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805A -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805A
KR20140032805A KR1020120099541A KR20120099541A KR20140032805A KR 20140032805 A KR20140032805 A KR 20140032805A KR 1020120099541 A KR1020120099541 A KR 1020120099541A KR 20120099541 A KR20120099541 A KR 20120099541A KR 20140032805 A KR20140032805 A KR 2014003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brain
preven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750B1 (ko
Inventor
류보렬
Original Assignee
류보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보렬 filed Critical 류보렬
Priority to KR102012009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50B1/ko
Priority to US14/426,759 priority patent/US20150238539A1/en
Priority to PCT/KR2013/008045 priority patent/WO2014038878A2/ko
Priority to CN201380046906.0A priority patent/CN104619331A/zh
Publication of KR2014003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55Gla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5/22 - A61K35/545, e.g. thyroids, parathyroids or pineal gl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13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Neu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신경재생 개선, 신경세포의 손상억제, 알쯔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약리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uskrat musk for protection of brain cell and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ain disease}
본 발명은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 뇌질환은 인지기능의 장애가 발생하여 기억력 감퇴 등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등의 다양한 질환이 포함된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많은 각종 퇴행성 노인질환들이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인구 고령화와 동반된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 등의 퇴행성 뇌질환의 증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 질환의 정확한 발생기전 및 효과적인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고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난다. 치매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추정되는 원인으로는 대뇌 기저부의 콜린(choline)성 신경세포의 손상,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염증 반응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 축적, 산화성 스트레스 등이라는 보고가 있다(Davies et al., Lancet, 21, p 1403, 1976; Rocher et al., J. Biol. Chem., 273, p 29719 , 1988; Coyle et al., Science, 262, p689, 1993).
기억력 저하는 신경세포에서 합성된 신경전달물질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Zarow, C et al., Arch. Neurol, 60, pp 337-341, 2003). 교감신경에서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합성된 카테콜아민(catecholamine)류와 트립토판(tryptophan)으로 부터 합성된 인돌아민(indolamine)류는 그 대사산물과 함께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신경 세포내에서 이러한 물질의 농도는 교감신경계 기능에 대한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노화의 진행과 함께 뇌중 아민류 및 대사산물 농도, 수용체에 대한 작용능력을 추적하면 뇌의 노화 현상 및 관련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뇌중 글루타메이트(glutamate)나 GABA(gamma aminobutyric acid)의 함량 측정은 뇌의 퇴행성 질환이나 알츠하이머의 진단에 응용하고 있다. 이는 글루타메이트 및 아스파라테이트(aspartate)등의 EAA(excitatory amino acids)는 중추신경계에서 주요 흥분성 전달물질로서 작용하여 뉴런 생존(neuronal survival),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학습 및 기억, 신경 가소성(neuronal plasticity)등 각종 생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Bowen, D.M. et al., Brain, 99, pp 459~496, 1976). 그러나 이들이 세포 외액 중에 고농도로 축적될 때는 신경독을 나타내며, 특히 글루타메이트는 저혈당증(hypoglycemia), 간질 중첩증(status epilepticus), 국소빈혈(ischemia), 저산소증(hypoxia), 두부 외상(head trauma), 간성 뇌장애 등에서의 신경세포(neuronal cell)괴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asotto, C et al., Phamacol. Res. Commun, 17, pp 749-772, 1985). 또한, 뇌 퇴행성 질환이나 알츠하이머 등과 관련하여 뇌 중 글루타메이트나 GABA는 신경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Choi, D.W., J. Neurosci, 7, p 369, 1987).
한편, 인지능력이 점진적으로 소실되는 질환인 노인성치매는 중추신경계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에서 아세틸콜린 및 콜린 아세틸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활성의 현저한 저하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60여 가지 이상의 신경전달 물질이 발견됐으며, 학습과 기억의 다양한 측면에는 아세틸콜린, 카테콜아민, 글루타메이트, GAB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Cummings JL et al., Neurology, 44, pp 2308-14, 1994).
치매 또는 인지증(認知症, dementia)은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및 인격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신경이 파괴됨으로써 기억력장애, 언어능력 장애, 변뇨실금, 편집증적 사고, 실어증과 같은 정신기능의 전반적인 장애가 나타나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우울증이나 인격장애, 공격성 등의 정신의학적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 의학계에서는 주 원인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는 노화에 의한 것과, 알콜 과다 섭취에 따른 알콜성 치매, 드물게 청소년기에 치매가 오는 경우에는 유전적인 열성인자 발현에 의한 것으로 주목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발병원인과 치료법은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알츠하이머 병(-病, Alzheimer's disease(AD))은 퇴행성 뇌질환의 일종으로써, 노화의 진행에 따라 뇌조직이 기능을 잃으면서 점차 정신 기능이 쇠퇴하는 병이다. 기억력과 정서 면에서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이 병의 특징이다. 현대 의학에서는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불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알츠하이머 병과 치매를 동일시 하는 경우가 있으나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과 같은 성인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는 노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치매의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과 초로성 반점 등의 특징을 보인다.
한국 등록특허 제1160217호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35961호
Davies et al., Lancet, 21, p 1403, 1976; Rocher et al., J. Biol. Chem., 273, p 29719 , 1988; Coyle et al., Science, 262, p689, 1993 Zarow, C et al., Arch. Neurol, 60, pp 337-341, 2003 Bowen, D.M. et al., Brain, 99, pp 459~496, 1976 Choi, D.W., J. Neurosci, 7, p 369, 1987 Cummings JL et al., Neurology, 44, pp 2308-14, 1994
이에 발명자는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공간인지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재생 개선, 신경세포의 손상억제, 알쯔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서사향은 사향쥐로부터 얻는 사향이다. 사향쥐(麝香, muskrat)는 비단털쥐과에 속하며 학명은 Ondatra zibethicus이다. 레밍이나 밭쥐류와 비슷하나 훨씬 커서 몸길이 15-40cm, 꼬리길이 25cm 가량이다. 부드러운 회갈색 털로 덮여 있다.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며 눈은 작고, 꼬리에 긴 털이 나 있다. 몸이 물속에서 살기에 알맞아 비늘이 있는 꼬리는 단면이 위아래로 긴 타원형이어서 수영을 하는 데 적당하고, 방향을 잡는 키의 역할을 한다. 생활서식지는 수초가 무성한 소택지와 호수이고, 주 활동은 봄에서 늦가을까지이며, 겨울에는 활동이 적으나 동면은 하지 않는다. 사향쥐는 초식동물로 나무껍질, 수초, 갈대뿌리, 배추, 홍당무를 먹고, 일부일처제의 형태로 사육하고 있으나, 서사향 채취를 위하여 수컷을 분리하여 사육하고 번식을 위해서는 야생에서와 같이 일부다처제로 사육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생물학적 특징은 머스크랫 수컷의 하복부에 위치하는 향낭에서 부생식선을 통해 번식에 의한 발정증상으로 서사향을 분비한다.
서사향은 살색의 액체로서 향긋한 향을 내며, 생후 2년차가 지난 수컷 사향쥐로부터 서사향을 채취한다. 구체적으로는, 보통 생육된 사향쥐를 대상으로 하며, 3월부터 사향낭이 단단해지면 1차 채취하고 그 후에 15일 간격으로 9월 말까지 연간 8~10회 채취한다. 보통 1마리의 사향쥐에서 3~5g/년 서사향을 채취할 수 있으며, 사향쥐에서 사향을 채취하는 사람은 반드시 일정기간 숙련된 사람이어야 한다.
서사향의 일반성분은 수분 8.46%, 조지방 87.0%, 회분 0.01%, 총당질 0.024% 그리고 단백질이 1%로 구성되어 있으며, normuscone, muscone, dihydrocivetone, civetone, civetol, dihydrocivetol, dimethyl octenylcyclohexenone 등이 다수의 향기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신경재생 개선, 신경세포의 손상억제, 알쯔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약리효과를 가진다.
상기 뇌질환은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pick)명,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을 포함한다. 상기 뇌질환은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 질환으로부터 발생한 치매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1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 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서사향은 갓 채취된 경우 점도가 매우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서사향의 보존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유기 또는 무기용매에 서사향의 농도 0.0001 중량%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냉장보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용매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일 수 있다. 냉장보관시 점도가 떨어져 현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상온에서 5~6시간 정치시켜 희석된 서사향을 현탁을 제거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서사향은 0.0001 내지 30%의 농도로 희석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희석액은 냉장보관될 수 있고, 냉장보관된 희석액은 상온에 정치되어 현탁을 제거한 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출을 통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며 추출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추출방법인 상온 추출, 가열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용매는 약산, 약염기,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산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산을 용매로 하는 초음파 추출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서사향은 약산-초음파 추출, 저온 처리 및 원심분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산은 레몬산, 젖산, 사과산, 초산, 푸말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 및 무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산은 KH2PO4일 수 있다.
상기 서사향은 에탄올-초음파 추출, 원심분리 및 진공농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친 것일 수 있다. 이때의 추출된 조성물은 상온에서 방치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처리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사향 10중량부, 녹용 65 중량부, 당귀 65 중량부, 산수유 65 중량부, 홍삼 65 중량부 및 꿀 18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환형의 제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의 제제에 1 내지 400㎚의 입도분포를 갖는 순금을 0.001 내지 0.1 중량부를 도포한 공진단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사향 10중량부, 삼칠근 40 중량부와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이는 캡슐에 투입되어 캡슐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억력 및 공간인지능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한, 본 제조예, 실시예 및 제제예에서 사용한 약재는 재배산으로 시중의 건재상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시약은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서사향 시료의 제조
서사향은 사육된 머스크랫 20마리(㈜사향나라)의 하복부에 위치한 향낭으로부터 채취된 서사향 60g을 구입하였다. 채취한 서사향 중 10g을 채취된 상태에서 추가적인 처리 없이 시료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2. 희석된 서사향 시료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채취한 서사향 시료 60g 중 30g을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CAS NO. 110-27-0, FEMA. 3556)에 서사향을 1 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6시간 냉장보관하고, 냉장보관된 희석액을 상온에서 6시간 정치시켜 현탁을 제거 후 사용하였다.
제조예 3. 정제된 서사향 시료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희석된 서사향 시료 30g 중 20g을 1.5M KH2PO4(pH 4.5) 20㎖와 혼합하여 30분간 초음파((주)제이엠, ultrasonic cleaner 4020, 40kHz)로 처리한 다음, 4℃에서 2시간동안 저온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저온처리 후 20,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정제된 서사향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정제된 서사향 시료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정제된 서사향 시료 20g 중 10g을 에탄올 100g과 혼합하여 30분간 초음파로 처리하여 추출을 실시한 다음, 추출물을 20,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수집하였다. 상기 에탄올-초음파 추출 및 원심분리를 총 5회 반복 실시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모두 수집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진공농축을 실시하여 정제된 서사향 시료를 추출물로서 수득하였다.
제조예 5. 서사향을 함유하는 공진단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채취한 서사향 60g 중 10g을 사용하여, 녹용 65g, 당귀 65g, 산수유 65g, 홍삼 65g을 교반한 후 꿀 180g을 혼합하여 450g의 공진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진단 조성물을 개당 4.5g이 되도록 일정한 크기의 구형 환 100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100개의 구형 환에 100㎚의 입도분포를 갖도록 미분쇄된 순도 99% 이상의 순금을 공진단 1개당 약 0.01g 도포하였다.
제조예 6. 서사향을 함유하는 캡슐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채취한 서사향 60g 중 10g을 사용하여, 삼칠근 40g과 혼합하여 50g의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캡슐 조성물을 개당 500mg이 되도록 100개의 캡슐(서흥캅셀(Suheung capsule), 대한민국)에 나누어 투입하여 캡슐제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 정제
제조예 1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5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주사제
제조예 1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50m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키고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 (2 ㎖) 상기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3. 건강 식품
제조예 1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10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4. 건강 음료
제조예 1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100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비타민 C 500 ㎎, 카라멜 1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을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1. 뇌손상 마우스에 대한 서사향의 효능 확인
실시예 1-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주)대한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한 18 내지 20g의 수컷 ICR 마우스 45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그룹당 5마리를 포함하도록 분류하여 케이지에 넣어 물과 사료를 충분히 공급해주고 실험기간 중 온도(24ㅁ 1℃), 상대습도(55ㅁ5%) 및 명암(06:00-18:00, light)이 조절되는 동물실에서 사육하였다. 동물은 무처리군, 에탄올군, 타크린군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군의 9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실시예 1-2. 수동회피 실험( Passive avoidance test )
기억과 학습에 대한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동 회피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은 동물이 본능적으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면 전기 자극을 주어 암실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 후 전기 자극에 대한 단기 기억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수동회피 실험에 앞서 4일간 무처리군과 에탄올군을 제외한 7개의 군에는 타크린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물질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마지막 날인 4일째에 타크린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한 후 30분 뒤에, 마우스의 기억력을 손상시키기 위한 에탄올은 무처리군을 제외한 8개의 군에 경구 투여하였다.
수동회피 실험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각 방의 소음이 60dB 이하인, 조명이 있는 방과 조명이 없는 방(가로 20 cm, 세로 20 cm, 높이 20 cm)이 길로틴 문(guillotin door)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서 수행되었다(Jungdo Bio & Plant Co. Ltd, Seoul, Korea). 마우스를 조명을 비춘 밝은 쪽 방에 놓고 10초간 탐색시킨 후 문을 열어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으며, 이때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학습 시험: acquisition trial). 마우스가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고 0.6 mA의 전기 자극을 5초 동안 바닥의 철망(stainless grid)을 통해 주어졌다.
상기 학습 시험 이후 장기 기억에 미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인지기능 회복효과를 확인하고자 24시간 후 다시 마우스를 밝은 쪽 방에 놓아 주고 전기 자극을 받았던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step-through latency time : 도달 시간)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유지 시험: retention trial). 어두운 방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 경구투여가 에탄올 투여에 비하여 학습시험 및 유지시험에서 도달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타크린군과 비교하는 경우에도 유의한 수치임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이 타크린보다 유의하게 학습과 인지능력에 높은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본 발명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복용으로 인해 타크린에 비해서 마우스의 기억력 손상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에탄올 투여군의 학습시험 및 유지시험의 도달 시간이 무처리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실험동물이 전기적 쇼크를 받았던 어두운 방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인지능력이 좋음을 나타내므로 실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3. 수중미로 실험( Morris water - maze test )
수중 미로 실험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실험동물의 공간지각 능력 및 단기, 장기 기억력의 회복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다.
수중미로 실험에 앞서 4일간 무처리군과 에탄올군을 제외한 7개의 군에는 타크린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물질을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마지막 날인 4일째에 타크린 및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6의 물질을 투여한 후 30분 뒤에, 마우스의 기억력을 손상시키기 위한 에탄올을 무처리군을 제외한 8개의 군에 경구 투여하였다.
수중미로 장치는 불투명한 물이 채워진 탱크(직경 120cm, 높이 45cm) 안에 물(수온 22ㅁ2℃)을 32cm로 채우고 4분면의 한 구획에 도피대(escape platform, 직경 10 cm, 높이 30 cm)를 수면 2 cm 아래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탈지분유를 풀어 보이지 않게 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진행되었으며, 하루에 3번씩 세 곳에서 입수 위치를 달리하여 우연에 의해 도피대를 찾아가는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실험동물이 도피대를 찾아가 10초 이상 머무르는 경우, 도피대를 찾아갈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탈출 시간(escape latency)으로 하였으며, 하루 3회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평균 탈출 시간(mean escape latency)으로 하였다. 물-미로 실험은 실험동물이 수조 주변의 표지물을 기억하여 찾아가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변화가 없도록 표지물의 위치를 실험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120초 안에 도피대를 찾지 못할 경우 실험동물을 도피대로 유도하여 10초 동안 머물며 위치를 기억하도록 하였다. 실험 마지막 날에는 도피대를 제거하고, 도피대가 존재한 사분면에 체류하는 시간(time spent in platform quadrant)을 측정하는 probe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 경구투여군은 에탄올군에 비하여 평균 탈출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도피대 제거 후 도피대가 존재하였던 사분면에 체류한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타크린군과 비교하는 경우에도 유의한 수치임을 알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이 타크린보다 유의하게 학습과 인지능력에 높은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본 발명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 복용으로 인해 타크린에 비해서 마우스의 기억력 손상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무처리군에 비해 에탄올 투여군의 평균 탈출 시간이 증가하고 사분면 체류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실험동물이 도피대까지 찾아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짧을수록, 도피대가 있었던 위치를 기억하는 시간이 길수록 단기기억력과 공간인지능력이 좋음을 나타냄에 따라 실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기억력 감퇴, 언어장애 및 우울증에 대한 서사향의 효능 확인
기억력의 감퇴, 언어장애 및 우울증을 호소하는 남녀 각각 21명씩 42명의 환자에 각 군마다 남녀 각각 3명씩 6명을 포함하도록 7개 그룹으로 나누고, 무처리군을 제외한 나머지 6개 그룹에 각각 본 발명 제조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1일 1회 복용하도록 처방하여, 1주일 뒤 이들의 증상 호전 정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기억력의 회복정도, 언어능력의 회복정도 및 우울증의 개선 정도로 구분하였으며, 증상 평가의 평점은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하여 1점(무처리군과 동일) 내지 5점(무처리군 보다 아주 좋아짐)으로 매기도록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사향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무처리군보다 기억력의 회복, 언어능력의 회복 및 우울증의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서사향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뇌신경보호 및 치매 등의 뇌질환의 예방, 완화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경재생 개선, 신경세포의 손상억제, 알쯔하이머 치매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약리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질환은 치매증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증은 알츠하이머 질환으로부터 발생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사향은 0.0001 내지 30 중량%의 농도로 희석시킨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사향 10 중량부에 대하여 녹용 65 중량부, 당귀 65 중량부, 산수유 65 중량부, 홍삼 65 중량부 및 꿀 18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 형태인 것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은 1 내지 400㎚의 입도분포를 갖는 순금 0.001 내지 0.1 중량부로 도포한 공진단인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서사향 10 중량부에 대하여 삼칠근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제8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제제.
  10.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11. 서사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음료수.
KR1020120099541A 2012-09-07 2012-09-07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541A KR101476750B1 (ko) 2012-09-07 2012-09-07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4/426,759 US20150238539A1 (en) 2012-09-07 2013-09-06 Composition for brain-neuron protection and brain-disease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comprising muskrat musk
PCT/KR2013/008045 WO2014038878A2 (ko) 2012-09-07 2013-09-06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201380046906.0A CN104619331A (zh) 2012-09-07 2013-09-06 保护脑神经细胞及预防、缓和或治疗脑部疾病的含有麝鼠香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541A KR101476750B1 (ko) 2012-09-07 2012-09-07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805A true KR20140032805A (ko) 2014-03-17
KR101476750B1 KR101476750B1 (ko) 2014-12-26

Family

ID=5023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541A KR101476750B1 (ko) 2012-09-07 2012-09-07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38539A1 (ko)
KR (1) KR101476750B1 (ko)
CN (1) CN104619331A (ko)
WO (1) WO201403887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05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한웅 서사향의 항비만 활성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1423A (zh) * 2020-09-30 2020-11-27 中国农业科学院特产研究所 一种鹿茸醇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867B1 (ko) * 1997-05-21 2000-05-15 박대규 엘-무스콘의 의약용도
KR100700065B1 (ko) * 2004-04-20 2007-03-27 신준식 신경보호작용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
KR20050118749A (ko) * 2004-06-15 2005-12-20 박미선 나노입자 금분을 함유하는 공진단
WO2008075862A1 (en) * 2006-12-16 2008-06-26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having antithrombotic activity from muskrat musk and materials obtained from the method
KR101150189B1 (ko) * 2009-06-12 2012-06-12 박철기 삼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뇌졸중과 치매를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식품
KR20120038611A (ko) * 2010-10-14 2012-04-24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05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한웅 서사향의 항비만 활성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8878A3 (ko) 2014-05-08
WO2014038878A2 (ko) 2014-03-13
US20150238539A1 (en) 2015-08-27
CN104619331A (zh) 2015-05-13
KR101476750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8528481A (ja) 脳卒中及び神経変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ための神経保護活性を有する複合生薬材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1502667B1 (ko)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6750B1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1508395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분열증 및 건망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7612B1 (ko)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02510B1 (ko)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57651B1 (ko) 어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99742B1 (ko)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9814B1 (ko) 향나무 추출물 또는 향나무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2120376B1 (ko) 승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승마에서 유래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9353B1 (ko)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16013A (ko)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25979B1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123982A (zh) 一种草果精油的应用
KR102282883B1 (ko) 승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승마에서 유래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174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89976B2 (ja) ウアリ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認知機能改善用組成物
KR102506064B1 (ko) 익모초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