 : 주판 210 : 'ㄱ'자 형강
211 : 수평부 212 : 수직부
220 : 브라켓

Claims (3)

  1.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본체부, 및 상기 'ㄱ'자 형강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브라켓과 이격되되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지그;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브라켓 간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는 작키;
    를 포함하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 상면에 위치되는 제1 수평본체부;
    상기 제1 수평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수직본체부; 및
    상기 수직본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ㄱ'자 형강의 상기 수평부의 하면 및 상기 수직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2 수평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본체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그를 상기 'ㄱ'자 형강에 세우는 세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KR2020110006022U 2011-07-01 2011-07-01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KR20130000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22U KR20130000243U (ko) 2011-07-01 2011-07-01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022U KR20130000243U (ko) 2011-07-01 2011-07-01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243U true KR20130000243U (ko) 2013-01-09

Family

ID=5135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022U KR20130000243U (ko) 2011-07-01 2011-07-01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2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564A (zh) * 2017-08-29 2017-12-29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KR200493496Y1 (ko) * 2020-01-08 2021-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프레임 취부용 지그
CN114310100A (zh) * 2021-11-29 2022-04-1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型钢对接焊变形的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564A (zh) * 2017-08-29 2017-12-29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CN107520564B (zh) * 2017-08-29 2024-04-23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KR200493496Y1 (ko) * 2020-01-08 2021-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프레임 취부용 지그
CN114310100A (zh) * 2021-11-29 2022-04-1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型钢对接焊变形的装置及控制方法
CN114310100B (zh) * 2021-11-29 2024-05-17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型钢对接焊变形的装置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0243U (ko) 선박의 브라켓을 용접하기 위한 고정장치
CN105502228A (zh) 新型叉车用货叉
KR101256889B1 (ko) 가드레일용 지주의 지지구조
KR100954229B1 (ko) 선박용 족장
KR101007539B1 (ko) 슬래브 폼 장치
KR20120007385U (ko) 보강재 용접을 위한 보강재밀착지그
KR20210009653A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탱크
KR101042382B1 (ko) 슬래브 폼 장치
JP4691971B2 (ja) 車両のキャニスタ配設構造
KR200405258Y1 (ko) 분리형 상부 플레이트를 갖는 오일레스베어링
JP2018154210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WO2014083659A1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ヘッドガード構造
JP4994120B2 (ja) キャブのフロア
KR200410519Y1 (ko) 유압식 펀칭 장비
CN107235079A (zh) 一种副车架的减震结构
JP6100714B2 (ja) 床用目地プレート
CN209290534U (zh) 一种高强度货车护栏及具有该护栏的货车侧防护组件
JP4066675B2 (ja) 車両荷台の根太構造
JP4491509B1 (ja) パレット
CN102795207A (zh) 剪式千斤顶随车用固定装置
CN209739163U (zh) 一种汽车侧围门槛下部结构
KR100980969B1 (ko) 잭 업 기구 고정장치
CN212311939U (zh) 一种平衡重工装
CN211455486U (zh) 一种变压器油箱
KR20140000273U (ko) 선박 블럭의 레벨 조정용 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