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813A -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813A
KR20140050813A KR1020120117090A KR20120117090A KR20140050813A KR 20140050813 A KR20140050813 A KR 20140050813A KR 1020120117090 A KR1020120117090 A KR 1020120117090A KR 20120117090 A KR20120117090 A KR 20120117090A KR 20140050813 A KR20140050813 A KR 2014005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s
base
holes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2011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0813A/ko
Publication of KR2014005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관통하는 통공이 2개 이상 형성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들 중 상하의 블럭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블럭들 중 좌우의 블럭들 중 각각 하나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판상으로 2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A Terrace-revetment Assembly and A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블럭과 서로 결합되어 체결력이 우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땅을 깍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 등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시트파일, 강관, 콘크리트와 시멘트 혼합물로 이루어진 방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방법에는 축대옹벽블럭이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 축대옹벽블럭은 본체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을 시공 후에 블럭 사이와 통공에 잡석, 골재 등을 투입하여 마무리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각각의 블럭들의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및 수평의 보강부재를 이용하고, 블럭을 지그재그로 적재하여 완성하였는데, 이런 경우, 각각의 블럭 간의 설치공정이 어렵고, 각각의 블럭 사이의 상하좌우측의 힘을 강하게 지지할 수 없어 뒤틀리면서 붕괴되는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되는 각각의 블럭들의 사이에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구성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관통하는 통공이 2개 이상 형성되는 블럭과, 상기 블럭들 중 상하의 블럭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블럭들 중 좌우의 블럭들 중 각각 하나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판상으로 2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1파이프와, 상기 제 1파이프에 연장되는 제 2파이프와, 상기 제 1파이프와 상기 제 2파이프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파이프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지지부의 제 1파이프가 통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블럭을 위치시키는 제 2단계와, 수평으로 위치하는 블럭들의 사이에 각각의 블럭을 관통하는 지지부의 제 1파이프를 각각 관통하는 연결부를 설치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블럭들의 상방에 블럭의 통공에 상기 지지부의 제 1파이프가 관통하는 설치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파이프에 제 2파이프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지그재그로 적재되는 각각의 블럭이 지지부가 지탱하고 있어, 즉 지그재그로 적재되는 각각의 블럭들이 지지부에 삽입되어 블럭들이 빠짐없이 베이스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르게 힘이 분배되어 옹벽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복블럭 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가 관통하는 통공(32)이 2개 이상 형성되는 블럭(30)과, 상기 블럭(30)들 중 상하의 블럭(30)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블럭(30)들 중 좌우의 블럭(30)들 중 각각 하나의 통공(32)에 삽입되도록 판상으로 2개의 관통공(42)이 형성되는 연결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에는 베이스(10)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는 옹벽을 설치해야 하는 부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에는 다수개의 지지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30)의 통공(32)들을 관통하여 블럭(30)들이 수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길게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에 필요한만큼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1파이프(22)에 연장되는 제 2파이프(24)와,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를 연결하는 체결구(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의 외경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를 위해 같은 재질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26)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구(26)는,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를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 어떤 구성이라도 상관없으며, 예를 들면, 상기 체결구(26)는 상하로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를 삽입하고, 나사산소켓에 의한 결합에 의한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파이프(22)와 상기 제 2파이프(24)가 상기 체결구(26)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제 1파이프(22)는 각각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구(26)가 위치되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제 1파이프(22)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 1파이프(22)의 높이를 달리하여 즉 체결구(26)의 위치를 달리하여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인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에는 블럭(30)이 마련된다. 상기 블럭(30)은 상술한 지지부(20)의 각각의 파이프가 관통할 수 있도록 통공(32)이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32)의 내경은 상기 체결구(26)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구(40)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구(4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30)들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의 블럭(30)들이 수평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구(4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공(42)이 2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32)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40)는, 수직으로 적재되는 블럭(30)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블럭(30)들 중 좌우의 블럭(30)들 중 각각 하나의 통공(32)을 관통하는 지지부(20)가 상기 연결구(40)의 관통공(42)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블럭(30)들의 수평이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구(40)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구(40)의 넓이는 상기 블럭(30)의 상면의 넓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구(40)의 사이의 틈(44)이 배수구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10)에 지지부(20)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에 제 1파이프(22)를 설치한다. 상기 제 1파이프(22)를 상기 베이스(10)에 고정시킨 후, 상기 제 1파이프(22)가 블럭(30)의 통공(32)을 관통하도록 블럭(30)을 위치시킨다.
옹벽의 제 1층의 블럭(30)이 모두 적재되면, 수평으로 위치하는 블럭(30)들 사이에 연결부(40)를 설치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연결구(40)의 제 1관통공(42a)에는 제 1블럭(30a)을 관통하는 제 1지지부(20a)의 제 1파이프(22)가 관통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의 제 2관통공(42b)에는 제 2블럭(30b)을 관통하는 제 2지지부(20b)의 제 1파이프(22)가 관통하도록 위치시킨다.
이런식으로 설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0)가 지그재그로 위치되어, 각각의 블럭(30)들이 지지부(20)에 견고하여 고정되어, 옹벽의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0)와 상기 통공(32)과 관통공(42) 사이에는 흙, 모래 모르트 등의 석분을 투입하여 서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파이프(22)에 체결구(26)를 이용하여 제 2파이프(24)를 수직으로 연장시켜, 상기 블럭(30)들을 작업자가가 원하는 높이만큼 적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베이스 20: 지지부
22: 제 1파이프 24: 제 2파이프
26: 체결구 30: 블럭
32: 통공 40: 연결구
42: 관통공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 그리고,
    상기 지지부가 관통하는 통공이 2개 이상 형성되는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 1파이프;
    상기 제 1파이프에 연장되는 제 2파이프; 그리고,
    상기 제 1파이프와 상기 제 2파이프를 연결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들 중 상하의 블럭들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블럭들 중 좌우의 블럭들 중 각각 하나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판상으로 2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이프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4. 베이스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제 1단계;
    상기 지지부의 제 1파이프가 통공을 관통하도록 하여 블럭을 위치시키는 제 2단계;
    수평으로 위치하는 블럭들의 사이에 각각의 블럭을 관통하는 지지부의 제 1파이프를 각각 관통하는 연결구를 설치하는 제 3단계; 그리고,
    상기 블럭들의 상방에 블럭의 통공에 상기 지지부의 제 1파이프가 관통하는 설치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이프에 제 2파이프를 체결구를 이용하여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대옹벽블럭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0120117090A 2012-10-22 2012-10-22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50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90A KR20140050813A (ko) 2012-10-22 2012-10-22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90A KR20140050813A (ko) 2012-10-22 2012-10-22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813A true KR20140050813A (ko) 2014-04-30

Family

ID=5065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090A KR20140050813A (ko) 2012-10-22 2012-10-22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08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757A (zh) * 2016-08-23 2016-11-23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水分养分试验小区隔挡墙的安装方法
KR20210039796A (ko) * 2019-10-02 2021-04-12 부귀농업협동조합 토굴형 김치 저장고, 이를 이용한 김치 숙성 시스템 및 숙성 김치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9757A (zh) * 2016-08-23 2016-11-23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水分养分试验小区隔挡墙的安装方法
KR20210039796A (ko) * 2019-10-02 2021-04-12 부귀농업협동조합 토굴형 김치 저장고, 이를 이용한 김치 숙성 시스템 및 숙성 김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2017014853A (ja) 免震装置の交換方法
JP6151337B2 (ja)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140050813A (ko) 축대옹벽블럭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JP2008031682A (ja) 建築物仮受け時の耐震支持構造及び建築物仮受け時の耐震支持方法
JP6164479B2 (ja) 地下ピット構造
JP6368551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方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5998858B2 (ja) 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KR101098878B1 (ko) 강관파일용 밴드 압착식 두부보강장치
JP6449115B2 (ja) 耐震構造および耐震化方法
JP2018150692A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341826B1 (ko) 파일 및 보강프레임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JP2010159602A (ja) バスユニット設置用の床構造及び建物
JP6604650B2 (ja) 擁壁型枠の固定金物
KR101707376B1 (ko)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6511727B2 (ja) 免震建物、及び、免震装置の交換方法
JP2006342543A (ja) 人工地盤構造並びにその構築方法
KR101438709B1 (ko) 컨테이너형 하우스들 간에 마련된 마당바닥재의 조립구조
KR101498769B1 (ko) 복수 중공슬래브의 양중을 위한 지그장치
JP2015071884A (ja) 地下ピット構造
JP2014025309A (ja) 新設基礎の構築方法および仮設支持板
JP5382828B2 (ja) 免震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