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715B1 -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715B1
KR101424715B1 KR1020070092729A KR20070092729A KR101424715B1 KR 101424715 B1 KR101424715 B1 KR 101424715B1 KR 1020070092729 A KR1020070092729 A KR 1020070092729A KR 20070092729 A KR20070092729 A KR 20070092729A KR 101424715 B1 KR101424715 B1 KR 10142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mage
brightness distribution
image generation
image acqui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480A (ko
Inventor
최원희
이성덕
권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5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resolution by using a singl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의 변경 없이 획득 가능한 조도 대역을 확장하여 다양한 장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대응하여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밝기 분포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다이나믹 레인지, 조도, 밝기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acquiring imag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의 변경 없이 획득 가능한 조도 대역을 확장하여 다양한 장면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대응하여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카메라 폰 등과 같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의 이미지 센서는 점점 소형화되고 고감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는 조도에 적응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자동 노출 제어(Auto Exposure Control)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 센서의 조도 획득 성능 한계로 인해 부분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 센서의 조도 획득 성능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노출 조정이 원하는 만큼 이루어지지 않은 이미지에 대해 저휘도를 복원하는 방법, 어두운 장면에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긴 노출 시간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때 영상의 블러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장의 서로 다른 노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합성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어둡고 밝은 부분이 혼재하는 고조도 대비의 이미지에서는 노출을 달리한 다중의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이를 합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자동 노출 제어 기능과 더불어,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즉,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의 목적을 위해서만 동작할 뿐, 전체 시스템에서 유기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획득된 이미지는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이미지 획득 당시에 최적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전술한 방법들이 전체 시스템에서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준 이미지로부터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빈도를 분석하여 적절한 이미지 획득 모드와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여 각 이미지 특성에 적합하게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밝기 분포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미지의 밝기 분포에 따라 적합한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의 변경 없이도 획득 가능한 조도 대역을 확장하여 다양한 장면에서 해당 장면의 다이나믹 레인지에 대응하여 최대 다이나믹 레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 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이미지 획득부(110), 밝기 분포 분석부(120), 모드 선택부(130) 및 이미지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이 소정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 자체이거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와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USB 및 IEEE 1394 등의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투스 등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소정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후술할 모드 선택부(130)에 따라 동일한 피사체에 대하여 한번만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서로 다른 노출 시간으로 복수 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획득부(110)가 노출 시간을 조절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출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 플래시와 같은 구성 요소가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밝기 분포 분석부(120)는 소정의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는 이미지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소정 이미지이거나 사전 저장된 이미지일 수 있으며, 실제 획득하려는 피사체의 이미지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밝기 분포 분석부(120)는 기준 이미지를 픽셀 또는 블록 단위로 밝기를 분석 하여 도 2 내지 도 6과 같이 다양한 밝기 분포를 분석해낼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6은 기준 이미지에서 밝기별 픽셀 수를 분석한 경우의 일 예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밝기 분포 분석부(120)는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기준 이미지의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의 픽셀 빈도, 즉 픽셀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의 기준이 되는 밝기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30)는 밝기 분포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밝기 분포를 근거로 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 및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는 소정 피사체에 대하여 한번만 이미지를 획득할 것인지, 복수 개 이미지를 획득하여 합성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획득 모드는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및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1이미지 획득 모드는 한번만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이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는 복수 개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이다.
이때, 전술한 도 2 내지 도 6 중 제 1이미지 획득 모드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은 도 2 내지 도 4이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은 도 5 및 도 6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 1이미지 획득 모드는 노출 시간 조절 및 저휘도 복원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한번의 이미지 획득으로도 최적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는 다중 노출로 복수 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합성하여 최적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모드 선택부(130)는 밝기 분포 분석부(12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가 선택되면,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생성 선택 모드 또한 밝기 분포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밝기 분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생성 모드는,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제 2이미지 생성 모드,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및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이미지 획득 모드에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및 제 2이미지 생성 모드가 관련되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에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및 제 4이미지 생성 모드가 관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이미지 생성 모드가 자동 노출 제어(Auto Exposure Control) 모드, 제 2이미지 생성 모드가 저휘도 복원 모드, 제 3이미지 생성 모드가 HDR(High Dynamic Range) 모드, 제 4 이미지 생성 모드가 모션 디블러링(Motion Deblurring) 모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이미지 획득 모드에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및 제 2이미지 생성 모드가 관련되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에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및 제 4이미지 생성 모드가 관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카메라의 플래시를 이용하거나 한 개 또는 복수 개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다양한 모드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미지 생성부(140)는 전술한 모드 선택부(130)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를 해당하는 모드로 생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은, 먼저 밝기 분포 분석부(120)가 소정의 기준 이미지에 대한 밝기 분포를 분석하게 된다(S110). 예를 들어, 밝기 분포 분석부(120)는 기준 이미지에서 각 픽셀별로 밝기를 분석하여 전술한 도 2 내지 도 6과 같은 밝기 분포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드 선택부(130)는 밝기 분포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120). 즉, 모드 선택부(130)는 분석된 밝기 분포가 전술한 도 2 내지 도 6 중 어느 밝기 분포에 적용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가 고르거나 부분적으로 어두운 장면에 대하여 긴 노출로 인해 블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한번만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포화된 밝은 영역과 포화된 어두운 영역이 동시에 존재하거나 포화된 어두운 영역이 다수 존재하여 긴 노출로 인해 화질 열화가 예측되는 경우에는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모드 선택부(130)는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한 다음, 밝기 분포 분석부(120)에 의해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S130). 즉,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하에서는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2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제 2이미지 획득 모드 하에서는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이미지 획득부(110)는 선택된 이미지 획득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고, 이미지 생성부(140)는 선택된 이미지 생성 모드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전술한 도 7에서 각 이미지 획득 모드에 따른 이미지 생성 모드 선택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모드 선택부(130)가 제 1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8과 같이, 모드 선택부(S130)는 어두운 영역의 분포가 d1보다 작거나 밝은 영역의 분포가 b1보가 작은 경우(S210),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즉 자동 노출 제어 모드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S220).
또한, 모드 선택부(S130)는 어두운 영역의 분포가 d1보다 크고 d2보다 작은 경우(S230), 제 2이미지 생성 모드, 즉 저휘도 복원 모드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S240).
한편, 모드 선택부(130)가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도 9과 같이, 모드 선택부(S130)는 어두운 영역의 분포가 d1보다 크고 밝은 영역의 분포가 b1보다 큰 경우(S310),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즉 HDR 모드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S320).
또한, 모드 선택부(S130)는 어두운 영역의 분포가 d2보다 큰 경우(S330), 제 4이미지 생성 모드, 즉 모션 디블러링 모드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플래시를 켜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된다(S340).
이때, 전술한 도 8 및 도 9에서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의 분포에 대한 기 준이 되는 b1, d1 및 d2는 이미지 획득 장치의 특성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석된 밝기 분포가 도시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이미지 획득 모드시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이미지 획득 모드시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이미지 획득부 120: 밝기 분포 분석부
130: 모드 선택부 140: 이미지 생성부

Claims (18)

  1.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밝기 분포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밝기 분포의 균일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의 빈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 설정된 이미지 생성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분포 분석부는,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로부터 상기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빈도를 분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는, 소정 피사체에 대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및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다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획득 모드에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선택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2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미지 생성 모드는, 자동 노출 제어 모드이고,
    상기 제 2이미지 생성 모드는, 저휘도 복원 모드인 이미지 획득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제 2이미지 획득 모드 선택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이미지 생성 모드는, HDR 모드이고,
    상기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는, 모션 디블러링 모드 또는 카메라 플래시를 켜 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드인 이미지 획득 장치.
  10. 기준 이미지의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 및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밝기 분포의 균일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어두운 영역 및 밝은 영역의 빈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획득 모드에 설정된 이미지 생성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로부터 상기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빈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 피사체에 대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또는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다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2이미지 획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획득 모드에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근거하여 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이미지 획득 모드 선택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제 1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2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미지 생성 모드는, 자동 노출 제어 모드이고,
    상기 제 2이미지 생성 모드는, 저휘도 복원 모드인 이미지 획득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이미지 획득 모드 선택시, 상기 분석된 밝기 분포에 따라 제 3이미지 생성 모드 또는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이미지 생성 모드는, HDR 모드이고,
    상기 제 4이미지 생성 모드는, 모션 디블러링 모드 또는 카메라 플래시를 켜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드인 이미지 획득 방법.
KR1020070092729A 2007-09-12 2007-09-12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42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29A KR101424715B1 (ko) 2007-09-12 2007-09-12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29A KR101424715B1 (ko) 2007-09-12 2007-09-12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480A KR20090027480A (ko) 2009-03-17
KR101424715B1 true KR101424715B1 (ko) 2014-07-31

Family

ID=40695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29A KR101424715B1 (ko) 2007-09-12 2007-09-12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307B2 (en) * 2011-11-15 2014-12-02 Mitutoyo Corporation Machine vision system editing environment for a part program in which a continuous stream of image acquisi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during a run mode
KR101933454B1 (ko) * 2012-09-25 201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629825B1 (ko) 2014-12-04 2016-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Hdr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378A (ja) 1998-09-16 2000-03-31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2003264738A (ja) * 2002-03-07 2003-09-19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007298A (ja) * 2002-06-03 2004-01-08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2378A (ja) 1998-09-16 2000-03-31 Olympus Optical Co Ltd 撮像装置
JP2003264738A (ja) * 2002-03-07 2003-09-19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4007298A (ja) * 2002-06-03 2004-01-08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480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2283B (zh) 多工高動態範圍影像
JP4218723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57127B2 (en) System for auto-HDR capture decision making
CN102629976B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设备的控制方法
US20120019686A1 (en) Image synthesizing device,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20127336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16717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a cyclic shooting oper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587380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2501884A (ja) エントロピー分散に基づくイメージセンサの自動露出
JP4196588B2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043674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JP5765893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424715B1 (ko)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8728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o generate image for object recognition
JP683149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06111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CN110392205B (zh) 图像处理设备、信息显示设备、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101805629B1 (ko) 영상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인 영상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91113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7710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9124289A1 (ja) 装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15233232A (ja) 画像取得装置
JP5482148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調整回路及び撮像装置
JP5882644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83460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