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612B1 -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612B1
KR100867612B1 KR1020060030156A KR20060030156A KR100867612B1 KR 100867612 B1 KR100867612 B1 KR 100867612B1 KR 1020060030156 A KR1020060030156 A KR 1020060030156A KR 20060030156 A KR20060030156 A KR 20060030156A KR 100867612 B1 KR100867612 B1 KR 10086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composition
musk
seokchangpo
cheon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144A (ko
Inventor
황귀서
배호성
Original Assignee
황귀서
배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귀서, 배호성 filed Critical 황귀서
Priority to KR102006003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61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10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 F24H3/1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dopamine), DOPAC, HVA, 노르아드레날린, HIAA, 글루탐산(glutamic acid), GABA, 세로토닌(serotonin), 아세틸콜린, 콜린을 증가시키고, 뇌 신경물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어, 뇌신경을 활성화시키므로, 뇌기능, 학습능력 또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사향, 소합향, 뇌기능 개선, 인지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ungnoiwon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and memory dysfunction}
도 1a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인지기능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스튜던트 t-검정(Studuent's t-test)으로 나타낸 도이고,
도 1b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인지기능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만-위트니 U-검정(Mann-Whitney U-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도파민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HVA 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DOPAC 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DOPAC/도파민 비율에 대한 성뇌 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HVA/도파민 비율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세로토닌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HIAA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HIAA/세로토닌 비율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글루탐산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12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GABA 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3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글루탐산/GABA 비율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14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아세틸콜린 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5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뇌조직의 콜린 함량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16은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콜린/아세틸콜린 비율에 대한 성뇌원의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많은 각종 퇴행성 노인질환들이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기억력 감퇴 등 인지기능의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치매, 파킨슨병, 뇌졸중, 헌팅턴병 등의 다양한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현대사회에서는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 등의 퇴행성 뇌질환의 증가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고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난다. 치매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추정되는 원인으로는 대뇌 기저부의 콜린(choline)성 신경세포의 손상, 신경전달물질의 감소, 염증 반응에 의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 축적, 산화성 스트레스 등이라는 보고가 있다 (Davies et al., Lancet, 21, p 1403, 1976; Rocher et al., J. Biol. Chem., 273, p 29719 , 1988; Coyle et al., Science, 262, p689, 1993).
기억력 저하는 신경세포에서 합성된 신경전달물질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Zarow, C et al., Arch. Neurol, 60, pp 337-341, 2003) 교감신경에서 티로신(tyrosine)으로 부터 합성된 카테콜아민(catecholamine)류와 트립토판(tryptophan)으로 부터 합성된 인돌아민(indolamine)류는 그 대사산물과 함께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신경 세포내에서 이러한 물질의 농도는 교감신경계 기능에 대한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노화의 진행과 함께 뇌중 아민류 및 대사산물 농도, 수용체에 대한 작용능력을 추적하면 뇌의 노화현상 및 관련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뇌중 글루타메이트(glutamate)나 GABA(gamma aminobutyric acid)의 함량 측정은 뇌의 퇴행성 질환이나 알츠하이머의 진단에 응용하고 있다. 이는 글루타메이트 및 아스파라테이트(aspartate)등의 EAA(excitatory amino acids)는 중추신경계에서 주요 흥분성 전달물질로서 작용하여 뉴런 생존(neuronal survival),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학습 및 기억, 신경 가소성(neuronal plasticity)등 각종 생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Bowen, D.M. et al., Brain, 99, pp 459~496, 1976). 그러나 이들이 세포 외액 중에 고농도로 축적될 때는 신경독을 나타내며, 특히 글루타메이트는 저혈당증(hypoglycemia), 간질 중첩증(status epilepticus), 국소빈혈(ischemia), 저산소증(hypoxia), 두부 외상(head trauma), 간성 뇌장애 등에서의 신경세포(neuronal cell)괴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Masotto, C et al., Phamacol. Res. Commun, 17, pp 749-772, 1985). 또한, 뇌 퇴행성 질환이나 알츠하이머 등과 관련하여 뇌중 글루타메이트나 GABA는 신경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Choi, D.W., J. Neurosci, 7, p 369, 1987).
한편, 인지능력이 점진적으로 소실되는 질환인 노인성치매는 중추신경계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뇌에서 아세틸콜린 및 콜린 아세틸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활성의 현저한 저하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60여 가지 이상의 신경전달 물질이 발견됐으며, 학습과 기억의 다양한 측면에는 아세틸콜린, 카테콜아민, 글루타메이트, GAB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Cummings JL et al., Neurology, 44, pp 2308-14, 1994).
인삼은 파낙스 (Panax)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파낙스속 식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과 (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구상에 십여 종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종으로 고려인삼 (Panax ginseng), 화기삼 (Panax quinquefolia), 전칠삼 (삼칠, Panax notoginseng), 죽절삼 (Panax japonica), 삼엽삼 (Panax trifolia), 히말라야삼 (Panax pseudoginseng), 베트남삼 (Panax vietnamensis) 등이 있다 (고려삼의 이해, 고려인삼학회, p9, 1995; Advances in Ginseng Research, 고려인삼학회, pp127-137, 1998). 기타 파낙스속 식물로는 파낙스 엘레가티오르 (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 (Panax wangianus), 파낙스 비핀라티푸스 (Panax bipinratifidus) 등이 있다. 예로부터 인삼은 피로회복이나 정력증강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적으로 인삼은 탐색활동의 증가, 자발운동의 감소, 경련 역치의 상승, 기억력 증가, 진통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삼의 이해, 고려인삼학회, p9, 1995년). 또한 이러한 효과 외에도 불안신경증, 불면, 우울증상, 산전산후의 정신증상 개선에도 적용되어 왔다 (생약학, 학창사, 2003년)
백복신 (Poria Cocos)은 소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는 균류 덩어리 가운데 소나무 뿌리가 관통하여 자란 것만 골라낸 약재로, 한방에서는 주로 정신을 안정시키고 머리를 맑게하는데 사용되고, 이뇨작용도 있다.
원지 (遠志, Polygala tenuifolia)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며 높이 약 30cm이다. 뿌리는 굵고 길며 끝에서 몇 개의 원줄기가 무더기로 나오고 거의 털이 없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원지라고 하며 거담제, 강장제, 강정제로 쓴다. 한국의 중부 이북 황해도와 함경도와 중국 북부에 분포한다. 원지의 성미는 고(苦), 신(辛), 온(溫), 무독(無毒)하고, 심, 폐, 신 에 귀경하는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원지는 지혜를 돕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의지를 강하게 하고, 심장을 진정시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멎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정신이 흐려지지 않게 하고, 잎은 정력을 보충하며 허약하고 몽정(夢精)이 있는 것을 멎게 한다. (허준, 동의보감)
석창포 (Acorus gramineus SOLAND)는 천남성과(A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아코루스 그라미네우스 솔란드 (Acorus gramineus SOLAND)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서, 약용으로 이용되는 뿌리줄기의 주성분은 휘발성 정유를 2 내지 3% 함유하고 있는데, 그 방향성 성분으로는 피넨(pinen), 캄펜, 칼라멘, 칼라메놀 등이 있고, 이밖에 에로린의 배당체와 칼라민, 콜린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석창포는 정신을 맑게하며 피를 잘 돌게하고, 풍습람을 없애며, 구체적으로 간장, 비장, 심장에 작용하는데 진정, 건위, 진통, 이뇨, 항진균의 약리작 용을 가지며, 임상에서는 발열, 의식몽롱상태, 의식장해, 번조, 불안, 호흡촉박, 안면홍조, 안충혈, 두훈, 난청 등의 열성진환에 사용되고 있고, 신선품이 고열의 의식장해에 대해 강한 효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평활근 해경작용이 있어 내복시 소화액분비를 촉진하며 위장의 이상발효를 억제하고 장관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 279-280, 1998).
천마(Gastrodia elata BLUME)는 난초과(Orch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기생 초목인 천마(Gastrodia elata BLUME)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편압된 원주형~방수형이고, 표면은 엷은 황갈색에 불규칙한 세로 주름과 돌림 마디가 있다. 강원, 경기지역 및 중국, 일본 등에서 생산되며, 천연산과 인공 배양한 약재가 있다. 천마는 수세기 동안 동양권에서 전통적인 초본약재로써, 항간질제로 사용되었으며 진통제와 현기증에 대한 안정제, 고혈압, 일반적인 마비와 파상풍에 사용되어져 왔다. 유효성분으로 가스트로딘(gastrodin), 페놀성 화합물, 유기산, 당 및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있으며(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 138-139, 1998), 이들 중 바닐리 알코올(vanilly alcohol)과 가스트로딘은 항 간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 천마의 구성 성분이 신경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유도성 세포사멸(apotosis)을 저해한다고 보고되었다(Y. S. Lee, et al., Arch. Pharm . Res., 22, p404, 1999). 또한 천마의 에스테르 분획이 감마-아미노부틸릭 산(γ-Aminobutylic acid; GABA)의 감소를 줄이고 글루타메이트(glutamate) 함량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펜틸렌 테트라졸(pentylene tetrazole) 유 도성 간질에서 항 간질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J. H. Ha, et al., J.Ethnopharmacol, 73, p329, 2000).
사향(또는 소합향)은 사향(또는 소합향)나무의 껍질에서 얻은 수지(樹脂)로 만든 향료로서 중추신경흥분작용, 항균작용 및 자궁흥분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며, 임상적으로는 고열시의 의식장애, 경련발작, 뇌졸중, 정신혼미, 인사불성, 지각장애, 정신불안, 뇌진경 등에 사용된다.
기억력이 신경 전달 물질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신경전달 물질의 동태와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뇌기능 개선 물질의 개발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함께 기억력 감퇴에 적용 가능한 약물이 장기간 복용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유효성과 더불어 안전성이 높은 한약재에 대한 연구는 매우 유익한 결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지기능개선 및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인삼 ,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또는 소합향)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에탄올 투여에 의한 건망증 유도군의 수동회피실험에서 유의성 있는 기억력 증강 및 학습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켜 뇌신경 활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효과 등의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픽(pick)명, 크루츠펠트-야곱(Creutzfeldt-jakob)병,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그 구성 배합비가 인삼 : 백복신 : 원지 : 석창포 : 천마 : 사향 또는 소합향의 중량비(w/w)가 1~12: 1~12: 1~8: 1~8: 1~8: 0.1~0.4, 바람직하게는 6: 6: 4: 4: 4: 0.2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의 추출물을 0.01 ~ 99.9%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90%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 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1일 1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 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 및 실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의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경원대학교 한방 병원에서 구입한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를 불순물을 제거하여 세절한 후 인삼 6g, 백복신 6g, 원지 4g, 석창포 4g, 천마 4g 을 준비하여 증류수를 가한 후 환류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와트만지(whatman No.2)에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감압 농축 후, 증류수를 가해 현탁 하여 -44℃조건 하에서 2 ~ 3일 동안 동결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분말 상태의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및 천마의 혼합 추출물 6.5g을 수득하였으며, 투약시에는 정제수에 한약재 건조분말을 녹인 후에 사향 또는 소합향을 처방 비율대로 섞어서 0.2g을 투약하였고, 상기 조성물을 성뇌원이라 명명하여 본 발명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시약 및 재료
1-1. 동물
(주)대한실험동물로부터 18-20g의 수컷 ICR 마우스를 구입하여, 각 그룹별 (그룹당 10마리)로 케이지(cage)에 넣어 물과 사료를 충분히 공급해주고 온도(24± 1℃), 상대습도(55±5%) 및 명암 (06:00-18:00, light)이 조절되는 동물실에서 사 육하였다. 동물은 다음과 같이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A. Normal: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군
B. Control: 실험물질 대신 정제수를 투여한 군
C. BSH: 성뇌원(BS) 고 용량(1000 mg/㎏) 투여군
D. BSM: 성뇌원(BS) 중간 용량(500 mg/㎏) 투여군
E. BSL: 성뇌원(BS) 저 용량(200 mg/㎏) 투여군
1-2. 시약
마우스의 기억력을 손상시키기 위한 에탄올 (HPLC grade)은 시그마사(Sigma, MO, USA)로부터 구입했다. HPLC 분석에 사용된 표준물질은 특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용매 및 시약은 분석용 시약을 다음과 같이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노르아드레날린 히드로클로라이드(Noradrenaline hydrochloride, NAHCl), 호모바닐린산(homovanillic acid, HVA), 3,4-디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3,4-dihydroxyphenyl acetic acid, DOPAC), 5-히드록시인돌-3-아세트산(5-hydroxyindole-3-acetic acid, HIAA), 1-옥탄설폰산나트륨(1-octanesulfonic acid sodium salt, SOS), Na4EDTA, L-글루탐산(L-glutamic acid) 베타-아미노부티르산(β-amino-n-butyric acid, GABA), DL-베타-아미노부티르산(DL-β-amino-n-butyric acid, BABA),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Ch), 아세틸콜린 클로라이드(acetylocholine chloride, ACh), 1-데칸설폰산나트륨(1-decanesulfonic acid sodium salt, DSA), 시트르산(citric acid),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trihydrate , CH3COONa 3H2O, 붕산(boric acid, H3BO3))는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였다. 세로토닌 크레아티닌 설페이트(Serotonine creatinine sulfate , 5-HT CS), 염산 도파민(dopamine hydrochloride, DA HCl), 이소프레날린 히드로클로라이드(isoprenaline hydrochloride, ISP HCl)은 TCI사 (Japan)에서 구입하였다. 에틸호모콜린(Etylhomocholine, EHC, 10-2M)은 에이콤사(Eicom, Japan)로부터, 퍼콜린산(percholic acid, HClO4) 은 준세이사(Junsei, Japa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400, (PEG400)과 인산(phosphoric acid, H3PO4)은 덕산상사(Kore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3. 기기
신경전달물질 분석에 이용된 HPLC는 시스템 컨트롤러(system controller), 샘플 쿨러(sample cooler), 자동시료 채취장치(Auto sampler), 분리관 오븐(column oven), 펌프(pump)로 구성된 LC-10A 시스템 (Shimadzu Co., Japan) 으로 전기화학 검출기(electrochemical Detector)는 ECD-300(Eicom, Japan)을 사용했고 용매자동 회수장치(solvent recycler) 3000(Alltech)을 이용해 자동화 재활용(autorecycling)했다. 수동 회피시스템은 PACS-30(Columbus Co., USA), 극초단파 조사기(microwave irradiator)는 TMW-6402C (Muromachi Co., Japan)를 사용했다. pH 미터기는 ATI 오리온 모델(Orion model) 370 (MA, USA), 초음파 분쇄기(sonicator)는 브란손(Branson) 2200(USA)을 사용했다. 시료 처리를 위해 초음파 균질기(Ultrasonic homogenizer, 4710 series, Cole Parmer, USA)및 초원심분리기(ultracentrifuge, Micro 17TR, Hanil scientific industrial, Korea)을 사용했 다. 실험에 사용한 정제수는 밀리-큐 시스템(mili-Q system, Millipore Co., USA)으로 제조 했다.
참고예 2. 통계처리
통계처리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했다. 우선 자료를 스튜던트의 t-검정을 이용해 개별 비교를 하였으며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는 만-위트니 U-검정으로, 학습과 시험의 차이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으로 검정하였다. 이 때 자료는 중앙값±사분위 값으로 나타내었다. P값이 0.05미만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1. 수동회피실험을 통한 인지기능개선효과의 측정
1-1. 실험동물의 준비 및 실험방법
기억과 학습에 대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동 회피시스템을 사용하여, 4일 동안 성뇌원을 경구 투여하였다. 에탄올은 마지막 투여 날 성뇌원 투여 후 30분 뒤에 에탄올을 투여했다. 암소에 쥐를 한 시간 방치한 후 PACS를 사용하여 학습을 시켰으며, 24시간 경과 후 기억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약물투여 완료 후 2일 연속(간격:24시간)으로 동일시간에 했다. 행동관찰은 PACS-30 (Passive Avoidance Computerized System)을 사용해 관찰하였다. 장치는 두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간에 길로틴문(guillotin door)이 있는 칸막이로 구성되어 있고, 두 구획 중 한쪽은 10W의 조명을 비추어 밝게 하고 나머지 한쪽은 차광하여 어둡게 하였다. 바닥은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는 그리드(grid)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험실을 어둡게 하고 실험동물은 실험시작 1시 간 전에 암소에 두었다.
1-2. 학습시험(learning)
각각의 쥐를 밝은 구획에 두고, 30초 후 길로틴문이 올려져 어두운 구획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했다. 문이 열리는 동시에 쥐가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이 자동적으로 측정, 기록 되도록 하였으며, 쥐가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내려왔다. 상기 쥐에게 달아날 수 없는 상태에서 발에 전기 자극 (무조건 자극, 5초 동안 0.6mA) 을 그리드를 통해 준 후, 쥐를 홈 케이스에 다시 넣었다. 어두운 구획으로 120초 내에 들어가지 않는 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1-3. 수동회피시험(testing)
상기 실험예 1-2의 학습 시험 24시간 후에 시행하였다. 쥐를 밝은 구획에 놓고 길로틴문이 열리면 지연시간(step through latency)을 측정했다. 밝은 구획에 두는 최대 시간은 300초로 설정하였고, 지연시간과 암소에 들어가지 않는 쥐의 번호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단회 투여가 수동 회피 테스트에서 어두운 공간에 진입하는 마우스의 지연시간을 감소시켰다(P<0.0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처치군은 대조군 (에탄올 비처치군)의 지연시간(평균)의 25% 정도를 나타내었으며(P<0.01), 에탄올이 지연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성뇌원 투여 (200 mg/kg, p.o.)에 의해 유의적으로 차단되어 평균 지연시간이 에탄올을 투여하지 대조군(water group)의 75% 수준까지 증가되었다(P<0.01).
실험예 2. 신경전달 물질 분석
2-1. 신경전달 물질 분석 시료 준비
쥐는 4번째 날 에탄올 처리 한 시간 후에 2450MHz 극초단파(microwave)를 1.7초 동안 조사하여 4.5kW에 노출시켜 희생시켰다. 상기 극초단파의 조사는 생쥐의 뇌 부분에 열을 집중되게 하여 순간적으로 뇌가 고정 되는데, 신경전달물질, 특히, 아세틸콜린 클로라이드와 염화콜린의 대사와 관련된 효소를 불활성 시킨다. 뇌는 두개골을 제거한 후 3부분 (전피질, 해마, 선조체)으로 나누었으며, 각 부분은 서로 섞이지 않게 하였다. 각각의 부분은 두 개의 용기 (카테콜아민과 GABA 분석용, 아세틸콜린 분석용)에 나눠 담고 드라이 아이스상에서 순간적으로 동결시켜 -70℃에 보관했다.
2-2. 쥐의 뇌 조직 중 카테콜아민류 변화
a. 실험준비
다음과 같이 이동상을 조제하였다. 인산완충액 (pH 3.5) 830mL, SOS(100 mg/ml )1.9 mL, Na4EDTA( 5 mg/ml), 1.0 mL, 메탄올 170 mL를 합치고 과염소산으로 pH를 3.5로 조정하였다. 스탠다드는 노르아드레날린, DOPAC, HIAA, DA, HVA, 5-HT와 ISP를 각각 정제수에 녹여 저장 용액을 제조하여 각각을 희석하여 사용했다. 시료는 분석 직전 초저온 냉장고에서 꺼내어 얼음상에 녹이고 초음파 파쇄기로 30초 동안 분해하고 세포 파편과 거대분자를 제거하기 위해 4℃, 1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2개의 용기에 나눠 하나는 카테콜아민 분석용으로 HPLC 에 주입하고 20㎕는 GABA 분석용으로 -70℃에 저장했다. 카테콜아민과 5-HT의 분석에는 컬럼으로 EICOMPAK SC-50DS (2.1 ㎜i.d × 150 ㎜) 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그래픽 탄소전극(Graphic carbon electrode)을 가지는 ECD (WE03G GAS GS-25), 0.75 V vs. Ag/AgCl를 사용하였다. 유속은 0.20 ml/분, 주입 용량은 10 ㎕ (선조체 시료), 20 ㎕ (피질과 해마 시료) 였다. 시료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분석동안 샘플을 4℃ 로 유지했다.
b. 실험결과
뇌중 카테콜아민은 주로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 HVA, DOPAC, 3-MT, 아드레날린 등으로 이들의 절대적인 함량 및 상대적인 비율이 뇌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도파민은 티로신으로부터 DOPA를 거쳐 만들어지며, 노르아드레날린, DOPAC, 3-MT를 거쳐 아드레날린이나 HVA로 대사된다. 쥐의 뇌중 도파민 함량은 성뇌원 투여에 의해 약간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간 정도의 용량 (500mg/kg)을 투여 하였을 때 해마와 전피질에서 도파민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P < 0.05), 선조체에서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고용량이나 저용량 투여 때 보다 중간용량 투여 때 도파민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노르아드레날린과 DOPAC은 도파민의 대사체로 성뇌원을 투여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특히, 중간 용량을 투여하는 경우 해마와 전피질에서 노르아드레날린과 DOPAC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1). 중간 용량 투여 때 노르아드레날린과 DOPAC의 함량 변화는 도파민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이것은 성뇌원에 의해 도파민이 많이 생성됨과 동시에 이것이 많이 대사 되는 것으로, 성뇌원은 뇌 중 도파민성 신경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도 4, 5). HVA는 DOPAC의 대사체로 뇌 중 농도 변화는 그다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3). 또한 DOPAC 과 도파민, HVA와 도파민의 비율도 유의적으로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보아, 성뇌원 투여가 뇌 중 도파민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도파민 대사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6, 7).
2-3. 쥐의 뇌 조직 중 세로토닌류 변화
a. 실험준비
실험을 위해 준비한 이동상은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b. 실험결과
뇌중 세로토닌류는 주로 세로토닌 (5-HT; 5-hydroxytryptamine), 5-HIAA (5-hydroxyindoleacetic acid) 등으로 이들의 절대적인 함량 및 상대적인 비율이 뇌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세로토닌은 트립토판으로부터 만들어지며 5-HIAA로 대사되며, 생쥐의 뇌중 세로토닌 함량은 성뇌원 투여에 의해 약간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간 정도의 용량 (500mg/kg)을 투여 하였을 때 해마와 선조체(P < 0.05), 전피질(P < 0.01)에서 세로토닌 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도 8, 9, 10 참조).
2-4. 쥐의 뇌 조직 중 글루탐산 및 GABA류 변화
a. 실험준비
다음과 같이 이동상을 조제하였다. NaH2PO4 ·H20 7.59 g, Na4EDTA 20.9 ㎎를 물 550 ml에 녹이고 메탄올 450 ml를 가했다. 용액을 염산으로 pH를 3.8로 맞췄다. 스탠다드는 GA, GABA, 내부표준물질 (BABA)의 저장 용액을 제조하여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분석 직전 얼음 상에서 녹인 후 OPA-BME 80 ㎕와 완전히 잘 섞은 후 PEG400 100㎕를 즉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은 4℃ 에서 5시간 동안 안정하다. OPA-BME액은 OPA 5.4 ㎎을 에탄올 2 ml에 녹이고 BME 8 ㎕를 첨가한 후 0.1 M 붕산 완충액으로 전체용액이 10ml가 되도록 제조하였으며, 용액은 하루 동안만 사용하였다. 감마-아미노부티릭산(г-aminobutric acid)과 글루탐산 분석에는 컬럼으로 Zobax RX-C18 (2.1 i.d × 150 ㎜)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유리상 탄소전극(Glassy carbon electrode)을 가지는 ECD 0.7 V vs. Ag/AgCl를 사용하였다. 유속은 0.25 ml/분, 주입 용량은 5 ㎕ 였으며, 시료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분석동안 샘플을 4℃ 로 유지했다.
b. 실험결과
흥분성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로써 글루탐산과 억제성 아미노산 신경전달물질로서 GABA는 각각 뇌신경 기능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쥐의 뇌 중 글루탐산 및 GABA의 함량은 중간 정도의 용량(500 mg/kg)을 투여 하였을 때 전피질, 해마, 선조체에서 (p < 0.01)에 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글루탐산과 GABA의 비율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도 11, 12, 13참조).
2-5. 쥐의 뇌 조직 중 콜린류 변화
a. 실험준비
다음과 같이 이동상을 조제하였다. Na2HPO4 ·7H20 13.4 g, Na4EDTA 5 ㎎, 1-데칸설폰산나트륨 300㎎를 물 1L에 녹이고 인산으로 pH를 8.3으로 맞추었다. 스탠다드는 아세틸콜린과 콜린, 내부표준용액 EHC (ethyl homochline) 저장 용액을 제조하여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분석 직전 얼음 상에서 녹인 후 내부표준 물질을 첨가하고 초음파 파쇄기로 30초 동안 분해하고 세포 파편과 거대분자를 제거하기 위해 4℃, 1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으며, 상층액을 HPLC에 주입하였다. 아세틸콜린과 콜린분석에는 컬럼으로 SPR(solid phase reactor)이 연결된 EIcompak AC- gel (2.0 i.d × 150 ㎜)을 사용했고 온도는 35℃로 하였다. 검출기는 ECD (plantinum electrode), 0.45 V vs. Ag/Agcl 을 사용하였다. 유속은 0.15 ml/분, 주입 용량은 3 ㎕였다. 시료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분석 동안 샘플을 4℃로 유지하였다.
b. 실험결과
뇌 중 아세틸콜린은 CAT(choline acetyltransferase)에 의해 생성되며, AchE (actylcholine esterase)에 의해 분해되어 콜린으로 대사되는데 AchE (actylcholine esterase)를 억제하면 뇌 중 아세틸콜린의 양이 증가하여 뇌의 활성이 향상된다는 보고가 있다. 쥐의 뇌 중 아세틸콜린의 함량은 중간 정도의 용량 (500 mg/kg)을 투여 하였을 때 전피질과 선조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선조체의 콜린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콜린에 대한 아세틸콜린의 함량변화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뇌원 투여가 선조체와 전두의 피질에서 아세틸콜 린을 증가시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14. 15. 16참조).
실험예 3.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니,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200 mg
유당 10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2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
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비타민 C 500 ㎎
카라멜 1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뇌원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DOPAC, HVA, 노르아드레날린, HIAA, 글루탐산, GABA,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콜린을 증가시키고, 뇌 신경물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어, 뇌신경을 활성화시켜, 뇌기능, 학습능력 또는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의 혼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그 구성 배합비가 인삼 : 백복신 : 원지 : 석창포 : 천마 : 사향 또는 소합향(1~12: 1~12: 1~8: 1~8: 1~8: 0.1~0.4)의 중량비(w/w)인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의 혼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소합향의 혼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파킨슨(Parkinson)병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삭제
KR1020060030156A 2006-04-03 2006-04-03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86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56A KR100867612B1 (ko) 2006-04-03 2006-04-03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56A KR100867612B1 (ko) 2006-04-03 2006-04-03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44A KR20070099144A (ko) 2007-10-09
KR100867612B1 true KR100867612B1 (ko) 2008-11-10

Family

ID=3880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56A KR100867612B1 (ko) 2006-04-03 2006-04-03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227B1 (ko) 2010-03-03 2010-12-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231B1 (ko) * 2012-08-08 2014-06-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509056B1 (ko) * 2012-12-21 2015-04-08 대한민국 인삼 복합 생약 추출물, 진세노사이드 Rg2와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7320A (ko) * 2021-09-30 2023-04-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반하, 대추, 감초, 인삼, 건강, 황금 및 황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902A (ja) * 1987-09-29 1989-04-18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
KR20030071035A (ko) * 2002-02-27 2003-09-03 씨.에프. 주식회사 신경보호활성을 가지는 천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902A (ja) * 1987-09-29 1989-04-18 Tokyo Shokai:Kk 薬剤分包機
KR20030071035A (ko) * 2002-02-27 2003-09-03 씨.에프. 주식회사 신경보호활성을 가지는 천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8(5), pp.1418-1425, (2004.)*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10(1), pp.17-38, (1999.)*
아주대학교 이은아 석사학위논문(1999.0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227B1 (ko) 2010-03-03 2010-12-07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WO2011108778A1 (ko) * 2010-03-03 2011-09-09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44A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08025B (zh) 用于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包含草药提取物的组合物
US20060073225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pericarpium zanthoxyli for protecting brain cells and improving memory
KR100867612B1 (ko)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147101B1 (ko)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508395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신분열증 및 건망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84A (ko) 치매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171447B1 (ko) 하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663181B1 (ko)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산조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001109A (ko) 다표적 제어를 통한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6750B1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40064240A (ko) 뇌세포 사멸억제 활성을 갖는 석창포 및 천마를 함유하는생약조성물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5979B1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6403B1 (ko)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초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90014886A (ko)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3631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1971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마그네슘-뉴클레오티드-작동성 금속 이온통로 또는 세포내 칼슘고갈에 의해 작동되는 칼슘통로 활성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050018226A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마그네슘-뉴클레오티드-작동성금속 이온통로 또는 세포내 칼슘고갈에 의해 작동되는칼슘통로 활성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