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122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122A
KR20160026122A KR1020140114052A KR20140114052A KR20160026122A KR 20160026122 A KR20160026122 A KR 20160026122A KR 1020140114052 A KR1020140114052 A KR 1020140114052A KR 20140114052 A KR20140114052 A KR 20140114052A KR 20160026122 A KR20160026122 A KR 2016002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nozzle
extension pipe
extension
lengt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576B1 (ko
Inventor
부민혁
윤상훈
조철연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576B1/ko
Priority to EP15174351.5A priority patent/EP2989956B1/en
Publication of KR2016002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47L9/2863Control elements activated by pivoting movement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진공청소유닛; 및 상단에 상기 진공청소유닛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흡입노즐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피청소면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임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탠딩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를 완료하거나 청소를 잠시 멈출 때 사용자가 극히 단순한 조작을 통해 스탠딩 상태로 유지하고, 청소 시 다시 스탠딩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흡입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흡입노즐과 피청소면 간에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여 수거하는 장치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형태 및 주된 용도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 업라이트 타입(Uplight Type), 핸디 타입(Handy Type) 및 스틱 타입(Stick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는 진공청소유닛과, 흡입노즐과, 진공청소유닛 및 흡입노즐을 상호 연결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는 연장관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청소유닛이 핸디 타입 진공청소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는 청소를 완료하거나 청소 중에 잠시 청소를 멈추어 둘 때 진공청소기 자체적으로 스탠딩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바닥에 눕혀 놓거나 벽에 기대어 둔다.
진공청소기가 바닥에 눕혀 있을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굽혀 진공청소기를 세운 후 청소를 재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진공청소기를 벽에 기대어 두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무게중심이 진공청소기의 상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쉽게 쓰러지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한 진공청소유닛이 파손이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는 흡입노즐에 설치된 회전브러시를 청소하기 위해 흡입노즐로부터 분리할 때, 사용자가 직접 회전브러시를 파지한 상태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회전브러시에 잔류하는 오물이 사용자에 손에 묻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소를 완료하거나 청소를 잠시 멈출 때 사용자가 극히 단순한 조작을 통해 진공청청소기를 스탠딩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반대로 스탠딩 상태에서 스탠딩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것 역시 단순한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노즐의 회전브러시를 흡입노즐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는 것은 물론, 회전브러시 분리 시 사용자의 손에 오물이 묻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인 취급이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진공청소유닛; 및 상단에 상기 진공청소유닛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흡입노즐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피청소면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임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탠딩 상태로 설정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청소 시 제1 길이를 유지하고, 스탠딩 시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일단에 상기 흡입노즐이 연통되는 연결부; 하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통되는 제1 연장관과, 상기 제1 연장관에 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장관을 포함하는 신축부; 및 상기 제1 연장관 및 연결부 내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 연장관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연결부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간섭 해제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의한 간섭이 해제될 때 상기 제2 연장관이 제1 연장관을 따라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장관을 록킹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 부재의 하단에 대한 간섭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직선왕복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싱 및 푸싱 해제되며, 타단이 상기 제3 부재의 일단의 푸싱 또는 푸싱 해제에 따라 상기 흡입노즐의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2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축소하고 상기 제3 부재를 푸싱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는, 상기 흡입노즐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관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2 회동부 내측에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제4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2 연장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 및 가압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를 상기 제1 회동부에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 부재의 제2 연장관에 대한 록킹을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2 연장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 회동부를 상기 제1 회동부에 록킹할 수 있다.
상기 진공청소유닛은 상기 제2 연장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유닛은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제2 연장관에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에 연통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구비된 레버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함게 회전하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피가압돌기에 간섭된 후 간섭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피가압돌기 간에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흡입노즐; 진공청소유닛; 및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호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장관 조립체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탠딩 상태로 설정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노즐; 진공청소유닛; 및 상기 진공청소유닛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스탠딩 상태는 상기 신축부가 일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신축부의 길이가 짧아져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탠딩 해제 상태는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늘이면서 상기 신축부를 상기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각각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스탠딩 해제 상태(청소 상태)에서 스탠딩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Ⅵ-Ⅵ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시된 Ⅶ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표시된 Ⅷ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a에 표시된 Ⅸ-Ⅸ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b에 도시된 흡입노즐과 연장관 조립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b에 도시된 연장관 조립체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c에 도시된 흡입노즐과 연장관 조립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c에 도시된 연장관 조립체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흡입노즐의 브러시부에 구비된 레버부재를 일방향으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흡입노즐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흡입노즐의 브러시부가 흡입노즐의 몸체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연장관 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핸디 청소기를 구비하는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에 한정되지 않고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 경우 연장관 조립체는 별도의 연결호스를 통해 진공청소유닛과 연통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의 구성과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진공청소기(10)의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특히, 연장관 조립체(300)와 흡입노즐(5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진공청소유닛(100), 연장관 조립체(300) 및 흡입노즐(500)을 포함한다.
진공청소유닛(100)은 핸디 청소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모터(미도시)와, 진공청소유닛(100) 내부로 흡입된 오물(먼지, 머리카락 등 각종 이물질)을 수거하는 먼지통(110)과, 사용자가 진공청소기(10)를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130)와, 연장관 조립체(3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진공청소유닛(100)은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기 위해 진공청소유닛(100)의 내측에 먼지통(110)과 연통되는 사이클론 구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 조립체(300)는 길이가 가변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이 경우 연정관 조립체(300)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길이 가변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장관 조립체(300)는 상단이 진공청소유닛(10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흡입노즐(500)과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연장관 조립체(300)는 흡입노즐(500)로부터 유입된 오물을 진공청소유닛(100)으로 안내한다.
흡입노즐(500)은 저면과 피청소면(20, 도 3a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 분위기를 이용하여 오물을 흡입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를 스탠딩 해제 상태에서 스탠딩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는 청소 시 연장관 조립체(300)가 피청소면(20)과 이루는 각도가 θ1보다 작은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청소 중에는 연장관 조립체(300)의 길이가 축소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10)를 통해 청소를 진행하는 상태를 스탠딩 해제 상태로 정의한다.
이어서, 청소를 멈추는 동안 진공청소기(10)를 스탠딩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장관 조립체(300)를 도 3a와 같이 피청소면(20)에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R 방향으로 θ2만큼 기울인다.
이에 따라 연장관 조립체(300)의 길이는 축소되고, 이와 동시에 진공청소유닛(100)의 높이가 스탠딩 해제 상태(청소 상태)보다 피청소면(20)에 가깝게 점차 낮아진다.
도 3c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는 연장관 조립체(300)의 길이가 줄어듦과 동시에 흡입노즐(500)의 전방으로 θ2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안정적인 스탠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관 조립체(300)가 R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각도 θ2는 흡입노즐(500)의 전후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흡입노즐(500)의 전후 길이가 연장관 조립체(300)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길수록 θ2는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연장관 조립체(300)의 길이와 각도 θ2는 비례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진공청소기(10)의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연장관 조립체(3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연장관 조립체(300)는, 도 1, 도 2 및 도 5와 같이, 길이 가변이 가능한 신축부(310)와, 신축부(310)의 하단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50)와, 신축부(310) 및 연결부(350)의 내부에 배치된 설정부(39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신축부(310)는 제1 연장관(320)과, 제1 연장관(3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장관(330)을 포함한다.
신축부(310)는 스탠딩 해제 상태에서 제1 길이(L1, 도 3a 참조)를 유지하며, 스탠딩 상태에서 제1 길이(L1) 보다 짧은 제2 길이(L2, 도 3c 참조)로 유지된다.
제1 연장관(320)은 하단이 연결부(350)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설정부(390)의 일부(후술하는 제1 부재(391), 도 4 참조)가 제1 연장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연장관(330)은 제1 연장관(320)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제1 연장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신축부(310)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다.
제2 연장관(330)은 상단에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부(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부(150) 결합 시 흡입부(150)와 연통된다. 또한, 제2 연장관(330)은 진공청소유닛(100)의 흡입부(150)가 결합될 때, 흡입부(150)가 제2 연장관(330)에 록킹 및 록킹 해제될 수 있도록 록킹버튼(33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350)는 신축부(310)와 흡입노즐(500)을 상호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며, 제1 회동부(360)와 제2 회동부(370)를 포함한다.
제1 회동부(360)는 선단(361)이 회전 연결구(363, 도 6 참조)에 의해 흡입노즐(500)의 후단(5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회동부(360)는 흡입노즐(50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흡입노즐(500)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 시 피청소면(20)을 따라 진행하는 흡입노즐(500)의 진행방향을 좌우로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동부(360)는 내측에 설정부(390)의 일부(후술하는 제3 부재(393), 도 7 참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노즐(500)이 연결부(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흡입노즐(500)과 연결부(350)는 상호 회전 되지 않는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설정부(390)의 제3 부재(393)를 생략할 수 있다.
제2 회동부(370)는 상단부(371)가 제1 연장관(320)의 하단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회동부(370)의 상단부(371)는 제2 연장관(320)이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경우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제2 연장관(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회동부(370)의 상단부(371)에는 전술한 제2 연장관(330)의 록킹버튼(331)과 같은 록킹 및 언록킹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회동부(370)는 흡입노즐(500)의 전후 방향이 가상의 축에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는 힌지축(372)을 통해 제1 회동부(3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회동부(370)는 흡입노즐(500)의 전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 회동부(370)는 피청소면(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저부에 제1 바퀴(373)를 구비하고, 양측에 각각 제2 및 제3 바퀴(374,375)가 구비된다. 제1 바퀴(373)는 흡입노즐(500)이 피청소면(20)을 따라 주로 전후진 시와, 제2 및 제3 바퀴(373,374)는 흡입노즐(500)이 좌우로 선회 시 각각 제2 회동부(370)를 피청소면(2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술한 제1 및 제2 회동부(360,370)는 내측에 가요성 호스(미도시)가 배치되며, 이 가요성 호스는 흡입노즐(500)로 유입된 오물이 포함된 공기를 연장관 조립체(300)로 안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설정부(390)는 신축부(31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제1 및 제2 부재(391,392)와, 제2 부재(392)와 연동하여 흡입노즐(500)을 연결부(350)에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제3 부재(393)와, 신축부(310)의 길이 조절에 연동하여 연결부(350)의 제1 및 제2 회동부(391,392) 간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제4 부재(394)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재(391)는 신축부(310)가 제1 길이(L1)을 유지하도록 제2 연장관(330)을 록킹한다.
이를 위해, 제1 부재(391)는 제1 연장관(320)의 내측에 제1 연장관(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에 록킹돌기(391a)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 록킹돌기(391a)는 제2 연장관(330)의 하단부 내측에 형성된 록킹홈(333, 도 8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부재(391)의 록킹돌기(391a)는 제1 부재(391)가 제2 부재(392)에 의한 간섭이 해제될 때 제2 연장관(330)의 록킹홈(333)으로부터 이탈된 후 도 8과 같이 제1 연장관(320) 내측에 돌출된 돌기부(325)의 경사면(326)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연장관(330)의 록킹을 해제한다. 이 경우, 제2 연장관(330)은 제1 부재(391)에 의한 록킹이 해제되어 제1 연장관(320)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탄성부재(395)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일단이 제1 연장관(320)의 내부에 돌출된 제1 고정돌기(32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부재(391)에 일체로 형성된 제2 고정돌기(391a)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부재(391)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시 제1 연장관(320)의 제1 돌기(321)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 부재(3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구멍(395c)이 형성된다. 제1 부재(391)의 관통구멍(395c)에는 제1 탄성부재(395)가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395)는 제1 부재(391)가 제2 연장관(330)을 록킹하는 위치에 있을 때 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제1 부재(391)에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1 부재(391)에 대한 제2 부재(392)의 간섭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1 부재(391)는 제1 탄성부재(395)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부재(391)는 제2 부재(392)에 의해 간섭됨에 따라 제1 부재(391)가 상승하여 제2 연장관(330)을 록킹하는 동안 제1 탄성부재(395)에 의해 지속적으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1 부재(391)는 하단(391d)이 제2 회동부(370)의 상단부(371)에 삽입되며, 제2 부재(392)의 상단(392a)과 접한다. 제1 부재(391)는 제2 부재(392)의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부재(392)의 상단(392a)에 선택적으로 간섭 및 간섭 해제된다.
제2 부재(392)는 대략 가운데 부분이 제2 회동부(370)의 내측에 돌출된 힌지핀(371a)에 의해 일방향 및 역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부재(392)는 제2 회동부(370)가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회동하는 경우, 제2 회동부(370) 내측 일부(371b)에 의해 제2 부재(392)의 하단부(힌지핀(371a)를 기준으로 하측 부분)가 연결부(350)의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2 회동부(370)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부재(392)의 상단(392a)이 회전하면서 제1 부재(391)의 하단(391d)은 제2 부재(392)의 상단(392a)에 의한 간섭이 해제된다.
또한, 제2 부재(392)는 하단(393b)이 제3 부재(393)의 후단(393a)과 접하며, 제2 회동부(370)가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회동 시 제3 부재(393)의 후단(393a)을 흡입노즐(500) 측으로 가압하고, 제2 회동부(370)가 반대 방향으로 회동 시 제3 부재(393)의 후단(393a)에 대한 가압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제2 부재(392)는 제2 회동부(370)와 함께 일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부재(391) 및 제3 부재(393)를 함께 작동시킨다.
제3 부재(393)는 제1 회동부(360)가 흡입노즐(500)에 대하여 록킹 및 언록킹 되도록 선단(393a)이 흡입노즐(500)의 후단(501) 내측에 형성된 록킹홈(503)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된다.
이를 위해 제3 부재(393)는 제1 회동부(360) 내측에 흡입노즐(500)에 대하여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3 부재(393)는 제2 부재(392)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때 제3 부재(393)의 선단(393a)이 흡입노즐(500)의 록킹홈(503)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2 탄성부재(39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 경우, 제2 탄성부재(396)는 일단이 제1 회동부(360)의 내측 일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3 부재(393)에 돌출된 걸림돌기(393c)에 지지된다.
제4 부재(394)는 제2 회동부(370)가 제1 회동부(36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한다. 이를 위해, 제4 부재(394)는 도 7 및 도 9와 같이, 제4 부재(394)의 하단(394b)이 제1 회동부(360)의 후부에 형성된 록킹홈(365)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된다.
이와 같은 제4 부재(394)는, 스탠딩 해제 상태에서 제4 부재(394)의 상단 (394a)이 제2 회동부(370)의 상단부(371)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며 제4 부재(394)의 하단(394b)은 제1 회동부(260)의 록킹홈(365)으로부터 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제4 부재(394)는 스탠딩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제2 연장관(330)의 하단(335)에 의해 제4 부재(394)의 상단(394a)이 하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4 부재(394)의 하단(394b)이 제1 회동부(360)의 록킹홈(365)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제4 부재(394)는 제3 탄성부재(397)에 의해 제2 회동부(37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제3 탄성부재(397)는 제4 부재(394) 내측에 제4 부재(39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394c)에 배치된다. 또한, 제3 탄성부재(397)는 일단이 제2 회동부(370)의 내측 일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4 부재(394)의 요홈(394c) 일면(394d)에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청소기(10)의 스탠딩 해제 상태 및 스탠딩 상태 간 전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a를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0)는 청소 시 연장관 조립체(300)의 신축부(310)가 θ1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이때 스탠딩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스탠딩 해제 상태는 도 7과 같이 제1 부재(391)의 하단(391d)이 제2 부재(392)의 상단(392a)에 의해 간섭되어, 도 8과 같이 제1 부재(391)의 록킹돌기(391a)가 제2 연장관(330)의 록킹홈(33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신축부(310)는 제2 연장관(330)이 록킹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제1 길이(L1)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편 채로 진공청소기(10)를 통해 피청소면(20)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청소를 완료하거나 잠시 멈추는 경우, 사용자는 연장관 조립체(300)를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기울이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진공청소기(10)를 안정적인 스탠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b을 참조하면, 연장관 조립체(300)의 신축부(310)를 피청소면(20)에 대략 수직인 가상의 축(A1)을 넘어서도록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R 방향으로 θ2만큼 기울인다.
이 과정에서 제2 부재(392)는 도 10과 같이 힌지축(37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회동부(370)에 의해 제2 회동부(37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2 부재(392)의 상단(392a)은 제1 부재(391)의 하단(391d)의 간섭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제1 부재(391)는 도 11과 같이 제1 탄성부재(395, 도 6 참조)에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제1 부재(391)의 록킹돌기(391a)는 제2 연장관(330)의 록킹홈(333)으로부터 이탈한 후, 도 13과 같이 경사면(326)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하강한다.
제2 연장관(330)은 록킹이 해제되면서 제2 연장관(330) 및 진공청소유닛(100)의 자중에 의해 제1 연장관(320)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신축부(310)는 제1 길이(L1) 보다 짧은 제2 길이(L2)로 변경되고, 진공청소기(10)의 무게중심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안정적인 스탠딩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제3 부재(393)는 제2 부재(392)와 연동하고, 제4 부재(394)는 제2 장관(330)에 의해 동작하여 진공청소기(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스탠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3 부재(393)는 도 10과 같이 후단(393b)이 흡입노즐(50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제3 부재(393)의 선단(393a)이 흡입노즐(500)의 록킹홈(50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350)는 흡입노즐(500)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되지 않도록 흡입노즐(500)에 록킹된다.
또한, 제4 부재(394)는 도 12와 같이 제4 부재(394)의 상단(394a)이 제2 연장관(330)의 하단(335)에 가압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4 부재(394)의 하단(394b)이 제1 회동부(360)의 록킹홈(36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 회동부(370)는 제1 회동부(350)에 대하여 전후로 회동하지 않도록 제1 회동부(360)에 록킹된다.
반대로, 청소를 재개하기 위해 스탠딩 상태의 진공청소기(10)를 스탠딩 해제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3a 상태에서 진공청소유닛(100)의 손잡이(130)를 잡고 상방향으로 잡아 당겨 연장관 조립체(300)의 신축부(310)의 길이를 늘인 후, 연장관 조립체(300)의 신축부(310)를 힌지축(372)을 중심으로 흡입노즐(500)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스탠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10)가 스탠딩 상태에서 스탠딩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부재(392)는 제2 회동부(370)가 신축부(3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다시 제1 부재(391)의 하단(391d)을 간섭하여 제1 부재(391)를 원위치로 상승시킨다.
제1 부재(391)는 제2 부재(392)에 의해 상승하여 제1 부재(391)의 록킹돌기(391a)가 제2 연장관(330)의 록킹홈(33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신축부(310)는 다시 제1 길이(L1)를 유지한다.
제3 부재(393)는 제2 부재(392)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제2 탄성부재(396)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여 제3 부재(391)의 선단(393b)이 흡입노즐(500)의 록킹홈(503)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350)는 흡입노즐(500)에 대하여 록킹이 해제된다.
제4 부재(394)는 제2 연장관(33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3 탄성부재(397)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제4 부재(394)의 하단(394b)이 제1 회동부(360)의 록킹홈(365)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제2 회동부(370)는 제1 회동부(360)에 대하여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0)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흡입노즐(500)의 구성과 그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흡입노즐(500)은 연결부(350)에 연결된 몸체부(510)와, 몸체부(5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부(530)를 포함한다.
몸체부(510)는 전방에 대략 브러시부(530)의 폭에 대응하는 장착홈(511)이 형성된다. 장착홈(511)은 내측면(512)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가 마련된다.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는 브러시부(530)가 몸체부(510)에 장착 및 분리되는 직선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는 각각 선단에 만곡부(514)가 형성된다. 이 만곡부(514)는 후술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553)의 만곡부(554)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다.
또한, 몸체부(510)는 내측면(512)의 중앙에 브러시부(530)를 통해 피청소면(20)의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구(517)가 형성된다.
브러시부(530)는 회전브러시(543)를 구비하는 하우징(540)과, 하우징(54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레버부재(550)를 포함한다.
하우징(540)은 양측에 레버부재(550)의 한 쌍의 가압돌기(553)를 감싸면서 한 쌍의 가압돌기(533)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부(544)가 형성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가이드부(544)에는 레버부재(550)의 양측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기(54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540)은 후방의 양측에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가 압박 상태로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구멍(547, 도 17 참조)이 형성된다. 브러시부(530)가 몸체부(510)에 결합될 때,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는 한 쌍의 결합구멍(547)에 압박 결합됨에 따라 브러시부(530)가 견고하게 몸체부(510)에 고정될 수 있다.
레버부재(550)는 브러시부(530)가 몸체부(51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540)의 상부를 덮도록 하우징(54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이 경우, 레버부재(550)는 사용자가 레버부재(550)를 열지 않고 회전브러시(543)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부재(550)는 양측에 한 쌍의 가압돌기(553)가 하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가압돌기(553)는 전술한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레버부재(550)는 후단에 파지부(555)가 결합된다. 파지부(555)는 한 쌍의 힌지돌기(545)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레버부재(550)가 하우징(541)에 덮인 경우, 몸체부(510) 상측에 형성된 요홈(519)과 대응한다. 이 경우, 요홈(519)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파지부(555)를 통해 레버부재(55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노즐(500)의 몸체부(510)로부터 브러시부(53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브러시부(530)가 몸체부(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쌍의 힌지돌기(545)를 중심으로 레저부재(550)를 화살표 B방향으로 선회시키면 한 쌍의 가압돌기(553)가 레버부재(550)와 함께 회전하여 몸체부(510)의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에 간섭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부재(550)를 지속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가압돌기(553)와 한 쌍의 피가압돌기(513) 간에 반발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530)는 상기 반발력에 의해 몸체부(510)로부터 흡입노즐(500)의 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몸체부(510)와 이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부(510)와 이격된 브러시부(530)를 도 17과 같이 용이하게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부(530)를 몸체부(5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오물이 묻지 않은 레버부재(550)를 선회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을 행하기 때문에 회전브러시(543)를 직접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인 취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진공청소유닛 300: 연장관 조립체
310: 신축부 320: 제1 연장관
330: 제2 연장관 350: 연결부
360: 제1 회동부 370: 제2 회동부
390: 설정부 391: 제1 부재
392: 제2 부재 393: 제3 부재
394: 제4 부재 500: 흡입노즐
510: 몸체부 530: 브러시부
540: 하우징 550: 레버부재

Claims (24)

  1.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
    상기 흡입노즐을 통해 유입된 오물을 분리 수거하는 진공청소유닛; 및
    상단에 상기 진공청소유닛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흡입노즐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피청소면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로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임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탠딩 상태로 설정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청소 시 제1 길이를 유지하고, 스탠딩 시 제1 길이 보다 짧은 제2 길이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일단에 상기 흡입노즐이 연통되는 연결부;
    하단이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통되는 제1 연장관과, 상기 제1 연장관에 동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장관을 포함하는 신축부; 및
    상기 제1 연장관 및 연결부 내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1 연장관 내측에 탄력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연장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연결부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간섭 및 간섭 해제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에 의한 간섭이 해제될 때 상기 제2 연장관이 제1 연장관을 따라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연장관을 록킹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 부재의 하단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직선왕복이동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푸싱 및 푸싱 해제되며, 타단이 상기 제3 부재의 일단의 푸싱 또는 푸싱 해제에 따라 상기 흡입노즐의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 록킹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2 부재와 연동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제1 부재의 하단에 대한 간섭을 해제하여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축소하고 상기 제3 부재를 푸싱하여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를 상기 흡입노즐에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는,
    상기 흡입노즐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관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제2 회동부 내측에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제4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2 연장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 및 가압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부를 상기 제1 회동부에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상기 흡입노즐의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 부재의 제2 연장관에 대한 록킹을 해제하고,
    상기 제4 부재는 상기 제2 연장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 회동부를 상기 제1 회동부에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유닛은 상기 제2 연장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청소유닛은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제2 연장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에 연통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구비된 레버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레버부재와 함게 회전하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가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피가압돌기에 간섭된 후 간섭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와 상기 피가압돌기 간에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브러시;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흡입노즐;
    진공청소유닛; 및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진공청소유닛을 상호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고, 길이가 가변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연장관 조립체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탠딩 상태로 설정되는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가 스탠딩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길이를 늘이면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탠딩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장관 조립체에 하단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연장관 조립체에 비회동 상태로 록킹 및 록킹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신축부; 및
    상기 흡입노즐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동부와, 상기 제1 회동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신축부 하단에 연결되는 제2 회동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동부는 상기 신축부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회동부에 록킹 및 록킹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하단부에 연통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부는 구비된 레버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3. 흡입노즐;
    진공청소유닛; 및
    상기 진공청소유닛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흡입노즐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장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 조립체는 스탠딩 상태 및 스탠딩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며,
    상기 스탠딩 상태는 상기 신축부가 일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신축부의 길이가 짧아져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탠딩 해제 상태는 상기 신축부의 길이를 늘이면서 상기 신축부를 상기 일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장관 조립체의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진공청소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스탠딩 해제 상태에서 상기 신축부의 길이가 가변없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40114052A 2014-08-29 2014-08-29 진공청소기 KR10226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52A KR102268576B1 (ko) 2014-08-29 2014-08-29 진공청소기
EP15174351.5A EP2989956B1 (en) 2014-08-29 2015-06-2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052A KR102268576B1 (ko) 2014-08-29 2014-08-29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122A true KR20160026122A (ko) 2016-03-09
KR102268576B1 KR102268576B1 (ko) 2021-06-24

Family

ID=5349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052A KR102268576B1 (ko) 2014-08-29 2014-08-29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989956B1 (ko)
KR (1) KR102268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294A (ko) * 2017-03-03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WO2022075721A1 (ko) 2020-10-0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932B (en) * 2016-10-14 2022-06-22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180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브러시 어셈블리의 자유로운 교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흡입 헤드
JP4228227B2 (ja) * 2004-07-12 2009-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110107004A (ko) * 2010-03-24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20000532A (ko) * 2010-06-25 2012-01-02 록산 게엠베하 진공 청소기 흡입관, 가이드 인서트, 작동 레버 및 튜브 섹션의 어셈블리
US20120216364A1 (en) * 2011-02-25 2012-08-30 Eric Muhlenkamp Canister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control handle and nozzle assembly with upright swivel lo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534A (en) * 1981-12-14 1984-01-03 Whirlpool Corporation Vacuum cleaner handle lock
DE19525796A1 (de) * 1995-07-15 1997-01-23 Fedag Romanshorn Fa Zusammengesetzte Saugleitung
US8950039B2 (en) * 2009-03-11 2015-02-10 G.B.D. Corp. Configuration of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448295B2 (en) * 2010-03-12 2013-05-28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with rotating hand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227B2 (ja) * 2004-07-12 2009-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70037180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브러시 어셈블리의 자유로운 교체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의흡입 헤드
KR20110107004A (ko) * 2010-03-24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KR20120000532A (ko) * 2010-06-25 2012-01-02 록산 게엠베하 진공 청소기 흡입관, 가이드 인서트, 작동 레버 및 튜브 섹션의 어셈블리
US20120216364A1 (en) * 2011-02-25 2012-08-30 Eric Muhlenkamp Canister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control handle and nozzle assembly with upright swivel lock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294A (ko) * 2017-03-03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KR20200092298A (ko) * 2017-03-03 2020-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지지기구, 청소기 유닛
US10842335B2 (en) 2017-03-03 2020-11-24 Lg Electronics Inc. Support device of cleaner and cleaner unit
US11179016B2 (en) 2017-03-03 2021-11-23 LG Electionics Inc. Support device of cleaner and cleaner unit
WO2022075721A1 (ko) 2020-10-08 2022-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9956A1 (en) 2016-03-02
KR102268576B1 (ko) 2021-06-24
EP2989956B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500B1 (ko)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EP1795105B1 (en) Vacuum cleaner
US8607412B2 (en) Cleaning appliance
US8196257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090151113A1 (en) Vacuum Cleaner Filter
KR102125336B1 (ko) 청소기
KR20160026122A (ko) 진공청소기
CA3113028A1 (en) Cleaning head for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e or more stabilizers and surfac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800048B2 (ja) 電気掃除機の寝具用吸込口体
JP4686101B2 (ja) 回転式の脚及び移動可能なブラシを含む吸引付属装置
KR20090122652A (ko) 청소기
KR20220012727A (ko) 진공청소기
KR20220012730A (ko) 진공청소기
JPH10155705A (ja) 小型電気掃除機
KR20140044222A (ko) 청소기
JP4258730B2 (ja) 電気掃除機
JP4713958B2 (ja) 電気掃除機
JP2007021056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7021058A5 (ko)
JP4909865B2 (ja) 電気掃除機
JP2020069109A (ja) 電気掃除機用の支持部材および電気掃除機
CN112438653B (zh) 手持式吸尘器
KR101281927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JP2006034593A (ja) 電気掃除機
CN211093774U (zh) 手持式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