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640A -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 - Google Patents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640A
KR20140050640A KR1020147002425A KR20147002425A KR20140050640A KR 20140050640 A KR20140050640 A KR 20140050640A KR 1020147002425 A KR1020147002425 A KR 1020147002425A KR 20147002425 A KR20147002425 A KR 20147002425A KR 20140050640 A KR20140050640 A KR 2014005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f
module
support base
aperture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브 설베이트
클라우스 요한슨
Original Assignee
넛크래커 솔루션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넛크래커 솔루션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넛크래커 솔루션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5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2Shaping of the surface of courts according to the necessities of the different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2Removable protective covers for courts, rinks, or game pitch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2013/006Transportable sport surfaces for multipurpose stadiu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E04H2003/142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with vertically movable or tiltable playing field 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잔디 경기장(100) 및 주변의 관중석(3)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이 제공된다.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상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잔디 모듈(101)들을 포함한다. 상기 잔디 모듈들은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된 베이스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는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밑의 저장실(107) 에 접근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애퍼쳐(111)를 보인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잔디 모듈(101)들의 저장에 적합하게 마련된다. 상기 애퍼쳐(111)를 통하여 잔디 모듈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리프트(115)가 마련된다. 관련 방법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SPORTS STADIUM WITH REMOVABLE TURF FIELD}
본 발명은 인조 또는 천연 잔디밭과 같은, 잔디 경기장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관중석과 같은, 상기 스타디움의 인접한 요소들을 건드리지 않고 신속하게 잔디가 제거 및/또는 재조립될 수 있는 스타디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포츠 스타디움을 사용하는 관련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스포츠 스타디움들은 건설 및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런 이유로, 들어간 비용을 뽑기 위해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소유주에게 이득이 된다. 예를 들어, 풋볼 팀의 홈그라운드는 일반적으로 시즌 동안에는 매 2주마다 사용되며, 비시즌에는 더 적게 사용된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컵 대회와 같은 몇몇 다른 대회들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타디움은 대부분의 시간이 사용되지 않는 채로 남겨진다. 지난 수십년간, 스타디움을 대형 콘서트와 같은 문화 이벤트들을 위하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벤트들은 스타디움 소유주들에게 중요한 수입 수단이 된다.
그러나, 천연 잔디 경기장에서 열리는 대형 콘서트로 인해 잔디가 손상될 수 있다. 잔디를 보호하는 수단은 종종 사용되나, 항상 충분한 것은 아니다. 더구나 그러한 보호수단들은 설치 및 제거에 시간이 걸린다. 결과적으로, 스타디움 소유주들은 스포츠 경기와 문화 이벤트 사이에 상기 스타디움의 양식을 신속히 변화시킬 수 없다. 소유주는 스포츠 경기에 좋은 잔디를 제공할 의무가 있어, 다른 문화 이벤트에 사용가능한 날짜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 문제는 수십년간 존재해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알려진 해결책들이 몇몇 있다. 몇몇 해결책들은 경기장을 보호하거나 덮는 것에 관한 것인 반면 다른 것들은 제자리에서 보호하는 것 대신 경기장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1980년 독일 공보 DE2924904는 빙상장(ice field)를 덮도록 된 플로어 모듈들(floor modules)들로 구성되는 플로어(floor)를 기재했다. 상기 모듈들은 얼음으로부터 제거되어 천장 밑에 보관되는 판들이다. 그러므로 상기 모듈들은 상기 빙상장이 사용되지 않을 때 얼음을 보호한다.
기존 경기장의 보호용으로 개조된 또 다른 시스템이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EP1500416호에 개시되었다. 이는 트렌치(trench)에 마련된 롤러에 감긴 시트커버(sheet cover)를 기재했다. 잔디 경기장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는 롤 아웃되어 경기장 위에 배치된다.
터프그라스 불리틴(Turfgrass Bulletin) 2001년 10월호 (제214호)에는 이동가능한 잔디 모듈들로 구성되는 경기장을 기재한 기사가 실렸다. 상기 모듈들은 각각 대략 1-2m2 이며 일반적인 포크리프트에 의하여 스타디움 밖으로 이동된다. 잔디 모듈들 밑에는 콘크리트 층과 같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공보 GB2138690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공보는 어떻게 각각의 모듈들이 제거 또는 대체될 수 있는지를 개시하며 이는 편마모 또는 상기 잔디들이 원형 경기장 내로부터 동일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잔디 경기장을 덮는 것과 관련된 해결책들은 만일 오랜 기간 덮는 경우 잔디를 악화시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더구나, 판 또는 시트 커버로 덮는다 하더라도, 스테이지와 트럭들과 카메라/사운드 기어 등의 장비 및 관중이 있는 콘서트 등은 잔디에 물리적인 손상을 가할 것이다.
잔디 제거에 관련되는 해결책들은 많은 수의 잔디 모듈들을 제거하는 것이 번거로우며 시간소모가 크다는 단점을 드러낸다. 더구나, 상기 잔디 모듈들을 위한 저장실이 스타디움 밖이나 스타디움 구조물 내에 필요하다. 후자는 사무실 부지, 가게, VIP룸 등 가치 있는 공간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이는 바람직한 해결책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해결책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잔디 경기장의 빠른 제거 및 빠른 재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잔디 경기장이 있는 스포츠 스타디움 및 주위의 관중석이 제공된다. 상기 잔디 경기장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fixed support base) 상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잔디 모듈들을 포함한다. 상기 잔디 모듈들은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fixed support base) 상에서 이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로부터 제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는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아래의 저장실에 접근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애퍼쳐(aperture)를 나타낸다(exhibits). 상기 저장실은 잔디 모듈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것이다. 게다가, 상기 애퍼쳐를 통하여 잔디 모듈들을 이동하기 위해 리프트(lift)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스포츠 스타디움은 풋볼(축구) 또는 미식축구와 같은 스포츠가 정기적으로 열리는 장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스포츠 스타디움들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관중석으로 둘러싸인 스타디움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잔기 경기장의 4면 중 적어도 3면에는 관중석이 마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잔디 경기장의 4면에 모두 관중석이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잔디 경기장의 직사각형 측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탠드들 사이의 교차로들에도 관중석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잔디 경기장은 직사각형이 아닐 수도 있다.
상기 잔디 경기장은 천연잔디 또는 인조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퍼쳐는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에 마련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애퍼쳐는 상기 잔디 경기장의 일 영역 안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잔디 경기장이 사용될 때 스포츠 경기장 또는 경기장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애퍼쳐는 잔디 경기장이 사용되는 동안 폐쇄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잔디 모듈들로 덮이게 된다.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는 평면이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및/또는 아스팔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스타디움은 애퍼쳐 안에 탈착 가능하게(removably) 고정되는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가 없는 실시예 또한 고안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는 잔디 모듈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애퍼쳐 자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잔디 모듈들은 인접한 잔디 모듈들 상호를 해제 가능하게 잠그는 연동 메커니즘 (interlocking mechanism)을 보여주는(exhibit)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상기 모듈들이 그들의 적절한(correct) 상호 간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는 잔디 모듈들 사이에 간격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 메커니즘은 잔디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하는 슬라이딩 결합식 경사진 표면(sliding engaging inclined surface)을 나타낼(exhibit)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잔디 모듈은 30m2 보다 큰 잔디 면적을 갖는다(exhibits).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적은 100 m2 보다 크다. 뿐만 아니라, 유리하게는, 전체 잔디 경기장은 100개 미만의 잔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잔디 모듈의 수가 적을수록 상기 잔디 모듈을 조립 또는 분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게다가 상기 잔디 모듈들 사이의 경계면(interface)의 수가 줄어들면, 보다 균일한 잔디 경기장 마련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를 수평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상기 리프트는 애퍼쳐 밑에 배열된다. 게다가, 저장실 내의 복수 개의 모듈 저장 선반들은 상기 리프트의 수직 리프팅 경로와 인접한 수직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실 내의 상기 모듈 저장 선반의 안 또는 밖으로의 상기 잔디 모듈의 이동을 위해서는 단지 상기 모듈 저장 선반들과 상기 리프트 사이에의 상기 잔디 모듈들의 수평 이동만이 요구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애퍼쳐는 적어도 하나의 잔디 모듈로 구성되는 거리만큼 관중석으로부터 떨어져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잔디 모듈들의 적어도 하나의 열은 애퍼쳐 열과 잔디 경기장의 끝 라인 사이에 배열된다. 애퍼쳐 열은 애퍼쳐 상에 연장될 잔디 모듈들의 열이다. 상기 잔디 경기장을 조립하기 위해 잔디 모듈들을 설치할 때, 저장실로부터 최종적으로 들어올려지는 잔디 모듈들의 열이 이 애퍼쳐 열이 된다. 이 최종 잔디 모듈들을 애퍼쳐를 통하여 그리고 위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접하는 잔디 모듈들은 애퍼쳐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어야 한다. 이미 설치된 잔디 모듈들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런 이유로, 마지막으로 상승되는 열(애퍼쳐 열)이 상승되었을 때, 인접하는 열과 인접하도록 이동된다. 그 후에 상기 애퍼쳐 열과 상기 끝 라인 사이의 열이 애퍼쳐 열 다음에 애퍼쳐 열과 인접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잔디 경기장을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는 상기 잔디 경기장을 넘도록 연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최종 열이 나머지 열들과 인접하도록 최종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와 같은 평평한 표면 상에서 상기 잔디 모듈들이 이동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잔디 모듈에 대하여 위 아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바퀴부(a set of wheel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압축 공기 공급에 의해 활성화 되는 에어 쿠션 셋트(a set of air cushions)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실은 잔디 성장에 적합하게 형성된 인공 조명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저장실은 잔디에 물을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급수 설비(watering arrangement)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빛과 물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는 저장실 내에서 제어가능한 조건 하에서 잔디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과 같은 추운 날씨 동안에는, 저장실 내에서 가열된 환경 내에서 잔디의 저장이 가능하다. 온도 조절, 급수 및 영양 제어에 의해, 넓은 범위 내에서 천연 잔디의 성장률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잔디 경기장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잔디 경기장은 관중석에 둘러 쌓여있다. 더욱이 상기 잔디 경기장은 상기 잔디 경기장을 구성하기 위해 상호 조립되는 복수 개의 잔디 모듈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의 애퍼쳐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아내의 저장실 내로 리프트에 의해 잔디 모듈들을 이동하는 이동단계;
b) 애퍼쳐 내에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를 배열하는 배열단계.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는 애퍼쳐 내에 잠금될 수 있는 단단한 평면 구성으로, 애퍼쳐를 둘러싸는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리프트가 마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리프트는 그 리프팅 영역이 상기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를 구성하고, 애퍼쳐를 채우고, 애퍼쳐를 둘러싸는 인접한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용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는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겨울 동안 찬 온도로부터 스포츠 스타디움의 잔디 경기장을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복수 개의 잔디 모듈들을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의 애퍼쳐를 통과시켜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아래의 저장실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b) 저장실 내의 저장실 온도를 상기 찬 온도보다 따뜻한 온도로 유지하는 유지단계;
c) 잔디 모듈들에 빛을 비추며 물을 공급하는 조명 및 급수단계.
이는 당업자에게 다양한 형상들로 인식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1 관점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제2 및 제3관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관점들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단일 리프트 대신에, 복수 개의 리프트, 예를 들어 두 개 또는 세 개의 리프트들을 쓸 수 있다. 이 리프트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애퍼쳐 아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많은 리프트들이 일제히 작동될 수 있으며 애퍼쳐를 통한 잔디 모듈의 운송은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들의 가외성(redundancy)은 오작동하는 리프트로 인한 부작용을 더욱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디 경기장의 빠른 제거 및 빠른 재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잔디 모듈들을 포함하는 잔디 경기장을 포함하는 스포츠 스타디움의 주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포츠 스타디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저장실, 리프트 및 잔디 경기장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저장실, 3개의 모듈 선반들을 갖는 리프트, 및 잔디 경기장의 일부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저장실에 잔디 모듈이 저장된 상태에서의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리프트는 높은 위치에 있고 잔디 모듈은 운송 모드인 상태에서의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단면도로, 저장실 내의 저장 위치로 이동되는 잔디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4에 따른 단면도로, 가장 높은 위치의 리프트 및 저장실로 운반하기 위해 더 많은 잔디 모듈들을 모으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4에 따른 단면도로, 제2 잔디 모듈들을 모으는 리프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4에 따른 단면도로, 모든 잔디 모듈들이 저장실 내에 저장되어 있고, 제거 가능한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와 같은 층으로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더 낮은 운반 위치에 있는 한 셋트의 바퀴를 갖는 잔디 모듈의 일부에 대한 주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도면으로, 높은 비운반 위치에 있는 한 셋트의 바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상기 잔디 모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에어 쿠션 한 셋트를 갖는 잔디 모듈의 일부에 대한 주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도면으로, 에어쿠션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잔디 모듈 및 잔디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된 모듈 트럭의 주요 도면이다;
도 16은 두 개의 잔디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세 개의 단계 및 연동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한 데 반해,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스타디움(1)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포츠 스타디움(1)은 잔디 경기장(100) 및 그 주위의 관중석(3)을 갖는다. 잔디 경기장(100)은 복수 개의 잔디 모듈(101)들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54개의 잔디 모듈(101) (6 X 9) 들을 갖는다. 잔디 모듈(101)들 중 일부는 필드 라인(103)을 갖는다. 인접한 잔디 모듈(101)들의 필드 라인(103)은 전체 풋볼 경기장의 필드 라인을 구성한다.
도 2는 도 1의 스포츠 스타디움의 측단면도이다. 잔디 모듈(101)들은 잔디 경기장(100)의 면적보다 다소 넓은 면적을 갖는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상에 지지된다.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아래에는 저장실(10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107)은 잔디 모듈(101)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저장실(107) 내에는 리프트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리프트 서포트 베이스(109)가 있다. 저장실(107) 내의 리프트 서포트 베이스(109) 위에는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의 애퍼쳐(111)가 있다. 상기 애퍼쳐(111)는 잔디 모듈(101)이 수평 위치 즉 방향의 변화 없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애퍼쳐(111)는 예를 들어 두 개 또는 세 개 또는 그 보다 많은 수의 인접하게 마련된 잔디 모듈(101)들이 충분히 통과하여 이동되도록 크게 마련된다.
또한 도 2에는 애퍼쳐(111)에 마련되는 탈착 가능한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가 도시되어 있다.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는 애퍼쳐(111)을 폐쇄하기 위해 애퍼쳐(111) 내에서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에 잠금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는 애퍼쳐(111) 안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잔디 모듈(101)들을 지지할 수 있다. 애퍼쳐(111)을 완전히 폐쇄하는 애퍼쳐 지지 베이스 대신에, 서포트 베이스를 완전히 폐쇄하지는 않지만 자신 위에 잔디 모듈(101)을 지지할 수 있는 골조(framework) 또는 보 공법(beam construction) 모양의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 또한 상상할 수 있다.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와 잔디 모듈로 결합된 요소, 즉, 애퍼쳐(111) 내에서 잠금 될 수 있으며 자신 위에 잔디를 운반함으로써 잔기 경기장(100)의 부분을 구성하는 요소도 상상할 수 있다.
도 3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의 일부 및 그 아래의 저장실(107)에 대한 확대 측단면도이다. 저장실(107) 내의 리프트 서포트 베이스(109) 상에는 리프트(11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트(115)는 시저 리프트(scissor lift) 타입이다. 리프트(115)는 예를 들어 수력 또는 전기로 작동될 수 있다. 리프트(115)는 잔디 모듈(101)을 위아래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하게 마련된다. 게다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를 올리기에 적합하게 마련된다.
리프트(115) 옆의 저장실(107)은 복수 개의 모듈 저장 선반(117)을 포함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잔디 모듈(101)들은 평평한 표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리프트(115)에 의해 모듈(101)은 모듈 저장 선반(117) 옆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 이후 리프트(115)에서 선반(117) 위로 이동된다. 또한 잔디 모듈(101)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상에 놓여지기 위해 모듈 저장 선반(117)에서 리프트(115) 위로 이동될 수 있고, 저장실(107)에서 이동되기 위해 애퍼쳐(111)를 통과하여 고정된 지지 베이스(105) 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애퍼쳐(111)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애퍼쳐 잠금장치(119)를 볼 수 있다. 애퍼쳐 잠금장치(119)는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에 마련된, 수용 애퍼쳐 잠금장치 프로필(receiving aperture lock profiles, 121)들에 맞물릴 수 있는 복수 개의 볼트를 포함한다.
도 4는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에 잠금되고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위치에서, 애퍼쳐 잠금장치(119)의 볼트들은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의 애퍼쳐 잠금장치 프로필(121)로 연장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리프트(115)는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는 애퍼쳐(111) 위치에 남겨두고 낮은 위치로 내려갈 수 있다.
도 4는 리프트(115)의 특별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트(115)는 각각 잔디 모듈(101)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3개의 모듈 선반(125)들을 갖는 리프팅 섹션(123)을 갖는다. 리프팅 섹션(123) 상에 하나 이상의 모듈 선반(125)를 갖게 되면 잔디 경기장(100)의 조립 또는 재조립 시, 시간을 절약할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동일한 상승된 위치에서의 리프트(115)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 4에서는 잔디 모듈(101)들이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와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 상에 마련되는 반면, 도 5에서는 잔디 모듈(101)들이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아래의 저장실(107) 내의 모듈 저장 선반(117) 상에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황에서,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와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는 함께 콘서트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들에 적합한 평면 기초를 구성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따른 측단면도를 나타내나, 잔디 모듈(101)이 운반 모드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드에서, 바퀴부(a set of wheels,127)는 상기 잔디 모듈(101)의 나머지에 대하여 아래로 힘을 받음으로 인해 잔디 모듈(101)을 바퀴(127) 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도 7은 잔디 모듈(101)이 상기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의 표면을 떠나 저장 모듈 선반(117)로 진입하는 단계이다.
도 6에서는 애퍼쳐(111)에 인접한 하나의 잔디 모듈(101)(도 6의 오른쪽에 있는 모듈)이 상기 애퍼쳐(111)로부터 약간 떨어지도록 이동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인접하여 맞물린 양 모듈(101)들로부터 다소 떨어뜨려 리프트(115) 상에 잔디 모듈(101)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에는 리프트(115)의 가장 높은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잔디 모듈(101)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로부터 리프트(115)의 리프팅 섹션(123)의 가장 낮은 모듈 선반(125) 위로 이동된다.
도 9에는 리프트(115)의 약간 낮은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디 모듈(101)이 수직 운반될 때 상기 잔디 모듈(101)의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 잔디 모듈(101)이 모듈 선반(125) 상으로 된 후에는 바퀴(127)가 위로 올려진다.
도 10에는 모든 잔디 모듈(101) 들이 저장실(107)에 배열되며 상기 리프트(115)는 중간 높이 위치에 있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애퍼쳐 지지 베이스(113)는 애퍼쳐(111) 안에 잠금된다.
도 11 및 도 12는 바퀴(127) 한 셋트를 갖는 잔디 모듈(10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바퀴(127)는 잔디 모듈(101)의 이동을 위하여 아래로 내려질 수 있고 잔디 모듈(101)이 서포트 위에 놓여지도록 위로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두 위치 사이에서 바퀴부(127)를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 피스톤(미도시)이 일반적인 휠-캐링 빔(wheel-carrying beam, 129)에 기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129)은 힌지 지지 암(hinged support arms, 131) 셋트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어떻게 잔디 모듈(101)이 잔디 부분(135)을 위쪽으로 받치는 강성 지주 부분(133)을 포함하는 것인지를 도시한다.
상기 잔디 모듈(101)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잔디 모듈(101)들을 밀거나 당기기 위해 모터로 구동되는 운송수단(motorized vehicle)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잔디 모듈(101)을 당기기 위해, 잔디 모듈(101)에 윈치(winch)를, 바람직하게는 모터로 구동되는 윈치를 연결할 수 있다.
저장실(107) 내에서, 상기 잔디 모듈(101)들의 이동은 윈치 설비(미도시)를 써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텔레스코프 피스톤(telescopic piston) 등과 같은 모듈 저장 선반(117)의 안 또는 밖으로 잔디 모듈을 밀거나 당기기 위하여 모듈에 부착될 수 있는 일단부를 갖는 유압 피스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은 모듈 저장 선반(117) 및 리프트(115)의 리프팅 섹션(123)의 모듈 선반(125) 상에 엔진이 달린 컨베이어 벨트(미도시)를 마련하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잔디 모듈(101)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퀴(127) 셋트 대신, 잔디 모듈(101)에는 에어 쿠션 구성(137) 셋트가 제공된다. 압축 공기는 유연한 공기 호스(139)를 통하여 에어 쿠션 구성(137)으로 운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압축 공기 공급을 통해 잔디 모듈(101)을 약간 상승시켜, 잔디 모듈(101)을 임의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5는 잔디 모듈(101) 및 잔디 모듈을 이동하기 위해 마련된 모터로 구동되는 모듈 트럭(141)을 도시하고 있다. 모듈 트럭(141)은 압축 공기 운반 시스템(143)을 갖는다. 모듈 트럭(141)이 기계적으로 잔디 모듈(101)에 연결되면 잔디 모듈(101)이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압축 공기를 에어 쿠션 구성(137)에 공급한다. 이런식으로 잔디 모듈(101)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상의 기능적인 위치 또는 저장실(107) 안에 저장하기 위해 리프트(115)(애퍼쳐111) 등 원하는 위치로 운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듈 트럭(141)도 바퀴(127) 셋트를 갖는 잔디 모듈(101)과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이후 트럭(141)은 바퀴(127)를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기 위해 예를 들어 수압을 잔디 모듈(101)에 운반한다. 또는 모듈 트럭(141)은 바퀴(127)를 위 또는 아래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잔디 모듈(101)과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가령 기계적 회전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16은 연동 메커니즘(145, 147)을 수단으로 인접한 잔디 모듈(101) 들을 연동하는 3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서 상측 도면은 오른쪽의 잔디 모듈(101)이 바퀴(127)상에서 이미 자리 잡은 왼쪽의 잔디 모듈(101)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바퀴(127)는 왼쪽 모듈과 인접하게 배치되었을 때 위로 당겨지고, 이로 인해 잔디 모듈(101)은 아래로 이동한다. 연동 메커니즘은 경사진 맞물림 면(145)를 갖는 잔디 모듈(101)과, 여기에 인접한 잔디 모듈(101)에 형성된 수용 경사면(receiving inclined face, 147)을 갖는 맞물림 부재를 보인다. 바퀴(127)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두 개의 맞물림 경사 면들(145, 147)은 두 개의 인접한 잔디 모듈(101)들이 서로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즉, 서로 떨어뜨리기 위해, 잔디 모듈(101)들 중 하나(도 16의 오른쪽에 있는 잔디 모듈)는 상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승은 예를 들어 바퀴(127)의 착륙 또는 상술된 에어 쿠션(137)의 활성화에 의해 달성된다.
1 : 스포츠 스타디움 3 : 관중석
100 : 잔디 경기장 101 : 잔디 모듈
103 : 필드 라인 105 :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107 : 저장실 109 : 리프트 서포트 베이스
111 : 애퍼쳐 113 :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
115 : 리프트 117 : 모듈 저장 선반
119 : 애퍼쳐 잠금장치 121 : 애퍼쳐 잠금장치 프로필
123 : 리프팅 섹션 125 : 모듈 선반
127 : 바퀴부 129 : 휠-캐링 빔
131 : 힌지 지지 암 133 : 강성 지주 부분
135 : 잔디 부분 137 : 에어 쿠션 구성
139 : 공기 호스 141 : 모듈 트럭
143 : 압축공기 운반 시스템 145 : 연동 메커니즘
147 : 연동 메커니즘

Claims (12)

  1. 잔디 경기장(turf field, 100) 및 주변의 관중석(3)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으로,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fixed support base, 105) 상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잔디 모듈(101)들을 포함하고, 상기 잔디 모듈들은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로부터 제거 가능한 스포츠 스타디움에 있어서,
    -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는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밑의 저장실(107) 에 접근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애퍼쳐(aperture,111)를 나타내며(exhibits), 상기 저장실은 상기 잔디 모듈(101)들의 저장에 적합하게 마련되고;
    - 상기 애퍼쳐(111)를 통하여 잔디 모듈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리프트(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쳐(111) 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15)는 두 개 이상의 모듈 선반(125)들을 갖는 리프팅 섹션(123)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 선반 각각은 잔디 모듈(101)을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모듈(101)들은 인접한 잔디 모듈들을 상호 해제가능하게 함께 잠금하는 연동 메커니즘(145, 147)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잔디 모듈(101)은 30m2 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100개 미만의 잔디 모듈(101)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15)는 상기 애퍼쳐(111) 밑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실(107) 내의 복수 개의 모듈 저장 선반(117)들은 상기 리프트(115)의 수직 리프팅 경로에 인접한 수직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퍼쳐(111)는 상기 관중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잔디 모듈(101)로 구성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모듈(101)은 상기 잔디 모듈(101)에 대하여 위 아래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 바퀴부(a set of wheels,127)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상에서 상기 잔디 모듈들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07)은 잔디 성장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인공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
  11. 스포츠 스타디움(1)의 잔디 경기장(100)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관중석(3)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잔디 경기장(100)은 잔디 경기장(100)을 구성하도록 상호 조립되는 복수 개의 잔디 모듈(101)들을 포함하는 스포츠 스타디움의 잔디 경기장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의 애퍼쳐(111)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밑의 저장실(107) 내부로 리프트(115)에 의해 상기 잔디 모듈(101)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b) 상기 애퍼쳐(111) 내에 애퍼쳐 서포트 베이스(113)를 배열하는 배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1)의 잔디 경기장(100)을 제거하는 방법.
  12. 겨울 동안 찬 온도로부터 스포츠 스타디움(1)의 잔디 경기장(100)을 보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105) 의 애퍼쳐(111)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고정된 서포트 베이스 밑의 저장실(107) 내부로 리프트(115)에 의해 상기 잔디 모듈(101)들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b) 상기 저장실(107) 내의 저장실 온도를 상기 찬 온도 보다 따뜻하게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잔디 모듈에 빛을 비추며 물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스타디움(1)의 잔디 경기장(100)을 보호하는 방법.
KR1020147002425A 2011-06-30 2012-07-02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 KR20140050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10952 2011-06-30
NO20110952 2011-06-30
PCT/NO2012/050129 WO2013002649A1 (en) 2011-06-30 2012-07-02 Sports stadium with removable turf fiel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640A true KR20140050640A (ko) 2014-04-29

Family

ID=4742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425A KR20140050640A (ko) 2011-06-30 2012-07-02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20004B2 (ko)
EP (1) EP2726165A4 (ko)
JP (1) JP2014520979A (ko)
KR (1) KR20140050640A (ko)
CN (1) CN104039402B (ko)
AU (1) AU2012276391A1 (ko)
BR (1) BR112013033889A2 (ko)
MX (1) MX338160B (ko)
RU (1) RU2014101461A (ko)
WO (1) WO2013002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3006317T5 (de) * 2012-12-30 2015-09-10 Nutcracker Solutions As Stadion mit einem austauschbaren Spielfeld
EP3036020B1 (en) * 2013-08-20 2021-01-27 Nutcracker Solutions AS Sports stadium with movable turf modules and associated method
US10471323B1 (en) * 2014-05-30 2019-11-12 Sports Complex Design Group LLC Playing surface assemblies for softball and baseball pitching areas
JP2019521266A (ja) 2016-06-28 2019-07-25 ナッツクラッカ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ーエス モジュラ芝競技場、並びに、付属アセンブリ、器具、及び方法
CN107300902B (zh) * 2017-08-14 2019-05-14 上海宏奥体育产业有限公司 一种基于体育场地的智能变换系统
CN108824853A (zh) * 2018-06-13 2018-11-16 苏州创存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投影映射以及隐藏式结构的智能体育场变换系统
CN108905181B (zh) * 2018-07-12 2019-08-13 成都城投建筑科技投资管理集团有限公司 便于安装拆卸和维修的足球场
ES2854498B2 (es) * 2020-03-19 2022-09-15 Sener Ing & Sist Sistema para convertir de manera reversible estadios en infraestructuras multifuncionales
WO2022106570A1 (en) 2020-11-19 2022-05-27 Nutcracker Solutions As A turf sports facility
FR3123640B1 (fr) * 2021-06-08 2023-06-02 Renaud Peter Installation d’ascenseur comportant une dalle avec une ouverture obturée par une trappe
CN114766291B (zh) * 2022-05-09 2023-09-29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草皮铺设装置
ES2959278A1 (es) * 2022-07-26 2024-02-22 Sener Ing & Sist Estadio de deportes y método para convertir un estadio de deportes en una infraestructura multifuncional multiespacio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6687A (en) * 1931-06-29 1934-07-17 John A Scott Covering device for outdoor playing fields
US3099444A (en) * 1960-10-04 1963-07-30 Fred E Burt Automatically operated protective system for covering ground areas
US3108804A (en) * 1961-05-05 1963-10-29 Arthur W Wagner Apparatus for covering outdoor athletic fields
CH634756A5 (en) 1978-06-26 1983-02-28 Kurt Truninger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applying a portable floor to an ice rink and removing the latter
US4352260A (en) * 1980-03-14 1982-10-05 Pearcey Leroy G Underground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US4738407A (en) * 1980-11-20 1988-04-19 Monsanto Company Manipulating large sections of artificial turf
US4399954A (en) * 1980-11-20 1983-08-23 Monsanto Company Manipulating large sections of artificial turf
DE3116830C2 (de) * 1981-04-28 1984-10-31 Paul 8011 Putzbrunn Müller Abdeckvorrichtung für offene Behälter beliebiger Füllungen
GB2138690A (en) 1983-04-28 1984-10-31 Anthony Madden Mobile sports turf
US4588189A (en) * 1984-04-23 1986-05-13 Monsanto Company Manipulating large sections of artificial turf
US4640469A (en) * 1984-10-01 1987-02-03 Charles Mackintosh System for rolling and unrolling a ground cover
JPS62225663A (ja) * 1986-03-27 1987-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多目的競技場
US4735024A (en) * 1986-11-21 1988-04-05 Deegan & Rosato Construction Co. Construction of an arena floor adapted to selectively raise and lower
US5187894A (en) * 1990-10-09 1993-02-23 The Greenway Services, Inc. Turfing systems for stadia
US5319895A (en) * 1993-03-05 1994-06-14 Ray William W Activity floor changing system for multi-activity complex
US5468190A (en) * 1993-04-16 1995-11-21 Hatch Associates Ltd. Multi-purpose arena
JP2594597Y2 (ja) 1993-06-24 1999-04-26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床可動式競技場
IT1274369B (it) * 1995-03-28 1997-07-17 Giorgio Vaia Sistema per la protezione di edifici
US6134834A (en) * 1995-06-06 2000-10-24 Greentech, Inc. Horticulturally diverse garden comprising microenvironments
US5595021A (en) * 1995-06-06 1997-01-21 Greentech L.L.C. Turfing systems for stadia
NL1001005C2 (nl) * 1995-08-18 1997-02-20 Frans Hock Multifunctioneel bouwwerk.
JPH09271557A (ja) * 1996-04-05 1997-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施設用途転換機構
JPH09308725A (ja) * 1996-05-21 1997-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競技場
EP0916003B1 (de) * 1996-07-27 2000-12-27 Schiess-Defries Engineering, Immobilien- und Bauträger GmbH Sportfeld, insbesondere fussballfeld, und verfahren zu dessen horizontalverlagerung
JP2961406B2 (ja) * 1996-08-09 1999-10-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競技用フィールドの移動装置
US6070824A (en) * 1996-09-18 2000-06-06 Southwest Recreational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large sections of artificial turf
GB9619531D0 (en) * 1996-09-19 1996-10-30 Buchan David Apparatus for covering ground
JP3952220B2 (ja) * 1996-11-06 2007-08-01 金原 士朗 栽培棚
US5746028A (en) * 1997-06-26 1998-05-05 Dibenedetto; John Moveable grass field
NO973111A (no) * 1997-07-04 1998-12-14 Voelstad Energy As Fremgangsmåte for lagvis oppbygging og oppvarming av gressbane, særlig fotballbane, og gressbane bygget opp i overensstemmelse med fremgangsmåten
US5944444A (en) * 1997-08-11 1999-08-31 Technology Licensing Corp. Control system for draining, irrigating and heating an athletic field
JPH1170207A (ja) 1997-08-29 1999-03-16 Taisei Corp 芝の交換可能な施設の構造
US6263616B1 (en) * 1998-10-30 2001-07-24 J. Robert Hummer Modular grass turf tile system and tray
JP2000240311A (ja) * 1998-12-22 2000-09-05 Kobe Steel Ltd 体育館
JP2000356046A (ja) 1999-06-15 2000-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被敷設体の自動設置収納装置及び畳の自動設置収納装置
IE20000778A1 (en) * 1999-10-01 2001-04-18 Jonathan Roger Weatherby Improvements relating to activity survaces
JP3597123B2 (ja) 2000-09-19 2004-12-02 丸西建設株式会社 床構造及びこれを有する建築物
US6698141B2 (en) * 2001-01-23 2004-03-02 Uni-Systems, Llc Convertible stadium and method of operating
AUPR455601A0 (en) * 2001-04-24 2001-05-24 Strathayr Pty. Limited Liftable turfing systems
US20040006926A1 (en) * 2002-07-15 2004-01-15 Neeley Clifton B. Climate controlled practice facility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GB0317221D0 (en) 2003-07-23 2003-08-27 Marske Site Services Ltd Covering system
CN1256866C (zh) * 2004-03-25 2006-05-24 上海交通大学 利用排水系统调控坪床温度的体育运动草坪
NO322003B1 (no) * 2004-09-17 2006-08-07 Intravision As System for a fremme vekst av planter.
JP4593459B2 (ja) * 2004-12-27 2010-12-08 東邦レオ株式会社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CN1311133C (zh) * 2005-02-25 2007-04-18 高正东 一种可拼装的运动草坪
US7413380B2 (en) * 2006-04-10 2008-08-19 Subair Systems, Llc Golf course turf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80098652A1 (en) * 2006-10-30 2008-05-01 Kenneth Thomas Weinbel Sport playing field
BRPI0918761A2 (pt) * 2008-09-19 2015-12-29 Textile Man Associates Inc sistema e método para o armazenamento e instalação temporária de superfície de piso secundário
US7993729B2 (en) * 2008-10-27 2011-08-09 Ronald Wise Substrate for artificial turf
US20120272585A1 (en) * 2011-04-29 2012-11-01 Hitech Stages, Ltd. Rapidly deployable buggies for a stage system
US20130284397A1 (en) * 2012-03-30 2013-10-31 Brian F. Storm Sport field cool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38160B (es) 2016-04-05
EP2726165A1 (en) 2014-05-07
CN104039402A (zh) 2014-09-10
EP2726165A4 (en) 2015-02-25
CN104039402B (zh) 2016-03-02
BR112013033889A2 (pt) 2017-02-14
JP2014520979A (ja) 2014-08-25
US9120004B2 (en) 2015-09-01
WO2013002649A1 (en) 2013-01-03
AU2012276391A1 (en) 2014-01-23
US20140123566A1 (en) 2014-05-08
RU2014101461A (ru) 2015-08-10
MX2013015171A (es)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0640A (ko) 제거가능한 잔디밭을 갖는 스포츠 스타디움
RU2322544C2 (ru) Моду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травяного покрова
US9874007B2 (en) Transformable platform
US20020029515A1 (en) Modular synthetic grass turf assembly
CN104918667B (zh) 具有可移动场地的运动场馆
JP4018778B2 (ja) 多段式観客席装置
WO2022106570A1 (en) A turf sports facility
JP6387792B2 (ja) 仮設用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仮設床
US6615548B1 (en) Variable sight-line grandstand seating arrangement
US7107724B2 (en) Interchangeable stadium seating and entertainment stage
US200801635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 change of events associated with a multi-use amphitheater/sports complex
JP7471137B2 (ja) 競技場
JP2566025B2 (ja) 移動観客席を備える競技場
JPH08254035A (ja) 可動スタンドシステム
JP6482772B2 (ja) 競技場
RU9801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адион
JP2023163563A (ja) 多コート競技場
JPH036747Y2 (ko)
WO2011155860A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стадион
JPH035638Y2 (ko)
JP2020033721A (ja) 多目的競技場
JPH036746Y2 (ko)
JP6425488B2 (ja) 観客席構造
KR100675910B1 (ko) 월드컵 축구장을 이용한 골프 연습장
DE102006058170A1 (de) System aus einer Basistribüne, insbesondere eines Mehrzweck-Sportstadions, und einer variablen Tribünenvorrichtung als Zusatzkonstruktion für die Basistribüne sowie variable Tribünen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