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53B1 -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353B1
KR101929353B1 KR1020150156093A KR20150156093A KR101929353B1 KR 101929353 B1 KR101929353 B1 KR 101929353B1 KR 1020150156093 A KR1020150156093 A KR 1020150156093A KR 20150156093 A KR20150156093 A KR 20150156093A KR 101929353 B1 KR101929353 B1 KR 10192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venile
extract
leaf extract
depres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492A (ko
Inventor
김영옥
박춘근
이상원
허목
안영섭
김진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4Valerianaceae (Valerian family), e.g. valeri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다양한 뇌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불안증 등과 같은 현대인의 신경정신병을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prouts Valerian fauriei having anti-depressant activity}
본 발명은 쥐오줌풀 어린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스트레스, 우울증 개선 및 불안장애 개선 효과를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식품 및 약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회는 급격히 발전되고 다변화됨에 따라 현대인들에게 여러 가지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스트레스로 인한 범불안 장애 및 정신질환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06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2006년 1년간 한가지 이상의 정신질환 경험 인구비율인 '정신질환 일년 유병율'은 18세 이상 64세 이하의 성인 6명 중 1명인 17.1 %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현재 평생 동안 한가지 이상의 정신질환 경험 인구비율인 '정신질환 평생 유병율'도 성인 3명 중 1명인 30 %로 나타났다. 아울러, 최근 과도한 학구열 또는 각종 스트레스로 인해 청소년 정신질환이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전체 인구의 유병률은 더욱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개인으로 하여금 적응에의 요구를 강요하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인 압박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일상에 만연되어 있는 요소로 유발되며 거의 모든 정신과적 질환과 의학적 질병의 발생에 기여한다. 하지만, 이에 성공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스트레스라고 인지되면 우울, 불안, 피로, 분노, 기분변화와 같은 심리반응이 초래되고, 뇌파 중 α-파 감소, 혈압과 맥박수의 증가 등의 생리 반응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응이 계속 반복되면 우울증, 불안증, 수면 장애와 같은 질병이 나타나고 개인, 가족 그리고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며, 개인의 삶의 질을 낮추는 원인이 된다.
불안증(anxiety)은, 통상 6개월 이상에 걸쳐 지속적이고 회복되지 않는 신경과민, 긴장, 근심 등을 나타내는 정신적인 질환으로서, 특별한 이유없이 정상적인 반응 이상으로 사소한 사건 하나하나에도 극도의 불안을 느끼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며, 특히 소아·청소년의 경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등이 심할 때 불안증 및 우울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불안증에는 범불안 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이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범불안 장애는 불안한 느낌이 과도하고 광범위하며, 근거를 찾기 어려운 부동성 불안 및 자율신경과민 증상이 가장 큰 특징으로 나타난다. 현재 임상에서의 불안증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장기적 정신치료를 병행해 치료하고 있다. 약물치료의 경우, 주로 diazepam, lorazepam, clonazepam, alprazolam 등의 benzodiazepine 계통의 항불안 약물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azapirone계의 buspirone은 serotonin 수용체에서 부분 효능약으로 작용하여, 보다 선택적으로 불안증후를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로 사용이 되고 있다. 그리고, zolpidem과 같은 imidazopyridine계통의 약물도 불안증으로 인한 단기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안장애 및 정신질환에 쓰이고 있는 약물들은 대부분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는 약물군들이며, 특히 benzodiazepine계통의 약물들은 중추신경의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중추신경을 억제하게 되어 과다한 진정작용이 나타나며, 또 GABA 억제작용이 강화되고, 우울, 근이완, 최면 등의 중추억제작용이 강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게다가, 불안장애 및 정신질환에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은 심리적, 신체적으로 의존을 하게 만들어 약물 남용이 우려되는 등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정신질환에 대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지나친 진정과 졸음을 초래하지 않으며, 의존성을 일으키지 않는 약물 또는 스트레스 자극이 정신질환으로 발전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치료/예방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울 장애(depressive disorder)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정신 또는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으로, 우울증이라고도 한다. 상기 우울증은 단순한 슬픔이라는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간 지속되는 기분 저하 상태와 여기에 동반된 여러 장애를 뜻하며, 상기 장애란 생각의 과정, 동기, 의욕, 행동, 수면 등 전반적인 기능의 저하로 인해 일상 생활이 어려운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우울장애는 평생 유병율이 15% 정도로, 특히 여성에서는 25%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우울증이 2020년에 인류를 괴롭힐 세계 2위의 질병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 중 8%에 해당하는 약 320만 명이 우울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우울장애 또는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약함의 표현이거나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우울증의 치료에는 전문적인 치료 또는 접근이 요구되나, 상당수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우울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질환이기도 하다. 특히, 우울증의 위험성은 자살률과의 높은 상관성에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연평균 자살 증가율은 1982년 이후 5.19%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자살 증가율이 1위이며, 이러한 자살의 원인 중 80%가 우울증에 기인한다는 통계자료가 있다. 상기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다른 정신 질환과 같이 생화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장애, 불안장애, 자살충동과 같은 증세과 관련하여, 생화학적인 측면에서 호르몬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연구에 의하면,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뇌의 시상하부에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Corticotropin releasing hormon, CRH)이 생성되며, 상기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 ACTH)을 방출하게 하며, 상기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은 부신피질에 작용하여 부신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중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cortisol) 등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분비를 촉진하며, 혈액으로 분비된 당질코르티코이드는 신체 각 기관으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졸의 분비는 근육을 긴장시키고, 감각기관을 예민하게 만드는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인체를 준비시키지만, 반복적인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코르티졸 호르몬의 지속적인 분비는 신체가 늘 긴장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상기 코르티졸의 혈중농도가 높아지게 되며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수면장애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수면장애는 또 다시 정신적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어, 악순환이 발생됨에 따라 우울한 증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코르티졸 분비 조절 기능이 상실하게 되어, 과도한 코르티졸 분비가 지속되는 경우, 뇌 신경계 전반에 걸쳐 뇌 위축 및 손상이 야기되고 이로 인해 심각한 우울증 증세 및 이로 인한 자살 발생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자살 발생의 원인이 되는 자살충동을 유발하는 우울증의 뇌신경계 위축(무게 및 부피의 감소)과 손상은 분비조절능력 상실에 의해 과다 분비된 코르티졸 호르몬이 직접적인 1차적 원인 물질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코르티졸 호르몬에 의한 신경 손상 기전과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며, 현재 많은 신경과학자들의 주요 관심 연구주제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만, 우울증의 경우, 대부분의 뇌신경계 질환, 특히 치매나 뇌졸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 즉, DNA 손상에 의한 세포손상기전으로 알려진 세포사멸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신경계 위축과 손상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울증 환자 및 우울증 실험 동물모델에 대한 최근 연구는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분비되는 코르티졸은 신경세포, 더 구체적으로는 해마 신경세포에 칼슘이온의 유입을 과도하게 증가시키고, 상기 해마 신경세포 내부로 과잉 유입된 칼슘이온은 세포의 에너지원인 글루코스(glucose)의 세포 내 유입을 방해하여, 결국 세포 내 주요 에너지분자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양이 감소되며, 이로 인하여 신경세포의 에너지 대사 방해로 세포생장을 어렵게 되고, 궁극적으로 뇌신경계 위축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기 코르티졸에 의한 신경세포 내부로 칼슘이온의 과잉 유입과 관련하여, 상기 코리티졸은 클루타메이트(glutamate), NMDA 및 kainic acid 등의 신경계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양적 증가를 유도하고, 상기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양적 증가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수용체를 통해 칼슘이온이 세포내부로 과잉 유입됨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신경세포의 전기적신호전달 기능을 담당하는 칼슘채널(calcium-channel) 및 칼슘펌프(calcium-pump)도 과잉 활성화되며, 이로 인해 신경세포 내부로 칼슘이온이 과잉유입됨도 보고되어 있다. 현재까지 보고되고 사용되고 있는 우울증 치료제는 행복함과 사랑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이라고 알려진 세로토닌 (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중 세로토닌 농도를 증가시킴으로 일시적인 기분전환 효과를 통해 우울증 치료효과를 유도하는 약물들로, 미국 FDA 승인을 받고 판매되고 있는 우울제는 프로작(prozac)이나 세렉사(celexa)등 약 5종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경우, 환자의 절반 정도만이 증상이 호전될 뿐만 아니라 미국정신과 협회(APA) 권장사항에 의하면, 증상 호전을 위해서는 최소 4개월 이상의 복용기간이 요구되고, 환자에 따라서는 2년 내지 3년 동안 계속 복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의 경우, 상기 약의 복용을 끊었을 경우 대부분 증상이 6개월 내지 12개월 이내 재발함이 관찰되었고 부작용 또한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문제될 가능성이 낮은 현재에는 천연물 유래로 우울증에 대해 장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항우울제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 제품이나 약용식물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나타난다.
동물실험모델에서 스트레스 자극을 주어 우울, 불안 및 기억력 감퇴와 같은 증후를 연구하고 구속 스트레스에 노출된 흰쥐의 강제수영실험, 십자미로실험, 능동회피실험 등을 실시하여 천연물의 치료효과를 많이 연구하고 있다.
우울증치료효과 실험으로는 강제수영시험(FST)를 실시하고 항불안효과 연구는 십자미로실험 (EMT) 및 능동회피조건 (AAT) 테스트를 사용하여 치료효과를 실험하고 있다(Vyas, A T Mitra, B S Rao and S Chattarji. 2002 Chronic stress induces contrasting patterns of dendritic remodeling in hippocampal and amygdaloid ndurons. J. Neurosci 2.: 6810-6818). 또한 시상하부 부신피질자극 홀몬 방출 시스템은 시상하부 뇌하수체-부신(HPA) 축 증폭 조절 및 반복되는 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우울증 및 불안증 관련 행동이 보고되고 있다 (Daniels, W M L Richter and D J Stein 2004 The effects of repeated intra-amygdala CRF injections on rat behavior an HPA axis function after stress Metab Brain Dis 19:15-23).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강제수영실험(FST), 십자미로실험 (EMT), 능동회피조건 (AAT) test를 실시하여 쥐오줌풀 복합물이 우울증, 불안장애 및 기억력 감퇴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쥐오줌풀 (Valeriana fauriei Briquet, 한약재명 : 길초근)은 마타리과 (Valerianaceae)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에서 쥐 오줌 냄새와 비슷한 특이한 향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쥐오줌풀은 경련해소와 긴장완화를 통해서 잠이 잘 오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정신불안증·신경쇠약·산후심장병·심박쇠약·생리불순·위경련·관절염·타박상에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천연 불면증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어 해마다 가장 많이 판매되는 자연약초라고 하며 일년에 50톤 이상이 판매 된다고 한다. 특히 쥐오줌풀의 뿌리에는 정유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항히스테리 성분이 탁월해 정신불안, 신경과민, 신경쇠약, 히스테리에 강력한 효능이 있으며, 불면증, 무기력증 등에도 좋아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에 대한 항우울 또는 항불안 효과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 없으며, 쥐오줌풀 뿌리가 아닌 어린잎 추출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국내외 아울러 최초로 연구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쥐오줌풀(Sprouts Valerian fauriei)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쥐오줌풀 어린잎 (Sprouts Valerian faurie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쥐오줌풀(Sprouts Valerian fauriei)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신경발생(neurogenesis)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은 발레라논(valeranone)과 발레리아네이트(valerianate)가 쥐오줌풀 뿌리보다 1.5 내지 2배 더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쥐오줌풀 어린잎 (Sprouts Valerian faurie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은 다양한 뇌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불안증 등과 같은 현대인의 신경정신병을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뇌의 해마영역에서 신경재생을 확인한 데이터이다(Con :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SVF-1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mg/kg 투여군, SVF-3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mg/kg 투여군, SVF-1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0mg/kg 투여군, *** : p<0.001).
도 2는 강제수영측정법을 통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우울증 억제 효과를 확인한 데이터이다(Con :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RVF-300 :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 300mg/kg 투여군, LVF-300 : 쥐오줌풀 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SVF-1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mg/kg 투여군, SVF-3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mg/kg 투여군, SVF-1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0mg/kg 투여군, *** : p<0.005).
도 3은 십자미로시험을 통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불안장애 개선 효과를 확인한 데이터이다(대조군 :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 RVF-300 :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 300mg/kg 투여군, LVF-300 : 쥐오줌풀 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SVF-3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mg/kg 투여군, SVF-1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0mg/kg 투여군, SVF-3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 : p<0.001, * : p<0.05).
도 4는 모르핀행동민감화 증상에 따른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우울증 억제 효과를 확인한 데이터이다(모르핀 : 모르핀 10mg/kg 투여군, SVF-30 : 모르핀 투여 후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mg/kg 투여군, SVF-100 : 모르핀 투여 후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0mg/kg 투여군, SVF-300 : 모르핀 투여 후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 p<0.05, ** : p<0.005, *** : p<0.001)).
도 5는 꼬리매달기 측정법을 통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우울증 억제 효과를 확인한 데이터이다(대조군 :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RVF-300 :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 300mg/kg 투여군, LVF-300 : 쥐오줌풀 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아미프라민(양성 대조군) : 아미프라민 10mg/kg 투여군, SVF-3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mg/kg 투여군, SVF-1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100mg/kg 투여군, SVF-300 :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0mg/kg 투여군(+++ : p<0.001, ** : p<0.005, * : p<0.05).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에 대한 항우울 또는 항불안 효과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 없으며, 쥐오줌풀 뿌리가 아닌 어린잎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바 없다.
본 발명은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은 다양한 뇌신경계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불안증 등과 같은 현대인의 신경정신병을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쥐오줌풀 어린잎(새싹)”은 쥐오줌풀을 파종하여 약 2달 후에 수확한 어린잎을 말하며, 어린잎은 2달까지 성장한다. 성숙된 쥐오줌풀을 사용하려면 파종 후 2년이 지나야 쥐오줌풀을 사용할 수 있다. 쥐오줌풀 어린잎에는 특히 valeranone와 valerianate가 성숙된 뿌리보다 1.8배가 많이 들어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신경재생(neurogenesis)"은 신경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로 부터 뉴론이 생성 또는 재생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신경 재생에는 DCX(Doublecortin)와 같은 단백질이 관여하며, DCX(Doublecortin) 발현 수준을 통하여 신경 재생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울증(depression)과 같은 다양한 신경 정신 질환 등은 해마의 신경 재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DCX의 발현 수준을 높이며 신경 재생을 가져오는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신경 재생뿐만 아니라, 나아가 신경 정신 질환의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신경 재생 정도가 감소된 마우스에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DCX 양성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경 재생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1).
또 다른 양태로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재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용어 "예방" 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관절염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 또는 "개선"이란,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관절염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에 희석제 또는 담체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인산염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쥐오줌풀(Sprouts Valerian fauriei)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쥐오줌풀은 뿌리, 줄기, 잎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쥐오줌풀은 바람직하게는 새싹 또는 어린잎일 수 있다. 어린잎이란, 자란지 1 내지 3개월 된 잎을 나타낸다. 어린잎에는, 항우울 효과 또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뿌리, 줄기 또는 잎 추출물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뿌리 추출물과 잎 추출물도 함께 실험하였는데, 모든 실험에서 어린잎 추출물이 높은 항우울 효과 또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추출 용매는 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70 ℃보다 낮은 온도 또는 10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출하게 되면, 항우울 효과 또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물질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4시간 보다 짧게 추출하거나, 8시간 보다 길게 추출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항우울 효과 또는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물질이 효과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을 세절한 후 각각 물 1 L에 시료 100 g의 비율로 가하여 6시간씩 85℃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실온에서 냉각·여과한 후 추출액을 회전 감압농축기(Rotavapor RII,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하여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30mg/kg 내지 300mg/kg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30mg/kg보다 낮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효과적인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300mg/kg보다 높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졸음이 유발되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10, 30 및 100mg/kg로 각각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100mg/kg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신경발생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30, 100 및 300mg/kg로 각각 마우스에 투여할 때, 300 mg/kg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생존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증 개선 및 불안장애 개선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신경발생(neurogenesis)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10, 30 및 100mg/kg로 각각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100mg/kg의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신경발생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은 발레라논(valeranone)과 발레리아네이트(valerianate)가 쥐오줌풀 뿌리보다 1.5 내지 2배 더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급성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20mg/kg 투여군에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쥐오줌풀 어린잎 (Sprouts Valerian faurie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추출 용매는 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쥐오줌풀 어린잎을 세절한 후 각각 물 1 L에 시료 100 g의 비율로 가하여 6시간씩 85℃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실온에서 냉각·여과한 후 추출액을 회전 감압농축기(Rotavapor RII,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하여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30mg/kg 내지 300mg/kg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30mg/kg보다 낮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효과적인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잇으며, 300mg/kg보다 높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졸음이 유발되는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트레스성 질환은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울증 및 불안장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신경발생(neurogenesis)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쥐오줌풀 어린잎 ( SVF Sprouts Valeriana fauriei ) 추출물의 제조
쥐오줌풀 어린잎은 평창의 시험포장에서 파종한지 2개월 된 어린잎을 채취하였다. 세척된 쥐오줌풀 어린잎을 일정 간격으로 절단하여 각각 물 1 L에 시료 100 g의 비율로 가하여 6시간씩 85℃에서 3회 반복 추출하고, 실온에서 냉각·여과한 후 추출액을 회전 감압농축기(Rotavapor RII, Buchi, Switzerland))로 농축하였다. 획득된 추출물을 동결건조(Martin Christ, Osterode Germany)하여 분말의 형태로 20℃에서 보관하였다. 최종 수율(yield)은 32%, 이었다. 이를 실험시에는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비교실험군으로 사용된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과 쥐오줌풀 잎 추출물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였으며, 최종 수율은 각각 24% 및 29%를 획득하였다.
실험동물의 준비
6주령 ICR계 (25 내지 30g)을 중앙실험에서 공급바다 동물실험실에서 사육 후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게 하고 온도도 (23℃), 습도(55%)및 명암주기 (12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각 실험군은 10마리씩 하였다.
[실험예 1]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신경발생(neurogenesis) 증가확인
다양한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장애는 두뇌의 신경 재생성을 감소시키므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뇌 내의 해마의 영역의 신경재생성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유도한 동물에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장기 투여 한 다음, 신경재생성 효과를 면역염색법을 통하여 신경발생(neurogenesis) 마커인 DCX(Doublecortin)를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스트레스를 유도한 동물에게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장기 투여 후 신경재생성을 확인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인 스트레스 군과 비교하였을 시 100mg/kg 용량에서 DCX positive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신경 재생 효과를 가지며, 나아가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장애로 유도된 신경 손상에 있어 신경 재생 효과를 가져오므로 스트레스,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2]
강제수영측정법에 의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항 우울효과
강제수영실험은 실험동물의 운동 활성 및 우울 정도를 검사하는 동물실험법 중 하나로서, 30cm 길이의 투명한 아크릴로 된 관에 약 25cm 정도의 물(약 24℃)을 채우고 6분간 동물의 행동을 비디오레코더를 사용하여 녹화하였다. 처음 2분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 마우스가 머리만 물위로 내놓고 움직임없이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전혀 움직이지 않은 상태(immobility time), 오르는 상태(climbing time)가 증가하게 되면 삶에 대한 의지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고, 감소할수록 삶의 의지가 매우 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과 쥐오줌풀 뿌리와 쥐오줌풀 잎을 동물에 경구로 투여하고 약 1시간 경과 후, 소음이 차단된 방에서 각 군당 10마리씩 측정하였다. 도2는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에 대한 상승된 십자미로의 열린공간에 머무른 시간을 대조군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모든 용량(30, 100, 및 300mg/kg)에서 부동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뿌리 추출물 300mg/kg 투여군과 잎 추출물 300mg/kg을 비교할 때,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에서 더욱 높은 부동시간 감소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투여가 항우울 활성을 지닌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3]
상승된 십자 미로시험에 의한 항불안 활성 확인
십자 미로시험은 검정색의 아크릴로 제작된 상승된 십자미로(elevated plus-maze)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불안 정도를 측정하는 실험방법으로, 마우스는 미로의 중앙에서 열린 공간 쪽으로 머리를 향하게 하여 살며시 내려놓은 다음 미로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행동은 5분간 관찰하며, 마우스가 열려 있는 공간과 닫혀 있는 공간에 머문 시간, 각 공간의 출입 횟수 및 총 이동거리 등을 카메라로 측정하여 항불안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동물에 경구로 투여하고 약 1시간 경과 후에 소음이 차단된 방에서 각 군당 10마리씩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군과 비교하여 100, 300mg/kg 농도에서 열림 공간에 머무름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과 잎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비교할 때,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에서 확연히 긴 머무름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이 뿌리 추출물 또는 잎 추출물보다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실험예 4]
모르핀의 행동민감화 증상에 대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억제 효과
마우스의 행동민감화 증상은 가로 세로 높이 30X30X30cm 의 플라스틱 상자에서 비디오 추적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르핀을 1일 1회 7일간10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고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30mg/kg, 100mg/kg, 및 300mg/kg 투여하며 1일과 7일에는 투여 직후 1시간 동안 자발운동량을 관찰하여 분석한다.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모르핀 투여 1시간전에 경구투여 하고 모르핀 투약 30분전에 30분간 적응시켰다 그 결과 첫 날 모프핀의 자발운동량은 평균 36,860cm 이고 증가작용이 나타났다. 반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 300mg/kg 전처리한 때에서는 17,825 cm 나타내어 51.6%의 유의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p<0.001). 7일날 모르핀 자발운동량은 평균49,102cm 나타내어 증가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첫날 몰르핀의 12,242 cm를 증가하였다. 반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30 mg/kg 전처리한 군에서는 16,934cm를 나타내어 65.5%의 유의한 민감도 증가를 나타내었다(p<0.001). 또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100 mg/kg 전처리한 군에서는 22,745cm를 나타내어 자발운동량에 비해 53.73%의 유의한 민감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반면 쥐오줌풀 어린잎 300mg/kg을 전처치한 군에서는 평균 27,525cm 나타내어 43.9%의 유의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도 4).
[실험예 5]
마우스 꼬리매달기 측정법에 의한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의 항우울효과
마우스의 꼬리매달기 측정법은 높이 80cm의 모서리에 테이프로 꼬리 끝 1~2cm를 붙여서 마우스를 매달았다. 마우스에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30mg/kg, 100mg/kg, 및300mg/kg 경구투여하여 항우울제인 이미프라민 10mg/kg 복강투여하였다. 1시간 후 마우스를 매달아 5분 동안 비디오 레코더를 사용하여 녹화하였다. 처음 1분간을 제외한 나머지 4분 동안을 기준으로 마우스가 움직임 없이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30mg/kg, 100mg/kg 및 300mg 투여 한 군에서 이미프라민을 투여한 군과 거의 같은 수준인 57.4%의 유의한 항우울효과를 나타내었다(도 5).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50초 우울증이 나타났으나,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은 63초, 잎 추출물은 64초 우울증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뿌리 또는 잎 추출물보다 더욱 높은 우울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급성독성연구
255g의 ICR계 마우스와 230g의 특정병원부재 (SPF) 스프라그-도올리 랫즈를 각각 5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 실시예 1의 쥐오줌풀 어린잎을 각각 20mg/kg, 10 mg/kg,1 mg/kg,의 용량으로 복강투여 후 24시간 독성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 체중증가, 사료섭취량 등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안전함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도시).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쥐오줌풀(Sprouts Valerian fauriei)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어린잎은 자란지 1 내지 3개월 된 것이며,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30mg/kg 내지 300mg/kg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경발생(neurogenesis)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은 발레라논(valeranone)과 발레리아네이트(valerianate)가 쥐오줌풀 뿌리보다 1.5 내지 2배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쥐오줌풀 어린잎 (Sprouts Valerian faurie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어린잎은 자란지 1 내지 3개월 된 것이며, 우울증, 수면장애 및 불안장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은 쥐오줌풀 어린잎 중량 대비 5 내지 1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70 내지 100℃ 에서 4 내지 8 시간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삭제
KR1020150156093A 2015-11-06 2015-11-06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2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93A KR101929353B1 (ko) 2015-11-06 2015-11-06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93A KR101929353B1 (ko) 2015-11-06 2015-11-06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92A KR20170053492A (ko) 2017-05-16
KR101929353B1 true KR101929353B1 (ko) 2018-12-17

Family

ID=5903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93A KR101929353B1 (ko) 2015-11-06 2015-11-06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975A (ko) 2019-06-17 2020-12-28 한국식품연구원 쥐오줌풀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또는 대사증후군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i Neamati 외. The effects of Valeriana officinalis L. hydro-alcoholic extract on depression like behavior in ovalbumin sensitized rats. J Pharm Bioallied Sci. 2014 Apr-Jun; 6(2): 97-103.
Jeong Suk Kim 외. Effects of Valerianae Radix et Rhizoma extract on psychological stress in mice. Pharmacogn Mag. 2015 Apr-Jun; 11(42): 381-38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92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1996A2 (es) Composiciones para reducir el apetito y el ansia,potenciar la saciedad, mejorar el estado de animo y reducir el estres.
US20210128664A1 (en) Agent for Activating Astrocyte Glucose Metabolism
US20070207230A1 (en) Extract of nelumbinis semen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medicinal composite and health foods including the extract of nelumbinis semen
KR101478882B1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2667B1 (ko) 섬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정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9353B1 (ko) 항우울 또는 항불안 활성을 갖는 쥐오줌풀 어린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87877B1 (ko)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증진용 조성물
KR101476750B1 (ko)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259062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rubi fructus for preventing and treaing anxiety, depression and dementia and improving memory
KR102152174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2836B1 (ko) 어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279748A (zh) 一种厚朴精油的应用
KR20200043133A (ko) 프락시누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10123982A (zh) 一种草果精油的应用
KR20190016013A (ko)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US20210213081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eating, or treating stress or depress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8177748A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2278766B1 (ko) 고구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R Evaluation of adaptogenic activity of various extracts of Breynia Vitis-idaea (burm. f) C. Fisher leaves by using swim endurance test
EP3659617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ncluding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