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36B1 -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36B1
KR101688536B1 KR1020160101429A KR20160101429A KR101688536B1 KR 101688536 B1 KR101688536 B1 KR 101688536B1 KR 1020160101429 A KR1020160101429 A KR 1020160101429A KR 20160101429 A KR20160101429 A KR 20160101429A KR 101688536 B1 KR101688536 B1 KR 10168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ing
sensing device
roa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휘
최석우
김유종
임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량 조사 장치는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설치되고, 차량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제1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1 감지 장치;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진입한 차량의 상부와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2 감지 장치; 및 상기 제1 센싱 값과 상기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차종을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FOR COLLECTING ROAD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량 조사 장치(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AVC)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교통량 조사란 도로의 한 지점을 통행하는 차량들에 대하여 시간별 차량의 종류와 방향을 구분하여 기록하는 것입니다. 이 조사를 수행하는 이유는 도로 분야, 교통 분야 그리고 환경 분야 등에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는 기초 교통량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도로교통량조사를 통하여 얻어지는 교통량자료는 도로의 지체와 정체 구간을 파악하는데 핵심 자료가 되며, 이렇게 얻어진 정보는 국가에서 새 도로를 건설하는 계획을 수립할 때 우선 검토하게 됩니다. 도로를 건설하기로 결정된 이후, 도로의 규모, 위치 등을 결정하는 도로의 설계와 해당 도로에 설치될 각종 시설물들의 설계에도 이 교통량자료가 활용됩니다. 물론 환경,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됩니다.
도로교통량조사에는 상시 도로교통량조사와 수시 도로교통량조사가 있습니다. 상시 도로교통량조사는 장기적이고, 연속적으로 교통량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주요 지점을 365일 24시간 동안 상시로 교통량조사를 수행하는 것이고, 수시도로교통량조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의 이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교통량자료가 될 수 있는 모든 구간을 광범위하게 수행하는 조사를 말합니다.
이 두 조사 즉, 상시 도로교통량조사와 수시 도로교통량조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이유는 전국의 모든 도로교통량 조사구간에서 상시로 조사하는 것이 최적의 상황이지만, 현실적으로 예산상의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요 지점에서는 상시 조사를, 이외의 지점에서는 수시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통량 조사를 위해 사용되는 교통량 조사 장치는 주로 루프 센서와 피에조 센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루프 센서와 피에조 센서는 노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차량과의 마찰 등으로 장기간 센서의 형상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주기적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노동력과 비용이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상부와 측면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류를 추정하도록 한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는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설치되고, 차량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제1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1 감지 장치;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진입한 차량의 상부와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2 감지 장치; 및 상기 제1 센싱 값과 상기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차종을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 결합한 결과로 해당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생성된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차량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입체 이미지와 일치하는 기준 입체 이미지에 상응하는 차종을 해당 차량의 종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감지 장치는 상기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감지 장치는 상기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평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발광 센서;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1 수광 센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직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발광 센서;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2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도로의 차선에 대한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제1 센싱값을 획득한 시간과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제2 센싱값을 획득한 시간, 상기 제1 감지 장치와 상기 제2 감지 장치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은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설치된 제1 감지 장치를 통해 차량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제1 센싱 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2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진입한 차량의 상부와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센싱 값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싱 값과 상기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차종을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 결합한 결과로 해당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차량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입체 이미지와 일치하는 기준 입체 이미지에 상응하는 차종을 해당 차량의 종류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도로의 차선에 대한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제1 센싱값을 획득한 시간과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제2 센싱값을 획득한 시간, 상기 제1 감지 장치와 상기 제2 감지 장치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상부와 측면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류를 추정하도록 함으로써, 차종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여 정확한 차종의 분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도로 교통 정보의 수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량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단층 이미지 획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입체 이미지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설정된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의 상부와 측면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이용하여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차량의 종류를 추정하도록 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서, 차량의 종류(이하, 차종이라고 한다)는 승용차, 버스, 화물차를 포함하고, 화물차는 다시 소형 화물차, 중형 화물차, 대형 화물차로 구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량 조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량 조사 장치는 도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제1 감지 장치(110)과 제2 감지 장치(120), 및 제어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장치(110)는 도로 상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 장치(110)는 도로의 양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 장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하나의 상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두 개의 측면 프레임 각각에는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면 프레임에는 발광 센서가 배치되고 제2 측면 프레임에는 수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발광 센서와 하나의 수광 센서는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쌍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감지 장치(120)는 제1 감지 장치(11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감지 장치(110)를 통과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연속 획득할 수 있다.
제2 감지 장치(120)는 도로의 양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감지 장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하나의 상부 프레임과 하나의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되, 두 개의 측면 프레임 각각에는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가 배치되고, 하나의 상부 프레임과 하나의 하부 프레임 각각에는 발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하부 프레임은 도로의 표면 밑으로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하게 배치되고, 차량의 높이, 차량의 폭을 측정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더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감지 장치(120)는 제1 감지 장치(110)로부터 차량이 감지된 경우에 동작 즉, 발광 센서를 통해 광을 조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조사하지 않는다.
제어 장치(130)는 제2 감지 장치(120)로부터 획득된 센싱 값을 수집하여 수집된 센싱 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모두 결합하여 그 결합한 결과로 하나의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생성된 차량의 입체 이미지를 기반으로 차량의 차종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30)는 생성된 차량의 입체 이미지와 미리 측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차량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종을 추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제1 감지 장치(110)에 의한 센싱 값의 감지 시간과 제2 감지 장치(120)에 의한 센싱 값을 감지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장치(110)와 제2 감지 장치(120) 사이의 거리를 알고 있기 때문에 진입하는 차량의 감지 시간을 획득함으로써, 차량의 속도 추정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 장치(130)는 이렇게 획득한 각 차로별 교통량, 차종, 속도 등을 포함하는 도로교통 정보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단층 이미지 획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경우 제1 감지 장치(110)의 제1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발광 센서가 광을 조사하면 제2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수광 센서는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제1 감지 장치(110)의 제1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발광 센서가 광을 조사하더라도 제2 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수광 센서는 광을 수신하지 못한다.
이렇게 발광 센서가 광을 조사하여 수광 센서가 광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센서와 수광 센서는 하나의 쌍만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쌍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입체 이미지 생성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감지 장치(120)를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여 차량의 전체 구간에 걸쳐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단층 이미지 간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설정되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차량의 속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감지 장치(120)를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단층 이미지를 이용 즉, 결합하여 차량 전체에 대한 하나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30)는 제1 획득부(131), 제2 획득부(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통신부(1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획득부(131)는 제1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제1 감지 장치 내 발광 센서를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수광 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획득부(132)는 제2 감지 장치와 연동하여 제2 감지 장치 내 발광 센서를 통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하고, 수광 센서로부터 감지된 제2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획득부(132)는 제2 감지 장치 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제1 획득부(131)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제2 획득부(132)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차량의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여 획득된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하나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생성된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종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해당 구간에 진압한 차량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제1 획득부(131)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3)는 제1 센싱 값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구간에서는 차량이 진입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제1 센싱 값이 감지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차량의 진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133)는 제1 획득부(131)로부터 제1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과 제2 획득부(132)로부터 제2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을 기반으로 차량의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3)는 이렇게 산출된 각 차로별 교통량, 차종, 속도 등의 도로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도로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4)는 각 차로별 교통량, 차종, 속도 등의 도로교통 정보, 및 차종별 기준 입체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5)는 각 차로별 교통량, 차종, 속도 등의 도로교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량 조사 장치는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제1 센싱 값을 획득하고(S710),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이용하여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에 차량이 진입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20).
다음으로, 교통량 조사 장치는 차량이 진입하였다고 확인되면, 제2 감지 장치로부터 제2 센싱 값을 획득하고(S730),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740).
다음으로, 교통량 조사 장치는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해당 차량 전체에 대한 하나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750).
다음으로, 교통량 조사 장치는 생성된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일치하는 기준 입체 이미지에 상응하는 차종을 확인할 수 있다(S760).
또한 교통량 조사 장치는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이용하여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교통량 조사 장치는 획득된 제1 센싱 값과 제2 센싱 값을 이용하여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통량 조사 장치는 산출된 차종과 함께 차선별 교통량, 속도 등의 도로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S770), 생성된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S780).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감지 장치
120: 제2 감지 장치
130: 제어 장치
131: 제1 획득부
132: 제2 획득부
133: 제어부
134: 저장부
135: 통신부

Claims (14)

  1.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설치되고, 진입한 차량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제1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1 감지 장치;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진입한 차량의 상부와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센싱 값을 감지하는 제2 감지 장치; 및
    상기 제1 센싱 값과 상기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차종을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감지 장치는
    상기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평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발광 센서;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1 수광 센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직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발광 센서;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2 수광 센서;
    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 결합한 결과로 해당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생성된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차량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입체 이미지와 일치하는 기준 입체 이미지에 상응하는 차종을 해당 차량의 종류로 판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장치는,
    상기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 센서;
    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도로의 차선에 대한 교통량을 산출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제1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과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제2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 상기 제1 감지 장치와 상기 제2 감지 장치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9.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시작 시점에 설치된 제1 감지 장치를 통해 진입한 차량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제1 센싱 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2 감지 장치를 통해 상기 진입한 차량의 상부와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2 센싱 값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싱 값과 상기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종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차종을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감지 장치는
    상기 도로 상의 미리 설정된 구간의 양쪽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상기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평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발광 센서;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1 수광 센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광을 상기 도로에 수직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발광 센서;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발광 센서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제2 수광 센서;
    를 포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차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2 센싱 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차량의 부분별 단층 이미지를 결합하여 그 결합한 결과로 해당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를 생성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차량 전체의 입체 이미지와 미리 저장된 차량별 기준 입체 이미지를 비교하여,
    그 비교한 결과로 상기 입체 이미지와 일치하는 기준 입체 이미지에 상응하는 차종을 해당 차량의 종류로 판단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획득된 제1 센싱 값을 기반으로 해당 도로의 차선에 대한 교통량을 산출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감지 장치로부터 제1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과 상기 제2 감지 장치로부터 제2 센싱 값을 획득한 시간, 상기 제1 감지 장치와 상기 제2 감지 장치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는,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101429A 2016-08-09 2016-08-09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9A KR101688536B1 (ko) 2016-08-09 2016-08-09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429A KR101688536B1 (ko) 2016-08-09 2016-08-09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536B1 true KR101688536B1 (ko) 2016-12-21

Family

ID=5773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429A KR101688536B1 (ko) 2016-08-09 2016-08-09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633A (zh) * 2017-05-09 2017-10-17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单目摄像头三维估计的车型分类方法
KR20220092293A (ko) 2020-12-24 2022-07-01 한국교통연구원 교통 패턴 분류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397A (ja) * 1997-12-03 1999-08-17 Omron Corp 車両計測装置
KR20130032091A (ko) * 2011-09-22 2013-04-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계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파라미터 획득방법
KR101297321B1 (ko)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20140055916A (ko) * 2012-10-30 2014-05-0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397A (ja) * 1997-12-03 1999-08-17 Omron Corp 車両計測装置
KR20130032091A (ko) * 2011-09-22 2013-04-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계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파라미터 획득방법
KR20140055916A (ko) * 2012-10-30 2014-05-09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차종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97321B1 (ko)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633A (zh) * 2017-05-09 2017-10-17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单目摄像头三维估计的车型分类方法
KR20220092293A (ko) 2020-12-24 2022-07-01 한국교통연구원 교통 패턴 분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377B2 (en) Visual, depth and micro-vibration data extraction using a unified imaging device
KR102487630B1 (ko) 포트홀 실시간 감지 방법
KR102338370B1 (ko)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 차량 및 센싱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CN108974043A (zh) 铁路轨道勘测系统
US20170066459A1 (en) Rail track asset survey system
CN108780154A (zh) 3d点云的处理方法
KR101297321B1 (ko) 교통 정보 수집 기능을 갖는 교통량 조사 장비
KR101297324B1 (ko) 차량 검지기(vds)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KR101688536B1 (ko) 도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통량 조사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187065A1 (en) Light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lighting system, and road management system
KR101063946B1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철도차량의 차륜과 레일의 상대변위 계측 장치 및 방법
JP2018206014A (ja) 交通情報取得装置、交通情報取得システム、交通情報取得方法、および交通情報取得プログラム
KR20080027014A (ko) 차량정보 및 교통정보 수집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