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372A -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 Google Patents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372A
KR20140034372A KR1020120099953A KR20120099953A KR20140034372A KR 20140034372 A KR20140034372 A KR 20140034372A KR 1020120099953 A KR1020120099953 A KR 1020120099953A KR 20120099953 A KR20120099953 A KR 20120099953A KR 20140034372 A KR20140034372 A KR 2014003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uide pipe
pipe
ships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580B1 (ko
Inventor
이희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펌프나 게이지를 보호하도록 구비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펌프나 게이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수용공간이 파이프의 단면상 일 측에서의 회동에 의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guide pip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탱크 하부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를 보호하며, 펌프나 게이지에 연결된 호스나 연결선을 보호하도록 구비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탱크에는 불활성 가스나 물 또는 유류 등이 있게 되는데 이러한 선박의 탱크에 있는 불활성 가스나 물 또는 유류 등을 상부로 용이하게 퍼올릴 목적으로 선박의 탱크 하부 바닥에는 휴대용 펌프가 임시로 설치된다.
또한, 선박의 탱크에 있는 불활성 가스나 물 또는 유류 등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목적으로 선박의 탱크 하부 바닥에는 휴대용 게이지(gauge)가 임시로 설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오일 탱크(oil tank)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의 상부에서 바닥까지의 깊이는 깊기 때문에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이러한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를 탱크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고,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의해 펌프나 게이지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77-0000596호(1977년03월12일자 출원,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는 그 단부가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를 단순히 감쌀 수 있는 형태로만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유지보수나 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는 내부에 수용된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선체의 바닥으로부터 그 단부가 이격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펌프나 게이지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1977-0000596호(1977년03월12일자 출원)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설비의 고장이나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호하여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펌프나 게이지를 보호하도록 구비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있어서, 펌프나 게이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수용공간이 파이프의 단면상 일 측에서의 회동에 의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내부수용공간의 절반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부와,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내부수용공간의 나머지 절반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동 되는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내부수용공간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회동 개폐부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동 개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동 개폐부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고정 힌지와, 상기 회동 개폐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힌지와 중첩되게 구비된 회동 힌지와, 상기 고정 힌지 및 상기 회동 힌지가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 결합된 힌지 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힌지 및 상기 회동 힌지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부에 위치하여 평면상으로는 상호 중첩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힌지 및 상기 회동 힌지 각각의 판면에서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는 상기 힌지 볼트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체 흡입공이 방사상으로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체 흡입공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별로 천공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바닥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설비의 고장이나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호하여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가 선박 탱크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일측이 측면상으로 회동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회동 힌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의 고정 힌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탱크 내부에서 론지 부재(3)들과의 사이 공간의 바닥(1)에 임시로 설치되는 펌프나 게이지를 보호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나 게이지가 하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수용공간(5)이 파이프의 단면상 일 측에서의 회동에 의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선체의 바닥(1)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에 의해서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 해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수용공간(5)의 절반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부(20)와, 폐쇄위치에서는 고정부(20)와 함께 내부수용공간(5)의 나머지 절반을 형성하고 고정부(20)에 대해 회동 되는 개방위치에서는 내부수용공간(5)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회동 개폐부(30)와, 고정부(20) 및 회동 개폐부(30)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부(20)에 대한 회동 개폐부(30)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부(40)를 포함한다.
도 4의 (a)는 회동 개폐부(30)가 폐쇄위치에 놓인 상태로 내부수용공간(5)이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회동 개폐부(30)가 개방위치에 놓인 상태로 내부수용공간(5)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개폐부(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부(20)에 힌지부(40)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0)에 의해 한 쌍의 회동 개폐부(30)가 상호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폐쇄위치에서 한 쌍의 회동 개폐부(30)가 서로 접촉되는 측단부에는 결합부(31)가 구비되고, 양 회동 개폐부(30)가 상호 폐쇄위치에 놓인 상태를 결합 볼트(33)로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부(31)의 판면에는 결합 볼트(33)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동 개폐부(30)의 폐쇄위치에서 고정부(20)와 회동 개폐부(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수용공간(5)의 크기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하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펌프나 게이지의 크기보다 수 mm의 협소한 이격 거리를 갖도록 약간 크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펌프나 게이지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
힌지부(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에 연결된 고정 힌지(41)와, 회동 개폐부(30)에 연결되고 고정 힌지(41)와 중첩되게 구비된 회동 힌지(43)와, 고정 힌지(41) 및 회동 힌지(43)가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 결합된 힌지 볼트(4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20)에 대한 회동 개폐부(30)의 회동을 힌지부(4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41) 및 회동 힌지(43)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부에 위치하여 평면상으로는 상호 중첩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동 개폐부(30)에 연결된 회동 힌지(43)는 고정부(20)에 연결된 고정 힌지(4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힌지(41) 및 회동 힌지(43) 각각의 판면에서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는 힌지 볼트(45)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47)이 형성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수용공간(5)을 형성하는 고정부(20) 및 회동 개폐부(30)를 포함한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체 흡입공(50)이 방사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체의 바닥(1)으로부터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하단부가 이격되게 설치되지 않더라도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펌프나 게이지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체 흡입공(50)을 통해 선박의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나 물 또는 유류 등과 같은 유체가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수용공간(5)에 수용된 펌프나 게이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고,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를 선체의 바닥(1)을 향해 좀더 근접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선체의 바닥(1)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운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설비의 고장이나 파손이 방지되도록 보호하여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공(50)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별로 천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가 설치되는 선박의 탱크 높이가 아무리 높게 마련되더라도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길이를 충분히 연장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별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체 흡입공(50)을 통해 선박의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나 물 또는 유류 등과 같은 유체가 펌프나 게이지가 수용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의 바닥(1)에 임시로 설치되는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고장 파손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10)의 측면 상으로 내부수용공간(5)이 개방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휴대용 펌프나 게이지의 유지보수나 교체가 용이 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20 : 고정부 30 : 회동 개폐부
40 : 힌지부 41 : 고정 힌지
43 : 회동 힌지 45 : 힌지 볼트
47 : 볼트 체결공 50 : 유체 흡입공

Claims (7)

  1. 선체의 바닥(1)에 임시로 설치되는 펌프나 게이지를 보호하도록 구비된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에 있어서,
    펌프나 게이지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수용공간(5)이 파이프의 단면상 일 측에서의 회동에 의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용공간(5)의 절반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고정부(20)와,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고정부(20)와 함께 상기 내부수용공간(5)의 나머지 절반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20)에 대해 회동 되는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내부수용공간(5)이 파이프의 측면 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 회동 개폐부(30)와,
    상기 고정부(20) 및 상기 회동 개폐부(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대한 상기 회동 개폐부(30)의 회동을 지지하는 힌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고정부(20)에 연결된 고정 힌지(41)와,
    상기 회동 개폐부(30)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힌지(41)와 중첩되게 구비된 회동 힌지(43)와,
    상기 고정 힌지(41) 및 상기 회동 힌지(43)가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 결합된 힌지 볼트(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힌지(41) 및 상기 회동 힌지(43)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부에 위치하여 평면상으로는 상호 중첩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힌지(41) 및 상기 회동 힌지(43) 각각의 판면에서 상호 중첩되는 부위에는 상기 힌지 볼트(45)가 관통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수용공간(5)을 형성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유체 흡입공(50)이 방사상으로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공(50)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별로 천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KR1020120099953A 2012-09-10 2012-09-10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KR10195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953A KR101956580B1 (ko) 2012-09-10 2012-09-10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953A KR101956580B1 (ko) 2012-09-10 2012-09-10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372A true KR20140034372A (ko) 2014-03-20
KR101956580B1 KR101956580B1 (ko) 2019-03-12

Family

ID=5064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953A KR101956580B1 (ko) 2012-09-10 2012-09-10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621B1 (ko) * 1977-03-12 1982-04-19 모흔 후랭크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KR20100136864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621B1 (ko) * 1977-03-12 1982-04-19 모흔 후랭크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KR20100136864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80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4372A (ko)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JP5628052B2 (ja) エンジン作業機
JP2012047049A (ja) エンジン作業機
KR20140022579A (ko) 보호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KR101531369B1 (ko) 선박용 그린워터 프로텍터
KR101384120B1 (ko)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미관 시일 장치
KR101792707B1 (ko) 벤트 장치
KR101524203B1 (ko) 커버장치
KR20140075269A (ko) 에프엘엔지선의 엘엔지 비산방지구조
KR101972695B1 (ko) 선박
KR101378965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138537A (ko) 선박 연료탱크용 에어벤트 조립체
KR20100040436A (ko) 회수 파이프를 구비하는 선박
KR101225155B1 (ko) 시추선
KR20150040517A (ko) 압력 용기 및 bop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JP2015017534A (ja) 可搬式排水ポンプ
KR101644486B1 (ko) 터렛용 수밀장치
KR101885077B1 (ko) 가이드 파이프 실링구조물
KR20200077836A (ko) 문풀 저항 저감 장치
KR101356002B1 (ko) 해상 플랜트
KR101814749B1 (ko) 리프트 펌프의 안벽 테스트용 보조 장치
KR20170003469U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펌프 장치
KR101156704B1 (ko) 캔드 모터의 누유 방지구조
KR200489759Y1 (ko) 선박용 빌지해트
KR200470191Y1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