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998B1 -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998B1
KR100796998B1 KR1020060092014A KR20060092014A KR100796998B1 KR 100796998 B1 KR100796998 B1 KR 100796998B1 KR 1020060092014 A KR1020060092014 A KR 1020060092014A KR 20060092014 A KR20060092014 A KR 20060092014A KR 100796998 B1 KR100796998 B1 KR 10079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ght
vehicle
vehicle typ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589A (ko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주)도시발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주)도시발전연구원 filed Critical 서정수
Publication of KR2007004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3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 G01G19/346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11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i.e. lenses or mirrors;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종을 실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는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는 차량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센서 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센서 장착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타이어의 접촉 및 비 접촉 시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들과, 상기 광량감지센서들의 상부측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광량 감지센서를 보호하는 투광창을 구비하며, 상기 이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차종 판별, 광센서, 광량

Description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TREADLE SENSOR UNITE FOR DISCRIMINATING AUTOMOBILE MODEL AND SYSTEM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로에 차종판별용 답판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을 이용한 차종 판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차종 판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로에 설치되어 접지되는 타이어로부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와,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차종을 판별할 수 있는 차종 판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료도로에서는 차종에 따라 요금을 차등적으로 징수하고 있기 때문에 차종을 판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의 수집에서도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종을 실시간으로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시스템에 있어서의 입구의 무인화를 도모하는 방법으로서 통행차량의 차종 예컨데, 경승용차, 승용차, 화물차, 대형차, 특대형차 등의 종별을 자동판별하고, 당해 차량에 상당하는 통행권을 발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종을 자동 판별하려면 통행차량의 차폭 치 혹은 트레드(차바퀴 사이의 거리 : 輪距)를 측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것은 각각 초음파 혹은 노면의 폭 방향으로 복수개의 디딤판 스위치를 똑같은 간격을 설치함으로서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차종을 판별하기 위한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984-003499호(일본 특허출원 소 57-1311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 특허 제 1984-000428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차종 판별장치는 차량통과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투·수광기를 수직방향으로 복수쌍 쌓아올린 광전관장치와, 이 광전관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통과로에 매설되어 통과차량의 차륜의 답압작용 폭에 따라서 전기 저 항을 변화시켜 상기 차륜의 접지 폭 및 차량의 트레드를 검출하는 디딤판장치와, 상기 광전관장치와 디딤판장치에 접속해서 양 장치의 출력신호를 받아 각 차량마다의 차륜폭 및 차량의 트레드 및 각 차축의 답압시 혹은 차축간 통과 시의 광전광장치의 차광정보에 따라서 차종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판별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차종 판별장치는 광전센서와 디딤판장치의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게 되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고속 주행 시 타이어에 의해 가하여지는 압력을 정확하게 센싱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81701호에는 차량의 바퀴가 노면에 접촉되면서 누르는 힘에 의해 접촉되는 접점에 의해 차량의 윤폭 및 윤거를 감지하여 차종을 판별하기 위한 차종 판별용 답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2001-0097490호에는 차량의 축수 계수 및 타이어 크기에 따른 비접촉식 차종판별 장치 및 차종판별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 2000-009379호에는 공통접점과 개별접점을 이용한 차종판별용 센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답판장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 2004-05302호에는 차량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이용한 차종 판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통 접점과 개별접점을 이용한 차종 판별센서를 이용한 방법은 하루 수 십만대의 차량이 이동되는 악조건에서 적용이 어렵고, 촬영에 의한 판별은 고속 주행하는 차량의 판별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 량의 윤거, 윤폭, 바퀴의 수 및 축거, 타이어 폭 등의 인식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실시간 차종 판별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종별 타이어 검출에 따른 신뢰성과 그 내구성이 향상된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는
차량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센서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센서장착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타이어의 접촉 및 비 접촉시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들과, 상기 광량감지센서들의 상부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광량감지센서를 보호하는 투광창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에 대한 광량감지센서들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베이스 부재의 센서 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량감지센서들이 설치된 기판과, 상기 센서장착부에 설치되어 기판과 투광창의 양측을 감싸 방수 및 충격방지를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빛의 양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것으로 저항의 측정을 통하여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센서 즉, 광량감지센서는 CdS 셀(Cadmium sulfide cell), CdP 셀(Cadmium phosphide cell), CdSe 셀(Cadmium selenide cell), CdTe 셀(Cadmium telluride cell), CdAs 셀(cadmium arsenide cell) 등이 이용 될 수 있다.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태양전지셀을 이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과 광량감지센서들의 사이에는 투광창이 통과한 빛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량감지센서와 대응되는 측에 광이 통과하는 슬릿을 가지는 차광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은 광량감지센서를 구비한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차량의 윤폭, 윤거, 바퀴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 차종 판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차종 정보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와 상기 차종정보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비교하여 차종을 구분하는 차종 판별부와, 상기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차종정보 데이터 베이스, 차종판별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종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차종 판별에 관한 정보에는 축거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가 설치된 상태와 차종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를 나타내 보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로의 노면에 접촉되는 차량의 바퀴의 윤폭(바퀴 폭), 윤거(바퀴사이의 거리), 바퀴의 수 및 축거(차축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정보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종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종류(차종)를 판별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10)는 차량진행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며 센서장착부(11)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12)와, 상기 센서 장착부(11)에 지지수단(20)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량(200)의 타이어(201)(201)와의 접촉 및 비접촉 시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30)들과, 상기 광량 감지센서(30)들의 상부 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광량감지센서를 보호하는 투광창(40)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 장착부(11)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12)는 도로의 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착부는 베이스 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설치되거나 독립된 센서 장착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1)는 투광창(40)의 설치 영역과, 광량감지센서(30)의 구획할 수 있도록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1)에 지지수단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광량감지센서는 입사되는 광량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것으로 포토 TR, 포토 다이오드, CdS 셀(Cadmium sulfide cell), CdP 셀(Cadmium phosphide cell), CdSe 셀(Cadmium selenide cell), CdTe 셀(Cadmium telluride cell), CdAs 셀(cadmium arsenide cel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광량에 따라 전류값이 변하는 태양전지셀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장착부(11)에 광량감지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20)은 베이스 부재(12)의 하부측에 지지되며 광량감지센서(30)들이 설치되는 회로기판(21)과, 상기 센서장착부(11)에 설치되어 투광창(4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와, 상기 지지부재(22)와, 상기 센서 장착부(11)에 설치되어 회로기판(21)과 투광창의 양측을 지지하는 완충부재(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광창(40)은 타어어와의 접촉시 폭을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고 경계부에서 잔광의 입사를 최소화 하기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봉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단부측에는 광량 감지센서(30)측으로 광을 집속하기 위해 양의 파워를 가진 집속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광창은 타이어와의 마찰접촉 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 유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40)과 광량감지센서(30)의 사이에는 상기 투광창(40)을 통과한 광이 확산되지 않고 상기 광량감지센서(30)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량감지센서(30)와 대응되는 측에 슬릿(45a)이 형성된 차광판(45)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5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길이 방향으로 장착부(51a)가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51)와, 상기 베이스 부재(51)의 장착부(51a)에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파이버(52)를 구비한 광파이버 어레이(53)와, 상기 베이스 부재(51)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각 광파이퍼(52)의 타측단부와 접속되는 광량감지센서(54)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재(51)에 지지된 광파이버 어레이의 상부측에는 광파이버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창(4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광창(40)과 상기 광파이버 어레이(53)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광파이버(52)와 대응되는 측에 슬릿(45a)가 형성된 차광판(45)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베이스부재와 인접되는 측에는 야간 시에 센싱을 위한 광량을 제공하는 발광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발광수단은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12)(5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10)(50)에 있어서, 광량센서 장착부는 자동차의 고속 주행 시 타이어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경사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의 접촉상태를 감지하고 이 접촉 된 타이어의 폭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센서 유니트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별할 수 있는 차종 판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종 판별 시스템은 상기의 답판센서 유니트(10)와, 상기 답판센서 유니트(1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70), 상기 차종에 대한 윤거, 타이어폭, 축거 등의 정보가 기록된 차종정보 데이터 베이스(80), 상기 답판센서 유니트(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와 차량 정보와 차종정보 데이터 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차종을 판별하는 차종 판별부(90)와, 제어부(100) 및 속도감지센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종판별을 위한 답판센서 유니트(10)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 폭, 윤거, 축거의 정보를 인지한다.
상기 신호처리부(70)는 상기 답판센서 유니트(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된 신호를 합성, 증폭, A/D변환한다.
상기 차종 정보 데이터베이스(80)에는 차량의 윤폭, 윤거, 축거, 바퀴의 수 등과 같은 차종 판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차종정보 데이터 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는 상기 차종판별부(90)에 의해 독출되어 차종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예컨데, 바퀴가 4개, 타이어 폭이 180mm 미만, 내측윤거가 1150 미만이면 경승용차, 바퀴가 4개, 타이어 폭(x)이 180mm< x <220mm, 내측 윤거가 1600mm 이상이면 대형승용차, 바퀴가 6개, 타이어 폭(x)이 200mm< x <210mm이하, 윤거 전륜값이 1700mm 이상이며 2.5 내지 15톤 미만 트럭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차종판별부(90)는 상기 신호처리부(70)로부터 전달된 신호와 상기 차종정보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읽어들인 정보를 비교하여 차종을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속도감지센서(110)는 이송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답판센서 유니트(10), 신호처리부(70), 차종정보 데이터 베이스(80), 차종판별부(90), 및 속도감지센서(11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에서 감지된 신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종 판별 시스템을 이용한 차종 판별을 개념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로에 설치된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10)(50)에 차량이 통과하게 되면, 차량(200)의 바퀴(201, 202),(203, 204)에 의해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의 광량감지센서(30)로 유입되는 광량이 차단된다. 여기에서 상기 투광판(40)과 광량감지센서(30)의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된 차광판(4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간접광이 광량감지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광량감지센서(30)가 포토 TR 또는 포토 다이오드, CdS 셀로 이루어진 경우 바퀴 즉, 타이어에 의해 차단되는 부위의 저항이 무한 값에 수렴되고, 광량감지센서(30)가 태양 전지 셀로 이루어진 경우 광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량이 제로(zero) 값에 수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량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바퀴의 폭(W1,W2,W5), 박퀴의 수, 윤거(L1,L2)바퀴사이의 거리)) 축거 ( 전륜축과 후륜축 사이의 거리)를 알 수 있다.
한편, 트럭과 같이 후륜의 바퀴가 통상 두개로 구성되는 차량의 경우 답판센서(10)에는 후륜에는 바퀴 사이의 거리(W3) 또한 감지되며, 그 정보는 차량이 후륜의 바퀴가 두 개로 구성된 차종을 분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답판센서(10)에는 차량이 진행되면서 전륜의 바퀴(3a,4a)와 후륜 의 바퀴(3b,4b)가 시차(t2-t1, t4-t3)를 두고 감지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200)의 속도(v1,v2)를 알면 상기 차량의 축거(L3,L4)를 산출할 수 있게 되고 그 정보는 차종 분류를 위한 정보로 사용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차량 각각의 축거(L3,L4)는 각각 L3=(t2-t1)*v1 및 L4=(t4-t3)*v2에 의해 산출된다.
상기와 같이 산출된 정보와 차량정보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된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차량의 종류를 판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윤거, 윤폭, 바퀴의 수 및 축거를 확실하게 감지하여 차종을 실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차량진행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센서장착부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센서장착부에 지지수단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타이어의 접 촉 및 비 접촉시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감지센서들과, 상기 광량감지센서들의 상부측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광량감지센서를 보호하는 투광창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광량감지센서들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베이스 부재의 센서장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량감지센서들이 설치된 회로기판과, 상기 센서장착부에 설치되어 회로기판과 투광창의 양측을 감싸 방수 및 충격방지를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에는 광을 상기 광량감지센서로 집광시키기 위한 집속렌즈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감지센서는 포토 TR, 포토다이오드, CdS 셀, CdP 셀, CdSe 셀, CdTe 셀, CdAs 셀, 태양전지셀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 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과 광량감지센서의 사이에는 광량감지센서와 대응되는 측에 슬릿 이 형성된 차광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판센서 유니트.
  6. 삭제
  7. 삭제
KR1020060092014A 2005-11-05 2006-09-21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KR100796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740 2005-11-05
KR20050105740 2005-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589A KR20070048589A (ko) 2007-05-09
KR100796998B1 true KR100796998B1 (ko) 2008-01-23

Family

ID=3827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014A KR100796998B1 (ko) 2005-11-05 2006-09-21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99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69A1 (ko) * 2009-06-09 2010-12-16 하이테콤시스템(주) 비접촉식 차량 감지장치
KR101082010B1 (ko) 2009-11-02 2011-11-09 하이테콤시스템(주) 도로 감시시스템
KR101082009B1 (ko) 2009-06-26 201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CN102354453A (zh) * 2011-06-29 2012-02-15 广州市图之灵计算机技术有限公司 压力接触式轮轴识别器
KR101130306B1 (ko) * 2011-08-04 2012-03-22 한국도로공사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CN111179604A (zh) * 2020-01-16 2020-05-19 苏州朗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车型识别方法
KR20210121996A (ko) * 2020-03-30 2021-10-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전폭, 전장, 윤거, 축거 또는 지상고의 계측이 가능한 차량정보 계측 시스템
KR20220090082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20230064912A (ko) * 2021-11-04 2023-05-11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비정렬 상태 추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241B1 (ko) * 2007-09-21 2009-07-07 서정수 차종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CN106120606A (zh) * 2016-07-06 2016-11-16 成都市红亿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地感线圈的停车场进出口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982A (ja) * 1995-08-25 1997-03-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車種判別装置
JPH09319902A (ja) * 1996-05-30 1997-12-12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00021587A (ko) * 1998-09-30 2000-04-25 배방희 차량 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982A (ja) * 1995-08-25 1997-03-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車種判別装置
JPH09319902A (ja) * 1996-05-30 1997-12-12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20000021587A (ko) * 1998-09-30 2000-04-25 배방희 차량 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69A1 (ko) * 2009-06-09 2010-12-16 하이테콤시스템(주) 비접촉식 차량 감지장치
KR101051772B1 (ko) 2009-06-09 2011-07-2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비접촉식 차량 감지장치
KR101082009B1 (ko) 2009-06-26 2011-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차로 이동 기준검지기
KR101082010B1 (ko) 2009-11-02 2011-11-09 하이테콤시스템(주) 도로 감시시스템
CN102354453B (zh) * 2011-06-29 2013-08-14 广州市图之灵计算机技术有限公司 压力接触式轮轴识别器
CN102354453A (zh) * 2011-06-29 2012-02-15 广州市图之灵计算机技术有限公司 压力接触式轮轴识别器
KR101130306B1 (ko) * 2011-08-04 2012-03-22 한국도로공사 차종 판별용 답판 장치의 프레임
CN111179604A (zh) * 2020-01-16 2020-05-19 苏州朗为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车型识别方法
KR20210121996A (ko) * 2020-03-30 2021-10-0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전폭, 전장, 윤거, 축거 또는 지상고의 계측이 가능한 차량정보 계측 시스템
KR102371923B1 (ko) * 2020-03-30 2022-03-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전폭, 전장, 윤거, 축거 또는 지상고의 계측이 가능한 차량정보 계측 시스템
KR20220090082A (ko) * 2020-12-22 2022-06-29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102531432B1 (ko) * 2020-12-22 2023-05-12 한국도로공사 노면 온도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노면 결빙 사전인지 시스템
KR20230064912A (ko) * 2021-11-04 2023-05-11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비정렬 상태 추정 시스템
KR102619318B1 (ko) 2021-11-04 2024-01-02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비정렬 상태 추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589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998B1 (ko)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US6212468B1 (en) System for optically detecting vehicles traveling along the lanes of a road
CN101151179B (zh) 用于车辆的碰撞物体判断装置和碰撞信息检测器
KR100459478B1 (ko)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차량 검지 장치 및 방법
US55681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WO2016136660A1 (ja) 車種判別装置、料金収受設備、車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06241B1 (ko) 차종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JPH08293090A (ja) 車軸検知装置、車種判別装置、車両ゲートシステム、及び車両検知装置
RU27224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спознавания ш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270883B1 (ko) 교통 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JPH08235489A (ja) 車種判別装置
JP3140650B2 (ja) 車種判別装置
JPH0962983A (ja) 車種判別装置
JP3073414B2 (ja) 車両検知装置
KR100811555B1 (ko) 차량 측면 형상을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JP2989500B2 (ja) 車種検知装置
JP3701603B2 (ja) 車両検知装置および車両検知方法
KR102200723B1 (ko) 차량 주행 소음을 활용한 교통정보 산출 시스템 및 방법
JP6795960B2 (ja) 牽引判定装置、牽引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274787A (ja) 車両判別装置
KR20010097490A (ko) 차량의 축수계수 및 타이어 크기에 따른 비접촉식차종판별장치 및 차종판별방법
JP3576299B2 (ja) 車両検知装置
JPH0642320Y2 (ja) 車種判別装置
JP3358104B2 (ja) 路面状態判別装置およびこの装置が搭載された車輌
JPH09319905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