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134B1 -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134B1
KR100863134B1 KR1020070040024A KR20070040024A KR100863134B1 KR 100863134 B1 KR100863134 B1 KR 100863134B1 KR 1020070040024 A KR1020070040024 A KR 1020070040024A KR 20070040024 A KR20070040024 A KR 20070040024A KR 100863134 B1 KR100863134 B1 KR 10086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ng
detection device
sca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섭
전준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내 차량감지장치들 간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종분류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가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주기를 서로 동기화시킨다. 그에 따라, 그 두 장치 간에 응답 시간의 차이로 인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차종을 분류하는데 오류가 발생되었던 것을 최소화해 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차종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차량, 감시, 차종, 분류, 응답 시간, 동기

Description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VEHICLES CLASSIFICATION SYSTEM AND SYCHRONIZ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답판 센서와 광축 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의 차종분류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차장이 감지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제1 차량감지장치 102 : 답판 센서
104 : 제2 차량감지장치 106 : 제어장치
본 발명은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감지장치들 간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며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통행 요금징수 시스템(TCS : Toll Collection System)은 진입하는 톨게이트(Tollgate)부터 빠져나가는 톨게이트까지 주행한 거리와 차종에 따른 요금을 책정하는 폐쇄식 시스템과 요금소가 설치된 곳을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차종에 따라 일정한 요금을 징수하는 개방식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고속도로 통행 요금징수 시스템이 현재는 대부분 수동적으로 사람들을 통해 요금 징수가 이루어지고 있어, 톨게이트에서의 차량 정체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톨게이트 운영 유지비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수동형 요금징수 시스템에서 발생되고 있는 톨게이트에서의 정체 완화, 물류비 절감 및 환경오염 개선, 요금징수 전산화를 통한 운영 유지비 절감을 위한 방안으로 무인으로 수행되는 전자 요금징수 시스템(ETCS :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전자 요금징수 시스템은 차량이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차량을 정차함 없이 주행하는 상태에서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요금을 징수하며, 무선 통신을 위한 DSRC와 차종을 분류할 수 있는 차종분류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차종분류시스템은 도로를 통행하고 있는 차량의 차폭, 차고, 또는 차장을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별하도록 구성되며, 현재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차종분류시스템은 검지 대상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식 방식으로 동작하는 시스템과 비접촉식 방식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으로 나뉜다.
여기서, 접촉식 방식으로 동작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은 차량의 바퀴 압력을 측정해서 측정하는 방식이고, 비접촉식 방식으로 동작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은 광센서, CCD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에 따라, 접촉식 방식을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은 답판 센서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는데,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바닥에 저항 접점식 답판 센서를 매설하여 진행하는 차량의 바퀴 압력에 의한 저항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축수, 윤거, 윤폭을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한다.
그리고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은 광센서, CCD 카메라 또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며 차량의 차폭, 차고, 또는 차장을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차종을 분류한다.
이러한 차종분류시스템은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의 차종을 분류해야 하기 때문에 주행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들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는 한편, 그들 간의 응답 시간 차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정보가 잘못 측정되어 차종 분류상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응답 시간을 동기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감지장치들 간의 응답 시간을 서로 동기화시키며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은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간에 케이블 신호선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 간에 케이블 신호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연결된 케이블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 각각은 RF 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RF 송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RF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RF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은 차량의 진입과 진출 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GPS 수신모듈을 각각 구비하여, 광대역 구간에 표준 동기시간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은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가 동기신호를 통해 서로 간에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가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발생시킨 동기신호를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각각 RF 모듈을 구비하고, 외부 기기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시켜 RF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동기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RF 모듈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각각 GPS 수신모듈을 구비하고, GPS 위성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시켜 송신하는 동기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GPS 수신모듈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답판 센서와 광축 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한국의 고속도로 요금징수 시스템에서는 요금 징수를 위해 1종에서 6종이 6 가지로 차종을 분류하여 고속도로 이용요금을 받고 있다. 2008년부터 1000cc급 경차는 6종의 차종으로 분류가 1종에서 6종으로 차종 변경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그에 따라 차종분류시스템은 1000cc급 경차를 1종에서 6종으로 차종을 분류하 기 위해서 답판 센서 외에도 광축 센서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며 차량의 길이정보를 통해 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제시되었다.
그래서,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답판 센서(102)와, 제2 차랑감지장치(104)와, 제어장치(106)로 구성된다.
제1 차량감지장치(100)는 광축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발광부(100a)와 수광부(100b)로 구성된다.
제1 차량감지장치(100)는 일정 주기의 스캔 주기(T)를 가지며, 그 스캔 주기 동안 발광부(100a)에서 송신하는 광선이 수광부(100b)로 수신되는 영역 내에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서 차광되는 부분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진입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1 차량감지장치(100)는 수광부(100b)의 광선을 수신하는 영역 내에 차광되는 부분이 존재하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이 진출한 것으로 감지한다.
답판 센서(102)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를 지나 진입되는 차량의 축수, 윤거, 및 윤폭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들을 출력한다.
제2 차량감지장치(104)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마찬가지로 광축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장치로, 발광부(104a)와 수광부(104b)로 구성되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는 일정 거리(L)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제2 차량감지장치(104)에서의 차량 감지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차량의 진출입 감지와 함께 차량의 길이, 즉 차장을 감지하는데 이용된다.
제어장치(106)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 답판 센서(102), 및 제2 차량감지장치(104)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그 수신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차량의 축수, 윤거, 윤폭에 대한 정보, 그리고 차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차량에 대한 정보들을 통해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제어장치(106)가 제1 차량감지장치(100), 답판 센서(102), 및 제2 차량감지장치(104)로부터 수신받는 신호를 살펴보면, 제어장치(106)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로부터 차량 진입 감지신호 또는 차량 진출 감지신호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제어장치(106)는 답판 센서(102)로부터 차량의 전후진을 감지한 신호, 그리고 차량의 윤거 및 윤폭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수신받는다.
또한 제어장치(106)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L)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104)로부터 차량 감지신호를 수신받는다.
제어장치(106)는 크게 제어부(200)와 답판 센서 신호 처리부(202)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답판 센서 신호 처리부(202)는 답판 센서(102)에서 발생된 차량의 윤거 및 윤폭에 따른 신호들을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저장해 놓고 제어부(2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200)로 그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답판 센서(102)에서 차량의 각 축이 답판을 지날 때마다 발생시키는 차량의 전후진을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축 수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를 인터럽트로 입력받아 인터럽트가 발생되는 때마다 답판 센서 신호 처 리부(202)로 차량의 윤거 및 윤폭을 감지한 데이터를 요청하여 답판 센서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이를 제공받는다.
그래서 제어부(200)는 제1 차량감지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진입 및 진출 감지신호를 통해 차량의 진입과 진출 시점을 판단하고, 답판 센서(10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차량의 축 수를 판단, 및 답판 센서 신호 처리부(202)로부터 제공받은 차량의 윤거 및 윤폭을 감지한 데이터를 통해 차량의 윤거 및 윤폭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제2 차량감지장치(104)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감지신호를 통해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소정 거리(L) 이격된 지점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차장을 감지하며, 차량의 차장, 축수, 윤거, 및 윤폭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차로 제어기나 자동통행권 발행기가 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의 차종분류 방식을 도시한 흐름도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은 1000cc급 경차를 1종에서 6종으로 차종을 변경시켜 분류하기 위해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를 통해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여 차량의 차장을 확인하고 차량의 차장정보를 통해 1종으로 분류되는 1000cc급 경차를 구분하여 6종으로 분류시킨다.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차량감지장치를 통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장치가 답판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축수, 윤거 및 윤폭 값을 확인한다(S300,S302). 그리고 제어장치 가 그 확인한 정보를 이용하여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S304), 1종에서 6종까지의 차종 중에서 어느 차종인지를 결정한다(S306).
제어장치는 상기 일차적으로 차량의 차종을 분류한 후, 제1 차량감지장치를 통해 차량이 진출되는 시점을 감지한다(S308). 그리고 차량의 진출이 감지되는 경우, 제1 차량감지장치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것을 살피어 차량의 차장을 감지한다(S310).
이를 다시 설명하자면,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는 6종으로 분류하고자 하는 1000cc급 경차의 차량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1000cc급 경차의 경우,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하여야지 제2 차량감지장치에 진입하게 되며, 그 이전에는 실제적으로 제2 차량감지장치에 진입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제어장치는 제1 차량감지장치를 통해 차량이 진출되는 시점을 감지하고,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전송하는 차량감지신호를 통해 제2 차량감지장치가 위치한 지점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시점을 살피어, 차량이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는지 아니면 차량이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이후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차장을 대략적으로 감지한다.
제어장치는 차량이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즉 차장 값이 기 설정값인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 간의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게 감지되는 경우, 차량이 1000cc급 경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차종분류 프로세스 수행 단계(S304)를 통해 결정된 차종으로 그대로 차량을 분류해 놓는다(S312,S318).
이에 반해, 제어장치는 차량이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이후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는, 즉 차장 값이 기 설정값인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 간의 이격된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차종분류 프로세스 수행 단계(S304)에서 결정된 차종이 1종이었는지를 확인한다(S312,S314). 그리고 1종으로 결정된 차종이었을 경우, 현재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6종으로 변경하여 분류시킨다(S316).
그에 따라, 이와 같은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차종분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차장 감지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차종분류시스템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응답시간 차이로 인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차장을 감지하는데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차장이 감지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는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스캔 주기(T), 다시 말해서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수광부가 발광부에서 전송한 광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가 서로 동일하지만 스캔 주기가 서로 동기화되지 않아 응답 시간에 차이(Δt)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차장이 감지되는 형태를, 도 4b는 제1 차량감지장치의 스캔 주기(T)과 제2 차량감시장치의 스캔 주기(T')가 서로 차이가 남으로 인해 스캔 주기가 서로 동기되지 않아 응답 시간에 차이(Δt)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차장이 감지되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a 시점은 차량이 실제적으로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시점을, b 시점은 차량이 실제적으로 제2 차량감지장치에 진입한 시점을, c 시점은 제1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진출한 것을 감지하는 시점을, d 시점은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진입한 것을 감지하는 시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도 4a를 보면, 차량은 실제적으로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후에 제2 차량감지장치로 진입한 상태이므로, 이 차량은 1000cc급 경차로 6종에 분류되어야 한다. 하지만, 제1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의 진출을 감지한 시점은 c 시점이고,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시점은 d 시점이 됨에 따라,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이 감지되어, 차장이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 간의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래서 이 차량은 1000cc급 경차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오류가 발생한다.
도 4b에 도시된 경우도 도 4a와 동일하며, 살펴보면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스캔 주기에 서로 차이(Δt)가 남에 따라 차량을 감지한 결과가 응답되는 시점에 있어서, 제2 차량감지장치의 응답 시점(d 시점)이 제1 차량감지장치의 응답 시점(c 시점)보다 더 앞서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감지장치를 진출한 시점보다 앞선 시점에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결국,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응답 시간의 차이는 빠르게 주행하는 1000cc급 경차를 구분하여 6종으로 분류시키는데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
그에 따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에서 응답 시간의 차이(Δt)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동기화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살펴보면, 제1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는 기 설정된 매 스캔 주기마다 수광부(100b)로 제공하는 동기신호(Sync)를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4a)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4a)는 제1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로부터 제공받은 동기신호(Sync)를 수광부(104b)로 제공하며 그 동기신호(Sync)에 따라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제2 차량감지장치(104)는 동일한 동기신호(Sync)를 통해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동기화시킴에 따라 그 두 장치(100,104)가 차량을 감지한 결과를 제어장치(106)로 알리는 응답 시간에 차이(Δt)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이 제어장치(106)로부터 제공되는 동기신호(Sync)에 따 라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은 제어장치(106)와 케이블 신호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유선 통신을 통해 동기신호(Sync)를 제공받도록 구성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106)로부터 동기신호(Sync)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106)로부터 동기신호(Sync)를 제공받는 구성을 살펴보면,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은 RF(Radio Frequency) 수신모듈(60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06)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시켜 RF 송신모듈(602)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동기신호(Sync)를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에서 RF 수신모듈(600)로 수신받아 그 수신받은 동기신호(Sync)에 따라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제어장치(106)에서 제공하는 동기신호(Sync)에 따라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제2 차량감지장치(104)의 스캔 주기를 서로 동기화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은 제어장치(106)와 RF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동기신호(Sync)를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이 제어장치(106)와 배치거리가 먼 경우 지그비(ZIGBEE)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동기신호(Sync)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은 GPS 수신모듈(70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의 발광부(100a,104a) 및 수광부(100b,104b) 각각은 GPS 수신모듈(702)을 통해 광대역 구간에 표준 동기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GPS 위성(700)에서 일정 주기마다 송신되는 동기신호(Sync)를 수신받아 그 수신받은 동기신호(Sync)에 따라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GPS 위성(700)이 제공하는 동기신호(Sync)에 따라 제1 차량감지장치(100)와 제2 차량감지장치(104)의 스캔 주기를 서로 동기화시키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종분류시스템의 제1 차량감지장치와 제2 차량감지장치가 차량을 감지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킨다. 그에 따라, 그 두 장치 간에 응답 시간의 차이로 인해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차종을 분류하는데 오류가 발생되었던 것을 최소화해 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차종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Claims (10)

  1.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동기신호에 의해 동기화된 스캔 주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동기신호에 의해 동기화된 스캔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종분류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간에 케이블 신호선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 간에 케이블 신호선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연결된 케이블 신호선을 통해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 각각은 RF 수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RF 송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제어장치가 RF 통신을 통해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 지장치로 동기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RF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RF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
  6.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 및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는
    GPS 수신모듈을 각각 구비하여, 광대역 구간에 표준 동기시간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제공받아 그 제공받은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
  7. 차종분류시스템에서 차량의 진입과 진출을 감지하는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2 차량감지장치가 동기신호를 통해 서로 간에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가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발생시킨 동기신호를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각각 RF 모듈을 구비하고, 외부 기기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시켜 RF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동기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RF 모듈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 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각각 GPS 수신모듈을 구비하고, 광대역 구간에 표준 동기시간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에서 기 설정된 주기마다 발생시켜 송신하는 동기신호를 자신에 구비된 GPS 수신모듈로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량감지장치와 상기 제2 차량감지장치가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감시하는 스캔 주기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시스템의 동기화 방법.
KR1020070040024A 2007-04-24 2007-04-24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KR10086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24A KR100863134B1 (ko) 2007-04-24 2007-04-24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24A KR100863134B1 (ko) 2007-04-24 2007-04-24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134B1 true KR100863134B1 (ko) 2008-10-15

Family

ID=4015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024A KR100863134B1 (ko) 2007-04-24 2007-04-24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28B1 (ko) * 2012-10-30 2014-09-26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8502B1 (ko) * 2013-07-30 2014-12-03 (주)에스디시스템 다차로상의 답판을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303A (ko) * 2002-07-09 2004-01-16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KR20050117935A (ko) * 2004-06-11 2005-12-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위치확인시스템 시간을 이용한 다중 센서 정보 동기화장치 및 방법
KR20050120429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동기화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303A (ko) * 2002-07-09 2004-01-16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통행 요금 징수 시스템
KR20050117935A (ko) * 2004-06-11 2005-12-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위치확인시스템 시간을 이용한 다중 센서 정보 동기화장치 및 방법
KR20050120429A (ko) * 2004-06-18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동기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528B1 (ko) * 2012-10-30 2014-09-26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68502B1 (ko) * 2013-07-30 2014-12-03 (주)에스디시스템 다차로상의 답판을 이용한 차종분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63B1 (ko) 융복합형 검지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시스템
CN103568947B (zh) 后侧方警报系统及方法
RU25090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сигнала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JP4776299B2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KR20080082867A (ko) 차량속도 측정시스템 및 차량속도 측정방법
KR20160126685A (ko) 구간 속도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574574B (zh) 移动体监视系统、移动体监视系统的控制服务器以及移动体监视方法
JP4286074B2 (ja) 空間情報配信装置
KR102502951B1 (ko) 자율주행 차량의 도로 실증평가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 실증평가 장치
KR102228403B1 (ko) 차량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CN113112817A (zh) 一种基于车联网和跟驰行为的隧道车辆定位和预警系统及其方法
CN110246336A (zh) 车辆信息的确定方法及系统
KR100472080B1 (ko) 차량 속도감지 시스템를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및방법
KR101342613B1 (ko) 안전거리 단속시스템
KR100863134B1 (ko) 차종분류시스템 및 그의 동기화 방법
US76849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integrity of a train
KR101790744B1 (ko) 끼어들기 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936B1 (ko) 차량촬영시스템
KR20040032516A (ko) 이동식 차량정보 수집장치 및 방법
KR102058179B1 (ko) 레이저신호를 이용한 무인 교통단속 시스템
AU20202425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traffic law violation due to the allowable distance between a following vehicle and a guide vehicle being undershot
KR102018582B1 (ko) 고속화도로 내 본선과 램프 진출입로를 구분하여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21594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CN105513173B (zh) 基于双激光测距的客流方向识别方法及系统
JP2000231645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