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871A -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871A
KR20130028871A KR1020120100313A KR20120100313A KR20130028871A KR 20130028871 A KR20130028871 A KR 20130028871A KR 1020120100313 A KR1020120100313 A KR 1020120100313A KR 20120100313 A KR20120100313 A KR 20120100313A KR 20130028871 A KR20130028871 A KR 20130028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pport
composition layer
base
photoreact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메 후꾸나가
마사까즈 모리모또
준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8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8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transparant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10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성을 갖는 지지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지체에 투과성을 갖는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를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하여, 반전 전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하고, 자외선 조사 램프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상기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 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킨다.

Description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HOTOREACTION PRODUCT SHEET}
본 발명은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혹은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이 얻어지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주지된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행해지고 있다.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 상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적당한 두께로 도포 시공한다. 도포 시공 후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의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을 형성한다. 광반응 생성물 시트는, 예를 들어 광반응성 조성물층이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며, 형성 후의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조사에 의해 중합시켜서 감압성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감압성 접착 시트나,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으로 가교 반응시켜서 겔화하여 접착 시트 등에 사용되는 상기 지지체로서 형성하는 기재, 필름, 시트 등이 있다.
이러한 제조는 지지체를 풀어내어 공급함으로써, 지지체를 이동시키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도포한다. 도포된 이 지지체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상기 지지체를 권취한다.
자외선 경화성의 시트에 대하여 자외선의 조사 강도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고,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중합시켜, 그의 중합률을 조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텝에서 소정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반응 조성물을 일정량 중합시킨다. 제2 스텝에서 상기 제1 스텝보다 강한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시트의 중합률을 높이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2-609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50480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98호 공보를 참조).
다른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성의 시트에 대하여 제1 스텝에서 소정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반응 조성물을 일정량 중합시킨다. 제2 스텝에서 상기 제1 스텝보다 약한 조도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시트의 중합률을 높이면서, 생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3-285974호 공보를 참조).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바둑판 형상이 되도록 직선으로 배열시킨 자외선 발생용 램프 사이에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반송시키고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발생용 램프의 사이에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복수회에 걸쳐 왕복 반송시킴으로써, 자외선 중합에 사용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5012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2-6098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5048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9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3-285974호 공보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의 조사를 단계적으로 변경시키는 방법에서는, 강도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램프를 라인 상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조 라인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복수 종류의 조사 설비를 설치해야만 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45012호 공보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서는, 좁은 공간에 램프를 조밀하게 배열하고 있으므로, 램프로부터 발해지는 열에 의해 광중합성 조성물이 데미지를 받아버린다. 그 결과,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즉, 실질적으로는 램프와 광중합성 조성물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고, 패스 라인을 복수회에 걸쳐 왕복시켜야 한다. 그 때문에 설비가 대형화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장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도 고품질의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이 얻어지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투과성을 갖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며,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를 적어도 1회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함으로써, 반전 전의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하고,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상기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다단으로 사행되면서 반송되는 광반응성 조성물의 층이 형성된 지지체를 향해서 조사된 광이, 상기 지지체와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투과하면서 지지체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을 광중합시킨다. 따라서, 일 방향으로부터 조사한 광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광조사 수단인 램프 등의 수를 저감시켜서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광조사 수단은, 반전되어서 다단으로 사행되어 반송되는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면 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한쪽으로부터 광을 조사할 경우, 지지체 등을 투과할 때마다 광강도가 저하되어가므로, 광중합을 촉진시키고자하는 타이밍을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의 반전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최하단 및 최상단의 양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강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광조사 수단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조사되는 광의 강도는, 예를 들어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롤러의 직경을 변경시켜 광의 조사 거리를 조작해도 좋고, 혹은, 광조사 수단의 출력 전압을 컨트롤하여 행해도 좋다.
또한,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형성은, 지지체의 한쪽면 뿐만 아니라, 표면 및 이면의 양면이어도 좋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상에 형성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지지체 상에 접합시키고, 상기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피복한 채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켜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은 투과한 채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작용하고, 한편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차단되므로,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에 의한 광조사 수단의 오염이나 광 조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인 경우에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광반응(광중합)에 따라 미반응된 단량체가 증발하지만, 이 단량체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차단되어서 상기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에 부착되므로, 단량체에 의한 광조사 수단의 오염이나 광 조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를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지지체에 감압성 접착제층이 설치된 상태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만이 박리된다.
이러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를 개재하여 지지체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반응된 광반응 생성물층을 지지체 상에 형성해서 광반응 생성물 시트를 얻는 경우, 지지체가 처음으로 반전하는 시점에서, 미반응된 광반응성 조성물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로부터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광에 의한 반응률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와 광반응성 조성물(편면 또는 양면 형성)의 적층체, 지지체, 광반응성 조성물(편면 또는 양면 형성) 및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투과율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상기 투과율에 의해, 지지체의 반전 수, 램프의 수, 광강도 등이 적절하게 설정 변경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이 얻어지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며,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투과성을 갖는 지지체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도포하는 도포 시공 수단과,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을 구비하여, 지지체의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광조사 수단은, 반전되어서 다단으로 사행되어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방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현재의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변형예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 공급 롤(2), 도포 시공부(3), 조사실(5), 박리부(7) 및 지지체 권취부(8)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체 공급 롤(2)은, 시트 형상, 테이프 형상 혹은 필름 형상 등의 지지체(기재)(1)를 풀어내어 공급한다.
도포 시공부(3)는,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낸 지지체(1) 상에 광중합성 조성물층(4)을 형성하기 위해서 광중합성 조성물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 시공(도포)한다. 또한, 광중합성 조성물(4)은, 본 발명의 광반응성 조성물에 상당한다.
조사실(5)은, 지지체(1)에 도포 시공된 광중합성 조성물(광중합성 조성물층(4))에 광을 조사한다.
박리부(7)는, 지지체(1)로부터 후술하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박리한다.
지지체 권취부(8)는, 감압성 접착제층(4A)이 설치된 지지체(1)를 권취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체 공급 롤(2)에 돌려 감긴 띠 형상의 지지체(1)는, 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체(1)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광중합성 조성물(4)은, 단량체 또는 그의 일부 중합물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면서도 투과성을 갖고, 광조사에 의해 중합되어 감압성 접착제로 되는 것이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등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의 광중합성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중합성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해서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중합성 조성물로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란,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닐계 단량체이며,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와 같은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혹은 그 알킬기의 일부를 히드록실기로 치환한 것 등 알킬기의 탄소수가1 내지 14의 범위에 있는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사용한다.
또한,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2-아크릴아미도프로판술폰산 등의 불포화 산,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카프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된다. 또한, 단량체에 한하지 않고, (메트)아크릴산 이량체 등의 이량체를 사용해도 좋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사용 비율은, 전자가 70 내지 99중량%, 후자가 30 내지 1중량%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자가 80 내지 96중량%, 후자가 20 내지 4중량%이다. 이러한 범위로 사용함으로써, 접착성, 응집력 등의 밸런스를 잘 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류,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류,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류,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α-케톨류, 2-나프탈렌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류,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활성 옥심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상술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100중량부당 통상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가 좋다. 이 범위보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적으면, 중합 속도가 느려져 단량체가 많이 잔존하기 쉬워져 공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많으면 중합체의 분자량이 저하되어 접착제의 응집력 저하를 초래하기 쉬워 접착 특성상 바람직한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교제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등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이상의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사용된다. 이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사용량은, 그의 관능기 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상술한 알킬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합계 100중량부당 0.01 내지 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범위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면, 양호한 응집력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이외에도, 점착제의 용도에 따라서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병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등, 통상 사용하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광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사용하고 있어, 필요한 광투과량을 얻을 수 있다. 이 광투과성 지지체(6)로서는,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광투과율이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조사실(5)에 있어서의 처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에 의해 투과된 광의 조사광량은, 감압성 접착제층 등의 필요 특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게 되지만, 통상, 100 내지 30000mJ/㎠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mJ/㎠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mJ/㎠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가 투과시키는 광의 파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중합성 조성물층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반응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가 장파장 자외광(예를 들어, 400nm 이상)에 흡수대를 갖는 경우에는, 흡수 대역의 주변 파장의 광투과율이 높은 광투과성 지지체를 선택할 수도 있다. 혹은, 가시광 영역의 광을 사용해서 광중합 반응을 행하고 싶을 경우에는, 가시광 영역의 광투과율이 높은 광투과성 지지체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광중합성 조성물층이 감압성 접착제층인 경우에 있어서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단파장광을 커트하는 특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단파장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면, 광중합시킴으로써 생성된 감압성 접착제층과 지지체(1)의 박리성이 저하된다. 이것은, 소위 양면 접착 시트인 경우에 부적합하므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로 단파장광을 커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로서는, 예를 들어 단파장광(예를 들어, 300nm 이하)의 투과를 90% 이상 커트할 수 있는 필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3% 이상 커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커트할 수 있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도 3으로 되돌아가, 도포 시공부(3)는,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내어진 지지체(1)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그 지지체(1)의 폭 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소정 두께가 되도록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의 양면에 도포 시공한다. 이 도포 시공부(3)는, 예를 들어 콤마 코터(파운틴), 다이코터를 구비하고 있다. 콤마 코터는 지지체(1)의 표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다이 코터는 지지체(1)의 이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에 도포 시공되는 광중합성 조성물(4)은, 동일한 조성물이어도 좋고, 상이한 조성물이어도 좋다.
콤마 코터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 급액조(10), 콤마 롤(11) 및 백업 롤(12)을 구비하고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풀어내어 공급한다.
급액조(10)는,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로부터 풀어내어진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급액한다.
콤마 롤(11)은, 급액조(10)로부터 급액된 광중합성 조성물(4)을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에 도포한다.
백업 롤(12)은, 광중합성 조성물(4)이 도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지지체(1)의 표면으로 반송한다.
다이 코터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 립 코터(13) 및 백업 롤(12)을 구비하고 있다.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은, 표면측과 마찬가지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풀어내어 공급한다.
립 코터(13)는, 이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공급 롤(9)로부터 풀어내어진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한다.
백업 롤(12)은, 광중합성 조성물(4)이 도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지지체(1)의 이면으로 반송한다.
또한, 도포 시공부(3)는,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지지체(1)의 양면에 거의 동시에 접합시키는 상하 한 쌍의 코팅 롤(14)을 구비하고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광중합성 조성물층(4))이 도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코팅 롤(14)로 지지체(1)의 양면에 거의 동시에 접합시킴으로써, 지지체(1)의 양면에 광중합성 조성물(4)이 각각 도포된다. 또한, 지지체(1)의 표면 및 이면에 접합되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동일한 특성의 것이어도 좋고, 또는 상이한 특성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포 시공부(3)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은 콤마 코터나 다이 코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리버스 코터나 그라비아 코터 등의 그 밖의 도포 시공 방식의 것이어도 좋고, 광중합성 조성물(4)의 두께 조정 방법도 각 도포 시공 방식에 맞춰서 적절하게 변경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사실(5)은, 지지체(1)의 양면에 각각 도포 시공된 광중합성 조성물층(4)에 광을 조사한다. 이 조사실(5)은, 제1 반송 롤(15), 제2 반송 롤(16), 복수 개의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및 복수 개의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롤(15)은, 지지체 공급 롤(2)로부터 풀어내어진 지지체(1)의 이동 방향(도 3에 나타내는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1)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제2 반송 롤(16)은, 이 제1 반송 롤(15)에 의해 반전된 지지체(1)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1)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1)를 반전시킨다.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제1 반송 롤(15)에 의해 처음으로 반전할 때까지는 지지체(1)의 대향면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는, 제2 반송 롤(16)에 의해 마지막으로 반전한 후에 지지체(1)의 대향면의 이면에 광을 조사한다.
또한, 조사실(5)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조사 수단에, 제1 및 제2 반송 롤(15, 1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전 수단에,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조사 수단에 각각 상당한다.
이 조사실(5)의 자외선 발생용 램프로서는, 예를 들어 메탈할라이드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의 고압 방전 램프,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포충용 형광 램프 등의 저압 방전 램프 등 외에, 마그네트론으로 발생시킨 마이크로파를 광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발광하는 무전극 UV 램프나, 자외선 파장의 발광 소자를 갖는 자외선 파장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이들 2종류 이상의 램프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사용해서 지지체(1)에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하는 경우, 지지체(1)가 처음으로 반전하는 시점, 즉 지지체(1)가 제1 반송 롤(15)에 의해 반전하는 시점에 있어서, 중합률이 낮으면 미반응된 광중합성 조성물인 단량체가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로부터 밀려 나와버린다. 따라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체(1)가 처음으로 반전하는 시점에서 중합률이 20% 이상이 되도록,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의 조도를(경우에 따라서는,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의 조도도)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률이 50% 이상이 되도록,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의 조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나아가, 중합률이 70% 이상이 되도록,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의 조도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들 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의 조도는, 광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합도를 좌우하는 것으로, 0.1 내지 5000mW/㎠,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mW/㎠,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mW/㎠이다.
지지체(1)가 반전될 때,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광중합성 조성물(4)을 도포하는 막 두께는 4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전시의 회전 직경은, 직경 3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반송 롤의 직경을 300㎜ 이상으로 하거나, 혹은 직경이 300㎜보다 작은 반송 롤을 2개 이상 조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지만,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반전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지지체(1)가 처음으로 반전하는 시점, 즉 지지체(1)가 제1 반송 롤(15)에 의해 반전하는 시점에 있어서, 광중합성 조성물층(4)의 중합률이 적어도 20% 이상이 되도록 본 실시예 장치는 제어된다. 광중합성 조성물층(4)의 중합률이 20% 이상이 되어 있는 것의 검출은, 예를 들어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사양에 따른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에 도포 시공된 샘플에 대하여, 조사실(5)(제1 및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에 있어서의 조사광량 등의 각 조건을 적절히 변경해서 조사 실험을 행한다. 이 실험 후의 샘플의 중합률을 측정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중합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에서 130℃×2시간 가열했을 때의 잔사율(가열 후의 중량/가열 전의 중량×100)을 구함으로써 행해진다.
박리부(7)는, 박리 롤(20) 및 권취 롤(21)을 구비하고 있다.
박리 롤(20)은,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박리한다.
권취 롤(21)은, 박리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를 권취한다.
박리부(7)에 있어서, 박리 롤(20)에 의해 박리된,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권취 롤(21)에 의해 권취됨과 함께, 지지체(1) 및 이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는 일체가 되어서 지지체 권취부(8)에 의해 권취된다. 이때, 권취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권취 보정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1)의 표면측에 있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가 지지체(1)로부터 박리됨으로써, 지지체(1)의 양면에는, 광중합성 조성물층(4)으로부터 광조사에 의해 광중합된 감압성 접착제(4A)가 설치되고, 또한 지지체(1)의 이면측에는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가 접합된 상태가 된다.
이하에,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구체예와, 도 1에 도시하는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시트 반전과 함께 투과광을 이용하지 않고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비교예, 도 2에 도시하는 램프를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한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비교예를 나타낸다.
<구체예>
광중합에 있어서, 단파장광 커트용의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6)에는, 실리콘 처리를 실시한 38㎛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였다.
광중합성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해서 얻었다. 알킬아크릴레이트 단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 단량체로서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90중량부, 극성기 함유의 공중합성 단량체 아크릴산(AA) 10중량부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0.05중량부를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자외선에 폭로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광중합된 시럽을 얻었다. 이 부분 중합된 시럽 100중량부에, 가교제로서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0.04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광중합성 조성물을 얻었다.
<구체예 1 내지 3>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14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광조사로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 모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고, 블랙 라이트의 조도는 모두 6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2m/min, 4m/min, 6m/min으로 각각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상기 구체예를 얻었다.
<구체예 4 내지 6>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14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광조사로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 모두 10개의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고,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조도는 모두 40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2m/min, 4m/min, 6m/min으로 각각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상기 구체예를 얻었다.
<구체예 7 내지 9>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14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광조사로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에 10개의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고,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는 사용하지 않았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조도는 모두 75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2m/min, 4m/min, 6m/min으로 각각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상기 구체예를 얻었다.
<구체예 10 내지 12>
도 3에 도시한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이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14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광조사로서는,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에 10개의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고,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는 사용하지 않았다. 메탈 할라이드 램프의 조도는 모두 75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2m/min, 4m/min, 6m/min으로 각각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상기 구체예를 얻었다.
<비교예 1 내지 3>
구체예 1 내지 3에 기재된 조건 설정을 하고, 도 1에 도시한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시트 반전과 함께 투과광을 이용하지 않고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비교예를 얻었다.
<비교예 4 내지 6>
구체예 4 내지 6에 기재된 조건 설정을 하고, 도 1에 도시한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시트 반전과 함께 투과광을 이용하지 않고 얻어진 감압성 접착 시트의 비교예를 얻었다.
<비교예 7 내지 9>
도 2에 도시한 종래 장치를 사용해서 실험을 행하였다. 광중합성 조성물(4)이 지지체(1)를 포함해서 140㎛가 되도록 도포 시공부(3)에서 지지체(1)에 도포 시공하였다. 광조사로서는, 제1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제1 반송 롤(15)측에 있는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17), 제2 반송 롤(16)측에 있는 제3 자외선 발생용 램프(17),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 모두 90개의 블랙 라이트를 사용하였다. 블랙 라이트의 조도는 모두 6mW/㎠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지지체(1)의 이동 속도(라인 속도)는 2m/min, 4m/min, 6m/min으로 각각 도포 시공 및 광중합을 행하고,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을 측정해서 상기 비교예를 얻었다.
상기 구체예 및 비교예에 따른 각 감압성 접착 시트에 대해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의 측정 결과는 이하의 표 1과 같았다.
Figure pat00001
상기 비교 실험에 의하면,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장치의 구체예 1 내지 6과 종래 장치의 비교예 1 내지 6은, 사용 램프의 배치, 램프수, 조도 및 반송 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은, 본 실시예 장치로 제조된 것이 종래 장치로 제조된 것을 모두 상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실시예 장치는, 지지체(1)를 반전시켜서 사행시킴으로써, 종래 장치와 같은 램프수이어도, 지지체(1)의 단위 면적당의 광의 조사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중합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했다.
이어서, 본 실시예 장치의 구체예 7 내지 12와 종래 장치의 비교예 4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 장치는, 사용 램프의 배치가 상하 어느 한쪽에서 램프수가 종래 장치의 절반이 되어 있다. 반송 속도는 동일 조건이다. 본 실시예 장치는, 램프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지지체(1)를 사행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체(1)와 광중합성 조성물(4)을 투과한 광에 의해 단위 면적당의 조도가 종래 장치의 것보다 높아진다. 그 결과,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은 모두 종래 장치의 값을 상회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 장치의 구체예 7 내지 12와 종래 장치의 비교예 4 내지 6을 비교하면, 본 실시예 장치는, 사용 램프의 배치가 상하 어느 한쪽에서 램프수가 종래 장치의 절반이 되어 있다. 그 밖의 조도 및 반송 속도는 동일 조건이다. 본 실시예 장치는, 램프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은 모두 종래 장치의 값을 상회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 장치의 구체예 1 내지 12와 종래 장치의 비교예 7 내지 9를 비교하면, 본 실시예 장치는, 램프수가 종래 장치의 절반 이하로 되어 있다. 그 밖의 조도 및 반송 속도는 동일 조건이다. 본 실시예 장치는, 램프수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광중합성 조성물의 중합률은 모두 종래 장치의 값을 상회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장치는 램프수를 저감시키면서도, 지지체(1)에 도포된 광중합성 조성물(4)의 조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중합률이 높은 안정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구체예 7 내지 12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반송 경로의 상류측의 한쪽에 램프를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고, 반대측의 한쪽에만 램프를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2) 상기 실시예 장치에 있어서, 광강도의 조정은, 직경이 상이한 반송 롤러를 조합해서 램프로부터 지지체(1)까지의 거리를 조작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반송 롤(15)의 직경을 상기 메인 실시예의 제1 반송 롤보다 작게 하는 동시에, 2개의 제2 반송 롤(16a, 16b)로 구성한다.
즉, 제1 반송 롤(15)을 다른 크기의 것으로 교환했을 경우, 제2 반송 롤(16a)을 승강시킴으로써, 다단의 지지체(1)를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3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2 자외선 발생용 램프(19)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광강도를 조정하는 다른 구성으로서, 다단의 반송 경로 사이에 필터를 개재시켜도 좋고, 자외선 발생용 램프(18, 19)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여 광강도를 조정해도 좋다. 나아가, 이들 변형예의 구성을 조합해도 좋다.
본 발명은 그의 사상 또는 본질로부터 일탈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상의 설명이 아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Claims (8)

  1.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이 얻어지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투과성을 갖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며,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지체 상에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지지체를 적어도 1회 반전시켜서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함으로써, 반전 전의 지지체 및 반전 후의 지지체를 대향시켜서 다단으로 하고,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고,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 및 상기 지지체에 광을 투과시키면서, 다단으로 된 지지체상의 모든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전되어서 다단으로 사행되어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롤러의 직경을 변경해서 광의 조사 거리를 조작하여, 반송 경로 상에 있는 지지체 및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투과시키는 광강도를 조절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 수단의 출력 전압을 컨트롤하여, 반송 경로 상에 있는 지지체 및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투과시키는 광강도를 조절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표면 및 이면의 양면에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투과성 박리 라이너 상에 형성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지지체 상에 접합시키고,
    상기 박리 라이너에 의해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피복한 채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광중합시키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처음으로 반전하는 시점에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의 광에 의한 반응률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8. 지지체 상에 형성된 광반응성 조성물층에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반응시켜서 광반응 생성물층이 얻어지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조성물층은, 상기 광조사 수단으로부터의 광에 의해 광중합되어서 감압성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이며,
    투과성을 갖는 상기 지지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투과성을 갖는 지지체에 광반응성 조성물층을 도포하는 도포 시공 수단과,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체를 반전시키는 반전 수단을 구비하여, 지지체의 반송 경로를 다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광조사 수단은, 반전되어서 다단으로 사행되어 반송되는 상기 지지체의 최하단 또는 최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지지체를 향해서 광을 조사하는,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장치.
KR1020120100313A 2011-09-12 2012-09-11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28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8119A JP5823786B2 (ja) 2011-09-12 2011-09-12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JP-P-2011-198119 2011-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871A true KR20130028871A (ko) 2013-03-20

Family

ID=4694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313A KR20130028871A (ko) 2011-09-12 2012-09-11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64987A1 (ko)
EP (1) EP2568025B1 (ko)
JP (1) JP5823786B2 (ko)
KR (1) KR20130028871A (ko)
CN (1) CN102989648A (ko)
TW (1) TW2013187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087B2 (en) 2011-04-28 2016-04-12 Neovasc Tiara Inc. Sequentially deploy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JP6029402B2 (ja) * 2012-09-24 2016-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BR112018013443A2 (pt) 2015-12-29 2018-12-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étodos contínuos de fabricação de aditivo
EP3397445B1 (en) 2015-12-29 2021-07-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inuous additive manufacturing apparatus
JP6952038B2 (ja) 2015-12-29 2021-10-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剤の付加製造法及び接着物品
CN107497637B (zh) * 2017-09-28 2019-05-07 东台市东强纺织有限公司 一种高效纺织涂层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849B2 (ja) 1988-08-29 1995-06-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H03285974A (ja) 1990-03-31 1991-12-17 Sekisui Chem Co Ltd 粘着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の製造方法
AU1641492A (en) 1991-02-28 1992-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stage irradia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acrylic based adhesives and adhesives made thereby
JP2798331B2 (ja) * 1992-05-14 1998-09-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3493731B2 (ja) 1994-05-31 2004-02-03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1898B2 (ja) 2001-11-14 2009-08-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093959A (ja) * 2009-10-27 2011-05-12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23786B2 (ja) 2015-11-25
CN102989648A (zh) 2013-03-27
TW201318718A (zh) 2013-05-16
EP2568025B1 (en) 2014-06-04
US20130064987A1 (en) 2013-03-14
EP2568025A1 (en) 2013-03-13
JP2013059708A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871A (ko) 광반응 생성물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WO2011043269A1 (ja)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剤用原料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KR102263773B1 (ko)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23799A1 (ja) 離型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25530B2 (ja) 無溶剤型樹脂組成物
CN112571879A (zh) 层叠片
JP6029402B2 (ja)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140147599A1 (en) Production method of photoreaction product sheet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694629B2 (ja) 光学シート用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シート用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2017003943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7305939B2 (ja) 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7179193A (ja) 多層型粘着剤
JP4197135B2 (ja) 光反応性組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4311898B2 (ja)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053693B2 (ja) 両面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2015341A (ja) セパレータレス型ダイシングテープ
JP2016007597A (ja)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712833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 irradiating device using it and production method for photoreaction product sheet using those devices
JP2004009422A (ja) 光反応生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7285641B2 (ja) 離型フィルム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15226A (ja) 多層型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138258A (ja) 感圧性接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187067B2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8265349A (ja) 光反応性組成物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24014624A (ja) 粘着シート及び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