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008A -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0008A KR20140040008A KR1020130110986A KR20130110986A KR20140040008A KR 20140040008 A KR20140040008 A KR 20140040008A KR 1020130110986 A KR1020130110986 A KR 1020130110986A KR 20130110986 A KR20130110986 A KR 20130110986A KR 20140040008 A KR20140040008 A KR 201400400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light
- photoreactive
- composition layer
- photoreactive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성을 갖는 지지체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당해 지지체에 투과성을 갖는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제1 조사실에서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를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하며, 반전 전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하고, 자외선 발생용 램프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여, 지지체(1)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당해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키면서, 또한 제1 조사실에 인접하는 제2 조사실에 있어서 당해 제1 조사실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발생용 램프와 상이한 자외선 발생용 램프를 사용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광중합 반응을 촉진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혹은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당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을 얻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실시되고 있다.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 상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적당한 두께로 도포 시공한다. 도포 시공 후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 조사에 의해 광반응(중합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을 형성한다.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예를 들어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다. 형성 후의 당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시켜서 감압성 점착제층을 형성한 감압성 접착 시트, 또는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으로 가교 반응시켜서 겔화한 접착 시트 등이 있다. 또한, 당해 감압성 접착 시트 또는 접착 시트에 사용되는 상기 지지체로서 형성하는 기재, 필름 및 시트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의 제조는 지지체를 풀어내어 공급하고, 당해 지지체를 이동시키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도포한다. 도포된 이 지지체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당해 지지체를 권취함으로써 행해진다.
자외선 경화성 시트에 대하여 자외선의 조사 강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하여,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중합 반응시키고 있다. 즉, 조사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그 중합률을 조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텝에서 소정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반응 조성물을 일정량 중합시킨다. 제2 스텝에서 상기 제1 스텝보다도 강한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시트의 중합률을 높이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2-609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50480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98호 공보를 참조).
다른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시트에 대하여 제1 스텝에서 소정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반응 조성물을 일정량 중합시킨다. 제2 스텝에서 상기 제1 스텝보다도 약한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시트의 중합률을 높이면서, 생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3-285974호 공보를 참조).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하로 격자 형상(지그재그)이 되도록 직선으로 배열시킨 자외선 발생용 램프 사이를 1회 또는, 복수회에 걸쳐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왕복 반송시킴으로써, 자외선 중합에 사용하는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5012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2-609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5048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9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3-285974호 공보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의 조사를 단계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에서는,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램프를 직선 형상의 반송 경로 상에 정렬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조 라인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복수 종류의 조사 설비를 설치해야만 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5012호 공보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서는, 좁은 공간에 램프를 조밀하게 배열하고 있으므로, 램프로부터 나오는 열에 의해 광중합성 조성물이 데미지를 받게 된다. 그 결과,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즉, 실질적으로는 램프와 광중합성 조성물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고, 패스 라인을 복수회에 걸쳐 왕복시켜야만 한다. 그러므로 설비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고품질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광 조사기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얻은 광반응 생성물층을 갖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하의 과정을 포함한다.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광중합 반응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층을 얻기 위한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서의 투과성을 갖는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당해 지지체 상에 형성하고,
상기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당해 지지체를 적어도 1회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하고,
반전 전의 상기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구성한 제1 조사 영역에서 제1 광 조사기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고,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당해 지지체에 상기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고,
당해 제1 조사 영역에 인접하여, 당해 제1 조사 영역에 배치된 제1 광 조사기의 광원과 상이한 특성의 광원을 갖는 제2 조사기를 배치한 제2 조사 영역에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을 조사해서 광중합 반응시킨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다단으로 사행(지그재그) 반송되는 광반응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지지체를 향해서 조사된 광이, 당해 지지체와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투과한다. 즉,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중합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한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1 조사 영역에서 이용하는 제1 조사기의 광원(램프 등)의 수를 저감시키면서도, 제1 조사 영역에서의 중합 반응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을 목표 중합률에 근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사 영역에 인접시킨 제2 조사 영역에 목표 중합률에 근접한 광반응성 조성물이 형성된 지지체를 반송시킴으로써, 광반응성 조성물을 목표 중합률에 달성시킬 수 있다. 특히, 제2 조사 영역에서 이용하는 광원을 제1 조사 영역에서 이용하는 광원과 상이한 특성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중합 반응을 한층 더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조사 영역에서 목표 중합률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제2 조사 영역에서의 광의 조사 시간은, 제1 조사 영역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조사 영역에서 이용하는 광원의 개수를 제1 조사 영역에서 이용하는 광원의 개수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의 개수를 저감시키면서도, 고품질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제1 조사 영역에서 반전되어 다단으로 사행(지그재그)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면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한쪽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경우, 복수 단의 광반응성 조성물 및 지지체를 투과함에 따라서 광 강도가 저하해 가므로, 광중합을 촉진시키고 싶은 타이밍을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반전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최하단 및 최상단의 양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 강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제1 조사 영역에서 광 조사기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조사되는 광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롤러의 직경을 변경해서 광의 조사 거리를 변경해도 좋고, 혹은, 광 조사기의 출력 전압을 컨트롤해도 좋다.
또한,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형성은 지지체의 한쪽 면뿐만 아니라 표면 및 이면의 양면이어도 좋다. 즉, 지지체 및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광을 투과하므로, 당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다층으로 해도 모든 층의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중합시킬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상에 형성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지지체 상에 접합하고, 당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피복한 채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여, 당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켜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이 투과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작용한다. 이때,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차단된다. 즉,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에 의한 광 조사기의 오염이나 광 조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 조사기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얻는 광반응성 조성물층인 경우, 당해 광반응 조성물층이 대기에 노출되어 있으면 광중합 반응에 따라 미반응된 단량체가 증발한다. 그러나, 이 단량체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차단되어서 당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부착되므로, 단량체에 의한 광 조사 수단의 오염이나 광 조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를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지지체에 감압성 접착제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만이 박리된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피복해서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를 얻는 경우, 지지체가 처음에 반전하는 시점에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광에 의한 반응률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와 광반응성 조성물(편면 또는 양면 형성)의 적층체, 지지체, 광반응성 조성물(편면 또는 양면 형성) 및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투과율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당해 투과율에 의해, 지지체의 반전 수, 램프의 수, 광 강도 등이 적절하게 설정 변경된다.
또한, 제1 조사 영역을 반송되는 지지체 상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에서의 조도는 0.1 내지 15mW/㎠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광 조사기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얻은 광반응 생성물층을 갖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 조사기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 반응시켜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얻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고,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당해 지지체 상에 투과성을 갖는 광반응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시공기와,
상기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당해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와,
상기 반전 기구에 의해 반전 전의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구성한 제1 조사 영역에서,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당해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는 제1 광 조사기와,
상기 제1 조사 영역과 인접해서 연속 반송되는 지지체에, 제1 광 조사기에 배치된 광원과 상이한 특성을 갖는 광원에 의해 상기 지지체 상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는 제2 광 조사기.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방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제1 광 조사기는 제1 조사 영역에서 반전되어 다단으로 사행(지그재그)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본 발명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다단으로 사행(지그재그) 반송되는 광반응성 조성물이 형성된 지지체를 향해서 조사된 광이, 당해 지지체와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투과하면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중합 반응시킨다. 따라서, 램프나 형광관 등의 광원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에 대한 광의 조사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단계적으로 최적의 중합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변형예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변형예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관한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 공급 롤(2), 도포 시공부(3), 제1 조사실(5), 제2 조사실(6), 박리부(8) 및 지지체 권취부(9)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공급 롤(2)은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혹은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기재)(1)를 풀어내어 공급한다.
도포 시공부(3)는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내진 지지체(1) 상에 광중합성 조성물층(4)을 형성하기 위해서 광중합성 조성물(이하, 적절히 「광중합성 조성물(4)」이라고 함)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 시공(도포)한다.
제1 조사실(5) 및 제2 조사실(6)은 지지체(1)에 도포 시공된 광중합성 조성물(4)에 광을 조사한다. 또한, 제2 조사실(6)은 제1 조사실(5)과 인접하고 있다.
박리부(8)는 지지체(1)로부터 후술하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박리한다.
지지체 권취부(9)는 제1 및 제2 조사실(5, 6)을 거쳐 반송되는 과정에서 광중합 반응에 의해 광중합성 조성물층(4)으로부터 얻어진 감압성 접착제층(4A)이 형성된 지지체(1)를 권취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광중합성 조성물(4)은 본 발명의 광반응성 조성물에 상당한다.
지지체 공급 롤(2)에 권회된 띠 형상의 지지체(1)는 투과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지지체(1)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광중합성 조성물(4)은 단량체 또는 그 일부 중합물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면서도 투과성을 갖고, 광 조사에 의해 중합해서 감압성 접착제로 되는 것이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등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중합성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서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중합성 조성물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란,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닐계 단량체이고,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부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 기, 데실기, 이소데실기와 같은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혹은 그 알킬기의 일부를 히드록실기로 치환한 것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의 범위에 있는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또한,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2-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등의 불포화산,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카프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또한, 단량체에 한하지 않고, (메트)아크릴산 이량체 등의 이량체를 사용해도 좋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사용 비율은 전자가 70 내지 99중량%, 후자가 30 내지 1중량%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가 80 내지 96중량%, 후자가 20 내지 4중량%이다. 이러한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접착성, 응집력 등의 밸런스를 잘 맞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류,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류,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류,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α-케톨류,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류,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 활성 옥심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술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합계 100중량부당, 통상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가 좋다. 이 범위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적으면, 중합 속도가 느려져 단량체가 많이 잔존하기 쉬워져서 공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많으면 중합체의 분자량이 저하하여 접착제의 응집력의 저하를 초래하기 쉬워서 접착 특성상 바람직한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이상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사용된다. 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사용량은, 그 관능기 수 등에 따라 상이한데,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합계 100중량부당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범위에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면, 양호한 응집력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이외에도, 점착제의 용도에 따라서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병용하는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착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광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사용하고 있어, 필요한 광투과량을 얻을 수 있다.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로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제1 조사실(5) 및 제2 조사실(6)에 있어서의 처리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에 의해 투과한 광의 조사광량은 감압성 접착제층 등의 필요 특성에 의해 임의로 설정하게 되지만, 통상 100 내지 30000mJ/㎠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mJ/㎠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mJ/㎠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투과하는 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종류나 용도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반응에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가 장파장 자외광(예를 들어, 400㎚ 이상)에 흡수대를 갖는 경우에는 흡수 대역 주변의 파장의 광투과율이 높은 광투과성 지지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혹은, 가시광 영역의 광을 사용해서 광중합 반응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율이 높은 광투과성 지지체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감압성 접착제층인 경우에 있어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단파장 광을 커트하는 특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단파장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면, 광중합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된 감압성 접착제층과 지지체(1)의 박리성이 저하한다. 이것은 소위 양면 접착 시트인 경우의 문제이므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로 단파장 광을 커트한다. 구체적으로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로는, 예를 들어 단파장 광(예를 들어, 300 ㎚ 이하)의 투과를 90% 이상 커트할 수 있는 필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 커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커트할 수 있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도 3으로 복귀하여, 도포 시공부(3)는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내어 공급된 지지체(1)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 시공한다. 이때, 그 지지체(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소정 두께가 되도록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의 양면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 시공한다. 이 도포 시공부(3)는, 예를 들어 지지체(1)의 표면측에는 콤마 코터를 구비하고, 지지체(1)의 이면측에는 (파운틴)다이 코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에 도포 시공하는 광중합성 조성물(4)은 동일한 조성물이어도 좋고, 상이한 조성물이어도 좋다.
콤마 코터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10), 급액 조(11), 콤마 롤(12) 및 백업 롤(13)을 구비하고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10)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공급한다.
급액 조(11)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10)로부터 공급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급액한다.
콤마 롤(12)은 급액 조(11)로부터 급액된 광중합성 조성물(4)을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에 도포한다.
백업 롤(13)은 광중합성 조성물(4)이 도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지지체(1)의 표면에 반송한다.
다이 코터는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10) 및 백업 롤(13)을 구비하고, 또한 립 코터(14)를 구비하고 있다.
립 코터(14)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10)로부터 풀어내진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한다.
또한, 도포 시공부(3)는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지지체(1)의 양면에 거의 동시에 접합하는 상하 한 쌍의 코팅 롤(15)을 구비하고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4)이 도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코팅 롤(15)로 지지체(1)의 양면에 거의 동시에 접합함으로써, 지지체(1)의 양면에 광중합성 조성물(4)이 각각 도포된다. 또한,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에 접합하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동일 특성인 것이어도 좋고, 또는 상이한 특성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포 시공부(3)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콤마 코터나 다이 코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버스 코터나 그라비아 코터 등의 다른 도포 시공 방식인 것이어도 좋고, 광중합성 조성물(4)의 두께 조정의 방법도 각 도포 시공 방식에 맞춰서 적절하게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조사실(5)은 지지체(1)의 양면에 각각 도포 시공된 광중합성 조성물층(4)에 광을 조사한다. 이 제1 조사실(5)은 제1 반송 롤러(16), 제2 반송 롤러(17),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롤러(16)는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내진 지지체(1)의 이동 방향(도 3에 나타내는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1)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제2 반송 롤러(17)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된 지지체(1)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1)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복수개의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처음 반전할 때까지는 지지체(1)의 대향면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복수개의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는 제2 반송 롤러(17)에 의해 마지막으로 반전한 후에 지지체(1)의 대향면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또한, 제1 조사실(5)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조사 영역에 상당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반송 롤러(16, 17)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전 기구를 구성한다.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원에 상당한다. 이들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광 조사기를 구성한다.
제2 조사실(6)은 지지체(1)와 대향하는 한 쪽에 복수개의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는 제1 조사실(5)에서 이용되는 자외선 발생용 램프와 상이한 특성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제2 조사실(6)은 제1 조사실(5)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지지체(1)의 양면에서 광중합 반응하고 있는 광중합성 조성물층(4)에 광을 조사하고, 당해 광중합 반응을 촉진시킨다. 또한, 제2 조사실(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조사 영역에 상당한다. 또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원에 상당한다. 이들 복수개의 자외선 발생용 램프(22)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광 조사기를 구성한다.
제1 조사실(5) 및 제2 조사실(6)의 자외선 발생용 램프로는, 예를 들어 메탈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의 고압 방전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포충용 형광 램프 등의 저압 방전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론에서 발생시킨 마이크로파를 광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발광하는 무전극 UV 램프여도 좋다. 또한, 자외선 파장의 발광 소자를 갖는 자외선 파장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각 조사실(5, 6)에서는 2종류 이상의 이들 램프를 조합해도 사용할 수 있지만, 양쪽 조사실(5, 6)에서는 상이한 특성의 램프를 사용한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사용해서 지지체(1)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하는 경우, 제1 조사실(5)에서 지지체(1)가 처음 반전하는 시점, 즉 지지체(1)가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는 시점에 있어서, 중합률이 낮으면 미반응된 광중합성 조성물(4)인 단량체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로부터 비어져 나와버린다. 따라서,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체(1)가 처음 반전하는 시점에서 중합률이 20% 이상이 되도록,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의 조도를(경우에 따라서는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의 조도도)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합성 조성물(4)의 중합률이 50% 이상이 되도록,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의 조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중합률이 70% 이상이 되도록,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의 조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들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의 조도는 광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합도를 좌우하므로, 0.1 내지 5000mW/㎠,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mW/㎠,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mW/㎠이다.
지지체(1)가 반전될 때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하는 막 두께는 4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전시의 회전 직경은 직경 3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반송 롤러의 직경을 300㎜ 이상으로 하거나, 혹은 직경을 300㎜보다 작은 반송 롤러를 2개 이상 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반전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제1 조사실(5)에서 지지체(1)가 처음 반전하는 시점, 즉 지지체(1)가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는 시점에 있어서, 광중합성 조성물층(4)의 중합률이 적어도 20% 이상이 되도록 본 실시예 장치는 제어된다. 광중합성 조성물층(4)의 중합률이 20% 이상이 되어 있는 것의 검출은, 예를 들어 조사 실험에서 얻은 샘플로부터 미리 구한다. 즉, 제조하려고 하는 제품의 사양에 따른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에 도포 시공된 샘플에 대하여, 제1 조사실(5)(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21))에 있어서의 조사광량 등의 각 조건을 적절히 변경해서 조사 실험을 행한다. 이 실험 후의 샘플의 중합률을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중합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로 130℃×2시간 가열했을 때의 잔사율(가열 후의 중량/가열 전의 중량×100)을 구함으로써 행해진다.
박리부(8)는 박리 롤러(23) 및 권취 롤(24)을 구비하고 있다.
박리 롤러(23)는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박리한다. 권취 롤(24)은 박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를 권취한다.
박리부(8)에 있어서, 박리 롤러(23)에 의해 박리된,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권취 롤(24)에 의해 권취된다. 지지체(1) 및 이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는 일체로 되어서 지지체 권취부(9)에 의해 권취된다. 이때, 권취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권취 보정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가 지지체(1)로부터 박리됨으로써, 지지체(1)의 양면에는 광중합성 조성물층(4)으로부터 광 조사에 의해 광중합된 감압성 접착제(4A)가 형성된다. 또한 지지체(1)의 이면측에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가 접합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조사실(5) 및 제2 조사실(6)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 1의 장치와 상이하므로,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이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조사실(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제1 조사실(5)로부터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를 제외한 구성이다.
제2 조사실(6)은 제3 반송 롤러(18), 제4 반송 롤러(19) 및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를 구비하고 있다.
제3 반송 롤러(18)는 제1 조사실(5)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지체(1)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제4 반송 롤러(19)는 제3 반송 롤러(18)에 의해 반전된 지지체(1)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1)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복수개의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는 제3 반송 롤러(18)에 의해 처음 반전할 때까지는 지지체(1)의 대향면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이하에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구체예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구체예>
광중합에 있어서, 단파장 광 커트용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7)에는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38㎛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광중합성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해서 얻었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단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 단량체로서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90중량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 아크릴산(AA) 10중량부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05 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광중합한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한 시럽 100중량부에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얻었다.
<구체예 1>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23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조사로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 모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기 전의 제1단째에서 3.4mW/㎠, 제1 반송 롤러(16)로부터 제2 반송 롤러(17)까지의 제2단째에서 2.4mW/㎠ 및 제2 반송 롤러(17)로부터 제2 조사실(6) 앞까지의 제3단째에서 1.9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제2 조사실(6)에 있어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에 3개의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8.3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8m/min로 설정하였다. 이 이동 속도로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당해 구체예를 얻었다.
<구체예 2>
도 3에 도시한 장치로 제1 조사실(5)의 조명 장치를 변경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23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조사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기 전의 제1단째에서 2.7mW/㎠, 제1 반송 롤러(16)로부터 제2 반송 롤러(17)까지의 제2단째에서 1.5mW/㎠ 및 제2 반송 롤러(17)로부터 제2 조사실(6) 앞까지의 제3단째에서 0.9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제2 조사실(6)에 있어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에 3개의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8.3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8m/min로 설정하였다. 이 이동 속도로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당해 구체예를 얻었다.
<구체예 3>
도 4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23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조사로는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기 전의 제1단째에서 2.7mW/㎠, 제1 반송 롤러(16)로부터 제2 반송 롤러(17)까지의 제2단째에서 1.5mW/㎠ 및 제2 반송 롤러(17)로부터 제2 조사실(6) 앞까지의 제3단째에서 0.9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제2 조사실(6)에 있어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에 3개의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제2 조사실(6)에 들어가고 나서 제3 반송 롤러(18)에 의해 반전하기 전의 제1단째에서 8.3mW/㎠, 제3 반송 롤러(18)로부터 제4 반송 롤러(19)까지의 제2단째에서 7.6mW/㎠ 및 제4 반송 롤러(19)로부터 제2 조사실(6)의 출구 전까지의 제3단째에서 7.2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8m/min로 설정하였다. 이 이동 속도로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당해 구체예를 얻었다.
<비교예 1>
도 1에 도시한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즉, 제1 조사실(5)로부터 제2 조사실(6)을 통해서 지지체를 직선 상태로 반송하였다.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23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조사에는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2.7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제2 조사실(6)에 있어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에 3개의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8.3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8m/min로 설정하였다. 이 이동 속도로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당해 구체예를 얻었다.
<비교예 2>
도 2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즉, 당해 장치는 제1 조사실(5)만을 구비한 구성이다.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23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조사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 모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지지체(1) 상에서의 조도는 제1 반송 롤러(16)에 의해 반전하기 전의 제1단째에서 3.4mW/㎠, 제1 반송 롤러(16)로부터 제2 반송 롤러(17)까지의 제2단째에서 2.4mW/㎠ 및 제2 반송 롤러(17)로부터 제1 조사실(5)의 출구 전까지의 제3단째에서 1.9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8m/min로 설정하였다. 이 이동 속도로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당해 구체예를 얻었다.
상기 구체예 및 비교예에 관한 각 감압성 접착 시트에 대해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의 측정 결과는 이하의 표 1과 같이 되었다.
상기 비교 실험에 의하면,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장치의 구체예 1 내지 3과 종래 장치의 비교예 1 내지 2(구체예 4 내지 5)는 반송 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은, 본 실시예 장치로 제조한 것이 종래 장치로 제조한 것을 모두 상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실시예 장치는 지지체(1)를 반전시켜서 사행하게 하면서, 또한 제1 조사실(5)에 제2 조사실(6)을 인접 배치함으로써, 종래 장치와 같은 반송 속도여도, 지지체(1)의 단위 면적당 광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중합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조사실(5)과 제2 조사실(6)에서 상이한 특성의 자외선 발생용 램프를 사용하므로, 중합 반응의 반응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면서, 또한 목표 중합률을 달성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서 반송 경로의 상류측의 한쪽에 자외선 발생용 램프를 구비한 조사기를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혹은, 반대측의 한쪽에만 조사기를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제1 조사실(5)에서의 광 강도의 조정은, 직경이 상이한 반송 롤러를 조합해서 제1 자외선 조사 램프(20)나 제2 자외선 조사 램프(21)로부터 지지체(1)까지의 거리를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 롤러(16a)의 직경을 상기 메인 실시예의 제1 반송 롤러(16)보다도 작게 하면서, 또한 2개의 제2 반송 롤러(17a, 17b)로 구성한다.
즉, 제1 반송 롤러(16a)를 다른 크기인 것으로 교환했을 경우, 제2 반송 롤러(17a)를 승강시킴으로써, 다단의 지지체(1)를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구성에 있어서, 도 3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21)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광 강도를 조정하는 다른 구성으로서, 다단의 반송 경로 사이에 필터를 개재시켜도 좋고, 제1 내지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0 내지 23)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여 광 강도를 조정해도 좋다. 나아가, 이들 변형예의 구성을 조합해도 좋다.
(3) 상기 실시예 2의 장치에 있어서,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22)를 장치의 하측에만 배치하고, 하측으로부터 지지체(1)를 향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하에 자외선 발생용 램프를 배치하고, 상하로부터 지지체(1)를 향해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Claims (10)
- 광 조사기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얻은 광반응 생성물층을 갖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광중합 반응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층을 얻기 위한 광중합성 조성물층으로서의 투과성을 갖는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당해 지지체 상에 형성하고,
상기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당해 지지체를 적어도 1회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하고,
반전 전의 상기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구성한 제1 조사 영역에서 제1 광 조사기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당해 지지체에 상기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고,
당해 제1 조사 영역에 인접하여, 당해 제1 조사 영역에 배치된 제1 광 조사기의 광원과 상이한 특성의 광원을 갖는 제2 조사기를 배치한 제2 조사 영역에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을 조사해서 광중합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영역에서 반전되어서 다단으로 사행하여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영역에서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롤러의 직경을 변경해서 광의 조사 거리를 변경하여 반송 경로 상에 있는 지지체 및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투과시키는 광 강도를 조절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영역에서 광 조사기의 출력 전압을 컨트롤하여 반송 경로 상에 있는 지지체 및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투과시키는 광 강도를 조절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표면 및 이면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상에 형성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지지체 상에 접합하고,
상기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피복한 채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여 당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처음 반전하는 시점에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중합률을 20% 이상으로 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영역을 거쳐 반송되는 지지체 상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에서의 조도가 0.1 내지 15mW/㎠인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 광 조사기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얻은 광반응 생성물층을 갖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하의 구성: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 조사기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 반응시켜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얻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고,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당해 지지체 상에 투과성을 갖는 광반응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 시공기;
상기 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당해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
상기 반전 기구에 의해 반전 전의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구성한 제1 조사 영역에서,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당해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는 제1 광 조사기;
상기 제1 조사 영역과 인접해서 연속 반송되는 지지체에, 제1 광 조사기에 배치된 광원과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광원에 의해 상기 지지체 상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 반응시키는 제2 광 조사기
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조사기는 제1 조사 영역에서 반전되어 다단으로 사행하여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는 광반응성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09741A JP6029402B2 (ja) | 2012-09-24 | 2012-09-24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JP-P-2012-209741 | 2012-09-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0008A true KR20140040008A (ko) | 2014-04-02 |
Family
ID=4923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0986A KR20140040008A (ko) | 2012-09-24 | 2013-09-16 |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87087A1 (ko) |
EP (1) | EP2711401A1 (ko) |
JP (1) | JP6029402B2 (ko) |
KR (1) | KR20140040008A (ko) |
CN (1) | CN10392152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91684B (zh) * | 2013-09-26 | 2016-08-31 | 河南城建学院 | 一种恒定输出光源的控制系统及方法 |
CN106083018B (zh) * | 2016-06-24 | 2018-05-25 | 唐山奇隆洁具有限公司 | 用于陶瓷干坯修补的补坯泥及其制备方法和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53849B2 (ja) * | 1988-08-29 | 1995-06-07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の製造方法 |
JPH03285974A (ja) | 1990-03-31 | 1991-12-17 | Sekisui Chem Co Ltd | 粘着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の製造方法 |
AU1641492A (en) | 1991-02-28 | 1992-10-06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Multi-stage irradi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acrylic based adhesives and adhesives made thereby |
US6174931B1 (en) * | 1991-02-28 | 2001-01-16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Multi-stage irradi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acrylic based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made thereby |
JP2922036B2 (ja) * | 1991-10-31 | 1999-07-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耐熱性にすぐれた感圧性接着剤およびその接着シート類の製造方法 |
JP3493731B2 (ja) * | 1994-05-31 | 2004-02-03 |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
DE19921743A1 (de) * | 1999-05-11 | 2000-11-16 | Beiersdorf Ag | Kohäsives Trägermaterial |
JP4467169B2 (ja) * | 2000-11-01 | 2010-05-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3790148B2 (ja) * | 2001-10-23 | 2006-06-28 | 日東電工株式会社 |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
JP4311898B2 (ja) * | 2001-11-14 | 2009-08-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DE102007022726A1 (de) * | 2007-05-11 | 2008-11-13 | Tesa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ösungsmittelfreien Herstellung von Acrylathaftklebemassen |
JP5823786B2 (ja) * | 2011-09-12 | 2015-11-2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2012
- 2012-09-24 JP JP2012209741A patent/JP6029402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9-16 KR KR1020130110986A patent/KR201400400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9-20 US US14/032,549 patent/US2014008708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9-23 EP EP13185497.8A patent/EP271140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09-23 CN CN201310435914.6A patent/CN10392152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11401A1 (en) | 2014-03-26 |
JP6029402B2 (ja) | 2016-11-24 |
US20140087087A1 (en) | 2014-03-27 |
CN103921527A (zh) | 2014-07-16 |
JP2014065754A (ja) | 201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8871A (ko) |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643787B1 (ko) | 연속 적층 제조 방법 | |
JP6955470B2 (ja) | 導光板用封止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導光板の製造方法 | |
KR20140040008A (ko) |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
JP2016141744A (ja) | 波長変換層用組成物、波長変換部材、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US20140147599A1 (en) | Production method of photoreaction product sheet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JP6035046B2 (ja) |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
JP4311898B2 (ja)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US7534012B2 (en) | Illumination device, light irradi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photoreaction product sheet with the apparatus | |
JP2016007597A (ja)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2011148856A (ja) | 両面粘着テープ、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102454808B1 (ko) | 도광판용 봉지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면상 광원 장치 또는 조명 장치 | |
JP2004009422A (ja) |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4187067B2 (ja) |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
JP7016757B2 (ja) | 導光板の製造方法 | |
KR101170013B1 (ko) | 광학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 |
KR20120005086U (ko) | 광학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 | |
JP2003155457A (ja) |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KR20120005423A (ko) | 광학필름이 적층된 복합필름 | |
JP2016148792A (ja) | 光学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 |
JP2004231674A (ja) |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