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621B1 -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621B1
KR820000621B1 KR7700596A KR770000596A KR820000621B1 KR 820000621 B1 KR820000621 B1 KR 820000621B1 KR 7700596 A KR7700596 A KR 7700596A KR 770000596 A KR770000596 A KR 770000596A KR 820000621 B1 KR820000621 B1 KR 82000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tank
conduit
valve
thr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흔 후랭크
트베이트 요이빈드
Original Assignee
모흔 후랭크
파텐트스 앤드 디벨로프먼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흔 후랭크, 파텐트스 앤드 디벨로프먼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모흔 후랭크
Priority to KR770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제1도는 종래의 펌프도관의 상세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펌프 도관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 도관의 부분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도관의 부분 측면도.
본 발명은 다수의 칸막이 탱크로 형성된 유조선의 밸러스트탱크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도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항구 지역이나 연안지역 및 해양에 폐유에 의한 공해의 증가로 인하여 선박으로부터의 누수를 강력히 제한하고 더욱 유효하게 제어를 해야하는 것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류나 기타 물질로부터 배러스트 워터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격리된 배러스트 탱크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격리된 배러스트 탱스는 오직 선박의 배러스트를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이로 인하여 이와같은 격리된 배러스트 탱크로부터 배러스트워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서 배러스트 워터는 유류나 기타 오물과 혼합되지 않음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함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지의 장치에 의하면 배러스트 펌프는 배러스트 탱크내에 잠수되며 이 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도관의 배열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배러스트 펌프와 다섯개의 별개의 밸브가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탱크를 경유하여 해면에 연결된 제1밸브 제어 분지도관과, 탱크에 배러스트를 공급하기 위하여 탱크에 연결된 제2밸브 제어 분지도관과, 탱크로부터 배러스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탱크에 연결된 제3밸브제어 분지되관과, 펌프외각의 해면으로 또는 해면에서 배러스트 워터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제어 순환 도관이 이용되고 있다.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인 이 공지의 장치에 있어 그 구성 부분이 많고 그 사용이 복잡하여 각 구성부분에 기술적인 결함이 나타나기가 쉬우며 또는 이와 같은 구성 부분에 조작상의 결함이 나타나기가 쉬우므로 공지의 장치는 배러스트 워터의 베어를 충분히 발휘하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공지의 장치로서는 배러스트 워터를 시복스(sea box)를 경유하여 해면으로 또는 해면에서 배수하는것만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로서는 배러스트 워터를 시 탱크(sea tank)를 경유하여 모두 빼내기는 불충분한 것이며, 따라서 공지 장치에서는 배러스트워터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이것을 특히 제거하기 위하여서는 이를 위한 밸브에 연결되는 또 다른 별도의 도관을 설치해야하는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추가적이 도관의 연결은 이 공지 장치를 더욱 복잡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의 밸브와 소수의 분지 도관으로서 보다 간단하게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분할 탱크를 갖인 유조선의 배러스트탱크와 영구적으로 연결된 펌프 도관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개량점은 본 장치의 단일 통로로서 각기 반대 방향으로 배러스트 워터를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를 장치하는 새로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장치로서 해면으로부터 1차 밸브와 제1분지도관과 제2분지도관을 경유하여 전술한 배러스트 탱크의 저면에 배러스트 워터를 도입하고 또한 반대로 전술한 탱크로부터 직접적으로 제2 및 제1분지 도관과 1차 밸브를 거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제2분지 도관과 제3분지 도관, 및 여기에 연결된 2차 밸브를 경유하여 해면으로 배러스트 워터를 배출하도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분지도관과 2개의 밸브만을 사용하여 목적을 달할 수가 있으며 배러스트의 누수의 제어를 실제적으로 성취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작업 조건하에서도 본 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 상의 또는 조작상의 단순화는 최초의 시도이며 단일 통로 도관을 이용하여 두 반대 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배러스트 워터를 도입 및 배출하는 펌프 도관 장치는 최초로 시도된 것이다. 이와같이 해결점은 여러 다른 방향에서 성취될 수 있는 것으로서 몇몇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능성은 필요에 따라 작동 방향이 역행할수 있는 구동모우타를 갖인 펌프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로들면 이송 매체의 공급과 배출을 위한 도관에 그 유출방향을 필요에 따라 역으로 변경할 수 있는 수압 구동 모우타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가능성은 예를들어 전기 모우타의 펌프 불래이드(pump blades)의 경사를 조절하여 펌프의 작동중 펌프의 매개물의 도입을 그 반대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3의 가능성은 각기 반대 방향으로 경사를 유지하는 두개의 다른 펌프 회전자를 결합 시킬 수 있는 구동 모우타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경우 두개의 회전자중 작동 안는 하나의 임의로 타측 회전자에 접하는 것이다.
기타 다른 복잡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런것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탱크와 배러스트 펌프 사이에는 단일 밸브-프리 분지 도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펌프도관 장치의 한 방향의 통로를 통해 배러스트 워터를 이송할때 펌프는 탱크로 부터 배러스트 워터를 공급하며 전술한 통로의 반대 방향으로 배러스트 워터를 공급할때 배러스트 워터는 탱크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단일 밸브 조절에 의하여 매우 간단하게 배러스트 워터를 직접 해면쪽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가 있다.
펌프와 제1밸브사이의 분배점에서 제3분지 도관을 펌프도관 장치에 연결함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존하는 화물 탱크를 분리된 배러스트 탱크로 변경할 수가 있으며 그 결과로서 현저한 유조선함대를 재건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배러스트로 탱크를 채우고 탱크로부터 배러스트를 제거하는 펌프 도관 장치에 포함된 밸브가 탱크의 내부에 고정된 분리된 배러스트 탱크로 화물탱크를 변경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유조선을 독크에 넣을 필요도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될 수가 있으며 다욱이 개개의 독자적 탱크를 임의의 항구 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 직접 연결 재 조립할 수가 있다. 이 펌프도관 장치는 유조선의선상에 직접 가설할 수 있는 부피로 전달하여 가설할 수가 있으며 잠수부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시 복스 11을 갖인 배러스트탱크 10a와 배러스트 탱크에 잠수된 영구 조절가능 펌프 배관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탱크내의 배러스트 수면이 13a로 선박 외면의 해수면이 14a로 도시되어 있다. 탱크용 배러스트 펌프 16과 연결된 주도관 15가 시 복스 11로 부터 연결되어 있다. 주도관내에는 시 복수 11가 펌프 16사이에 1차 밸브 17과 2차 밸브 18이 그리고 펌프 16과 탱크사이에는 3차 밸브 19가 각기 삽입되어 있다. 더욱이 펌프 도관계통에는 탱크로부터 펌프에 배러스트 워터를 전달하기 위한 4차 밸브 21과 연결된 흡입도관 20이 있으며 이 흡입도관 20은 2차 밸브 18과 펌프 16사이에서 주도관에 연결된다. 더욱이 배러스트 워터를 펌프로부터 시 복스 11로 이송하기 위한 5차 밸브 23과 연결된 순환 도관 22가 있다. 이 순환도관 22는 펌프 16과 3차 밸브 19사이의 주도관의 제1지점에서부터 1차 밸브 17과 2차 밸브 18사이의 주도관의 제2지점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5차 밸브에 의하여 배러스트 워터를 탱크내로 또는 외로 옮겨 가는데 필요한 조절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세개의 밸브 17, 18 및 19(밸브 21과 23은 닫어둠)을 열어놓으므로 해서 배러스트 워터는 해면에서 탱크 속으로 직접 유입될 수가 있으며 또한 1차 4차 및 5차 밸브 17, 21 및 23(밸브 18과 19는 닫어둠)을 열어놓으므로 해서 배러스트 워터는 탱크로부터 해면으로 직접 유출될 수가 있음.
제2도에 있어는 본 발명에 의한 보다 간단한 배관 조직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런 배관조직으로서 보다큰 제어 효율을 갖일 수 있는 것이다. 이 도면에는 배러스트 탱크내에 잡수된 영구적으로 배열된 펌프 도관 조직 12b와 연결된 배러스트 탱크 10b가 도시되어 있다. 탱크내의 배러스트 워터의 수면이 13b로 도시되었으며 선박 외부의 해면은 14b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분배점 25로부터 분파되어 연결된 펌프도관이 도시되어 있다. 1차분지도관 26은 분배점 25로부터 연장되어 1차 밸브 27를 경유하여 직접 바다로 연결되며 또한 배러스트 펌프 29가 삽엽되어 있는 2차분지도관 28은 분배점 25로 부터 탱크로 연결되고 한편 밸브 31과 연결된 3차 분지도관 30은 분배점 25로부터 갑판상의 지점 32에 연결되며 이 지점은 갑판상의 적당한 높이나 또는 최고 화물 적재 표시 이상의 어떤 적절한 높이를 말하는 것이다.
도시된 펌프 배관 계통은 연결된 펨프를 경유하여 펌프배관 계통에 있는 단일 통로로서 두 반대 방향으로 배러스트 워터를 배수하는데 적당한 것이다. 실제로 이와 같은 배관 계통으로 여러 가지 방법을 해결할 수가 있으며 특히 여기서는 두 가지 특정한 해결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에는 수압 구동 모우타 34로 부터 구동축 33을 경유하여 작동되는 펌프원통 32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모우타는 두 개의 평행 작동 중간 도관 35와 36에 연결되며 이 중간 도관은 공급 도관으로 부터 배출도관으로 변경될 수가 있으며 카플링 밸브 37에 의하여 역으로의 작동이 되는 것이다.
도관 35와 36은 보호통 38로 둘러 쌓여 있으며 구동 모우타 34주위를 감싸고 있는 보호통 39와 연결되어 있다. 이들 보호통 38과 39는 발생할수도 있는 누수를 사용하는데 사용되며 이 누수가 배러스트 워터와 혼합되는 것을 막아준다.
구동 모우타의 작동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서 펌프를 통해 흐르는 방향이 유효하게 그리고 간단한 방법으로 변결될 수가 있다. 특히할만한 이점은 펌프의 구동 무우타의 작동 방향의 역전이 갑판에 설치된 밸브하나만으로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4도에는 또 다른 변형 실시예가 도시도여 있는데 여기에서 수압구동 모우타는 전기 모우타 40으로 대치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모우타의 연구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펌프의 펌프방향의 역전이 펌프 임펠러 42에 있는 브래이드(blades) 4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어 장치 41에 의하여 행해진다.
제3과 4도에 도시된 예에 있어 제1및 제2의 분지도관에는 비교적 짭은 파이프를 이용하고 있다. 수평으로 뻗어 나가 제1분지 도관 26은 비교적 짧고 수평인 파이프 유니온 260를 거쳐 선박의 측면에 연결되며 이 파이프 유니온은 선박의 측면의 외각에서 직접 절단된 출구 26b를 거쳐 선박의 측면의 외각 해면과 연결된다. 밸브 27은 그 한끝이 파이프 유니온의 한쪽과 직접 연결되고 그 반대쪽은 파이프 26c와 연결되며 이 파이프 26는 분배점 25로 연결된다. 분배점 25로부터 제2분지 도관 28은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다가 그 후 만곡부 28a에서 파이프 28b로 수직 방향으로 하향하여 탱크의 저면 10a상의 일정 거리에 조절된 하방출구 28과 연결된다. 탱크의 저면에는 도관과 연결되는 펌프를 지지하기 위한 화스닝 받침대 44가 도시되어 있다. 분배점 25로 부터 제3분지 도관 30이 선박의 갑판 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갑판에서 밸브 31과 연결된다. 제3 및 제4도의 펌프의 원통은 출구의 바로 상단인 제2분지도관 28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러나 분지 도관 28보다 높게 원통을 위치시킬 수 있음을 명백한 일이다.
펌프의 원통을 펌프 도관계통의 밸브가 없는 분지 도관 28에 배치하거나 또는 분지도관 28내에 될수 있는한 낮은 곳에 배치함으로서 항시 배러스트 워터내에 원통을 잠수시킬 수가 있으며 또는 탱크가 배러스트 워터로 차 있거나 배러스트 워터가 탱크로부터 비어 있는 동안에 제1분지도관 26에 있는 밸브를 해면 쪽으로 열어 줌으로해서 배러스트 워터 내에 잠수 시킬 수가 있다. 탱크의 바닥과 해면사이에는 비교적 짧은 도관의 연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러스트 워터가 차거나 비어지는 조작을 단일 밸브를 조절하므로서 펌프 배관 계통의 간단한 조작을 얻을 수가 있으며 그결과 잘못 조작의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며 또한 탱크의 내용을 쉽게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3도는 하물 탱크로 부터 격리 배러스트 탱크로 전환할수 있는 선박이 탱크 50이 도시되어 있다. 선박이 외각 해면이 레벨 51로 표시되어 있으며 맨처음에는 탱크가 비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자 펌프 도관 계통 52는 화스닝 받침대 44에 의하여 가장 낮은 위치에서 탱크내에 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수평파이프 유니온 26a에 의하여 탱크의 저면에서 조금 떨어진 윗면에서 선박의 측면에 연결된다. 특히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당한 방법으로 탱크의 사정에 따라 적합한 높이에서 펌프 배선 계통이 선박의 측면에 고정된다.
1차 밸브 27은 선박의 측면에 직접 면하는 파이프 유니온 26a에 직접 고정시킨다. 파이프 유니온 26a와 이에 연결된 밸브 27이 선박의 측면에 부착된 후 출구 26a는 이 밸브의 내부에 직접 해면쪽에서 부터 용접을한다. 펌프 도관 계통 52가 장설된 후 탱크는 사용할 수가 있으며 배러스트 워터는 밸브 27과 도관계통의 펌프 도관 32를 통해 여기에도 입하거나 빼낼 수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분리된 탱크를 가진 유조선의 배러스트 탱크에 연결된 펌프도관장치에 있어서 본 펌프도관장치가 각기 반대방향으로 작동 가능한 구동 모우타를 갖는 펌프를 함유하고 전술한 구동 모우타가 유출 매개물의 흐름방향을 역전시켜 공급과 배출을 겸한 매체 이동도관에 연결된 수력 모우타이며 전술한 펌프도 관장치가 조절 가능한 브레이드를 함유하는 임펠러를 가진 펌프를 장치하고 2차 분지도관이 전술한 펌프와 탱크사이에 위치하며 밸브-프리이고 전술한 3차 분지도관이 전술한 펌프와 제1밸브사이에 위치하는 본 장치의 분배점에 연결되는 일련의 구성을 포함하여 단일 도관을 통해 배러스트워터를 해면으로부터 제1밸브와 1차 분지도관 및 2차 분지도관을 경유하여 배러스트 탱크의 저면에 공급하는 일방향과 배러스트 워터를 전술한 탱크로부터 직접적으로는 2차 및 1차 분지도관과 제1밸브를 경유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는 2차 분지도관과 3차 분지도관 및 여기에 연결된 제2밸브를 경유하여 해면으로 배출하는 또 다른 방향을 임의로 선택하여 해면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되는 펌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하는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도관 장치.
KR7700596A 1977-03-12 1977-03-12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KR82000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596A KR820000621B1 (ko) 1977-03-12 1977-03-12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0596A KR820000621B1 (ko) 1977-03-12 1977-03-12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621B1 true KR820000621B1 (ko) 1982-04-19

Family

ID=1920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0596A KR820000621B1 (ko) 1977-03-12 1977-03-12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372A (ko) * 2012-09-10 2014-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372A (ko) * 2012-09-10 2014-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가이드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6211A (en) Dry dock
KR100934113B1 (ko) 해양 선박용 발라스트 교환 시스템
KR100417246B1 (ko) 연안하수를 취급하여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10112430A (ko) 해수 시스템 및 이 해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부유 선박
CA2261351A1 (en) Liquid slurry agitation apparatus
KR820000621B1 (ko) 선박의 배러스트 조절용 펌프 도관장치
US4715309A (en) Device for the handling of liquids
CA2192152C (en)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3989070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arrying out wash-draining, after-draining and the like
CN102458976B (zh) 适用于潜水泵的储箱结构
US4203842A (en) System for oil and water separation
JPS55123585A (en) Pumping and drainage system for ballast water
JP2005247423A (ja) 船舶用液体貨物の荷役システム
EP016768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leaning of vessels for holding materials
KR820001051B1 (ko) 액체 화물 탱크 구조
SU1050958A1 (ru) Судова система забортной или пресной воды
JPH11323884A (ja) 排水ポンプシステム
WO1980002825A1 (en) A method of reducing the escape of oil from oil tankers which have gone aground
KR830000968B1 (ko) 부유 도크
NO136612B (ko)
JPS58170586A (ja) 着床台船式海水吸入装置
SU13959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хлаждени оборудовани водой
US3189224A (en) Meyers submerged oil storage systbh
JPH0426807B2 (ko)
KR20230090252A (ko) 추진 유닛의 배액 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