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222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222A
KR20140044222A KR1020120110306A KR20120110306A KR20140044222A KR 20140044222 A KR20140044222 A KR 20140044222A KR 1020120110306 A KR1020120110306 A KR 1020120110306A KR 20120110306 A KR20120110306 A KR 20120110306A KR 20140044222 A KR20140044222 A KR 2014004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ttom plate
suction head
suction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320B1 (ko
Inventor
이현주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20B1/ko
Priority to EP13186947.1A priority patent/EP2716197B1/en
Priority to US14/045,362 priority patent/US20140096340A1/en
Priority to CN201310462988.9A priority patent/CN103705172A/zh
Publication of KR2014004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222A/ko
Priority to US15/378,593 priority patent/US201700866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4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 A47L9/065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actuating means therefor with mechanical actuation, e.g. using a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흡입헤드를 포함하고, 바닥판은 흡입헤드의 전진 시에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흡입헤드의 후진 시에 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커버와 바닥판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브러시를 갖는 브러시 베이스를 더 포함한다. 브러시 베이스는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흡입헤드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와,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상기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헤드와, 상기 흡입헤드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가전 기기이다.
팬모터와 집진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입헤드는 연장관 유닛에 의해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가 필요한 여기저기의 피청소면 위를 이동할 수 있다.
흡입헤드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바닥판과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바닥판 또는 피청소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러시(brush,솔)가 설치되는 브러시 베이스와, 바닥판 및 브러시 베이스를 커버하고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때, 브러시 베이스는 필요에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마루 바닥과 같이 상대적으로 딱딱한 피청소면(Hard Floor)을 청소할 때는 브러시 베이스가 하강하고, 카펫과 같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는 브러시 베이스가 상승될 수 있다. 다만, 브러시 베이스는 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브러시 베이스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통상적으로 흡입헤드를 전진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시에 피청소면의 저항에 의해 흡입헤드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흡입헤드를 전진시키는데 필요한 조작력이 크다. 또한, 흡입헤드를 후진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시에 흡입헤드의 후단이 들리게 되면 흡입구와 피청소면이 밀착되지 않음으로써 흡입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의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흡입헤드를 갖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진 시에 조작력이 저감되도록 구성된 흡입헤드를 갖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후진 시에 흡입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된 흡입헤드를 갖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유닛; 및 상기 연장관 유닛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흡입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고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헤드를 그 전단이 좌측에 위치되고 그 후단이 우측에 위치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축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바닥판은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가 그 후단이 상기 피청소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바닥판은 그 전단에 가해지는 상기 피청소면의 반작용력 또는 상기 바닥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덕트의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바닥판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완만하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바닥판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커버에 간섭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유닛; 및 상기 연장관 유닛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브러시를 갖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를 포함하는 흡입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베이스는 상기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흡입헤드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식부는 상기 브러시 베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식부가 수용되는 절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식부는 상기 절개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커버 측으로 최대로 상승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바닥판 대신 상기 브러시가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바닥판 측으로 최대로 하강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표식부와 상기 커버의 단차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표식부와 상기 커버의 단차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청소기는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버부재로서,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돌기와,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레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는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과, 브러시와 상기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흡입헤드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를 갖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를 포함하는 흡입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커버 측으로 최대로 상승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바닥판 대신 상기 브러시가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바닥판 측으로 최대로 하강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고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브러시가 설치된 브러시 베이스의 위치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헤드를 전진시킬 때 그 조작력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흡입헤드를 후진시킬 때 흡입헤드의 후단이 피청소면에서 들려서 이격되어도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헤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흡입헤드가 제 1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바닥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바닥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헤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흡입헤드가 제 2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1)는 흡입력을 형성하는 팬모터(21)와 흡입된 공기에서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는 집진장치(22)가 수용되는 본체(20)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헤드(100)와, 흡입헤드(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본체(20)로 안내하도록 흡입헤드(100)와 본체(20)를 연결하는 연장관 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장치(22)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오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방식이거나 공기를 여과 봉투에 통과시킴으로써 오물을 걸러 내는 먼지 봉투 방식일 수 있으며, 또는 그 밖에 오물을 분리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집진장치(22)를 통해 오물이 분리된 정화 공기는 본체(20)의 외부로 다시 배출된다.
연장관 유닛(1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연장관(11)과, 연장관(11)과 본체(20)를 연결시키고 유연성을 갖는 연장호스(13)와, 흡입헤드(100)와 연장관(11)을 연결시키는 커넥터(11)와, 손잡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는 흡입헤드(100)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흡입헤드(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휠(15,도 2)을 구비할 수 있다.
흡입헤드(100)는 피청소면에 밀착되어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는 피청소면의 종류와 재질 및 상태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거나 흡입력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피청소면이 카펫과 같이 부드러운 섬유 재질인 경우에 흡입력을 제고하기 위한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피청소면이 마루 바닥과 딱딱한 재질인 경우에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흡입헤드(100) 또는 피청소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드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는 사용자가 현재 흡입헤드(100)가 제 1 모드인지 또는 제 2 모드인지를 인지하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는 카펫 등에 사용되는 제 1 모드에서 흡입헤드(100)의 전진 시에 그 조작이 용이하도록 마련되고, 흡입헤드(100)의 후진 시에 흡입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헤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흡입헤드가 제 1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바닥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청소기의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바닥판이 회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청소기의 흡입헤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흡입헤드가 제 2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헤드(100)는 커넥터(11)에 결합되는 커버(200)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40)를 갖고 커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600)과, 브러시(450)를 갖고 커버(200)와 바닥판(600)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400)와, 브러시 베이스(4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부재(300)와, 브러시 베이스(40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0)는 레버부재(300)와, 브러시 베이스(400)와, 탄성부재(500)와, 바닥판(600)의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헤드(100)의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0)에는 제 1 회전축(230)과, 제 2 회전축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고, 바닥판(600)에는 제 1 회전축수용부(620)와, 제 2 회전축(6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230)은 제 1 회전축수용부(62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고, 제 2 회전축(610)은 제 2 회전축수용부(24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제 1 회전축(230)과 제 2 회전축(610)은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즉, 제 1 회전축(230)의 연장선과 제 2 회전축(610)의 연장선은 동일한 직선일 수 있으며 하나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닥판(600)은 외부의 힘에 의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커버(200)에는 가이드바(260)가 형성되고, 브러시 베이스(400)에는 가이드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바(260)는 커버(200)에서 바닥판(600) 측으로 돌출되고, 가이드홀(43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브러시 베이스(400)는 가이드바(260)에 지지되어 커버(200)와 바닥판(600)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할 수 있다.
브러시 베이스(40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브러시 베이스(400)에는 탄성부재 장착부(440)가 형성되고, 바닥판(600)에는 장착돌기(63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 장착부(440)는 가이드홀(430)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탄성부재 장착부(440)와 장착돌기(630)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가이드홀(430)을 관통하는 가이드바(2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는 브러시 베이스(400)의 위치는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에서의 브러시 베이스(400)의 위치이다. 이때,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에서의 브러시 베이스(400)의 위치는 브러시 베이스(400)가 커버(200)측으로 가장 상승한 위치이다.
브러시 베이스(400)는 레버부재(300)에 의해 흡입헤드(100)의 제 2 모드에서의 브러시 베이스(40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흡입헤드(100)의 제 2 모드에서의 브러시 베이스(400)의 위치는 브러시 베이스(400)가 바닥판(600) 측으로 가장 하강한 위치이다.
레버부재(300)에는 제 3 회전축(310)이 형성되고, 커버(200)에는 제 3 회전축수용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회전축(310)은 제 3 회전축수용부(25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레버부재(300)에는 레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320)가 형성되고, 커버(200)에는 조작부(32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320)를 가압함으로써 레버부재(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320)를 가압하면 레버부재(300)는 제 3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작부(320)는 레버부재(3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321)와, 레버부재(30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조작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부재(300)에는 브러시 베이스(40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330)는 브러시 베이스(400)의 작용부(49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베이스(400)에는 제 1 지지면(491)과, 경사면(492)와, 제 2 지지면(493)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면(491)은 제 2 지지면(493) 보다 제 3 회전축(310)에서 멀게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492)은 제 1 지지면(491)과 제 2 지지면(493)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지지면(491)과, 경사면(492)과, 제 2 지지면(493)은 가압돌기(3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도 8은 흡입헤드(100)가 제 1 모드인 경우, 즉 브러시 베이스(400)가 커버(200) 측으로 최대한 상승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압돌기(330)는 제 3 회전축(310)에서 가장 멀게 위치한 제 1 지지면(49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 베이스(40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은 흡입헤드(100)가 제 2 모드인 경우, 즉 브러시 베이스(400)가 바닥판(600) 측으로 최대한 하강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조작부(322) 측을 아래로(D 방향) 가압하면, 레버부재는 제 3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돌기(300) 역시 제 3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 1 지지면(491)과, 경사면(492)과, 제 2 지지면(493)을 차례로 가압한다. 최종적으로 가압돌기(300)가 제 2 지지면(493)을 가압하게 되면 가압돌기(300)의 가압이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을 이기고 따라서 브러시 베이스(400)는 이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흡입헤드(100)는 제 1 모드에서 제 2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도 8로 돌아가서, 흡입헤드(100)가 제 2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1 조작부(321)을 아래로(C 방향) 가압하면, 레버부재는 제 3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가압돌기(300) 역시 제 3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압돌기(300)가 회전하면서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브러시 베이스(400)는 상승하고 가압돌기(300)가 제 1 지지면(491)에 의해 지지되면 브러시 베이스(400)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흡입헤드(1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바닥판(600)에는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42)가 형성된다. 흡입구(642)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공간(641)과, 흡입공간(641)을 형성하도록 커버(200) 측으로 돌출하는 격벽부(642)를 포함한다.
바닥판(600)의 저면에는 공기를 흡입구(642)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통로(6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통로(650)는 흡입구(642)의 양측에 바닥판(6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베이스(400)에는 흡입구(642)가 관통하는 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커버(200)에는 흡입구(64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연장관 유닛(10)으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덕트(210)가 형성된다. 흡입구(642)는 관통홀(410)을 관통하여 흡입덕트(2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642)는 흡입된 공기가 흡입덕트(21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흡입덕트(210)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흡입덕트(210)의 입구(211)에 밀착되는 실링부(643)를 포함한다. 이때, 실링부(643)는 완만하게 형성되는 곡면부(6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경우에도 격벽부(642)는 흡입덕트(210)의 입구(211)에 밀착될 수 있고 따라서 흡입구(64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누출되지 않고 흡입덕트(210)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격벽부(642)에는 바닥판(6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돌기(64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돌기(645)는 커버(200)에 간섭됨으로써 바닥판(6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반대로 스토퍼돌기(645)가 커버(200)에 형성되고 바닥판(600)에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브러시 베이스(400)에는 브러시(450)와, 전방 차단부재(460)와, 후방 차단부재(470)가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450)와, 전방 차단부재(460)와, 후방 차단부재(470)는 브러시 베이스(400)가 상승하는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일 때 그 최하점이 바닥판(600)의 최하점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브러시 베이스(400)가 하강하는 흡입헤드(100)의 제 2 모드일 때 그 최하점이 바닥판(600)의 최하점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헤드(100)가 제 1 모드일 때는 바닥판(300)이 피청소면에 접촉되고, 흡입헤드(100)가 제 2 모드일 때는 브러시(450)와, 전방 차단부재(460)와, 후방 차단부재(470)가 피청소면에 접촉되고 바닥판(600)은 피청소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전방 차단부재(460)와, 후방 차단부재(470)는 브러시 베이스(400)가 하강하는 흡입헤드(100)의 제 2 모드일 때 바닥판(600)의 흡입구(640) 주변을 적절히 밀폐시켜 흡입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소 큰 오물도 통과할 수 있도록 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차단부재(460)와, 후방 차단부재(470)는 공기가 흡입구(640)로 유입될 수 있는 통과홈(461,471)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의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동작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도면 부호 F 는 흡입헤드(100)가 전진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 부호 R 은 흡입헤드(100)가 후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 부호 A 는 흡입헤드(100)가 전진 시에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 부호 B 는 흡입헤드(100)가 후진 시에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베이스(400)가 상승하여 바닥판(600)이 직접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에서 흡입헤드(100)가 전진(F)하면, 바닥판(600)은 제 1 회전축(230) 및 제 2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커버(200)에 대해 A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600)은 커버(20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흡입헤드(100)가 전진 시에 바닥판(600)은 피청소면으로부터 마찰 저항을 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바닥판(600)이 회전함으로써 바닥판(600)의 후단이 피청소면에서 다소 이격되게 되고, 바닥판(600)에 작용하는 피청소면의 마찰 저항이 저감되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흡입헤드(100)를 전진시키는데 필요한 조작력이 저감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베이스(400)가 상승하여 바닥판(600)이 직접 피청소면에 접촉하는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에서 흡입헤드(100)가 후진(R) 시에 커버(200)가 피청소면에 대해 소정 각도(θ)로 회전하게 되면, 바닥판(600)은 제 1 회전축(230) 및 제 2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커버(200)에 대해 B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600)은 커버(200)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커버(200)가 피청소면에 대해 소정 각도(θ)로 회전하게 되면 피청소면에 의해 바닥판(600)의 전단에 반작용력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바닥판(600)의 자중에 의해 커버(200)가 회전하더라도 바닥판(600)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커버(200)가 그 후단이 피청소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바닥판(600)이 커버(200)에 대해 그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에 밀착되므로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의 모드 인지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헤드(100)는 브러시 베이스(400)가 커버(200) 측으로 최대한 상승하는 제 1 모드와, 브러시 베이스(400)가 바닥판(600) 측으로 최대한 하강하는 제 2 모드 중에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브러시 베이스(400)는 커버(200)의 외부에 노출되어 흡입헤드(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480)를 포함한다. 커버(200)에는 표식부(480)가 수용되는 절개홈(270)이 형성되고, 표식부(480)는 절개홈(270)의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다.
표식부(480)는 브러시 베이스(400)의 적절한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식부(480)는 브러시 베이스(400)의 모서리에 형성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480)는 흡입헤드(100)의 제 1 모드에서는 커버(200)와 단차를 가지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부(480)는 흡입헤드(100)의 제 2 모드에서는 커버(200)와 단차(H)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시 베이스(400)의 현재 위치 및 흡입헤드(100)의 모드를 즉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청소기 10 : 연장관 유닛
11 : 커넥터 12 : 연장관
13 : 연장호스 14 : 손잡이
15 : 휠 20 : 본체
21 : 팬모터 22 : 집진장치
100 : 흡입헤드 200 : 커버
210 : 흡입덕트 211 : 흡입덕트 입구
220 : 개구부 230 : 제 1 회전축
240 : 제 2 회전축수용부 250 : 제 3 회전축수용부
260 : 가이드바 270 : 절개홈
300 : 레버부재 310 : 제 3 회전축
320 : 조작부 321 : 제 1 조작부
322 : 제 2 조작부 330 : 가압돌기
400 : 브러시 베이스 410 : 관통홀
430 : 가이드홀 440 : 탄성부재 장착부
450 : 브러시 460 : 전방 차단부재
461 : 통과홈 470 : 후방 차단부재
471 : 통과홈 480 : 표식부
490 : 작용부 491 : 제 1 지지면
492 : 경사면 493 : 제 2 지지면
500 : 탄성부재 600 : 바닥판
610 : 제 2 회전축 620 : 제 1 회전축수용부
630 : 장착돌기 640 : 흡입구
641 : 흡입 공간 642 : 격벽부
643 : 실링부 644 : 곡면부
645 : 스토퍼돌기 646 : 흡입구 후방 입구
650 : 가이드통로 A : 전진시 회전 방향
B : 후진시 회전 방향 C : 제 1 조작부 가압 방향
D : 제 2 조작부 가압 방향 H : 단차
F : 전진 방향 R : 후진 방향
θ : 회전 각도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유닛; 및
    상기 연장관 유닛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흡입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은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고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를 그 전단이 좌측에 위치되고 그 후단이 우측에 위치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상기 제 2 방향은 시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축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바닥판은 상기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가 그 후단이 상기 피청소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바닥판은 그 전단에 가해지는 상기 피청소면의 반작용력 또는 상기 바닥판의 자중에 의해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격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덕트의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상기 흡입덕트의 내부로 안내되도록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에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는 상기 바닥판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입구에 밀착되도록 완만하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바닥판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커버에 간섭되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유닛; 및
    상기 연장관 유닛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바닥판과, 브러시를 갖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를 포함하는 흡입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베이스는 상기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흡입헤드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는 상기 브러시 베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표식부가 수용되는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는 상기 절개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커버 측으로 최대로 상승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바닥판 대신 상기 브러시가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바닥판 측으로 최대로 하강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표식부와 상기 커버의 단차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표식부와 상기 커버의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레버부재로서,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가압하는 가압돌기와, 상기 레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레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베이스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7.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흡입력을 생성하는 팬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오물을 수거하는 집진장치;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는 커버와,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갖고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판과, 브러시와 상기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흡입헤드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표식부를 갖고 상기 커버와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브러시 베이스를 포함하는 흡입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헤드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커버 측으로 최대로 상승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바닥판 대신 상기 브러시가 상기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러시 베이스가 상기 바닥판 측으로 최대로 하강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흡입헤드가 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고 상기 흡입헤드가 후진 시에 상기 커버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20110306A 2012-10-04 2012-10-04 청소기 KR10201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06A KR102015320B1 (ko) 2012-10-04 2012-10-04 청소기
EP13186947.1A EP2716197B1 (en) 2012-10-04 2013-10-01 Vacuum Cleaner
US14/045,362 US20140096340A1 (en) 2012-10-04 2013-10-03 Vacuum cleaner
CN201310462988.9A CN103705172A (zh) 2012-10-04 2013-10-08 真空吸尘器
US15/378,593 US20170086631A1 (en) 2012-10-04 2016-12-14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306A KR102015320B1 (ko) 2012-10-04 2012-10-04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222A true KR20140044222A (ko) 2014-04-14
KR102015320B1 KR102015320B1 (ko) 2019-08-28

Family

ID=4930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306A KR102015320B1 (ko) 2012-10-04 2012-10-04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096340A1 (ko)
EP (1) EP2716197B1 (ko)
KR (1) KR102015320B1 (ko)
CN (1) CN1037051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3863A1 (de) * 2013-11-21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5109968A1 (de) * 2015-06-22 2016-12-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düse und Verwendung einer Borstenleiste für eine Saugdüse
CN105147190B (zh) * 2015-09-09 2018-03-3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地刷和具有其的吸尘器
KR20170123059A (ko) * 2016-04-28 2017-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9620B2 (en) * 2000-09-28 2006-07-04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1831A (en) * 1972-06-19 1974-07-02 Sunbeam Corp Multi-position brush nozzle for vacuum cleaner
DE2846847C2 (de) * 1978-10-27 1985-02-14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Staubsaugerdüse
NL8001789A (nl) * 1980-03-26 1981-10-16 Wessel Hans Stofzuigermondstuk.
US5475893A (en) * 1994-03-04 1995-12-1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edge brush for vacuum cleaner
DE19938325C2 (de) * 1999-08-12 2003-09-18 Wessel Werk Gmbh Bürstenvorsatzgerät zum Reinigen von Bodenflächen
US6514356B2 (en) * 2001-01-12 2003-02-04 Royal Appliance Mfg. Co. Edge cleaner for vacuum cleaner
GB0126494D0 (en) * 2001-11-03 2002-01-02 Dyson Ltd A floor tool
KR100628387B1 (ko) * 2005-09-27 2006-09-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CN101204303A (zh) * 2006-12-22 2008-06-25 三星光州电子株式会社 真空吸尘器的吸嘴
KR101369227B1 (ko) * 2007-05-28 201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
FR2967042B1 (fr) * 2010-11-05 2013-01-04 Seb Sa Suceur d'aspirateur avec semelle calee en ro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9620B2 (en) * 2000-09-28 2006-07-04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320B1 (ko) 2019-08-28
EP2716197A2 (en) 2014-04-09
EP2716197A3 (en) 2018-05-16
US20170086631A1 (en) 2017-03-30
EP2716197B1 (en) 2019-12-04
US20140096340A1 (en) 2014-04-10
CN103705172A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597B1 (ko) 노즐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2015320B1 (ko) 청소기
JP6800048B2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EP2975993B1 (en) A vacuum cleaner nozzle comprising a rear brush mechanism
JP5141454B2 (ja) 電気掃除機
JP2013252255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160026122A (ko) 진공청소기
KR200359525Y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장치
KR102341735B1 (ko) 청소기
KR101331719B1 (ko) 청소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JP4909669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US11076732B2 (en) Vacuum cleaner
JP2010200801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00088354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4867634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1702334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231310B1 (ko)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KR19990073729A (ko) 업라이트청소기의 흡입장치
JP201701268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6202276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この吸込具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5312714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5612301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364058Y1 (ko) 진공청소기의 스위치 결합구조
WO2014146731A1 (en) Vacuum cleaner nozzle
JP2002065523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