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939A -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939A
KR20140039939A KR1020120106815A KR20120106815A KR20140039939A KR 20140039939 A KR20140039939 A KR 20140039939A KR 1020120106815 A KR1020120106815 A KR 1020120106815A KR 20120106815 A KR20120106815 A KR 20120106815A KR 20140039939 A KR20140039939 A KR 2014003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ource images
source
value
f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454B1 (ko
Inventor
김표재
손재식
이기혁
윤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454B1/ko
Priority to PCT/KR2013/008518 priority patent/WO2014051304A1/en
Priority to CN201380045610.7A priority patent/CN104604214B/zh
Priority to EP13185813.6A priority patent/EP2712175B1/en
Priority to AU2013320746A priority patent/AU2013320746B2/en
Priority to JP2015532971A priority patent/JP6392230B2/ja
Priority to US14/037,208 priority patent/US9336619B2/en
Publication of KR2014003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3Bracketing, i.e. taking a series of images with varying exposur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은, 조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조도 환경에서 밝고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PHOTOGRAPH IMAGE GENERATING METHOD, APPARATUS THEROF, AND MEDIUM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어두운 촬영 이미지가 생성되어 촬영 대상인 사물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저조도 환경에서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갖는 촬영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노출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노출 시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카메라의 흔들림이나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한 블러(blur)를 야기하며, 이는 결국 촬영 이미지 품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한편,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입사 광뿐만 아니라, 이미지 센서 자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도 증가시키며, 이 역시 촬영 이미지 품질의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저조도 환경에서 선명하고 밝은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높이더라도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조도 환경에서 선명하고 밝은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은, 조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조도 값 측정하는 조도 측정부;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조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조도 환경에서 밝고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조도 환경에서 기준 밝기와 유사한 촬영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노출 시간을 증가시키는 종래의 방법은 카메라의 흔들림으로 인한 품질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증가시키는 종래의 방법은 이미지 센서 자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증가로 인한 품질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품질 열화 없이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갖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102)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조도 값을 측정한다. 조도 값 측정은, 예를 들어, 프리뷰(preview)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104)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하나의 최종 이미지, 즉 하나의 촬영 이미지 생성을 위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는 저조도 환경에서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갖는 촬영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노출 시간(tp)을 길게 하는 종래의 방법을 보여준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저조도 환경에서 하나의 촬영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하나의 소스 이미지(202)를 획득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기 노출 시간으로 인한 블러가 발생하여 촬영 이미지의 품질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의 (b)는 하나의 촬영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다수의 소스 이미지(202a~202n)를 획득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여준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긴 노출 시간(tp) 동안 하나의 소스 이미지(202)를 획득하는 종래 방법과 다르게, 짧은 노출 시간(t1) 동안 다수의 소스 이미지(202a~202n)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전체 노출 시간 tp = nt1 + (n-1)t0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t1은 각각의 소스 이미지의 획득을 위한 노출 시간이고, t0는 각각의 노출 구간 간의 시간 간격이다. 한편, n은 최종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획득되는 소스 이미지의 개수를 나타내며, 상기 획득되는 소스 이미지의 개수는 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단계(106)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획득된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는, 측정된 조도 값과 설정된 제 1 임계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는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는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 1 임계 값은 노출 시간과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짧은 노출 시간과 낮은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이용하여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갖는 촬영 이미지 생성이 가능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106)의 판단 결과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08)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품질이 가장 좋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품질이 가장 좋은 소스 이미지는,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밝기가 가장 밝은 이미지이거나, 블러가 가장 낮은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밝기와 블러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한 값이 가장 높은 이미지일 수 있다.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할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가 선택되면,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선택된 소스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소스 이미지들은 모두 폐기한다.
단계(108)에 의한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에 의하면, 충분한 밝기의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조도 환경에서는, 짧은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획득한 하나의 소스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단계(106)의 판단 결과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10)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최종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다수의 소스 이미지의 결합 시에 설정된 보정 사항을 수행한다. 여기서, 설정된 보정 사항은, 흔들림 보정, 노이즈 보정 및 밝기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때, 밝기 보정은 조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에만 수행할 수 있다.
단계(110)에 의한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에 의하면, 저조도 환경에서 획득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조도 값을 기반으로 한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기 이전에 조도 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조도 값과 관련된 설정 사항을 기반으로 소스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설정 사항은 조도 값에 대하여 미리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최종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 생성에 이용하기 위하여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는 측정된 조도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10)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고,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10) 미만인 경우에는 6개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10) 이상인 경우에도 단계를 나누어, 그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조도 값이 10 이상 15 미만인 경우에는 3개의 소스 이미지를, 측정된 조도 값이 15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는 2개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설정 사항은 조도 값과 관련된 이미지 센서의 이득과 노출 시간을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 값이 낮을수록 이미지 센서의 이득은 높게, 노출 시간은 짧게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 3개의 소스 이미지(302a, 302b, 302c)가 획득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는,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는, 노출 시간이 짧아 흔들림 보정이 필요치 않으며, 이미지 센서의 이득도 낮게 설정되기 때문에 노이즈 제거를 위한 보정이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촬영된 소스 이미지 중 품질이 가장 좋거나 밝기가 가장 좋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302b)를 선택하고, 선택된 소스 이미지(30b)를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소스 이미지들(302a, 302c)은 폐기한다. 소스 이미지의 품질 판단은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 대한 블러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각각의 소스 이미지들의 블러를 측정한 후, 블러가 가장 낮은 소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의 선택은 밝기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소스 이미지들의 밝기를 측정한 후, 밝기가 가장 높은 소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블러와 밝기를 모두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밝기(Y)와 블러(B)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w1, w2)를 적용하여 품질(S)이 가장 높은 소스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량이 충분한 상태에서, 짧은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흔들림으로 인한 품질 열화가 없고, 밝은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낮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센서로 인한 노이즈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광량이 충분한 상태에서 획득한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정 없이 밝고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저조도 환경에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의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에,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사항을 참조하여 소스 이미지 획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하여 더 많은 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높게 하거나, 노출 시간을 길게 하여 소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6개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 때,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시간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노출 시간보다 길다고 가정한다.
노출 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으로 인한 블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블러 제거를 위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한다.
흔들림 보정을 위하여,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에서 엣지(edge) 영역을 파악하고, 동일한 엣지가 동일한 좌표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좌표 보정을 수행한다. 엣지 영역 판단은 종래 이용되는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소벨 오퍼레이터(Sobel operator), 캐니 엣지 디텍터(Canny edge detector) 및 라플라시안(Laplacian) 등과 같은 엣지 추출 필터를 이용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엣지 영역이 판단되면, 해당 엣지 영역을 기준으로 블러가 가장 낮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나머지 소스 이미지들의 좌표를 보정하여 흔들림을 보정한다.
한편, 측정된 조도 값이 제 1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설정 사항은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높게 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는 이미지 센서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저감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로 인한 노이즈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한 위치(522a, 522b)에 발생한다. 따라서, 다수의 소스 이미지 결합 시에 이러한 노이즈는 저감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다수의 소스 이미지 결합 시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 값들에 대한 평균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소스 이미지 중 2개의 소스 이미지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두 개의 노이즈(522a, 522b)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소스 이미지 결합 시에 각각의 노이즈(522a, 522b)는 1/6로 저감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수의 소스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고 이들을 결합함으로써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이득을 높여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 랜덤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이용되는 방법에 비하여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용될 수 없던 높은 이득을 이용하여서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측정된 조도 값이 매우 낮은 경우에는 밝기 보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측정된 조도 값이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조도 값이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에는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얻기 위하여, 밝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밝기 보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에 더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없이 밝기 보정만 수행할 수도 있다.
밝기 보정은,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rgram Equalization), 레티넥스(Retinex) 기법 또는 명암 대비 스트레칭 기법(Contrast Stretching)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밝기가 향상된 최종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는 기준 밝기와 유사한 밝기를 얻기 위하여 적용되며,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블러가 가장 낮은 소스 이미지에 가장 큰 가중치를 적용하고, 블러가 가장 높은 소스 이미지에는 가장 작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이미지에 적용되는 모든 가중치의 평균 값은 기준 밝기 또는 이와 유사한 밝기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된 조도 값이 매우 낮은 경우에도, 밝고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소스 이미지 획득 중에,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블러가 매우 심한 소스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스 이미지는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은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712c)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을 판단하는 측정 값(M1)이 설정 값(M0)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해당 노출 구간(712c)에서 획득된 소스 이미지(702c)를 폐기할 수 있다. 그리고, 폐기된 소스 이미지의 개수만큼의 새로운 소스 이미지(702d)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러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 판단은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 시마다 이루어지거나, 전체 소스 이미지를 획득한 후, 보정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적용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는, 제어부(810), 조도 측정부(820), 이미지 획득부(830), 센서부(840), 메모리부(850), 입력부(860) 및 표시부(870)를 포함한다.
제어부(810)는, 촬영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조도 측정부(82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부(820)로부터 조도 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조도 값 및 설정된 임계 값을 기반으로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최종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은,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만을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1 방법,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미만이고 제 2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을 수행하고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 2 방법,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 밝기 보정을 수행하는 제 3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방법은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품질이 가장 좋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품질이 가장 좋은 소스 이미지는, 블러가 가장 낮거나 밝기가 가장 높은 소스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블러와 밝기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연산한 값이 가장 높은 소스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810)는,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미만인 경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부(810)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의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부(810)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밝기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한 이후에 밝기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밝기 보정은,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의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0)는, 메모리부(850)에 저장된 설정 사항을 참조하여, 소스 이미지 획득을 수행한다. 설정 사항은, 조도 값과 관련된 기준을 규정한다. 예를 들어, 설정 사항은, 각각의 조도 구간에서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 이미지 센서의 이득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규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810)는, 조도 측정부(820)로부터 수신된 조도 값과, 메모리부(850)에 저장된 설정 사항을 참조하여 소스 이미지 획득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810)는,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 시마다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구간에서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이 설정 값 이상으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 값 이상으로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노출 구간에서 획득된 소스 이미지를 폐기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810)는, 폐기된 소스 이미지의 개수만큼 새로운 소스 이미지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 판단은, 센서부(840)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810)는, 사용자로부터 최종 이미지에 대한 밝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860)를 통한 메뉴의 조작으로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810)는, 선택된 노출 값을 기반으로 최종 이미지 생성을 위하여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 노출 시간 및 센서 이미지의 이득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10)는, 노출 값이 낮게 선택되는 경우에는 더 적은 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고, 노출 값이 높게 선택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사항은 각각의 노출 값에 맵핑되어 메모리부(8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조도 측정부(820)는, 제어부(810)의 요청에 따라 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810)로 전달한다.
이미지 획득부(830)는, 제어부(810)의 제어 하에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한다.
센서부(840)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흔들림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센싱하여 제어부(8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싱 정보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의 기울기 변화 정보 또는 가속도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러한 센싱은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구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850)는,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을 위한 설정 사항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850)는, 소스 이미지에 대한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제 1 임계 값과 밝기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이용되는 제 2 임계 값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850)는, 각각의 조도 구간에서,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 센서 이미지의 이득 및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 사항을 맵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850)는, 최종 이미지 생성을 위한 설정 사항을 각각의 노출 값에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850)는 생성된 최종 이미지, 즉 촬영 이미지를 저장한다.
입력부(8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촬영 준비 및 개시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8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860)는,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노출 값을 선택받는 데 이용된다.
표시부(870)는, 프리 뷰 모드에서 영상을 출력하고, 노출 값 선택 등의 각 종 가이드 화면을 표시한다.
이상에서는, 측정된 조도 값과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선택하고, 선택된 방법에 따라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측정된 조도 값으로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정의 조도 값 또는 조도 범위에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을 맵핑한 맵핑 테이블을 저장하여 두고, 촬영 수행 시에 조도 값이 측정되면 맵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조도 값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
10 이상 제 1 방법
5~10 제 2 방법
0~5 제 3 방법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5)

  1.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에 있어서,
    조도 값을 측정하는 단계;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 및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에 선택되는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은,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품질이 가장 좋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미만인 경우에 선택되는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은,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상기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밝기 보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수가 많을수록 짧은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높을수록 적은 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 시마다 획득된 소스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판단하고, 흔들림 정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소스 이미지를 삭제하는 단계; 및
    삭제된 소스 이미지의 개수만큼 소스 이미지를 더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판단은,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구간에서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노출 값을 기반으로,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노출 값을 기반으로,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각각에 대한 밝기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13.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에 있어서,
    조도 값 측정하는 조도 측정부;
    하나의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설정된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을 기반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 선택 시에 상기 측정된 조도 값과 설정된 임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 생성 방법을 선택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중 품질이 가장 좋은 어느 하나의 소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설정된 제 1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결합하여 상기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흔들림 보정 및 노이즈 보정 중 적어도 하나의 보정을 수행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상기 제 1 임계 값보다 작은 제 2 임계 값 미만인 경우, 상기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들에 대한 밝기 보정을 수행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수가 많을수록 짧은 노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조도 값이 높을수록 적은 수의 소스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 시마다 획득된 소스 이미지의 흔들림 정도를 판단하고, 흔들림 정도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소스 이미지를 삭제하며, 삭제된 소스 이미지의 개수만큼의 소스 이미지를 더 획득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소스 이미지 획득을 위한 노출 구간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흔들림 정도를 판단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선택받고, 선택된 노출 값을 기반으로 획득할 소스 이미지의 개수를 결정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종 이미지 생성에 이용되는 노출 값(Exposure Value; EV)을 선택받고, 선택된 노출 값을 기반으로 획득된 다수의 소스 이미지 각각에 대한 밝기 보정을 수행하는
    촬영 이미지 생성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106815A 2012-09-25 2012-09-25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93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15A KR101933454B1 (ko) 2012-09-25 2012-09-25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CT/KR2013/008518 WO2014051304A1 (en) 2012-09-25 2013-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tograph image
CN201380045610.7A CN104604214B (zh) 2012-09-25 2013-09-24 用于产生拍摄图像的方法和设备
EP13185813.6A EP2712175B1 (en) 2012-09-25 2013-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tograph image
AU2013320746A AU2013320746B2 (en) 2012-09-25 2013-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tograph image
JP2015532971A JP6392230B2 (ja) 2012-09-25 2013-09-24 撮影イメージ生成方法及び装置
US14/037,208 US9336619B2 (en) 2012-09-25 2013-09-25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hotograph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15A KR101933454B1 (ko) 2012-09-25 2012-09-25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939A true KR20140039939A (ko) 2014-04-02
KR101933454B1 KR101933454B1 (ko) 2018-12-31

Family

ID=4925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15A KR101933454B1 (ko) 2012-09-25 2012-09-25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36619B2 (ko)
EP (1) EP2712175B1 (ko)
JP (1) JP6392230B2 (ko)
KR (1) KR101933454B1 (ko)
CN (1) CN104604214B (ko)
AU (1) AU2013320746B2 (ko)
WO (1) WO2014051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86A (ko) * 2017-10-13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5747B2 (en) * 2013-02-04 2021-11-16 Pixart Imaging Inc. Optical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241593B2 (en) * 2013-02-04 2019-03-26 Pixart Imaging Inc. Optical processing apparatus and light source luminance adjustment method thereof
JP5930474B2 (ja) * 2013-09-27 2016-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CN105657242A (zh) * 2015-11-06 2016-06-08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夜景拍照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654470B (zh) * 2015-12-24 2018-12-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像选取方法、装置及系统
CN105763813A (zh) * 2016-04-05 2016-07-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7615744B (zh) * 2016-04-27 2020-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像拍摄参数的确定方法及摄像装置
CN106127698A (zh) * 2016-06-15 2016-11-16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图像降噪处理方法和装置
EP4307700A3 (en) 2016-11-01 2024-03-20 Sna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video capture and sensor adjustment
CN111091513B (zh) * 2019-12-18 2023-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031307A (zh) * 2019-12-20 2020-04-17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EP4203452A1 (en) * 2021-12-23 2023-06-28 Koninklijke Philips N.V. Personal care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9551A1 (en) * 2006-09-25 2008-04-03 Qualcomm Incorporated A hand jitter reduction system for cameras
KR20080102413A (ko) * 2006-05-09 2008-11-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20090244318A1 (en) * 2008-03-25 2009-10-01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JP2010035008A (ja) * 2008-07-30 2010-02-12 Nikon Corp 電子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586B2 (ja) * 1997-08-26 2008-07-2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3804617B2 (ja) * 2003-02-14 2006-08-02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4388293B2 (ja) * 2003-03-13 2009-12-24 京セラ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2005136760A (ja) * 2003-10-31 2005-05-26 Nik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463296B2 (en) * 2004-04-01 2008-12-09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cameras with luminance correction
JP4618100B2 (ja) * 2005-11-04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20658B2 (en) * 2006-01-19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Hand jitter reduction system for cameras
JP4662880B2 (ja) 2006-04-03 2011-03-3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7756407B2 (en) * 2006-05-08 2010-07-1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blurring images
JP2008016918A (ja) * 2006-07-03 2008-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8104009A (ja) 2006-10-19 2008-05-01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017030A (ja) * 2007-07-02 2009-01-22 Sony Corp 画像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
JP2009049575A (ja) 2007-08-15 2009-03-0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24715B1 (ko) * 2007-09-1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9077204A (ja) * 2007-09-21 2009-04-09 Olympus Imaging Corp 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カメラ
KR101023946B1 (ko) 2007-11-02 2011-03-28 주식회사 코아로직 객체 추적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의 손떨림 보정 장치 및방법
US8494306B2 (en) * 2007-12-13 2013-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reating a combined image
KR101454609B1 (ko) * 2008-01-18 2014-10-27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유럽 리미티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DE102008022064A1 (de) * 2008-05-03 2009-11-05 Adc Automotive Distance Control Systems Gmbh Verfahren zur Belichtungssteuerung für eine Kamera in einem Kraftfahrzeug
JP5316070B2 (ja) * 2009-02-23 2013-10-1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KR101615381B1 (ko) * 2009-12-15 2016-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미지 획득 방법 및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JP2011239259A (ja) * 2010-05-12 2011-11-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42828A (ja) * 2011-01-05 2012-07-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576812B2 (ja) * 2011-02-16 2014-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US8890986B2 (en) * 2011-04-27 2014-11-18 Aptina Imag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high dynamic range images using multi-frame interlaced exposure images
US8446481B1 (en) * 2012-09-11 2013-05-21 Google Inc. Interleaved capture for high dynamic range image acquisition and synthesi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413A (ko) * 2006-05-09 2008-11-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WO2008039551A1 (en) * 2006-09-25 2008-04-03 Qualcomm Incorporated A hand jitter reduction system for cameras
US20090244318A1 (en) * 2008-03-25 2009-10-01 Sony Corporatio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JP2010035008A (ja) * 2008-07-30 2010-02-12 Nikon Corp 電子カメ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586A (ko) * 2017-10-13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20746B2 (en) 2016-11-24
WO2014051304A1 (en) 2014-04-03
JP6392230B2 (ja) 2018-09-19
US9336619B2 (en) 2016-05-10
CN104604214A (zh) 2015-05-06
JP2015534765A (ja) 2015-12-03
US20140086505A1 (en) 2014-03-27
KR101933454B1 (ko) 2018-12-31
EP2712175A3 (en) 2017-07-12
AU2013320746A1 (en) 2015-01-29
EP2712175A2 (en) 2014-03-26
EP2712175B1 (en) 2021-03-31
CN104604214B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454B1 (ko)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US809894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ing blurring in an image
US8422827B2 (en) Image correction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KR101489048B1 (ko) 촬상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
JP5719418B2 (ja) ハイダイナミックレンジ画像の露光時間制御方法
JP2007097195A (ja) 画像取り込み装置で画像を取り込む際の動きによるブレを制限するために最大露光時間を判定する方法、画像取り込み装置を用いて画像を取り込む方法、および画像取り込み装置で画像を取り込む際の動きによるブレを制限するための最大露光時間を判定する装置
JP2013223043A (ja) 受光装置および伝送システム
US8873881B2 (en) Dust detection system and digital camera
JP672088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5309559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79514A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06110B2 (en) Foreign body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and foreign body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of imaging apparatus
JP2009088935A (ja) 画像記録装置、画像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898224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luminance correction,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JP2017038139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413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fect image correction
KR101615381B1 (ko) 이미지 획득 방법 및 디지털 카메라 시스템
JP734607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83855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0118822A (ja) 手ぶれ補正装置及び手ぶれ補正方法
JP2009152780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効果付与プログラム
KR101677394B1 (ko) 영상 획득 시스템 및 그 영상 획득 방법
JP5929019B2 (ja) 撮像装置
JP2005303595A (ja) 撮像装置
US20150302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 detection using frame grou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