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092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092A
KR20140052092A KR1020117030026A KR20117030026A KR20140052092A KR 20140052092 A KR20140052092 A KR 20140052092A KR 1020117030026 A KR1020117030026 A KR 1020117030026A KR 20117030026 A KR20117030026 A KR 20117030026A KR 20140052092 A KR20140052092 A KR 2014005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ull
rear wheel
state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627B1 (ko
Inventor
고이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 B62B7/145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the body being a rigid seat, e.g. a sh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강성을 유지하면서 절첩시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안한다. 유모차(10)는, 코어 부재(25)와, 코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코어 부재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려가는 전각(30)과, 코어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어 코어 부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내려가는 한 쌍의 후각(40)을 구비한다. 한 쌍의 후각은,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사용 상태에 있어서,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서로로부터 이간해간다. 전각(30) 및 후각(40)의 코어 부재(65)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BUGGY}
본 발명은 유유아(乳幼兒)를 승차시키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유아를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널리 이용에 제공되고 있다. 유모차에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요망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유유아를 안전하게 승차시킬 수 있도록, 유모차에는 높은 강성이나, 주행 중의 안정성이 요망된다. 또한, 복잡한 경로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작은 회전이 가능한 것이나, 조종의 용이성이 요망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스페이스를 고려하여, 유모차를 절첩식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나, 유모차를 소형화하는 것도 요망된다. 더불어서, 유모차가 절첩식일 경우, 절첩 조작의 용이성도 요망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모차가 제안되어 왔다(예를 들면, JP2007-537911T).
그러나, 이러한 다종다양한 요망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은, 유모차에 대하여 상반되는 구성을 요구하는 경우로도 된다. 예를 들면, 유모차에 높은 강성을 부여하려고 하면, 유모차가 대형화하게 되어 보관 등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이제까지 제안되어 온 다양한 유모차는, 다양한 요구의 각각을 충분한 수준으로 동시에 충족시키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강성을 유지하면서 절첩시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안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모차가 주행하게 되는 노면의 상황에 따라, 조종성 또는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모차를 제안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는, 차체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는 전각(前脚)과,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후각(後脚)이며, 각각이 상기 코어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는, 한 쌍의 후각을 구비하고, 상기 전각의 상기 코어 부재측의 단부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각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측의 단부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각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후각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차폭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간해가고, 상기 전각 및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요동에 의해, 상기 전각 및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의하면, 제1 목적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아암 부재이며, 각각이 상기 코어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아암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延出部)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를 갖는 핸들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한쪽과 상기 한 쌍의 후각의 한쪽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요동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후각 링크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변화하도록,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요동 및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에 대한 요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 및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회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해 있는 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차폭 방향에서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굴곡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좁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을 좁힘과 함께, 상기 핸들 부재의 상기 아암 부재로부터의 연출 길이를 짧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향하여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굴곡이 규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가 포함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굴곡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상태 유지 기구와, 상기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상태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유지 기구 및 상기 제2 상태 유지 기구는, 상기 차체를 상기 사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모차에는,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를 향한 상기 차체의 변형을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가 조립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가, 상기 한 개의 아암 부재와 상기 전각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각의 요동과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전각 링크 기구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간을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아암 부재 연결 링크와,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와 상기 전각 사이에 위치하는 연락 링크를 갖고,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가 회동해서 서로 접근하는 것에 의해 굴곡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은,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전각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차폭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간해가고, 상기 전각 링크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전각간을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전각 연결 링크를 더 갖고, 상기 전각 연결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전각이 요동해서 한 쌍의 전각간이 서로 접근하는 것에 의해 굴곡하고, 상기 연락 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에 연결됨과 함께, 그 타단이, 상기 전각 연결 링크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의 상기 볼록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볼록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가요성의 상태 유지편이, 상기 코어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상태 유지편은,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을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의 이동 경로로부터 차츰 이간해가도록 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에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요동했을 때에 상기 상태 유지편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각 링크 기구와 상기 상태 유지편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를 향한 상기 차체의 변형을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가 조립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가, 상기 코어 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전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각 축지지부를 갖고, 이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전각에 의해 제1 전각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유모차는, 상기 코어 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제2 전각 축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전각을 갖고, 상기 제1 전각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전각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한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삼륜차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다른 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사륜차로서 기능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가, 각 후각에 장착된 한 쌍의 후륜 캐리어와, 각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1 차륜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제1 후륜 유닛과, 각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2 차륜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이며, 상기 제1 후륜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륜의 직경과 상기 제2 차륜의 직경은 상이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후륜 캐리어는,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을, 상이한 상하 방향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륜의 반경은, 상기 제2 차륜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은, 상기 제1 차륜의 반경과 상기 제2 차륜의 반경의 차(差)와 대략 동일한 분 만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보다 상하 방향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후륜 캐리어에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유모차가, 상기 코어 부재의 상방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 시트(seat)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는, 차체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로서, 전각 및 후각을 갖는 프레임 구조와, 상기 프레임 구조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를 갖는 핸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프레임 구조에 대한 요동에 의해, 상기 핸들 부재 및 상기 후각은, 상기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각 핸들 연출부와 후각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도가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구조에 접근하는 측을 향해서 굴곡하며, 상기 핸들 부재의 상기 프레임 구조로부터의 연출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유모차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주행성을 유지하면서, 절첩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모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려가는 한 쌍의 후각이며,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차폭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간해가는 한 쌍의 후각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될 수 있는 제1 전각 유닛이며,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제1 전각 축지지부에 지지된 제1 전각을 갖는 제1 전각 유닛과,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전각 유닛이며,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제2 전각 축지지부에 지지된 제2 전각을 갖고, 상기 제1 전각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전각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한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삼륜차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다른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사륜차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유모차에 의하면, 제2 목적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모차는, 전각 및 후각을 갖는 프레임 구조와, 상기 후각에 장착된 후륜 캐리어와, 상기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1 차륜을 갖는 제1 후륜 유닛과, 상기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2 차륜을 갖는 제2 후륜 유닛이며, 상기 제1 후륜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륜의 직경과 상기 제2 차륜의 직경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모차에 의하면, 제1 목적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후륜 캐리어는,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을, 상이한 상하 방향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륜의 반경은, 상기 제2 차륜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은, 상기 제1 차륜의 반경과 상기 제2 차륜의 반경의 차와 대략 동일한 분 만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보다 상하 방향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후륜 캐리어에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차체를 전개한 상태(사용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시트를 조립한 상태에서 도 1의 차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유모차의 차체를 전개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유모차의 차체를 전개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유모차의 차체를 절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유모차의 차체를 절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유모차의 차체를 절첩한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유모차의 차체의 일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
도 9는 도 1의 유모차의 차체의 일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전개한 상태의 유모차의 차체를 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절첩 동작을 개시한 상태에서의 유모차의 차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상태의 유모차의 일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에 나타난 상태의 유모차의 일부분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유모차의 제2 상태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에 나타난 상태의 유모차의 일부분을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의 유모차의 제1 상태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핸들 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핸들 부재의 단부(端部)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의 유모차의 제1 상태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핸들 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핸들 부재가 장착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절첩한 상태에서의 핸들 부재를, 절첩 전의 상태와 함께,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후륜 유닛을 장착한 상태에서, 후각 및 후각의 하단에 장착된 후륜 캐리어를, 폭방향 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후륜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후각 및 후각의 하단에 장착된 후륜 캐리어를,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서로 다른 후차륜를 갖는 2종류의 후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 중 도 20의 (a)는 제1 후륜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의 (b)는 제2 후륜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후륜 유닛의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2는 후륜 유닛의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 후륜 유닛을 유지한 상태의 후륜 캐리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3은 후륜 유닛의 유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2 후륜 유닛을 유지한 상태의 후륜 캐리어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4는 후륜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한 쌍의 후각의 하방 영역을 한쪽의 후륜 캐리어의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후륜 유닛을 분리한 상태에서 한 쌍의 후각의 하방 영역을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의 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4에 나타난 한쪽의 후륜 캐리어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후륜 캐리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의 본체와 슬라이딩 부재의 걸어맞춤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27의 XXVI-XX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29는 도 25에 나타난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후륜 캐리어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의 본체와 삽입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1은 후륜 캐리어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의 본체와 삽입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2는 후륜 캐리어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의 본체와 삽입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3은 제2 전각 유닛이 장착된 유모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시트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5는 시트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6은 시트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7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차체(20)와, 차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시트(130)를 갖고 있다. 차체(20)는, 대략 중심에 배치된 코어 부재(25)와, 코어 부재(25)에 지지된 전각(30) 및 후각(40)과, 아암 부재(65)를 통해 코어 부재(30)에 지지된 핸들 부재(60)를 갖고 있다. 전각(30)의 하단에는, 전차륜(35)을 포함하는 캐스터(34)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후각(40)의 하단에는, 캐리어(50)를 통해, 후차륜(47)을 포함하는 후륜 유닛(45)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20)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체(20)는 핸들 부재(60), 전각(30) 및 후각(40)이, 코어 부재(25)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어 나온 사용 상태(전개 상태)와, 핸들 부재(60), 전각(30) 및 후각(40)을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요동)시킨 절첩 상태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체(20)는 후각(40)의 요동과 핸들 부재(60)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후각 링크재(88)와, 전각(30)의 요동과 핸들 부재(60)의 회동(핸들 부재(60)를 지지하는 아암 부재(25)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전각 링크 기구(70)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시트(130)에 유유아를 승차시킨 상태에서, 조작자(예를 들면 유유아의 보호자)가 핸들 부재(60)를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전각(30)의 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10) 및 차체(20)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작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와 우상을 잇는 방향으로서, 도 2에서의 지면(紙面)의 좌우의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유모차(10)를 조종하는 조작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측 그리고 도 2에서의 지면의 좌측이 유모차(10)의 전측이 된다. 한편,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폭방향」 또는 「차폭 방향」이란, 횡방향으로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유모차(10)의 차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차체(2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부재(25), 전각(30), 후각(40), 아암 부재(30) 및 핸들 부재(60)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지나는 전후 방향을 따른 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의 유모차(10)의 차체(20)에 있어서는, 코어 부재(25)가 대략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주로 도 6, 도 9,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부재(25)는 본체 부분으로서의 베이스부(26)와, 고정구(固定具)(25a)를 통해 베이스부(2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전각 축지지부(27)를 갖고 있다. 코어 부재(25)의 베이스부(26)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단조품으로 이루어지고, 높은 강성(剛性)을 갖고 있다. 전각 축지지부(27)는, 전각(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한 전각(30)과 함께 전각 유닛(29)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코어 부재(25)에 접속된 전각(30) 및 후각(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9에 도시된 차체(20)에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전각(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각 전각(30)은, 코어 부재(25)와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가, 당해 단부와는 반대측의 전차륜 유닛(35)과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코어 부재(20)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30)은, 사용 상태에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코어 부재(25)의 측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커져가도록 경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각(30)의 하단에는 캐스터(34)가 장착되어 있다. 캐스터(34)는 한 쌍의 전차륜(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캐스터(34)는, 한 쌍의 전차륜(35)의 차축을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도 1∼도 7에 나타내는 유모차(10)의 차체(20)에 있어서는, 각 전각(30)의 하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전차륜(35)의 이간 간격은, 한 쌍의 전각(30)의 하단의 이간 간격과 비교하여 매우 작다. 따라서, 도 1∼도 7에 나타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사륜차로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각 전각(30)은,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각(30)의 회동 축선(요동 축선)(raf)은, 차폭 방향 외측(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중심으로부터 이간 하는 측)이 차폭 방향 내측(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중심에 근접하는 측)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전각(3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이며 또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코어 부재(25)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상태(도 1∼도 4에 나타난 상태)로부터, 코어 부재(25)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려간 상태(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상태)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각(30)의 회동 축선(요동 축선)(raf)은, 차폭 방향 외측이 차폭 방향 내측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결과, 각 전각(30)이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했다고 해도, 전각(30)의 하방에 지지된 전차륜(35)이, 회동하기 전과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30)을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시켜 절첩한 상태에서도, 각 전각(30)에 캐스터(34)를 통해 지지된 한 쌍의 전차륜(35)의 회전 축선은, 접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
다음으로 후각(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7에 도시된 차체(20)에는, 전각(30)과 마찬가지로,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후각(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각 후각(40)은, 코어 부재(25)와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가, 당해 단부와는 반대측의 후륜 유닛(45)과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코어 부재(20)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각(40)은, 사용 상태에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코어 부재(25)의 측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커져 가도록 경사져 있다.
각 후각(40)은,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후각(40)의 회동 축선(요동 축선)(rar1, rar2)은, 차폭 방향 외측이 차폭 방향 내측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후각(40)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이며 또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에 코어 부재(25)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상태(도 1∼도 4에 나타난 상태)로부터, 코어 부재(25)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려간 상태(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상태)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할 수 있다.
각 후각(30)의 하단에는, 후륜 캐리어(50)가 장착되어 있다. 후륜 캐리어(50)는, 후차륜(35)을 갖는 후륜 유닛(35)을 지지하고 있다. 후륜 캐리어(50) 및 후륜 유닛(35)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시된 유모차(10)의 차체(20)에 있어서, 각 후각(40)은,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후각 요소(41)과 제2 후각 요소(42)를 포함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후각 요소(41) 및 제2 후각 요소(42)는, 그 상단에 있어서, 평행한 회동 축선(요동 축선)(rar1, rar2)을 중심으로 하여 코어 부재(25)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후각 요소(41) 및 제2 후각 요소(42)는, 그 하단에 있어서, 평행한 회동 축선(요동 축선)(rar3, rar4)을 중심으로 하여, 후륜 캐리어(50)를 지지하는 캐리어 지지 부재(43)와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18 참조). 또한, 후각 요소(41, 42)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 축선(rar1, rar2)과, 후각 요소(41, 42)의 캐리어 지지 부재(43)에 대한 회동 축선(rar3, rar4)은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도 9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회동 축선(rar1, rar 2, rar3, rar4)은 평행 사변형을 형성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각 후각(40)이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했다고 해도, 후각(40)의 하방에 지지된 후차륜(47)이, 회동하기 전과 대략 평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각(40)을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시켜 절첩한 상태에서도, 각 후각(40)에 후륜 캐리어(50)를 통해 지지된 후차륜(47)의 회전 축선은, 접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
또한,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코어 부재(25)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좌측의 전각(30), 우측의 전각(30), 좌측의 후각(40) 및 우측의 후각(40)은,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변형할 때에, 서로 접근하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바꿔 말하면, 좌측의 전각(30), 우측의 전각(30), 좌측의 후각(40) 및 우측의 후각(40)은, 서로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더 바꿔 말하면, 한 쌍의 전각(30) 및 한 쌍의 후각(40)은, 그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해 있는 측의 단부가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전각(30) 및 후각(40)은, 서로 접근하여, 코어 부재(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절첩 상태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한 쌍의 전각(30)은, 서로 접근하여, 코어 부재(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한 쌍의 후각(40)은, 서로 접근하여, 코어 부재(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절첩 상태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핸들 부재(60) 및 아암 부재(6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부재(60)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아암 부재(65)를 통해, 코어 부재(25)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핸들 부재(60)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延出部)(61)와,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 사이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6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 연출부(61)의 일단(一端)은, 아암 부재(25)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핸들 연출부(61)의 타단(他端)은, 굴곡부(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25)의 측의 영역은, 후각 링크재(88)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후각 링크재(88)의 타단은, 캐리어 지지 부재(43)의 측의 영역에 있어서, 후각(40)의 제2 후각 요소(42)와 접속되어 있다. 이 후각 링크재(88)는, 후각(40)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과,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회동을 연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한 상태에서, 핸들 부재(60)는, 코어 부재(25)상에 지지된 아암 부재(3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된다.
즉,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은,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변형할 때에, 서로 접근하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바꿔 말하면,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은, 측면에서 볼 때 서로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가 작아지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더 바꿔 말하면,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은, 핸들 부재(60)의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해 있는 측의 단부와 후각(40)의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해 있는 단부가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요동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각(40)의 캐리어 지지 부재(43)의 측의 단부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간 간격은,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변형할 때에 접근하게 된다(도 4 및 도 7 참조). 한 쌍의 후각(40)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간 간격이 좁아지면, 한 쌍의 후각(40)에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후각 링크재(88)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간 간격도 좁아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후각(40)의 차폭 방향으로의 접근 및 한 쌍의 후각 링크재(88)의 차폭 방향으로의 접근에 수반하여, 한 쌍의 핸들 연출부(60)가 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핸들 부재(60) 및 핸들 부재(60)를 지지하는 아암 부재(65)가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우선, 각 아암 부재(65)는,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코어 부재(25)에 접속된 회동 베이스(66)와, 회동 베이스(66)에 지지되고 핸들 부재(60)와 접속되어 있는 핸들 지지 부재(67)를 갖고 있다. 핸들 지지 부재(67)는, 핸들 부재(60)의 핸들 연출부(61)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회동 베이스(66)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 축선(ram)은, 차폭 방향과 교차해 있으며,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해 있다(예를 들면 도 3 및 도 13 참조). 이 때문에, 한 쌍의 아암 부재(65)는, 한 쌍의 아암 부재(65)의 코어 부재(25)와는 반대의 측의 단부간, 즉, 핸들 지지 부재(67)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변화하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핸들 지지 부재(67)는, 회동 베이스(66)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 축선(ram)과 평행한 축선(ras)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베이스(6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3 참조). 따라서, 아암 부재(65)는, 한 쌍의 핸들 지지 부재(67)와 대응하는 핸들 연출부(61)와의 회동 축선(rah)(도 4 참조)을, 수평 방향에 평행한 일직선으로 유지하면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하여 한 쌍의 핸들 지지 부재(67)를 차폭 방향에 접근 또는 이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암 부재(65)의 구성에 의해, 후각(40)의 차폭 방향으로의 접근에 수반하여,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에 근접하는 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을 절첩 상태에서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6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굴곡부(62)가 절첩 상태에서 굴곡함으로써,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아암 부재(65)와 핸들 부재(60)의 구성에 의해, 절첩한 상태에서 사용 상태보다,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은, 핸들 부재(60)의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해 있는 측의 단부와 후각(40)의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해 있는 단부는,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차폭 방향에도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62)는, 한 쌍의 핸들 연출부(62)의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에 접속된 제1 굴곡부(63a) 및 제3 굴곡부(63c)와, 제1 굴곡부(63a) 및 제3 굴곡부(63c) 사이에 배치된 제2 굴곡부(63b)를 갖고 있다. 제1∼제3 굴곡부(63a, 63b, 63c)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단부간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62)는, 사용 상태에서, 아암 부재(65)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향하여,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한편,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부(62)는, 절첩 상태에서, 아암 부재(65)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다. 이에 따라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핸들 부재의 치수를, 차폭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다. 즉, 핸들 부재(6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치수를, 조종성 등을 고려한 적절한 길이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절첩시에 있어서의 핸들 부재(60)의 치수를 차폭 방향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62)의 굴곡 축선(ba)은,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가 포함되는 가상의 평면(vp)에 직교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가 포함되는 가상의 평면(vp)으로부터의 굴곡부(62)의 돌출량(pl)은, 절첩 상태에서 사용 상태보다 실질적으로 커져버리지는 않는다. 이 점에서도, 유모차(10)의 절첩 상태에서의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의 차체(20)에 있어서는, 한 쌍의 아암 부재(20)와 전각(30) 사이에 전각 링크 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전각 링크 기구(70)는, 한 쌍의 아암 부재(20)와 전각(30) 사이를 연결하고, 전각(30)의 요동과 한 쌍의 아암 부재(65)의 회동을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링크 기구(70)는, 한 쌍의 아암 부재(65) 사이를 연결하는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와, 한 쌍의 전각(30) 사이를 연결하는 전각 연결 링크(78)와,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 및 전각 연결 링크(78) 사이를 연장되는 연락 링크(81)를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사용 상태에서, 한 쌍의 아암 부재(65)의 회동 베이스(66)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회동 베이스(6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됨과 함께, 그 중앙 부분에 있어서,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를 향하여 한 쌍의 회동 베이스(66)가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했을 경우, 한 쌍의 회동 베이스(66)의 접근에 수반하여,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굴곡한다.
특히,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굴곡 축선(bal1) 및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회동 베이스(66)에 대한 회동 축선(ral1)은, 회동 베이스(66)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 축선(ram)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회동 베이스(66)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에 수반하여 매끄럽게 굴곡할 수 있다.
단,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와 연락 링크(81)는, 제1 커넥터(7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73)는,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상에 배치되고,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가 전각(30)의 측이 돌출(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굴곡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하고, 반대측으로 굴곡하지는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연결 링크(78)는, 사용 상태에서, 한 쌍의 전각(3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일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전각 연결 링크(78)는, 전각(3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됨과 함께, 그 중앙 부분에 있어서 굴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를 향하여 한 쌍의 전각(30)이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했을 경우, 한 쌍의 전각(30)의 접근에 수반하여, 전각 연결 링크(78)는 굴곡한다.
연락 링크(8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73)를 통해,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과 연결되어 있다. 연락 링크(81)는, 그 일단을 제1 커넥터(73)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락 링크(81)의 제1 커넥터(73)에 대한 회동 축선(rac1)은,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굴곡 축선(bal1)에 대하여 직교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 링크(81)는, 제2 커넥터(79)를 통해, 전각 연결 링크(78)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과 연결되어 있다. 연락 링크(81)는, 제1 커넥터(73)에 접속된 일단과는 반대인 타단을 제2 커넥터(79)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락 링크(81)의 제2 커넥터(79)에 대한 회동 축선(rac2)은, 전각 연결 링크(78)의 굴곡 축선(bal2)에 대하여 직교해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의 차체(20)에는, 사용 상태, 즉,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기구는, 유모차(10)의 차체(20)를 이루는 요소의 변위 또는 변형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전각 링크 기구(40) 및 후각 링크재(88)를 통해, 유모차(10)의 차체(20)를 이루는 요소의 변위 또는 변형은 연동해 있다. 따라서, 상태 유지 기구에 의해 일 구성 요소의 변위 또는 변형을 규제하면,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을 규제하여 유모차(10)를 사용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선, 제1 상태 유지 기구(91)로서, 아암 부재(65)에 대한 핸들 부재(60)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태 유지 기구(91)는,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측의 단부(61a) 내에 배치된 규제 슬라이더(92)와, 핸들 연출부(61)의 단부(61a)에 대면하는 아암 부재(56)의 핸들 지지 부재(67)에 형성된 홈(68)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규제 슬라이더(92)는, 핸들 연출부(61)의 단부(61a)로부터, 이 단부(61a)에 대면하는 아암 부재(56)의 핸들 지지 부재(67)를 향하여 돌출된 한 쌍의 규제 돌기(92a)를 포함하고 있다. 규제 슬라이더(92)는, 핸들 연출부(61) 내에서, 핸들 연출부(6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규제 슬라이더(92)는, 핸들 연출부(61) 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93b)에 의해, 핸들 연출부(61) 내에서 굴곡부(62)의 측으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규제 슬라이더(92)는, 각 핸들 연출부(61)의 굴곡부(62)의 측에 단부 영역에 설치된 제1 전환 스위치(64)에 의해, 압축 스프링(93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1 전환 스위치(64)는, 핸들 연출부(61)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핸들 연출부(61)의 외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핸들 연출부(61) 내에는, 제1 전환 스위치(64)와 규제 슬라이더(9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93b)가 연장되어 있다.
한편, 핸들 지지 부재(67)에 형성된 홈(68)은, 압축 스프링(93b)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이동시켜진 규제 슬라이더(92)의 규제 돌기(92a)가 수용되는 규제 홈(68b)과, 압축 스프링(93b)으로부터의 가압에 저항하여 이동시켜진 규제 슬라이더(92)의 규제 돌기(92a)를 안내하는 안내 홈(68a)을 갖고 있다. 규제 홈(68b)은, 핸들 연출부(61)의 회동 축선(rah)으로부터의 방사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안내 홈(68a)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따라서, 규제 슬라이더(92)가 압축 스프링(93b)에 가압되어, 규제 돌기(92a)가 안내 홈(68a) 내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에 대한 회동이 규제되게 된다. 한편, 제1 전환 스위치(64)가 조작되면, 압축 스프링(93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규제 슬라이더(92)가 안내 홈(68a) 내까지 끌어올려진다. 이 경우, 핸들 부재(60)를 아암 부재(65)에 대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 부재(60)가 절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의 위치까지 아암 부재(65)에 대하여 회동시켜지면, 압축 스프링(93b)의 가압에 의해, 규제 돌기(92a)가 규제 홈(68b) 내에 끼워넣어져서, 유모차(10)의 차체(20)가 사용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상태 유지 기구(95)로서 설치된 아암 부재(65)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상태 유지 기구(95)는, 전각 링크 기구(70)에 설치된 볼록부(74)와, 볼록부(74)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84)가 형성된 상태 유지편(83)을 갖고 있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74)는, 제1 커넥터(73)의 후측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태 유지편(83)은, 코어 부재(25)에 설치되고, 코어 부재(25)로부터 세워져 있다. 상태 유지편(83)은, 코어 부재(25)상에 있어서, 유모차가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에, 전각 링크 기구(70)의 제1 커넥터(73)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편(83)은,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변형을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볼록부(74)의 이동 경로(rp)(도 14 참조)를 대략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이 볼록부(74)의 이동 경로(rp)로부터 서서히 이간해 가도록 후방으로 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편(83) 중, 유모차(10)가 사용 상태에 있을 경우에 볼록부(74)에 대면하는 위치에 수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링크 기구(70)의 볼록부(74)가 상태 유지편(83)의 수용부(84)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태에서,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굴곡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전각 링크 기구(70) 전체로서의 변형(변위)도 규제되게 된다. 단, 이 상태 유지편(83)은, 젖혀져 있는 방향으로, 즉, 전각 링크 기구(70)(제1 커넥터(73))로부터 이간하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4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편을 후방측(즉, 전각 링크 기구(70)의 제1 커넥터(73)로부터 이간하는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태 유지편이 후방측으로 더 젖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각 링크 기구(70)의 볼록부(74)가 상태 유지편(83)의 수용부(84)로부터 빠져나가,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변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편(83)은 일부분이 젖혀져 있는 판 형상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84)는, 상태 유지편(83)이 젖혀져 있지 않은 영역이며, 또한, 절첩 상태를 향한 변형을 사용 상태로부터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볼록부(74)의 이동 경로(rp)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84)에 수용된 볼록부(74)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 등에 의해, 수용부(84)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각 링크 기구(70)에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7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75)는,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75a)와, 파지부(75a)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파지부(75a)와 동기(同期)하여 요동 가능한 해제 레버부(75b)를 갖고 있다. 요동 부재(75)는, 전각 링크 기구(70)의 제1 커넥터(73)에 장착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75)의 전각 링크 기구(70)(제1 커넥터(73))에 대한 요동 축선(sas)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유지편(83)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75)는, 사용 상태에서 요동했을 때에, 해제 레버부(75b)가 상태 유지편(83)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파지부(75a)를 파지하여 요동 부재(75)를 요동시켰을 때에, 해제 레버부(75b)는, 상태 유지편(83)을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가압한다. 즉, 요동 부재(75)를 조작함으로써, 상태 유지편(83)은 전각 링크 기구(70)의 제1 커넥터(73)로부터 이간하도록 강제된다. 이 결과, 도 14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링크 기구(70)에 설치된 볼록부(74)가 상태 유지편(83)의 수용부(84)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전각 링크 기구(70)와 상태 유지편(83)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전각 링크 기구(70)의 변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요동 부재(75)(해제 레버부(75b))는, 제2 상태 유지 기구(95)를 조작하는 전환 스위치(제2 전환 스위치)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상태 유지 기구(97)로서,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의 굴곡을 규제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는, 핸들 연출부(6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제3 굴곡부(63a, 63b, 63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굴곡부(62) 내에는, 굴곡부(62)의 핸들 연출부(61)에 대한 회동, 및 제1∼제3 굴곡부(63a, 63b, 63c) 사이에서의 회동을 규제하는 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회동의 규제를 해제하기 위한, 바꿔 말하면,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가압 버튼(98a)이, 굴곡부(62)의 제2 굴곡부(63b)에 설치되어 있다. 더하여, 도 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62)의 제2 굴곡부(63b)에는, 가압 버튼(98a)의 변위를 규제하는 조작 규제 스위치(98b)가 더 설치되어 있다. 즉, 제3 상태 유지 기구(97)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조작 규제 스위치(98b)를 해제한 상태에서 가압 버튼(98a)을 가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모차(10)의 사용 상태에서, 굴곡부(62)의 굴곡은, 제3 상태 유지 기구(97)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제1∼제3 상태 유지 기구(91, 95, 97)에 의해, 유모차(10)의 차체(20)가, 전개한 사용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 사이에서 유모차(10)의 차체(20)를 변형시킬 때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개한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를 절첩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유모차(10)의 차체(20)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제1∼제3 상태 유지 기구(91, 95, 97)를 조작한다. 예를 들면, 우선, 제3 상태 유지 기구(97)에 대해서, 조작 규제 스위치(98b)를 해제한 상태에서 가압 버튼(98a)을 가압하고,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를 굴곡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굴곡부(62)를 근소하게 굴곡시킨 상태로 변형시켜, 이에 따라 가압 버튼(98a)을 계속해서 누를 필요없이 굴곡부(62)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으로 제2 상태 유지 기구(95)를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환 스위치로서의 요동 부재(75)의 파지부(75a)를 파지한 양태에서, 요동 부재(75)를 전각 링크 기구(70)에 대하여 요동시킨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부재(75)의 요동에 수반하여 해제 레버부(75b)가 상태 지지편(83)을 가압하게 된다. 이 결과, 전각 링크 기구(70)의 볼록부(74)가, 상태 지지편(83)의 수용부(관통 구멍)(84)로부터 빠져나와, 전각 링크 기구(70)는 변형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3 상태 유지 기구(91)를 조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환 스위치(64)(예를 들면 도 17 참조)를 핸들 연출부(61)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고, 핸들 연출부(61) 내에 배치된 규제 슬라이더(92)(도 15 참조)를 끌어올린다. 이 규제 슬라이더(92)의 이동에 수반하여, 규제 슬라이더(92)의 규제 돌기(92a)가, 아암 부재(65)의 핸들 지지 부재(67) 내에 형성된 홈(68) 내에서, 규제 홈(68b)으로부터 안내 홈(68a)으로 이동한다(도 16 참조). 이에 따라 핸들 부재(60)(핸들 연출부(61))의 아암 부재(65)(핸들 지지 부재(67))에 대한 요동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제1∼제3 상태 유지 기구(91, 95, 97)를 조작하여, 유모차(10)의 차체(20)를 사용 상태로 유지하는 구속을 해제한 후, 후각(4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핸들 부재(60)를 아암 부재에 대하여 요동시킨다. 후각 링크재(88)에 의해, 핸들 부재(60)의 아암 부재(65)에 대한 요동은 후각(40)에 전달된다. 이 결과, 핸들 부재(60)의 요동에 수반하여, 후각(40)은,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각(40)의 이간 간격은,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서로 접근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후각(40)의 접근에 수반하여, 한 쌍의 후각(40)에 후각 링크재(88)를 통해 연결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도 서로 접근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된 핸들 지지 부재(67)는, 회동 베이스(66)가 요동하여 서로 접근함으로써, 한 쌍의 후각 링크재(88)의 접근 동작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한쪽의 단부에 접속된 굴곡부(62)는 굴곡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도 서로 접근하여,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은 좁아진다.
또한,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는, 도 1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 핸들 연출부(61)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아암 부재(65)(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다른 한편,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는, 도 1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핸들 연출부(61)의 다른쪽의 단부로부터, 아암 부재(65)(코어 부재(25))에 접근하는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회동 베이스(66)의 접근 동작은, 전각 링크 기구(70)를 통해, 한 쌍의 전각(30)에 전달된다. 우선, 도 11 및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각 링크 기구(70)의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한 쌍의 회동 베이스(66)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다.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상방으로의 굴곡 동작은, 연락 링크(81)를 통해 전각 연결 링크(78)에 전달되고, 전각 연결 링크(78)도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각 연결 링크(78)의 굴곡 동작에 수반하여, 한 쌍의 전각(30)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즉, 후각(40)은,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핸들 부재(60)의 요동 동작, 전각(30)의 요동 동작, 및 후각(40)의 요동 동작이 연동하여 행해지고,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동작이 완료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 상태에서,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의 코어 부재(25)로부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의 돌출량은, 사용 상태보다 대폭 작아진다. 마찬가지로, 전각(30)의 코어 부재(25)로부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의 돌출량도 사용 상태보다 대폭 작아진다. 또한, 절첩 상태에서, 핸들 부재(60), 후각(40) 및 전각(30)의 코어 부재(25)로부터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량도 사용 상태보다 대폭 작아진다. 또한, 절첩 상태에서는 핸들 부재(60)가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고 있으므로,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도 대폭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함으로써, 유모차(10)의 차체(20)의 치수를,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폭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 부재(60)의 굴곡부(62)는, 사용 상태에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로부터 후방 상방으로 돌출되고, 절첩 상태에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 내로 굴곡하여 들어간다. 이 때문에, 사용 상태에서의 핸들 부재(60)의 돌출량을 유모차(10)의 조종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설정하는 것과, 절첩 상태에서의 핸들 부재(60)의 길이를 충분히 짧게 하여 유모차(10)의 치수, 특히,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대폭 소형화시키는 것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연출부(61)에 대한 굴곡부(62)의 요동 축선, 및 굴곡부(62)를 이루는 제1∼제3 굴곡부(63a, 63b, 63c) 사이의 요동 축선(ba)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에 의해 획정되는 가상 평면(vp)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부(62)가 굴곡함으로써,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에 의해 획정되는 가상 평면(vp)으로부터의 굴곡부(62)의 돌출량(pl)이 커져버리지는 않고, 이에 따라 절첩 상태에서의 치수를 충분히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각(30)의 코어 부재(25)에 대한 회동 축선(raf)(예를 들면 도 8 및 도 9 참조)은, 차폭 방향 외측이 차폭 방향 내측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에 위치함과 함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후각(40)의 제1 후각 요소 및 제2 후각 요소(42)는, 캐리어 지지 부재(43) 및 코어 부재(25)와 함께 평행 사변형 형상의 링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한 상태에서도, 전각(30)에 지지된 전차륜(35) 및 후각(40)에 지지된 후차륜(47)은 사용 상태와 마찬가지의 자세로 유지되고, 전차륜(35)의 회전 축선 및 후차륜(47)의 회전 축선은 사용 상태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는, 전차륜(35) 및 후차륜(47)을 통해 접지면에 대하여 기립할 수 있다. 이 결과,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를 매우 다루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요동 부재(75)의 파지부(75a)를 파지하여 유모차(10)의 차체(20)를 조작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의 조작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를 향한 차체(20)의 변화(변형·변위)를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가, 유모차(10)의 차체(20)에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후각(40)과 코어 부재(25) 사이에, 제1 변형 가압 부재(16)로서의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변형 가압 부재(16)로서의 스프링에 의해, 각 후각(40)은, 그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즉, 도 3의 측면에서 볼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각(30)과 코어 부재(25) 사이에, 제2 변형 가압 부재(17)로서의 인장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변형 가압 부재(17)로서의 스프링에 의해, 각 전각(30)은, 그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즉 도 3의 측면에서 볼 때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한, 전각 링크 기구(70)의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의 굴곡 축선의 주위에 제3 변형 가압 부재(18)(도 11 참조)로서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제3 변형 가압 부재(18)로서의 스프링에 의해, 아암 부재 연결 링크(7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하는 상태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제3 변형 가압 부재(16, 17, 18)에 의하면, 제1∼제3 상태 유지 기구(91, 95, 97)를 해제함으로써, 사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가, 자동적으로 절첩 상태로 변형하게 되고, 또한, 유모차(10)의 차체(20)를 안정되게 절첩 상태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처음, 이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은, 핸들 부재(60)를 일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 뿐임과 함께, 당해 요동 중에 핸들 부재(60)의 축선 방향이 상하 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 가압 부재(16, 17, 18) 및 상태 유지 기구(91, 95, 97)에 의하면, 유모차(10)의 절첩 조작을 더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를 전개할 때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차체(20)를 전개할 때의 유모차(10)의 차체(20)의 절첩 동작은, 상술한 동작과 반대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부재(60)를, 후각(40)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도 3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아암 부재(65)에 대하여 요동시킨다. 이 핸들 부재(60)의 요동 동작에 수반하여, 전각(30), 후각(40) 및 아암 부재(65)가 코어 부재(25)에 대하여 요동하고 차체(20)가 전개된다.
이때, 핸들 부재(60)의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가 서로로부터 이간함과 함께, 굴곡부(62)가 전개된 상태가 된다. 굴곡부(62)는, 일단 전개된 사용 상태가 되면, 제3 상태 유지 기구(97)에 의해 굴곡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굴곡 동작이 규제된 굴곡부(62)에 의해,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가 서로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유모차(10)의 차체(20)가 사용 상태로 전개되면, 전각 링크 기구(70)의 볼록부(74)는, 그 이동 경로(rp)를 따라 연장되는 상태 지지편(83)으로 안내되고, 상태 지지편(83)에 형성된 수용부(관통 구멍)(84) 내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상태 유지 기구(95)를 이루는 전각 링크 기구(70)의 볼록부(74)와 상태 지지편(83)의 수용부(관통 구멍)(84)의 걸어맞춤에 의해, 전각 링크 기구(70)의 변형이 규제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상태 유지 기구(91)를 이루는 규제 슬라이더(92)는, 핸들 연출부(61) 내에서, 압축 스프링(93b)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유모차(10)의 차체(20)가 사용 상태로 전개되면, 규제 슬라이더(92)의 규제 돌기(92a)는, 아암 부재(65)의 핸들 지지 부재(67)에 형성된 홈(68)의 안내 홈(68a)으로부터 규제 홈(68b)으로 들어가게 된다. 규제 돌기(92a)가 규제 홈(68b)으로 들어가면, 핸들 연출부(61)의 핸들 지지 부재(67)에 대한 회동(요동)은 규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상태 유지 기구(91)를 이루는 규제 슬라이더(92)와 홈(68)의 걸어맞춤에 의해, 핸들 부재(60)의 아암 부재(65)에 대한 요동이 규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술한 제1∼제3 가압 부재(16, 17, 1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핸들 부재(60), 전각(30) 및 후각(40)을 요동시킴으로써, 유모차(10)의 차체(20)가 전개된 사용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1∼제3 상태 유지 기구(91, 95, 97)에 의해 자동적으로 사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과 마찬가지로, 유모차(10)의 전개 동작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후각(40)의 하단에 캐리어 지지 부재(43)를 통해 유지된 후륜 캐리어(50)와, 후륜 캐리어(50)에 유지되는 후륜 유닛(45)에 대해서 더 상술한다.
예를 들면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후각(40)의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에는, 각각, 캐리어 지지 부재(43)를 통해, 후륜 캐리어(50)가 지지되어 있다. 한편, 각 후륜 유닛(45)은, 대응하는 후륜 캐리어(50)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46)과, 차축(4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차륜(47)과, 후차륜(47)과 동기하여 차축(4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브레이크 링(48)을 갖고 있다. 그리고, 후륜 유닛(45)은, 후륜 캐리어(5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게 된다.
브레이크 링(48)은, 후륜 캐리어(50)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륜 캐리어(50)에 대면하게 되는 측의 면에, 다수의 규제용 홈(48c)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용 홈(48c)은, 차축(46)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원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홈(48c)은, 차축(46)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반경 방향 내측에 개구해 있다. 이 브레이크 링(48)은, 후륜 캐리어(50)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돌출되는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규제용 홈(48c) 내에 들어감으로써, 차축(46)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브레이크 링(48)의 회전이 규제되면, 후차륜(47)의 차축(46)에 대한 회전도 규제되게 된다.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에 대해서는, 후륜 캐리어(50)의 그 밖의 구성 요소와 함께, 후에 상술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캐리어(50)는, 캐리어 지지 부재(4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rag)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해지도록 캐리어 지지 부재(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후륜 캐리어(50)와 캐리어 지지 부재(43) 사이에는, 서스펜션(44)이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44)에 가압된 상태에서의 캐리어 지지 부재(43)에 대한 후륜 캐리어(50)의 회동에 의해, 유모차(10)의 주행 중에 있어서의 지면(주행면)의 요철에 기인한 차체(20)의 흔들림이나 비틀림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제1 후륜 유닛(45a) 및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45b)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1 후륜 유닛(45a) 및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45b) 중 어느 한 쌍의 후륜 유닛이 선택되고, 당해 한 쌍의 후륜 유닛이 한 쌍의 후륜 캐리어(50)의 각각에 유지되게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후륜 유닛(45a)의 제1 후차륜(47a)의 직경은, 제2 후륜 유닛(45b)의 제2 후차륜(47b)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후륜 유닛(45a)의 후차륜(47a)은 공기가 주입된 고무제 중공(中空) 타이어를 갖고, 제2 후륜 유닛(45a)의 후차륜(47a)은 공기가 주입되어 있지 않은 고무제 중실(中實) 타이어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후륜 유닛(45a)의 브레이크 링(46a)의 직경은, 제2 후륜 유닛(45b)의 후차륜(47b)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유모차(10)가 교환 가능한 2종류의 차륜 유닛(45a, 45b)을 갖고 있을 경우에는, 유모차(10)가 주행하게 되는 노면(접지면, 주행면)의 상황 에 따라 적절한 후차륜(47)을 포함하는 차륜 유닛(45)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모차(10)가 요철이 큰 노면상을 주행하게 될 경우에는, 제1 후륜 유닛(45a)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제1 후륜 유닛(45a)을 이용했을 경우, 대직경(大徑)의 고무제 중공 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후차륜(47a)에 의해, 노면의 요철에 기인한 유모차(10)의 흔들림이나 비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유유아가 타고 있는 유모차(10)를 보다 안전하고 또한 보다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모차(10)가 혼잡한 장소를 주행하게 될 경우에는, 제2 후륜 유닛(45b)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제2 후륜 유닛(45a)을 이용했을 경우, 소직경(小徑)의 고무제 중실 타이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후차륜(47b)에 의해, 작게 회전이 가능해져,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후륜 캐리어(50)는, 제1 후륜 유닛(45a)의 차축(46a)과 제2 후륜 유닛(45b)의 차축(46b)을, 다른 연직 방향 위치(상하 방향 위치)(vp1, vp2)(도 19 참조)에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의 타이어를 포함하는 후차륜(47a)을 지지하는 제1 후륜 유닛(45a)의 차축(46a)은, 소직경의 타이어를 포함하는 후차륜(47b)을 지지하는 제2 후륜 유닛(45b)의 차축(46b)보다,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방의 위치(vp1)에 지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직경이 다른 후차륜(47a, 47b)을 각각 갖는 제1 후륜 유닛(45a) 및 제2 후륜 유닛(45b)을 교체했다고 해도, 유모차(10)의 차체(20)의 높이나, 유유아가 타는 위치의 높이가 변화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후륜 유닛(45a, 45b)을 교환함으로써, 유모차(10)의 중심위치의 변화나,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시계(視界)의 변화 등을 야기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위치의 변화에 기인한 조종성의 저하, 주행성의 저하, 승차감의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후륜 유닛(45a)의 차축(46a)은, 제1 후륜 유닛(45a)의 후차륜(47a)의 반경과, 제2 후륜 유닛(45b)의 후차륜(47b)의 반경의 차(差)와 대략 동일한 분만큼, 제2 후륜 유닛(45b)의 차축(46b)보다 연직 방향 상방의 위치에 있어서, 후륜 캐리어(50)에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후륜 유닛(45a, 45b)을 유지하는 후륜 캐리어(50)는, 어느 쪽의 후륜 유닛(45a, 45b)을 유지하고 있어도, 접지면으로부터 일정한 연직 방향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후륜 유닛(45a, 45b)을 교환함으로써, 유모차(10)의 중심 위치의 변화나, 유모차(10)에 승차한 유유아의 시계의 변화 등을 야기해버리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후륜 유닛(45a)의 후차륜(47a)의 반경과, 제2 후륜 유닛(45b)의 후차륜(47b)의 반경의 차와 대략 동일한 분만큼, 제1 후륜 유닛(45a)의 브레이크 링(48a)의 반경이, 제2 후륜 유닛(45b)의 브레이크 링(48b)의 반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일의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와, 양쪽의 후륜 유닛(45a, 45b)의 브레이크 링(48a, 48b)을 걸어맞추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후륜 캐리어(50)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어, 경량화 및 소형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륜 유닛(45, 45a, 45b)을 후륜 캐리어(50)에 유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 캐리어(50)의 각각은, 케이싱으로서의 본체(51)와, 본체(51) 내에 배치된 유지 부재(도시하는 예에서는, 유지 플레이트)(56)와, 유지 플레이트(56)를 연직 방향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가압 스프링(57)을 갖고 있다. 유지 플레이트(56)의 일부분이 본체(51)로부터 외부에 노출되고, 조작 버튼(56a)을 구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도 18 참조). 조작 버튼(56a)을 본체(51)의 외부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가압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본체(51) 내에서 유지 플레이트(56)를 연직 방향 하방으로 밀어내릴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51)에는, 제1 후륜 유닛(45a)의 차축(46a)을 수용하는 제1 구멍(51a1)과, 제2 후륜 유닛(45b)의 차축(46b)을 수용하는 제2 구멍(51a2)이 연직 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56a)는, 가압 스프링(57)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제1 구멍(51a1)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구멍(51a1)을 하방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막는 제1 접촉부(56b1)와, 가압 스프링(57)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제2 구멍(51a2)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구멍(51a2)을 하방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막는 제2 접촉부(56b2)를 갖고 있다. 한편,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후륜 유닛(45, 45a, 45b)의 차축(46, 46a, 46b)의 선단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축(46a, 46b)의 선단 근방에는, 둘레 형상의 홈(46a1, 46b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후륜 유닛(45, 45a, 45b)의 차축(46, 46a, 46b)의 선단을, 후륜 캐리어(50)의 제1 구멍(51a1) 또는 제2 구멍(51a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후륜 유닛(45, 45a, 45b)이 후륜 캐리어(50)에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차축(46, 46a, 46b)의 선단에 의해, 유지 플레이트(56)의 접촉부(56b1, 56b2)가 연직 방향 하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차축(46, 46a, 46b)이 유지 플레이트(56)를 넘어서 본체(51)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때, 유지 플레이트(56)의 접촉부(56b1, 56b2)는, 가압 스프링(57)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차축(46, 46a, 46b)에 맞닿는다. 최종적으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56)의 접촉부(56b1, 56b2)가, 차축(46, 46a, 46b)의 둘레 형상 홈(46a1, 46b1)에 들어가, 차축(46, 46a, 46b)의 축선 방향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후륜 캐리어(50)에 유지된 후륜 유닛(45, 45a, 45b)은, 조작 버튼(56a)을 가압하여 유지 플레이트(56)를 본체(51) 내에서 밀어내림으로써, 후륜 캐리어(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륜 유닛(45)의 후륜(47)의 회전을 규제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후차륜(47)을 생략하여 한 쌍의 후각(40)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도 24 및 도 25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 캐리어(50)의 각각이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를 갖고, 또한, 각 후륜 캐리어(50)에 지지된 후륜 유닛(45)이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와 걸어맞춰지는 브레이크 링(48)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후륜(48)은, 각각 별개로 회전이 규제되게 된다.
단,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후륜 캐리어(제1 후륜 캐리어)(50a)와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제2 후륜 캐리어)(50b) 사이에는 전달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 기구(100)에 의해,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의 이동이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에 전달되고, 후륜 캐리어(50b)의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를 조작하지 않고, 양쪽의 후륜 캐리어(50a, 50b)에 유지한 후륜 유닛(45)의 후륜(47)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우선,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캐리어(50a)는, 차륜 유닛(45)의 차축(46)을 유지하는 상술한 본체(케이싱)(51)와,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111)와, 본체(51)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부터 상기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을 향하여 슬라이딩 부재를 본체(51)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117)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방향이란, 대략 상하 방향(연직 방향)이다. 또한,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이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측이며, 일방향에 있어서의 타측이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이다.
차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에 들어갈 수 있는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슬라이딩 부재(111)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11)는,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을 경우에, 제1 유지 위치(rp1)와, 제1 유지 위치(rp1)보다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유지 위치(rp2) 중 어느 한쪽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11)가 제2 유지 위치(rp2)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도 22 및 도 23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차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에 들어가, 후차륜(47)의 차축(46)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111)가 제1 유지 위치(rp1)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도 22 및 도 2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는,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와 차륜 유닛(45)의 결합이 해제되어, 즉,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차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으로부터 빠져나가, 후차륜(47)의 차축(46)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1)에는, 두 개의 긴 구멍(112a, 112b)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긴 구멍(112a, 112b)은, 상술한 차축(46, 46a, 46b)이 삽입되는 구멍(51a1, 51a2)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111)는, 슬라이딩 부재(111)를 타측(상하 방향 상측)으로부터 일측(상하 방향 하측)을 향하여 가압하기 위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조작부(113)를 갖고 있다. 이 조작부(113)는, 슬라이딩 부재(111)의 일부로 이루어지며, 슬라이딩 부재(11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부(113)는,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와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작부(50)는, 본체(51)의 외부에 설치되고, 후각(40)의 하단 영역에 있어서 후차륜(47)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직접, 조작부(113)에 접촉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111)는, 일단,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가압되고, 더 엄밀하게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제2 유지 위치를 넘어서 가압되고, 그 후에 가압 부재(117)의 가압력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되돌아갈 때마다 유지되어지게 되는 위치가, 제1 유지 위치(rp1)와 제2 유지 위치(rp2)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부재(111)는, 일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가능 범위 내의 가장 일측의 위치까지 슬라이딩시켜질 때마다, 가압 부재(117)의 가압력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되돌아가 유지되어지게 되는 위치가, 제1 유지 위치(rp1)와 제2 유지 위치(rp2)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체(51) 및 슬라이딩 부재(111) 중 어느 한쪽은, 일방향과 대략 평행한 면으로서,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면(115)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체(51) 및 슬라이딩 부재(111)의 다른쪽에는, 그 선단이 걸어맞춤 홈(116) 내에 배치된 삽입 부재(119)로서, 상기 일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는 삽입 부재(119)가 지지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본체(51)에 삽입 부재(119)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고, 삽입 부재(119)는, 본체(51)로부터 일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을 향하여 수하(垂下)해 있다. 삽입 부재(119)는, 금속선(금속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1)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면(115)을 포함하고 있다.
삽입 부재(119)는,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있다. 단,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부재(119)의 일단측의 선단부는 90° 구부러지고, 슬라이딩 부재(111)의 면(115)의 법선 방법으로서,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삽입 부재(119)의 선단은, 걸어맞춤 홈(116)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 있다. 또한, 삽입 부재(119)의 선단과 걸어맞춤 홈(116)의 저면(116a)은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고, 삽입 부재(119)의 선단은 걸어맞춤 홈(116)의 저면(116a)에 맞닿아 있다. 삽입 부재(119)는,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단, 가늘고 긴 형상의 삽입 부재(119)가 휨으로써, 삽입 부재(119)의 선단은,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삽입 부재(119)와 걸어맞춤 홈(116)의 걸어맞춤에 의해, 삽입 부재(119)를 지지하는 본체(51)에 대한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111)의 자유로운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홈(116)은, 제1 젖힘 위치(p1)로부터, 일방향에 있어서 제1 젖힘 위치(p1)보다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젖힘 위치(p2)까지를 잇는 제1 홈 경로(c1)와, 제2 젖힘 위치(p2)로부터, 일방향에 있어서 제2 젖힘 위치(p2)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3 젖힘 위치(p3)까지를 잇는 제2 홈 경로(c2)와, 제3 젖힘 위치(p3)로부터, 일방향에 있어서 제3 젖힘 위치(p3)보다 타측에 위치하는 제4 젖힘 위치(p4)까지를 잇는 제3 홈 경로(c3)와, 제4 젖힘 위치(p4)로부터, 일방향에 있어서 제4 젖힘 위치(p4)보다 일측에 위치하는 제1 젖힘 위치(p1)까지를 잇는 제4 홈 경로(c4)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를 갖고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홈(116) 및 삽입 부재(119)는, 삽입 부재(119)가 제1∼제4 젖힘 위치(p1∼p4)에 이 순서로 도달하여 걸어맞춤 홈(116)을 주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면(115)상에서 일방향에 직교하는 타방향에 있어서, 제1 젖힘 위치(p1) 및 제3 젖힘 위치(p3)는,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제4 젖힘 위치(p1∼p4) 이외에 일방향에 있어서의 젖힘점을 형성하지 않고, 또한, 경로의 교차를 생기게 하지 않아, 걸어맞춤 홈(116)이 둘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홈(116) 내에서 제1 홈 경로(c1)와 제2 홈 경로(c2)가 합류(접속)하는 영역에서는, 제2 홈 경로(c2)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가 제1 홈 경로(c1)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홈 경로(c2)를 따른 단차(s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s2)에 의해, 제2 젖힘 위치(p2)에 도달한 삽입 부재(119)는, 그 후에 걸어맞춤 홈(116)에 대하여 일방향 일측을 향하여 상대 이동할 때에, 단차(s2)에 의해 제1 홈 경로(c2)에 들어가는 것이 저해되고, 제2 홈 경로(c2)를 따라 제3 젖힘 위치(p3)에 유도되게 된다.
또한, 걸어맞춤 홈(116) 내에서 제2 홈 경로(c2)와 제3 홈 경로(c3)가 합류(접속)하는 영역에서는, 제3 홈 경로(c3)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가 제2 홈 경로(c2)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홈 경로(c3)를 따른 단차(s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s3)에 의해, 제3 젖힘 위치(p3)에 도달한 삽입 부재(119)는, 그 후에 제3 홈 경로(c3)를 따라 제4 젖힘 위치(p4)에 유도되게 된다.
또한, 걸어맞춤 홈(116) 내에서 제3 홈 경로(c3)와 제4 홈 경로(c4)가 합류(접속)하는 영역에서는, 제4 홈 경로(c4)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가 제3 홈 경로(c3)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홈 경로(c4)를 따른 단차(s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s4)에 의해, 제4 젖힘 위치(p4)에 도달한 삽입 부재(119)는, 그 후에 제4 홈 경로(c4)를 따라 제1 젖힘 위치(p1)에 유도되게 된다.
더하여, 걸어맞춤 홈(116) 내에서 제4 홈 경로(c4)와 제1 홈 경로(c1)가 합류(접속)하는 영역에서는, 제1 홈 경로(c1)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가 제4 홈 경로(c4)의 걸어맞춤 홈(116)의 깊이보다 깊게 되어 있다. 이 결과,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홈 경로(c1)를 따른 단차(s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7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단차(s1)에 의해, 제1 젖힘 위치(p1)에 도달한 삽입 부재(119)는, 그 후에 제1 홈 경로(c1)를 따라 제2 젖힘 위치(p2)에 유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걸어맞춤 홈(116) 및 삽입 부재(119)의 일방향 일측을 향한 상대 이동과, 걸어맞춤 홈(116) 및 삽입 부재(119)의 일방향 타측을 향한 상대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삽입 부재(119)가 제1∼제4 젖힘 위치(p1∼p4)에 이 순서로 도달하여 걸어맞춤 홈(116)을 주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홈(116)은 슬라이딩 부재(111)의 하나의 면(115)에 형성되고, 삽입 부재(119)는, 그 일방향 타측 단부가 본체(5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111)는, 가압 부재(117)에 의해 일방향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 결과, 걸어맞춤 홈(116)은, 삽입 부재에 대하여 일방향 일측(연직 방향 하측)으로부터 타측(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가압 부재(117)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도 27에서는, 지면의 하측으로부터 상하측을 향하여 홈(116)이 삽입 부재(119)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부재(111)에 외력이 부가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삽입 부재(119)는, 일방향 일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젖힘을 형성하는 제1 젖힘 위치(p1) 또는 제3 젖힘 위치(p3)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1 젖힘 위치(p1)에 위치해 있을 경우, 슬라이딩 부재(111)는,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제1 유지 위치(rp1)(도 19에 나타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3 젖힘 위치(p3)에 위치해 있을 경우, 슬라이딩 부재(111)는, 연직 방향 상방에 위치하는 제2 유지 위치(rp2)(도 24에 나타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1)가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슬라이딩 부재(111)에 장착된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후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으로부터 빠져나와 있어, 브레이크 링(48)과 동기하는 후차륜(47)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22 및 도 23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11)가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슬라이딩 부재(111)에 장착된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후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에 들어가, 브레이크 링(48)과 동기하는 후차륜(47)의 회전은 규제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1 젖힘 위치(p1)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를 일방향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111)는, 삽입 부재(119)를 유지하는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 일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말하면, 삽입 부재(119)는 걸어맞춤 홈(116)에 대하여 일방향 타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삽입 부재(119)는, 제4 홈 경로(c4)에는 단차(s4)에 의해 들어가지 않고, 제1 홈 경로(c1)를 진행한다. 이 결과, 슬라이딩 부재(111)는,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2 젖힘 위치(p2)에 도달할 때까지, 일방향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2 젖힘 위치(p2)에 도달한 곳에서, 외부로부터의 슬라이딩 부재(111)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부재(117)의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111)는, 삽입 부재(119)를 유지하는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 타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삽입 부재(111)는, 제1 홈 경로(c1)에는 단차(s1)에 의해 들어가지 않고, 제2 홈 경로(c2)를 진행한다. 이 결과, 슬라이딩 부재(111)는, 가압 부재(117)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3 젖힘 위치(p3)에 도달할때까지 일방향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어떠한 문제에 의해, 예를 들면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 내에서 걸려버리는 등에 의해, 삽입 부재(119)를 제1 젖힘 위치(p1)로부터 제2 젖힘 위치(p2)까지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없었을 경우, 가압 부재(117)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7)는 다시 제1 젖힘 위치(p1)로 되돌아가고, 슬라이딩 부재(111)는 다시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삽입 부재(119)가 제2 단차(s2)를 낙하하는 감촉을 조작 중에 얻을 수 없었던 것에 의해, 또한, 본체(5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조작부(113)의 위치에 의해, 조작이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3 젖힘 위치(p3)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를 일방향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111)는, 삽입 부재(119)를 유지하는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 일측으로 이동하고, 반대로 말하면, 삽입 부재(119)는 걸어맞춤 홈(116)에 대하여 일방향 타측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때, 삽입 부재(111)는, 제2 홈 경로(c2)에는 단차(s2)에 의해 들어가지 않고, 제3 홈 경로(c3)를 진행한다. 이 결과, 슬라이딩 부재(111)는,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4 젖힘 위치(p4)에 도달할 때까지, 일방향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4 젖힘 위치(p4)까지 도달한 곳에서, 외부로부터의 슬라이딩 부재(111)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부재(117)의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춤 홈(116)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111)는, 삽입 부재(119)를 유지하는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 타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삽입 부재(111)는, 제3 홈 경로(c1)에는 단차(s3)에 의해 들어가지 않고, 제4 홈 경로(c4)를 진행한다. 이 결과, 슬라이딩 부재(111)는, 가압 부재(11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1 젖힘 위치(p1)에 도달할 때까지, 일방향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어떠한 문제에 의해, 삽입 부재(119)를 제3 젖힘 위치(p3)에서 제2 젖힘 위치(p4)까지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없었을 경우, 가압 부재(117)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 부재(117)는 다시 제3 젖힘 위치(p3)로 되돌아가고, 슬라이딩 부재(111)는 다시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이 경우, 조작자는, 삽입 부재(119)가 제4 단차(s3)를 낙하하는 감촉을 조작 중에 얻을 수 없었던 것에 의해, 또한, 본체(51)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조작부(113)의 위치에 의해, 조작이 예정대로 행해지지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슬라이딩 부재(111)는,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가압될 때마다, 더 엄밀하게는,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제2 유지 위치를 넘어서 가압될 때마다, 가압 부재(117)의 가압력에 의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되돌려져서 유지되어지게 되는 위치가, 제1 유지 위치(rp1)와 제2 유지 위치(rp2) 사이에서 교대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후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와, 후차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의 전환을, 하나의 방향을 따른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111)에 대하여 외력을 부가하는 것만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8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차륜(47)의 근방에 배치된 조작부(113)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11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는, 조작부(113)를 발로 밟는 것만에 의해, 후차륜(47)의 회전 가능한 상태와, 후차륜(47)의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부재(60)에 손을 걸어 유모차(10)의 차체(10)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후차륜(47)을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것, 및 후차륜(47)을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은 무리없는 자세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유모차(10)를 탄 유유아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 설명한 후차륜(47)의 회전을 규제 및 규제 해제하는 구성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걸어맞춤 홈(116) 및 삽입 부재(119)에 관한 구성을, 도 30∼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해도 된다. 이들과 같은 변형에 의해서도, 후차륜(47)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와 후차륜(47)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의 전환을 하나의 방향을 따른 하나의 방향으로의 외력의 부가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변형예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행한다. 또한 도 30∼도 32는, 한쪽의 후륜 캐리어(제1 후륜 캐리어)(50a)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후륜 캐리어의 본체와 슬라이딩 부재를 분해한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도 32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어맞춤 홈(116)의 경로(윤곽)가 다를 뿐이며, 그 외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서,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1 젖힘 위치(p1)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3 젖힘 위치(p3)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젖힘 위치(p1) 및 제3 젖힘 위치(p3)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가 상기 타방향에 있어서, 제1 젖힘 위치(p1)와 제3 젖힘 위치(p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어맞춤 홈(116)은, 본체(51)의 하나의 면(115)상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119)는, 그 상기 타측의 단부를 슬라이딩 부재(111)에 유지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예에서,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2 젖힘 위치(p2)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4 젖힘 위치(p4)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젖힘 위치(p1) 및 제3 젖힘 위치(p3)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젖힘 위치(p1) 및 제3 젖힘 위치(p3)가 상기 타방향에 있어서, 제2 젖힘 위치(p2)와 제4 젖힘 위치(p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걸어맞춤 홈(116)은, 본체(51)의 하나의 면(115)상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119)는, 그 상기 타측의 단부가 슬라이딩 부재(111)에 유지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예에서,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4 젖힘 위치(p4)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삽입 부재(119)가 걸어맞춤 홈(116)의 제2 젖힘 위치(p2)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111)(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가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젖힘 위치(p2) 및 제4 젖힘 위치(p4)가 상기 타방향에 있어서, 제1 젖힘 위치(p1)와 제3 젖힘 위치(p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와,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 사이에는, 한쪽의 후륜 캐리어(제1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 동작을,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제2 후륜 캐리어)(50b)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에서는,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조작부(113)에 대하여 상술한 매우 간이하고 단순한 조작을 행하는 것만에 의해,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에 지지된 후차륜(47)뿐만 아니라,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에 지지된 후차륜(47)에 대해서도, 회전 규제 조작 및 회전 규제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 및 전달 기구(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륜 캐리어(50b)는, 차륜 유닛(45)의 차축(46)을 유지하는 상술한 본체(케이싱)(51)와, 본체(51)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121)와, 본체(51)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부터 상기 일측과는 반대측의 타측을 향하여 슬라이딩 부재(121)를 본체(51)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127)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규제용 걸어맞춤 홈(55)이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는, 본체(51) 내에서 제1 유지 위치와, 제1 유지 위치보다 일방향을 따라 타측에 위치하는 제2 유지 위치(도 2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도 25에 나타내는 상태)에,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차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에 들어가, 후차륜(47)의 차축(46)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는,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와 차륜 유닛(4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즉, 규제용 걸어맞춤 부재(55)는, 차륜 유닛(45)의 브레이크 링(48)의 규제용 홈(48c)으로부터 빠져나가, 후차륜(47)의 차축(46)에 대한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121)에는, 긴 구멍(1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22a)은, 상술한 차축(46, 46b)이 삽입되는 구멍(51a2)에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100)는, 튜브 등의 통 형상 부재(101)와, 통 형상 부재(101)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하고 있는 와이어(102)를 갖고 있다.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부재(101)의 양단은, 각각,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본체(51) 및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02)의 한쪽의 단부는, 통 형상 부재(101)의 한쪽의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고,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11)에 고정되어 있다.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11)가 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102)는 통 형상 부재(101)로부터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측으로 인출된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02)의 다른쪽의 단부는, 통 형상 부재(101)의 다른쪽의 단부를 넘어서 연장되고,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면, 와이어(102)는 통 형상 부재(101)로부터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측으로 밀어내진다.
또한, 도 1,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기구(100)는, 한 쌍의 후각(40)의 제2 후각 요소(42)를 통과하여, 한족의 후륜 캐리어(50a)와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 사이를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21)의 일방향을 따른 본체(51)에 대한 상대 이동과,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의 일방향을 따른 본체(51)에 대한 상대 이동을 연동시킬 수 있다. 즉,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면,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일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면,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도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의 슬라이딩 부재(121)가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의 슬라이딩 부재(121)도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즉,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에 유지된 한쪽의 차륜 유닛(제1 차륜 유닛)(45)의 후차륜(47)의 회전이 규제되면,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에 유지된 다른쪽의 차륜 유닛(제2 차륜 유닛)(45)의 후차륜(47)의 회전도 규제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한쪽의 후륜 캐리어(50a)에 유지된 한쪽의 차륜 유닛(45)의 후차륜(47)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되면, 다른쪽의 후륜 캐리어(50b)에 유지된 다른쪽의 차륜 유닛(45)의 후차륜(47)의 회전의 규제도 해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전각(30) 및 코어 부재(25)의 전각 축지지부(27)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전각 축지지부(27)가, 서로로부터 차츰 이간하도록 하여 연장되어 내려가는 한 쌍의 전각(30)을 지지하고 있는 예를 설명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전각(30)과, 코어 부재(25)의 베이스부(26)로부터 분리 가능한 전각 축지지부(27)에 의해 전각 유닛(29)이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한 쌍의 전각(30)과 이 한 쌍의 전각(30)을 지지하는 전각 축지지부(27)로 이루어지는 제1 전각 유닛(29a)에 더하여, 제1 전각 유닛(29a)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전각 유닛(29b)을 갖고 있다. 도 31에는 제2 전각 유닛(29b)이 조립된 유모차(10)가 나타나 있다.
제2 전각 유닛(29b)은, 코어 부재(25)의 베이스부(26)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전각 축지지부(27b)와, 제2 전각 축지지부(27a)에 지지된 제2 전각(30b)을 갖고 있다. 제2 전각 축지지부(27a)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전각 요소(3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전각 요소(31)는, 차츰 차폭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코어 부재(25)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고 있다. 한 쌍의 전각 요소(31)는, 코어 부재(25)로부터 이간하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전각 요소(31)의 서로 접속된 하단에는, 한 쌍의 전차륜(35)을 갖는 캐스터(34)가 장착되어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륜의 이간 간격은, 한 쌍의 후차륜(47)의 이간 간격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짧다. 따라서, 제2 전각 유닛(29b)이 장착된 도 33에 나타난 유모차(10)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삼륜차를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술한 제1 전각 유닛(29a)이 장착된 유모차(10)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사륜차를 구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유모차(10)가 교환 가능한 2종류의 전각 유닛(29a, 29b)을 갖고 있을 경우에는, 유모차(10)가 주행하게 되는 노면(접지면, 주행면)의 상황 에 따라 적절한 전각 유닛(29a, 29b)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모차(10)가 요철이 큰 노면상을 주행하게 될 경우에는, 제1 전각 유닛(29a)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제1 전각 유닛(29a)을 갖는 유모차(10)는 사륜차로서 기능하고,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유아가 타고 있는 유모차(10)를 보다 안전하고 또한 보다 안정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모차(10)가 혼잡한 장소를 주행하게 될 경우에는, 제2 전각 유닛(29b)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제2 전각 유닛(29b)을 갖는 유모차(10)는 삼륜차로서 기능하고, 이에 따라, 유모차(10)의 작은 회전이 가능해져, 유모차(10)의 조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나타난 전각 유닛(29b)에 있어서, 제2 전각(30b)은, 제2 전각 축지지부(27b)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절첩 상태에서, 제2 전각(30b)의 캐스터(34)를 지지하는 측의 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2 전각(30b)을 제2 전각 축지지부(27b)에 대하여 요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각 유닛(29)의 교환에 수반하여, 전각 링크 기구(70)의 일부분도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각 링크 기구(70)의 연락 링크(81) 및 전각 연결 링크(78)를, 전각 유닛(29)과 함께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전각(30)의 구성에 따라 전각 링크 기구(70)도 일부 교환함으로써, 전각 유닛(29)의 요동을, 핸들 부재(60)의 요동(아암 부재(65)의 회동)에 연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전각 유닛(29a)과 마찬가지로, 제2 전각 링크(29b)에 대해서도, 사용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를 향한 전각(30)의 전각 축지지부(27)에 대한 회동을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17)(도 9 참조)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변형 가압 부재(17)에 의하면, 전각(30)이 전각 축지지부(27)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가압되고, 전각(30)이 전각 축지지부(27)에 대하여 자유롭게 요동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이 변형 가압 부재(17)를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20)의 절첩 조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각 유닛(29)의 교환 작업을 용이화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유모차(10)의 차체(20)에 장착되는 시트(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유아의 좌석부 또는 침대로서 기능하는 시트(130)가, 차체(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면 도 1, 도 2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트(130)에 고정용의 한 쌍의 로드(131)가 설치되고, 아암 부재(65)의 핸들 유지부(67)에 시트(130)의 로드(131)를 수용하는 유지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구멍(12) 내에는, 로드(131)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용의 핀(도시 생략)을 거는 걸림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로드(131)를 유지 구멍(12)에 삽입하도록 하여 시트(130)를 차체(20)상에 배치함으로써, 시트(130)가 차체(20)에 자동적으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시트(130)를 차체(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핸들 지지 부재(67)에 설치된 해제 스위치(13)를 조작함으로써, 시트(130)의 로드와 차체(20)의 유지 구멍(12)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시트(130)를 차체(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시트(130)는, 좌석부(130a)와, 좌석부(130a)에 연결된 등받이부(130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130)에 앉은 유유아가 전방을 향하도록, 시트(130)를 차체(20)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배면 배치), 도 1에 나타난 양태와는 반대로, 유유아가 유모차(10)를 조작하는 조작자(보호자)와 대면하도록, 시트(130)를 반대 방향으로 하여 차체(20)에 장착할 수도 있다(대면 배치).
단, 도 1에 나타난 시트(130)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양태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가능한 시트를 복수 준비해 두고, 날씨 조건이나 기후 조건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시트가 선택되어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도 3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난 시트(130)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덮개(133) 및 투명 후드(hood)를 포함하는 바람막이(132)가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 패스너(fastener) 등의 고정 수단(134)을 이용하여, 시트(130)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덮개(133) 및 바람막이(132)를 고정함으로써, 유유아의 탑승 스페이스에 비나 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133)와 바람막이(132) 사이에 근소한 틈을 형성해 둠으로써, 환기나 탑승 스페이스의 실온 조정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시트(130) 등에, 통기 구멍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 통기 구멍과, 덮개(133) 및 바람막이(132) 사이의 틈에 의해, 유유아의 탑승 스페이스의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 구멍에는 필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트(135)가, 침대 및 베이비 캐리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트(135)에는, 베이비 캐리어로서 시트(135)를 사용할 경우에 도움이 되는 핸들(136)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시트(135)에는, 상술한 덮개(133)가 고정 수단(134)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람막이(132)도 시트(135)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시트(135)에는 통기 구멍(137)이 설치되어 있고, 바람막이(132)가 장착된 경우에도, 유유아의 탑승 스페이스와 외부와의 환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137)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35와 마찬가지로, 시트(140)는, 침대 및 베이비 캐리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우수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트(140)는 등나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140)상에, 덮개(1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5에 나타난 시트(135) 및 도 36에 나타난 시트(140)는, 양자 모두, 상술한 대면 배치 및 배면 배치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포제(布製) 부재를 차체(20)의 핸들 부재(60) 및 아암 부재(65)에 장착함으로써 시트(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시트(142)를 차체(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다.
또한, 차체(20)로부터 분리된 시트가, 차의 좌석에 고정될 수 있는 차일드 시트로서도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시트에 끈 형상 부재가 장착되고, 차체(20)로부터 분리된 시트를, 유유아를 앉힌 채의 상태에서, 끈 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몸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시트를 등에 업을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하면, 유모차로 유유아를 데리고 나갔을 때에, 갑자기 유유아를 유모차로부터 내려놓을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 임기응변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의, 보호자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 상태에서, 전각(30) 및 후각(40)이, 차체(2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코어 부재(25)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차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넓어져 있다. 이와 같은 차체(20)를 갖는 유모차(10)에 의하면 강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주행 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절첩 상태에서는, 전각(30) 및 후각(40)의 코어 부재에 대한 요동에 의해, 전각(30) 및 후각(40)의 코어 부재(25)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절첩 상태에서의 치수를 전후 방향 및 차폭 방향에 있어서 소형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모차(10)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절첩시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각(30) 및 후각(40)을 갖는 프레임 구조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와,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62)를 갖는 핸들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핸들 연출부(61)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요동에 의해, 핸들 부재(60) 및 후각(40)은,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 상태보다, 각 핸들 연출부(61)와 후각(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각도가 작아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굴곡부(62)는, 절첩 상태에서, 프레임 구조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한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절첩 상태에서, 핸들 부재(60)의 프레임 구조로부터의 연출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핸들 부재(60)의 차폭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베이스부(27)에 장착될 수 있는 제1 전각 유닛(29a)과, 베이스부(27)에 장착될 수 있는 제2 전각 유닛(29b)으로서, 제1 전각 유닛(29a)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전각 유닛(29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각 유닛(29a) 및 제2 전각 유닛(29b) 중 한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유모차(10)가 삼륜차로서 기능하고, 제1 전각 유닛(29a) 및 제2 전각 유닛(29b) 중 다른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유모차(10)가 사륜차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유모차(10)가 주행하게 되는 노면의 상황에 따라 제1 전각 유닛(29a) 및 제2 전각 유닛(29b) 중 어느 쪽을 선택함으로써, 조종성 또는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모차(10)가, 전각(30) 및 후각(40)을 갖는 프레임 구조와, 후각(40)에 장착된 후륜 캐리어(50)와, 후륜 캐리어(50)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후차륜(47a)을 포함하는 제1 후륜 유닛(45a)과, 후륜 캐리어(50)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후차륜(47b)를 포함하는 제2 후륜 유닛(45b)으로서, 제1 후륜 유닛(45a)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후륜 유닛(45b)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후차륜(47a)의 직경과 제2 후차륜(47b)의 직경은 다르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유모차(10)가 주행하게 되는 노면의 상황에 따라 제1 후륜 유닛(45a) 및 제2 후륜 유닛(45b) 중 어느 쪽을 선택함으로써, 조종성 또는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일방향을 따라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외력을 가할 때마다, 후차륜(47)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와, 후차륜(47)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유모차(10)에 의하면, 조작이 간이하고 또한 단순하므로, 후차륜(47)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와, 후차륜(47)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다.

Claims (19)

  1. 차체를 사용 상태와 절첩 상태의 사이에서 변형 가능하게 한 유모차에 있어서,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는 전각(前脚)과,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후각(後脚)이며, 각각이 상기 코어 부재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내려가는, 한 쌍의 후각을 구비하고,
    상기 전각의 상기 코어 부재측의 단부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각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측의 단부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각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후각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차폭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간해가고,
    상기 전각 및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요동에 의해, 상기 전각 및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아암 부재이며, 각각이 상기 코어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아암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접속된 한 쌍의 핸들 연출부(延出部)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를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굴곡부를 갖는 핸들 부재와,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한쪽과 상기 한 쌍의 후각의 한쪽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요동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후각 링크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변화하도록,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요동 및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에 대한 요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후각의 상기 코어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 및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회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해 있는 측의 단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보다, 차폭 방향에서 서로 접근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굴곡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아암 부재와는 반대측의 단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절첩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간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간격을 좁힘과 함께, 상기 핸들 부재의 상기 아암 부재로부터의 연출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아암 부재로부터 이간하는 측을 향하여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굴곡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가 포함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굴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핸들 연출부의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상태 유지 기구와,
    상기 아암 부재의 상기 코어 부재에 대한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상태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유지 기구 및 상기 제2 상태 유지 기구는, 상기 차체를 상기 사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모차에는,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를 향한 상기 차체의 변형을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아암 부재와 상기 전각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전각의 요동과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의 회동을 연동시키는 전각 링크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간을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아암 부재 연결 링크와,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와 상기 전각 사이에 위치하는 연락 링크를 갖고,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아암 부재가 회동해서 서로 접근하는 것에 의해 굴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은,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전각은,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코어 부재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차폭 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간해가고,
    상기 전각 링크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전각간을 연결하는 굴곡 가능한 전각 연결 링크를 더 갖고,
    상기 전각 연결 링크는, 상기 한 쌍의 전각이 요동해서 한 쌍의 전각간이 서로 접근하는 것에 의해 굴곡하고,
    상기 연락 링크는, 그 일단이, 상기 아암 부재 연결 링크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에 연결됨과 함께, 그 타단이, 상기 전각 연결 링크의 굴곡 가능 개소 또는 굴곡 가능 개소의 근방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의 상기 볼록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상기 볼록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가요성의 상태 유지편이, 상기 코어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상태 유지편은,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로 변형을 개시할 때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의 이동 경로로부터 차츰 이간해가도록 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 링크 기구에 요동 가능한 요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요동 부재는, 상기 사용 상태에서 요동했을 때에 상기 상태 유지편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요동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전각 링크 기구와 상기 상태 유지편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절첩 상태를 향한 상기 차체의 변형을 가압하는 변형 가압 부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전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각 축지지부를 갖고, 이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전각에 의해 제1 전각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유모차는, 상기 코어 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제2 전각 축지지부와, 상기 제2 전각 축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 전각을 갖고, 상기 제1 전각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2 전각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한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삼륜차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1 전각 유닛 및 상기 제2 전각 유닛 중 다른 쪽을 사용했을 경우에 사륜차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1항에 있어서,
    각 후각에 장착된 한 쌍의 후륜 캐리어와,
    각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1 차륜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제1 후륜 유닛과,
    각 후륜 캐리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축과, 상기 차축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제2 차륜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이며, 상기 제1 후륜 유닛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한 쌍의 제2 후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륜의 직경과 상기 제2 차륜의 직경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후륜 캐리어는,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을, 상이한 상하 방향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륜의 반경은, 상기 제2 차륜의 반경보다 크고,
    상기 제1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은, 상기 제1 차륜의 반경과 상기 제2 차륜의 반경의 차(差)와 대략 동일한 분 만큼 상기 제2 후륜 유닛의 상기 차축보다 상하 방향 상방의 위치에서, 상기 후륜 캐리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의 상방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 시트(seat)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17030026A 2009-06-12 2009-06-12 유모차 KR101585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0781 WO2010143301A1 (ja) 2009-06-12 2009-06-12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092A true KR20140052092A (ko) 2014-05-07
KR101585627B1 KR101585627B1 (ko) 2016-01-14

Family

ID=4330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026A KR101585627B1 (ko) 2009-06-12 2009-06-12 유모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33784B2 (ko)
EP (1) EP2441645B1 (ko)
JP (1) JP5442729B2 (ko)
KR (1) KR101585627B1 (ko)
CN (1) CN102803046B (ko)
HK (1) HK1178858A1 (ko)
TW (1) TWI564197B (ko)
WO (1) WO2010143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4305B2 (en) 2008-12-04 2018-04-17 Baby Jogger, LLC Removable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CA2745914C (en) * 2008-12-04 2017-01-03 Dynamic Brands, Llc Seat attachment for a stroller
US8714581B2 (en) * 2010-01-25 2014-05-06 Cosco Management, Inc. Compact foldable stroller
CN201800747U (zh) * 2010-08-03 2011-04-2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可收合婴儿车
JP5944141B2 (ja) * 2011-11-07 2016-07-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ITVR20110226A1 (it) * 2011-12-20 2013-06-21 Inglesina Baby Spa Telaio ripiegabil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NL2008330C2 (nl) * 2012-02-22 2013-08-26 Mutsy Bv Inrichting en samenstelling voor het vervoeren van een kind, zoals een kinderwagen en/of buggy.
US9216755B2 (en) 2012-03-30 2015-12-22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CN103373382B (zh) * 2012-04-20 2015-11-25 珠海优力创工贸有限公司 换向座位和具有换向座位的可收合婴儿车
US9399477B2 (en) 2012-12-27 2016-07-26 Kolcraft Enterprises, Inc. Strollers with removable child supports and related methods
US8967647B1 (en) * 2013-09-12 2015-03-03 Monahan Products, LLC Suspension system for child stroller
ITUB20152212A1 (it) * 2015-07-15 2017-01-15 Linglesina Baby S P A Telaio ripiegabil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US10315681B2 (en) * 2015-07-20 2019-06-11 Baby Jogger, LLC Compact folding baby stroller
US20170113485A1 (en) * 2015-10-21 2017-04-27 Austlen Baby Co. Wheel assemblies for a stroller
CN205273564U (zh) * 2015-11-10 2016-06-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GB2552465A (en) * 2016-07-19 2018-01-31 Stroller Tech Ltd A foldable stroller frame
DE102016010884A1 (de) 2016-09-12 2018-03-15 Mima International Ltd. Kinderwagen
CN107323511B (zh) * 2017-08-10 2023-06-27 珠海阳光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车架
CN207328549U (zh) * 2017-08-10 2018-05-08 中山市西区青原贸易代理服务部 婴儿车车架
GB2591067B (en) 2018-09-18 2022-04-27 Jijibaba Ltd A foldable push chair
GB2591211B (en) * 2018-09-18 2022-04-27 Jijibaba Ltd A push chair
CN114802403A (zh) * 2021-01-22 2022-07-29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婴儿车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64026A5 (ko) * 1971-12-10 1973-07-27 Claude Thierry
JPS5135986B1 (ko) * 1973-05-12 1976-10-06
IT1005425B (it) 1974-01-24 1976-08-20 Giordani Raffaele Passeggino per bambini ad ingombro riducibile
JPS5135986A (ja) 1974-09-09 1976-03-26 Eru Shoeru Harii Mizujetsutoshikisuishinsochi
JPS5390367U (ko) * 1976-12-24 1978-07-24
JPS5824163B2 (ja) 1977-01-21 1983-05-19 東洋紡績株式会社 中空繊維膜の製造法
JPS54101764U (ko) * 1977-12-27 1979-07-18
JPH074248U (ja) * 1993-06-16 1995-01-2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NL1017805C2 (nl) 2001-04-09 2002-10-10 All Our Kids Europ B V Samenvouwbare kinderwagen.
DE20112583U1 (de) 2001-08-01 2001-12-06 Britax Teutonia Kinderwagen Kinderwagen
JP2004017736A (ja) * 2002-06-14 2004-01-22 Shima Seisakusho:Kk 手押し車
US20060267303A1 (en) * 2003-04-30 2006-11-30 Matthew Golias Collapsible supporting structure
TWM256123U (en) * 2004-02-18 2005-02-01 Link Treasure Ltd Baby umbrella stroller capable of being folded with one hand
CN102514607B (zh) 2004-04-30 2015-09-30 贝贝漫步有限责任公司 折叠式婴儿车
US7883104B2 (en) 2004-09-16 2011-02-08 Musty B.V. Mobile carriage, for example for a buggy
ES1059064Y (es) * 2004-12-14 2005-06-16 Jane Sa Chasis plegable para cochecitos para niños
US7367581B2 (en) 2005-08-26 2008-05-06 Link Treasure Limited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CN100463824C (zh) * 2006-07-04 2009-02-2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婴儿推车
CN200942791Y (zh) * 2006-09-18 2007-09-05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收折骨架
ITMI20070460A1 (it) * 2007-03-07 2008-09-08 Giochi Preziosi Spa Passeggino pieghevole.
NL1033729C2 (nl) * 2007-04-20 2008-10-21 Maxi Miliaan Bv Wandelwagen.
DE102007047578A1 (de) * 2007-10-04 2009-04-09 Ponticelli, Pius Kinderwagen
CN201183509Y (zh) * 2008-01-24 2009-01-2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11212A (en) 2011-04-01
US20120112435A1 (en) 2012-05-10
CN102803046A (zh) 2012-11-28
US8733784B2 (en) 2014-05-27
EP2441645A4 (en) 2012-12-19
CN102803046B (zh) 2015-10-21
JP5442729B2 (ja) 2014-03-12
TWI564197B (zh) 2017-01-01
WO2010143301A1 (ja) 2010-12-16
KR101585627B1 (ko) 2016-01-14
JPWO2010143301A1 (ja) 2012-11-22
EP2441645A1 (en) 2012-04-18
EP2441645B1 (en) 2016-03-30
HK1178858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27B1 (ko) 유모차
KR101623131B1 (ko) 캐리어 및 유모차
JP6214943B2 (ja) 乳母車
JP2013006553A (ja) 乳母車
JP5020655B2 (ja) ベビーカー
JP6957051B2 (ja) 乳母車
JP6923929B2 (ja) 乳母車
CN210391282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JP2020019363A (ja) 乳母車
JP6923930B2 (ja) 乳母車
TWI754265B (zh) 嬰兒車
JP2020019366A (ja) 乳母車および座席
JP2020019359A (ja) 乳母車
JP2020019365A (ja) 乳母車
JP2020019368A (ja) 手押し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