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946A - 대전용 주행 완구 - Google Patents

대전용 주행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946A
KR20140037946A KR1020147002902A KR20147002902A KR20140037946A KR 20140037946 A KR20140037946 A KR 20140037946A KR 1020147002902 A KR1020147002902 A KR 1020147002902A KR 20147002902 A KR20147002902 A KR 20147002902A KR 20140037946 A KR20140037946 A KR 2014003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traveling
running
charging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사토오
요시타케 츠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14003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2Chassis; Wheel mountings; Wheels; Axles; Suspensions; Fitting body portions to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75W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간단한 동작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재미있는 대전용 주행 완구로 제공한다.
대전용 주행 완구(20)는 완구 본체(30)와, 완구 본체(30)에 설치되는 주행 수단과, 완구 본체(30) 상에 장착되는 인형체(21)를 갖는다. 완구 본체(30)의 전방부에는, 전방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5)와, 경사부(55)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방 하방을 향해 끝이 가늘고, 다른 주행 완구와 주행면 사이에 돌입하여 다른 주행 완구를 전도시키기 위한 돌입부(56)가 설치된다. 완구 본체(30)의 하부에는, 다른 주행 완구의 돌입부를 측방으로부터 돌입시키는 간극부(58)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대전용 주행 완구{TRAVELING COMBAT TOY}
본 발명은, 대전용 주행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인형체를 싸우게 하여 우열을 다투는 완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전용 완구로서, 각종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2개의 인형체(완구 본체)를 이용한 완구 대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인형체의 주 요소인 동체 부재는, 인형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차륜과, 상대를 공격하기 위한 왼팔 및 오른팔과, 전방면에 설치되는 가동판과, 가동판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튀어나오는 머리부를 갖는다. 왼팔 혹은 오른팔에 의한 공격이 가동판에 닿으면, 머리부가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는, 인형체를 이동시키면서 상대의 가동판을 왼팔이나 오른팔로 공격하여, 권투 놀이를 즐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79964호 공보(도 4)
그런데, 최근, 단순하고 재미있는 완구가 요구되고 있고, 간단한 동작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대전용 완구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완구에 있어서는, 승패가 결정될 때까지, 완구 본체의 이동, 팔부에 의한 공격, 머리부의 튀어나옴을 포함하는 다수의 동작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단한 동작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재미있는 대전용 주행 완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는, 주행 수단이 설치된 완구 본체를 갖는 대전용 주행 완구이며, 완구 본체의 전방부에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을 갖는 돌입부가 설치되고, 완구 본체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방되어,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입부가 돌입 가능한 간극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완구 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는,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와 스쳐 지나갈 때에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돌입부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막대부를 갖고, 막대부는,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주행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지를 갖고, 전지는, 상기 완구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주행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지를 갖고, 전지는, 완구 본체의 좌우 방향 중심에 대해, 좌우 중 어느 한 측으로 비키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주행 수단은, 좌우의 차륜으로 구성되고, 차륜은, 완구 본체의 폭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용 주행 완구에 있어서, 완구 본체의 전방부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재미있는 대전용 주행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대전용 주행 완구를 이용한 대전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대전용 주행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대전용 주행 완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대전용 주행 완구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대전용 주행 완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대전용 주행 완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돌출부의 형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도 4의 A 화살표도, (b)∼(d)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의 B-B선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대전용 주행 완구의 작용 설명도로, (a)는 충돌 전의 2개의 주행 완구를 도시하는 도면, (b)는 돌입부와 간극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c)는 충돌 후의 2개의 주행 완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돌출부의 작용 설명도로, (a)는 충돌 전의 2개의 주행 완구를 도시하는 도면, (b)는 충돌 후의 2개의 주행 완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방벽의 둥그스름한 부분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대전용 주행 완구의 변경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b)는 막대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대전용 주행 완구의 다른 변경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 전체를 통해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전후·좌우는, 대전용 주행 완구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전후·좌우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대전용 주행 완구를 포함하는 대전 시스템(10)은, 받침대(11)와, 받침대(11)의 주행면(12)을 주행하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대전용 주행 완구(20, 20A)를 갖는다. 주행 완구(20, 20A)는, 예를 들어 무선 조종되는 이른바 라디콘(radio control)이다.
대전 시스템(10)에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송신기(13, 13A)를 조작하여 주행 완구(20, 20A)를 이동시켜, 상대의 주행 완구(20, 20A)에 접촉시키거나 충돌시키거나 한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내에 주행 완구(20, 20A)를 전도시킴으로써, 승패를 결정한다(상대의 주행 완구를 전도시킨 자가 승자)고 하는 설정이다. 또한, 상대의 주행 완구(20, 20A)를 받침대(12)로부터 떨어뜨리거나, 상대의 인형체(21, 21A)를 떨어뜨리거나 함으로써, 승패나 우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주행 완구(20)의 구성을 도 2∼도 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주행 완구(20A)에 대해서는, 주행 완구(20)와 기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완구(20)는 완구 본체(30)와, 완구 본체(30) 상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캐릭터를 본뜬 인형체(21)를 갖는다. 완구 본체(30)는 상자 형상의 섀시(40)와, 섀시(40)를 상부로부터 덮는 보디(50)와, 보디(50)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좌우의 돌출부(31)와, 송신기(13)(도 1 참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2)를 갖는다. 완구 본체(30)는, 예를 들어 직진[화살표 (1)로 나타내는 방향] 및 신지 선회[화살표 (2)로 나타내는 방향]가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40)의 하부에는, 주행 수단[여기서는, 좌우 한 쌍의 차륜(41)]이 설치된다. 차륜(41)은 섀시(40)의 후방부 부근에 설치되고, 전동 모터 등의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차륜(41)의 전방측에는, 주행면(12)에 대해 섀시(40)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예를 들어, 주행면을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부재나 일반적인 종동륜 등)(42)가 설치된다. 또한, 주행 수단은, 차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행면(12)에 대해 주행 완구(20)를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면, 구성은 임의이다.
또한, 섀시(40)에는, 구동 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예를 들어, 건전지)(43) 및 전지 박스(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전지(43) 및 전지 박스는, 완구 본체(30)의 상하 방향 중심 C1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행 완구(20)의 구성품 중에서도 비교적 질량이 큰 전지(43)를 높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주행 완구(20)의 무게 중심 위치가 높아지므로, 주행 완구(20)가 불안정해져, 전도되기 쉬워진다.
또한, 섀시(40)의 일부분(예를 들어, 상부나 하부 등)을 제거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부분을 덮개로서 이용함으로써, 전지(43)를 교환하거나 섀시(40) 내에 각종 구성 부품을 조립하거나 할 수 있다.
보디(50)는 섀시(4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디(50)는, 하방으로 개방된 대략 상자 형상을 나타내고, 섀시(40)의 상면을 덮는 상벽(51)과, 섀시(40)의 측면을 덮는 측벽(52)과, 섀시(40)의 전방면을 덮는 전방벽(53)과, 섀시(40)의 배면을 덮는 후방벽(54)을 갖는다. 상벽(51)으로부터는, 지지체(32)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지지체(32)의 선단부(32a)에는, 인형체(21)의 소정 개소[여기서는 인형체(21)의 허리부 부근]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방벽(53)은 전방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55)를 갖는다. 경사부(55)의 전방 하부에는, 다른 주행 완구(20A)(도 1 참조)의 하부를 측방으로부터 찌르는 것과 같이 돌입하는 돌입부(56)가 설치된다. 돌입부(56)는 전방 하방을 향해 끝이 가늘고, 그 첨예한 선단(56a)은 주행면(12)에 근접한다. 다른 주행 완구(20A)(도 1 참조)의 하부로 돌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돌입부(56) 및 경사부(55)에, 측면에서 보아 내측으로 만곡되는 둥그스름한 부분 R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단(56a)의 주행면(12)으로부터의 높이 위치 P1은, 측벽(52)의 하부 테두리(57)의 높이 위치 P2[혹은 섀시의 하면(44)의 높이 위치 P3]보다도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구 본체(30)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방되는 간극부(58)가 형성된다. 간극부(58)는 주행 완구(20)와 주행면(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며, 측벽의 하부 테두리(57)로부터 섀시의 하면(44)에 걸쳐 형성된다. 이 간극부(58)에는, 다른 주행 완구의 돌입부(56A)(도 1 참조)가 돌입 가능하다.
좌우의 측벽(52)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측벽(52)에, 내측으로 만곡되는 둥그스름한 부분 R2를 설치하고, 좌우의 측벽(52)의 하부의 폭 치수 W1을 상부의 폭 치수 W2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에 의해, 하부 테두리(57)가 약간 외향으로 형성되므로, 다른 주행 완구의 돌입부(56A)(도 1 참조)가 간극부(58)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43)는 완구 본체(30)의 좌우 방향 중심 C2에 대해 좌우 중 어느 한 측[여기서는, 화살표 (3)으로 나타내는 좌측]으로 비키어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질량이 큰 전지(43)의 무게 중심을 좌우 방향 중심 C2에 대해 편심시키면, 전지(43)를 배치한 측으로 주행 완구(20)가 전도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전지(43)를 배치한 측과는 반대측의 측부를, 충돌에 약한 약점으로 할 수 있다.
전방벽(53)의 하부 테두리(59)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부 테두리(59)를 평면에서 보아 앞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도록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돌입부(56)의 선단(56a)에 둥그스름한 부분 R3을 설치하고, 선단(56a)의 좌우 양측의 테두리부에도 둥그스름한 부분 R4를 설치한다. 또한, 둥그스름한 부분 R3, R4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전방벽(53)과 마찬가지로, 후방벽(54)의 하부 테두리(61)에 둥그스름한 부분 R5, R6을 설치해도 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차륜(41)은 완구 본체(30)의 폭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좌우의 차륜(41)의 폭 치수 W3을 보디(50)의 폭 치수 W4[보다 바람직하게는, 섀시(40)의 폭 치수 W5]보다도 작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차륜(41)의 폭을 좁게 설정함으로써, 주행 완구(20)는 좌우 방향의 전도 각도가 작아져 전도되기 쉬워진다.
다음에, 돌출부(31)의 구성을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1)는 대략 원반 형상이고, 다른 주행 완구와 스쳐 지나갈 때에 다른 주행 완구의 돌출부(31A)(도 1 참조)와 접촉한다. 이 돌출부(31)는 화살표 (4)로 나타내는 하반부측만의 형태(대략 반원반 형상)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반원반 형상으로 변경 가능한 점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돌출부(31)의 변형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1)는 평면 형상의 측면(31a)과, 테이퍼 형상의 외주면(31b)을 조합한 원뿔대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1)는 외측으로 만곡된 볼록 곡면(예를 들어, 구면)(31c)과 테이퍼 형상의 외주면(31d)을 조합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1)는 측면 전체를 볼록 곡면(예를 들어, 구면)(31e)으로 형성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31)의 형상은,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목 곡면 형상이나 다면체 형상 등, 주행 완구(20)에 요구되는 사양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31)의 외주면이나 측면에 널링 형상의 홈이나 줄 등을 형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주행 완구(20, 20A)의 작용을 도 8∼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완구(20)의 측부를 향해, 다른 주행 완구(20A)가 주행하면,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주행 완구(20A)의 돌입부(56A)가 간극부(58)에 측방으로부터 돌입한다.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주행 완구(20A)가 더 전진하면, 돌입부(56A)가 주행 완구(20)와 주행면(12) 사이를 찌르는 것과 같이 돌입한다. 그러면, 주행 완구(20)가 경사부(55A)를 타고 올라가 기울어진다. 그 결과, 화살표 (5)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주행 완구(20)가 전도된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완구(20)와 다른 주행 완구(20A)가 스쳐 지나가면,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31)와 돌출부(31A)가 충돌한다. 이 충돌에 의해, 예를 들어 돌출부(31)가 돌출부(31A)로 되돌아오거나 올라타거나 하면, 주행 완구(20)는 자립 안정성을 잃고, 화살표 (6)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전도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주행 완구(20, 20A)에 의하면, 사용자는, 돌입부(56, 56A) 혹은 돌출부(31, 31A)를 사용하여 공격하여, 상대의 주행 완구(20, 20A)를 전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승패가 결정될 때까지의 동작은, 주행 완구(20, 20A)를 주행시켜 상대의 주행 완구(20, 20A)를 전도시키는 동작 뿐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으로 승패가 결정되는 재미있는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벽의 하부 테두리(59)를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대해, 전방벽의 하부 테두리를 만곡시키지 않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벽의 하부 테두리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면, 직선부나 코너부에 의해 주행 완구의 전도가 방해된다. 즉, 주행 완구가 구르기 어려워진다. 이 점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부 테두리(59)에 둥그스름한 부분 R3, R4를 설치하였으므로, 주행 완구(20)가 전도시에 주행면(12)을 구르기 쉽다. 그 결과, 주행 완구(20)를 보다 용이하게 전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주행 완구에 의하면, 전도되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어, 주행 완구끼리가 충돌하였을 때에 밸런스가 불안정해지므로, 조작자 자신도 실제로 자신의 주행 완구 또는 대전 상대의 주행 완구가 전도될 때까지, 전도될지 전도되지 않을지 알 수 없다고 하는 긴박감을 갖고 대전에 임할 수 있어, 보다 흥취성이 높은 대전용 주행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 형태의 변경예를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완구(70)는 돌입부(56)보다도 소정 길이 L만큼 전방으로 연장되는 막대부(23)를 갖는다. 막대부(23)는 상대의 돌출부(31A)에 접촉 가능하다.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막대부(23)의 선단을 돌출부(31A)에 접촉시킴으로써 상대의 주행 완구(20A)를 화살표 (7)의 방향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이 변경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돌입부(56) 및 돌출부(31)에 의한 공격에 더하여, 막대부(23)에 의해서도 상대의 주행 완구(20A)를 공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경예를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완구(80)는 보디(50)의 상부에 장착부(33)를 설치하고, 이 장착부(33)에 복수종의 부품을 착탈 자유롭게 장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전 내용에 따라서, 볼록 곡면 형상의 부품(34)을 장착하거나, 혹은 부품(34)을 제거하고 막대부(23)(도 11 참조)를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돌입부(56) 및 돌출부(31)에 의한 공격에 더하여, 부품(34)이나 막대부(23) 등의 교환 부품을 사용하여, 다양한 대전을 즐길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또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부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
12 : 주행면
20, 20A : 대전용 주행 완구
23 : 막대부
30 : 완구 본체
31, 31A : 돌출부
41 : 차륜(주행 수단)
43 : 전지
56, 56A : 돌입부
58 : 간극부
70, 80 : 대전용 주행 완구
C1 : 상하 방향 중심
C2 : 좌우 방향 중심
W4 : 폭 치수

Claims (7)

  1. 주행 수단이 설치된 완구 본체를 갖는 대전용 주행 완구이며,
    상기 완구 본체의 전방부에는, 전방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을 갖는 돌입부가 설치되고,
    상기 완구 본체의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방되어,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입부가 돌입 가능한 간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용 주행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와 스쳐 지나갈 때에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대전용 주행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부보다도 전방으로 연장되는 막대부를 갖고,
    상기 막대부는, 다른 대전용 주행 완구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대전용 주행 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지를 갖고,
    상기 전지는, 상기 완구 본체의 상하 방향 중심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대전용 주행 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지를 갖고,
    상기 전지는, 상기 완구 본체의 좌우 방향 중심에 대해 좌우 중 어느 한 측으로 비키어 배치되는, 대전용 주행 완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수단은, 좌우의 차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차륜은, 상기 완구 본체의 폭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는, 대전용 주행 완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구 본체의 전방부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대전용 주행 완구.
KR1020147002902A 2011-09-20 2012-09-19 대전용 주행 완구 KR20140037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5238A JP5044716B1 (ja) 2011-09-20 2011-09-20 対戦用走行玩具
JPJP-P-2011-205238 2011-09-20
PCT/JP2012/073875 WO2013042672A1 (ja) 2011-09-20 2012-09-19 対戦用走行玩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946A true KR20140037946A (ko) 2014-03-27

Family

ID=4646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902A KR20140037946A (ko) 2011-09-20 2012-09-19 대전용 주행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47935A1 (ko)
JP (1) JP5044716B1 (ko)
KR (1) KR20140037946A (ko)
CN (2) CN202822770U (ko)
WO (1) WO201304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3871B2 (ja) * 2012-09-25 2014-07-16 株式会社バンダイ 対戦ゲーム用ゲームピースおよび対戦ゲームセット
WO2017047137A1 (ja) * 2015-09-18 2017-03-23 有限会社イング二十一 走行玩具
CN105617673B (zh) * 2015-12-25 2017-12-01 杭州电子科技大学 转向轮摆动角行程及周期精密可调的无碳小车
CN110302547A (zh) * 2019-07-01 2019-10-0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玩具对战系统
CN110302548A (zh) * 2019-07-01 2019-10-08 奥飞娱乐股份有限公司 对战设备及对战玩具的互动系统
JP7300487B2 (ja) * 2021-10-15 2023-06-29 株式会社バンダイ 移動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957A (en) * 1975-02-12 1976-01-20 Marvin Glass & Associates Toy vehicle
JP3046902B2 (ja) * 1993-10-25 2000-05-29 株式会社タカラ 弾き玩具
JP2598287Y2 (ja) * 1993-12-07 1999-08-03 株式会社タカラ 弾き玩具
JP2003527945A (ja) * 2000-03-24 2003-09-24 ティルバー、ニール ジャイロスコープ動作をする複数の車輪を有する玩具車両
JP3737961B2 (ja) * 2001-09-14 2006-01-25 株式会社バンダイ 玩具対戦システム及び対戦玩具
JP3987753B2 (ja) * 2002-04-19 2007-10-10 株式会社ウィズ 玩具セット
JP3092360U (ja) * 2002-08-27 2003-03-07 株式会社タカラ おはじき玩具
US7291054B2 (en) * 2002-10-23 2007-11-06 Silverlit Toys Manufactory, Ltd. Toy with programmable remote control
US6672937B1 (en) * 2002-12-23 2004-01-06 Stephen J. Motosko Miniature toy vehicle
US6746304B1 (en) * 2003-04-14 2004-06-08 Shu-Ming Liu Remote-control toy car set
US7938709B2 (en) * 2008-06-26 2011-05-10 Vladimir Leonov Steering mechanism for a toy vehicle
US20120178339A1 (en) * 2011-01-11 2012-07-12 Mimlitch Iii Robert H Moving Attachments for a Vibration Powered Toy
JP4588115B1 (ja) * 2010-04-01 2010-11-24 株式会社バンダイ 走行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44716B1 (ja) 2012-10-10
CN102580321A (zh) 2012-07-18
CN202822770U (zh) 2013-03-27
WO2013042672A1 (ja) 2013-03-28
US20150147935A1 (en) 2015-05-28
JP2013066514A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7946A (ko) 대전용 주행 완구
US5893791A (en) Remote controlled rolling toy
US4177992A (en) Ball fling-out structure with pivoting goals
CN104998416A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JP4588115B1 (ja) 走行玩具
US3792548A (en) Amusement device
JP2007111144A (ja) コマ玩具
CN107715463A (zh) 对战用行走玩具
JP2013066699A (ja) 対戦用走行玩具
CN202654708U (zh) 玩具机器人
CN216703330U (zh) 一种可倒式靶杆
JPS6019261B2 (ja) おもちやのレ−シング装置
DE3104787A1 (de) Spielzeug mit ueberraschungseffekt
JP2017070600A (ja) 対戦玩具
CN203736845U (zh) 对战遥控玩具车
JP3205781U (ja) ゲーム盤
CN203540043U (zh) 一种转动持久的玩具陀螺
CN205084392U (zh) 一种旋转玩具游戏装置
CN210409478U (zh) 一种学前教育用益智玩具
JP2003311018A (ja) 格闘型ゲーム用玩具のゲーム台
JP6481002B1 (ja) 移動玩具、移動玩具用動作ユニット、及び移動玩具セット
JP4185938B2 (ja) 飛翔玩具
JP3021267U (ja) ゲーム装置
JP2006102088A (ja) 玉入れゲーム玩具
JPH07194770A (ja) 磁力盤と磁力駒とで遊ぶゲーム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