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141A -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141A
KR20140032141A KR1020120098626A KR20120098626A KR20140032141A KR 20140032141 A KR20140032141 A KR 20140032141A KR 1020120098626 A KR1020120098626 A KR 1020120098626A KR 20120098626 A KR20120098626 A KR 20120098626A KR 20140032141 A KR20140032141 A KR 2014003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llagen protein
shell
colla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068B1 (ko
Inventor
권선진
Original Assignee
권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진 filed Critical 권선진
Priority to KR102012009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0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불필요한 부분인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증솥에 넣고 1-2시간 푹 삶아 멸균처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얻어진 돼지껍데기를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월계수잎ㆍ감초ㆍ모과와 함께 증솥에 넣고 다시 1-2시간 동안 푹 삶아 젤라틴화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통해 얻어진 젤라틴화 된 돼지껍데기를 중성처리한 후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 및 트립신, 펩티다아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분쇄기로 분쇄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 젤리형태로 만드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돼지껍데기에서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는 제1단계; 백강잠의 점성을 제거하기 위해 백강잠을 쌀뜨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최소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점성이 제거된 것을 확인한 다음 깨끗이 씻은 상태로 준비하고, 준비된 토사자와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과정과, 혼합된 혼합물을 끓는 물에 3-10분간 담궈 살균하는 과정과, 살균된 혼합물을 분쇄기에 넣고, 혼합물과 1:1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분쇄기에 부은 다음 젤리화될 때 까지 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를 만드는 제2단계; 살구씨에 함유된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살구씨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살균건조기에서 말린 다음 분쇄하여 살구씨가루를 만드는 제3단계; 가지 껍질을 벗긴 상태로 식물성 글리세린에 담궈 30일 이상 숙성시켜 안토시안이 추출된 추출물을 만드는 제4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만들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 8-10중량%, 살구씨 가루 20-25중량%, 가지 추출물 10-12중량%, 및 나머지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저분자 콜라겐 젤리를 혼합한 후 30-60분간 교반하여 일정 점성을 갖도록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SSAGE PACK USING COLLAGEN PROTEIN EXTRACTED OUT OF PORK RINDS}
본 발명은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율이 높아 피부 진정 및 미백, 보습, 색소 침착, 피부 재생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체세포의 돌연변이설, 유전자복제 중 에러발생설, 유전자 프로그램설, 자유라디칼설, 자가면역반응설, 독성물질 축적설, 진피구성 단백질의 변형설 등(M.Rieger, C&T, 110, 94, 1994) 여러가지 이론이 있다. 상기 이론들은 모두 피부노화에 관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자유라디칼설이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부노화의 결과 최종적으로 피부외관에 주름형성, 피부탄력 저하, 노인성 반점 형성 등이 발생하며, 이중 주름형성이 가장 대표적이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 물질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내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도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피부노화와 관련 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예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은 자외선 조사 또는 호흡 과정에서 발생되어 다단계의 연쇄 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때,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하이드(aldehyde), 에폭사이드(epoxide) 등의 다양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들의 독성은 암, 조직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Black HS, Photochem photobiol, 46(2), 213, 1987).
또한, 세포를 구성하는 막 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lysosome) 효소의 누출, 막 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 가교결합(covalent crosslinking)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및 돌연변이 등을 유발하며, 이들 반응 중 피부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요인들이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피부 주름을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았으며, 따라서 주름형성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다만, 피부 주름의 경우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 및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네이즈의 발현량과 활성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또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해 65% 정도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 1989).
이와 같은 연구들로부터, 피부 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상처치유의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아울러,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를 얻기 위해 화장료 조성물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기술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화장료 조성물에 고분자의 콜라겐을 함유시켜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어 본질적인 피부기능 개선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는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TGF(trans- forming growth factor, 발암증식인자;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레티노인산의 경우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경피 흡수가 우수하고 생체에 안전하며 실질적으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콜라겐의 이용 및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실용 제2012-0000302호, 등록특허 제0849020호, 등록특허 제0825085호 등에는 침투력과 보습력을 높인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친화적이면서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사용 후 분해가 용이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피부트러블이 없으며, 보습, 신속한 침투성, 항노화 및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사용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천연 마사지팩에 대한 갈증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전반적인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화장료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미(美)에 대한 욕구 또한 증진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보습과 영양공급, 피부미화 차원을 넘어서 피부주름 형성완화 및 개선,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효과, 공해물질에 대한 방어 등의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고, 실제 이러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출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중 보습이나, 주름방지 또는 미백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제형들로는 스킨, 로션, 크림 등의 전형적인 스킨케어 제품군과, 색채부여에 의한 피부미화나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결점 커버를 위한 메이크업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액상성분을 다량 함유한 파우더 제형의 경우 비표면적이 80㎡/g이상인 소수화 실리카, 불소화합물 표면처리 파우더, 유성성분 및 수성성분(30-90%)으로 구성되는 일본특허 특개평 6-1661과 특개평 5-65212의 화장료 조성물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특허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위 무정형 실리카를 이용하여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파우더 표면이 너무 친수상태이면 파우더 제형이 잘 구성되지 않으므로, 실리콘 및 불소화합물로 적당량 소수화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형들은 파우더의 혼합이 균일하지 않은 상태에서 액상성분이 투입되는 경우 또는 혼합시 혼합기의 혼합속도가 적절하지 못한 경우에 파우더 제형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단점과 사용시 뭉침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고, 특히 레티놀 및 그 유도체 등과 같은 활성물질을 혼용하기가 어려우며 역가 및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는 피부주름개선제로서의 레티노이드(Retinoid)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면서 각광받기 시작한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에스테르의 일종인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의 물질들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형상의 약점을 극복하고 이들을 안정화시키고자 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유용성 산화제인 BHT[2,6 bis(1,1-dimethylethyl)-4-methoxyphenol], dl-α-토코페롤과 킬레이트제인 EDTA를 사용하여 레티노익 애씨드를 함유시켜 안정화시킨 수중유(O/W)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3,906,108), 유용성산화제인 토코페롤과, 구연산을 사용하여 레티놀을 안정화시킨 수중유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4,247,547), 유용성 산화제인 BHT, BHA(buthylated hydroxyanisole)를 사용하여 레티놀,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함유시켜 안정화시킨 유중수(W/O)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4,826,828), 레티놀을 항산화제인 BHA, 아스코르빅 애씨드, 토코페릴리놀레에이트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유중수형의 유화제형에 대한 특허(미국특허 4,720,353), 레티노이드의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종류 이상의 수용성 항산화제, 한 종류 이상의 유용성 항산화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시킨 수중유형 유화조성물에 대한 특허(유럽특허 0440398), 및 레티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으로서 킬레이트제와 유용성 항산화제, 킬레이트제와 수용성 항산화제, 유화물의 유상과 수상에 동시에 존재하는 항산화제 및 자유염기형의 이미다졸을 함유시킨 수중유형의 유화조성물에 대한 특허(유럽특허 1568106)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도들은 각각의 장단점들을 가지고 있으나, 레티놀과 그의 유도체들이 원래 워낙 불안정함으로 인해 완전하게 안정시키지 못하거나, 제조시 질소와 같은 특수설비 또는 특수 기밀용기 등이 요구되어지는 등의 공통적인 약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에, 국내 등록특허 제0829719호, 등록특허 제0866609호, 등록특허 제0825450호 등에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들이 경주된 바 있으나, 이들 개시 기술들이 추구하는 목적인, 피부트러블을 극소화시키면서 주름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들, 즉 조성들이 식물들과 같은 천연물질들로부터 추출된 것들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조합된 합성물질들이어서 피부트러블을 극소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돼지껍데기에 함유된 풍부한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고, 여기에 무기질이 많이 함유된 백강잠, 토사자, 가지, 행인(살구씨) 등을 분쇄 혼합하여 천연물질들로 이루어진 보습, 미백, 피부재생, 항암 작용을 보강하고, 피부 침투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시 끈적거림이 적어 소비자 취향에 합당하고, 사용 후에는 자연분해되기 때문에 환경오염도 방지하는 새로운 개념의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불필요한 부분인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증솥에 넣고 1-2시간 푹 삶아 멸균처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얻어진 돼지껍데기를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월계수잎ㆍ감초ㆍ모과와 함께 증솥에 넣고 다시 1-2시간 동안 푹 삶아 젤라틴화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통해 얻어진 젤라틴화 된 돼지껍데기를 중성처리한 후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 및 트립신, 펩티다아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분쇄기로 분쇄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 젤리형태로 만드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돼지껍데기에서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는 제1단계; 백강잠의 점성을 제거하기 위해 백강잠을 쌀뜨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최소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점성이 제거된 것을 확인한 다음 깨끗이 씻은 상태로 준비하고, 준비된 토사자와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과정과, 혼합된 혼합물을 끓는 물에 3-10분간 담궈 살균하는 과정과, 살균된 혼합물을 분쇄기에 넣고, 혼합물과 1:1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분쇄기에 부은 다음 젤리화될 때 까지 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를 만드는 제2단계; 살구씨에 함유된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살구씨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살균건조기에서 말린 다음 분쇄하여 살구씨가루를 만드는 제3단계; 가지 껍질을 벗긴 상태로 식물성 글리세린에 담궈 30일 이상 숙성시켜 안토시안이 추출된 추출물을 만드는 제4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만들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 8-10중량%, 살구씨 가루 20-25중량%, 가지 추출물 10-12중량%, 및 나머지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저분자 콜라겐 젤리를 혼합한 후 30-60분간 교반하여 일정 점성을 갖도록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히알루론산이 2-4중량부 더 첨가되어, 피부의 진피에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과 엘라스틴 섬유의 그물망 구조로 팩이 될 때 그물망 사이 사이에 채워져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식물성 오일이 1-2중량부 더 첨가되는데, 상기 식물성 오일은 이러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호호바오일 중 하나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항산화제가 0.4-0.8중량부 더 첨가되는데,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와 비에이치티가 각각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식물로부터 추출된 생체친화형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트러블이 거의 없고,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함은 물론 수분증발을 차단하고 보습성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 및 피부 탄력이 향상되어 주름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피막형성과 보습 및 피부보호를 통한 미백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돼지껍데기가 콜라겐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였다.
하지만, 돼지껍데기에는 콜라겐단백질 외에도 지방 및 불순물이 과량 함유되어 있고, 또 유해균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 가공만으로 콜라겐단백질만을 추출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돼지껍데기로부터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지 못하고, 주로 인공적인 합성을 통해 얻을 것들을 사용함으로서 피부 부작용,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백강잠, 즉 누에고치 가루가 풍부한 단백질과 동시에 필수아미노산,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에 주목하였고, 최근에는 이러한 백강잠의 함유 성분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에 미백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백강잠에 포함된 데옥시노지리마이신은 혈당 조절에 탁월한 효능이 있어 당료 개선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약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아스파틱산은 혈관을 회복시키면서 콜레스테롤도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동맥경화를 개선하는데도 탁월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다만, 백강잠은 수분과 과량 접촉하게 되면 변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단백질을 천연 상태로 추출할 수 있는 돼지껍데기와 상보적 관계를 유지하여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엘라스틴 섬유로 백강잠을 감싸는 형태로 혼합 가공되게 하여 수분과의 과량 접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개별적 구성들 고유의 특성들을 발현하면서 상호 보완적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본 발명자들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토사자가 갖는 효능 중 색소 침착과 기미, 주근깨 방지 효과에 주목하였다.
토사자는 알려진 바와 같이, 새삼의 씨앗을 말하는데, 보통 신장기능과 눈을 밝게 해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토사자는 옛날 허리가 부러진 토끼가 새삼 열매를 먹고 허리를 고쳤다고 하여 유래된 용어로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니켈, 라듐, 철, 아연, 망간, 구리 등의 광물질과 함께 비타민 B1,B2, 비타민 A, 배당체, 효소 등이 포함되어 숙성시킨 후 추출된 액을 마시거나 얼굴 등 신체에 바를 경우 땀띠, 여드름, 주근깨를 개선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신장기능을 강화하고 촉진하여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불순물을 쉽고 빠르게 배출하기 때문에 피부 탄력도 유지하면서 피부 트러블을 줄여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토자사의 효능에 착안하여, 콜라겐단백질과 백강잠에 의한 피부트러블을 극소화시키면서 침착 특성을 높이고, 피부 침투를 빠르게 하여 미백효과, 보습효과, 노화방지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첨가 혼합하여 본 발명 마사지팩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살구씨(행인)을 포함한다.
살구씨는 함유된 다량의 지방유가 피부를 하얗게 하는 미백효과가 뛰어나고, 비타민 A,C 및 베타카로닌이 함유되어 있어 항노화 작용과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살구씨에는 아미그다린(비타민 B17)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이 아미그다린은 청산배당체로서 열을 가해 태우면 가스로 피부모공을 뚫고 들어가 정상세포에는 영양분을 공급해주고 비정상세포는 공격함으로써 살균과 진통, 독소배출에 탁월하다.
아미그다린(amygdalin)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벤찰테히드가 체내에서 확산하여 건강한 세포에 접촉하며 산화되어 무해한 안식향산으로 변한다. 이 안식향산은 항류마티스, 살균, 진통 등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특히 진통작용은 커서 말기의 암에 동반되는 강력한 통증을 억제할 수 있을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염, 진통, 진정 기능을 강화시키면서 피부 트러블을 없애고, 팩을 했을 때 청량감과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살구씨를 포함한다.
하지만, 살구씨에는 독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살구씨의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순수 천연물질인 가지로부터 추출된 안토시안을 혼, 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통상, 안토시안은 가을 단풍을 유발하는 일종의 수용성 색소지만,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살구씨의 독소 해소에 매우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살구씨와 안토시안의 혼, 배합이 필요한데, 천연팩 구성을 위해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하던 중 가지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과, 백강잠, 토사자, 살구씨를 기본 성분으로 하고, 이를 특수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천연 마사지팩을 제조할 수 있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마사지팩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이 더 첨가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며,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는데,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진피에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과 엘라스틴 섬유의 그물망 구조로 팩이 될 때 그물망 사이 사이에 채워져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히알루론산이 첨가된다.
이때, 히알루론산은 상술한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2-4중량부 더 첨가될 수 있는데, 2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4중량부를 초과하면 콜라겐의 효능을 저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첨가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으로 올라온 수분이 증발되면서 건조화를 초래하고, 습윤 상태를 나쁘게 하여 각질을 유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올리브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호호바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성 오일은 보습력, 미백, 주름살 완화에 기여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혼합양이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1-2중량부 범위로 내 첨가되어야 한다. 만약, 적게 첨가되면 보습력이 떨어지고 더 많이 첨가되면 유화를 방해하므로 상기 범위가 적당하다.
또한, 활성산소를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자외선 차단 효과과 함께 손상된 세포를 재생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 화장품을 장기간 진열하거나 사용할 때 유성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부 기능도 수행하는 항산화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와 비에이치티가 각각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0.4-0.8중량부의 범위로 더 첨가할 수 있다.
항산화제를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항산화제가 0.4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활성산소 억제 기능이 떨어지고, 0.8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들의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돼지껍데기로부터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는 제1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1단계는 본 발명에서 필요로 하는 천연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멸균하는 제1과정과, 젤라틴화 하는 제2과정과, 젤리화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멸균하는 제1과정은,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불필요한 부분인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증솥에 넣고 1-2시간 푹 삶아 멸균처리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된 상태로 멸균되게 된다.
이어, 젤라틴화 하는 제2과정이 수행되는데,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얻어진 돼지껍데기를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월계수잎, 감초, 모과와 함께 증솥에 넣고 다시 1-2시간 동안 푹 삶아 젤라틴화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월계수잎은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모과는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독성을 없애며, 감초는 당류로서 돼지껍데기의 젤라틴화를 촉진한다.
이후, 젤리화하는 제3과정이 수행되는데,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제2과정을 통해 얻어진 젤라틴화 된 돼지껍데기를 중성처리한 후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 및 트립신, 펩티다아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분쇄기로 분쇄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 젤리형태로 만드는 과정이다.
이 경우,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되는 콜라겐단백질이 인장강도가 강해 잘 분해되지 않으므로 피부 흡수율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여 흡수성을 높이도록 분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트립신과 펩티다아제는 콜라겐을 저분자화시켜 피부 흡수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때,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는 제2과정을 거쳐 중성화된 돼지껍데기 젤라틴 100중량부에 대해 10-15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첨가되어야 분해 효율이 가장 우수하고, 상기 트립신과 펩티다아제는 중성화된 돼지껍데기 젤라틴 100중량부에 대해 1-3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어야 하는데, 3중량부를 넘게 되면 콜라겐 자체의 과분해가 이루어져 팩 기능을 저해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첨가된 상태에서 저분자화를 위한 가공에 활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1단계가 완료되면, 백강잠 토사자 젤리를 만드는 제2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2단계는 백강잠과 토사자를 혼합하는 과정, 혼합물을 살균하는 과정, 살균된 백강잠 토사자 혼합물을 젤리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혼합 과정은 먼저, 백강잠의 점성을 제거하기 위해 백강잠을 쌀뜨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최소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점성이 제거된 것을 확인한 다음 깨끗이 씻은 상태로 준비하고, 준비된 토사자와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과정이다.
또한, 살균 과정은 혼합된 혼합물을 끓는 물에 3-10분간 담궈 살균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젤리화 과정은 이렇게 혼합된 혼합물을 분쇄기에 넣고, 혼합물과 1:1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분쇄기에 부은 다음 젤리화될 때 까지 충분히 분쇄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백강잠 토사자 젤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후, 살구씨를 가공하는 제3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3단계는 살구씨에 함유된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살구씨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살균건조기에서 말린 다음 분쇄하여 살구씨가루를 만드는 단계이다.
그런 다음, 가지 추출물을 만드는 제4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4단계는 가지 껍질을 벗긴 상태로 식물성 글리세린에 담궈 30일 이상 숙성시켜 안토시안이 추출된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이다.
이때, 가지는 껍질을 벗기기 전에 미리 끓는 물에 3-5분간 담궈 살균하도록 해야 하며, 추출물은 가지를 망체로 걸러 액체만 남긴 물질이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준비물들을 혼합하여 마사지팩을 만드는 제5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제5단계는, 백강잠 토사자 젤리 8-10중량%, 살구씨 가루 20-25중량%, 가지 추출물 10-12중량%, 및 나머지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저분자 콜라겐 젤리가 되도록 혼합하고, 30-60분간 교반하여 팩에 적당한 점성을 갖는 물질로 만드는 단계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갖는 천연 마사지팩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천연 마사지팩의 주름개선 효과와 피부안정성 및 미백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한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발명예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를 위해 본 발명 범주를 벗어난 비교예를 포함하였으며, 종래예는 일반 마사지팩으로서 당연히 주름 개선이나 미백 개선 효과가 없는 것이다.
구분 발명예1 발명예2 비교예
저분자 콜라겐젤리 62 53 -
돼지껍데기 젤라틴 - - 30
토사자 8 10 25
살구씨 20 25 25
가지 추출액 10 12 -
지방유 - - 20
여기에서, 상기 표 1에 조성된 성분비는 모두 중량%이다.
상기 표 1과 같이, 발명예 1,2는 천연 식물성분이 다량 함유된 마사지팩으로서 본 발명 범주 내에서 조절하였고, 비교예는 저분자 콜라겐젤리가 아니라 이미 종래기술에서 공개실용 제2012-0000302호에 개시된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고분자 젤라틴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가지 추출액 대신 지방유를 이용하여 팩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조성에 따른 발명예 1,2와 비교예 및 종래예가 주름 개선효과 및 피부 미백효과를 갖는지, 그리고 팩을 했을 때 청량감과 끈적임 등에 의한 사용상 불편함이나 이물감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40대 여성 10명과 50대 여성 1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로 하여금 1일 3회씩 상기 발명예1,2와 비교예 및 종래예 샘플을 눈주위에 바르고, 샘플들이 발라진 눈가주름을 측정부위로 선정한 후 2개월간 실시하였다.
이때, 40대 여성 5명과 50대 여성 5명에게는 발명예1과 비교예 샘플을 각각 지급하여 각각 한 쪽 눈가에는 발명예1을 다른 쪽 눈가에는 비교예를 바르게 하고, 나머지 각 5명씩 10명에게도 발명예2와 비교예를 동일한 방식으로 2개월간 바르게 하였다.
그런 다음, 분석의 비교기준을 위해 눈가 주름의 주형(Replica)을 3차원 영상분석법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전 20명 모두의 주형을 촬상하여 기준 영상을 저장하고, 2개월 경과 후 20명 모두의 주형을 다시 촬상한 후 3차원 영상분석법을 통해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마이크로단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3차원 영상분석법은 머신 비젼 알고리즘(Machine Vision Algorism)을 통해 주형의 명암 패턴, 즉 들어가고 나온 부분을 3차원 영상으로 획득한 후 그 높이차를 마이크로단위까지 측정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공지의 분석방법이다.
분석 결과, 주름 깊이의 감소율이 실시 전,후 기준 영상 대비 10% 이상 발생된 경우가 발명예 1의 경우 8명, 발명예 2의 경우 7명이었고, 5% 이상 발생된 경우가 발명예 1의 경우 2명, 발명예 2의 경우 각각 3명이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주름 깊이의 감소율이 크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2% 이상이 3명, 나머지는 모두 1% 미만이었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마사지팩이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트러블(피부자극)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통해 마사지팩의 안정성을 테스트하였다.
이때, 시험대상은 앞서 설명한 시험군 20명을 주름 개선 시험시 동시에 함께 테스트 하였으며, 각 샘플을 피부에 첩포한 후 24시간이 지난 다음 첩포 부위의 피부자극 정도를 관능시험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피부자극이 전혀 없는 경우를 0, 심한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관능값의 평균을 기재하였는 바, 그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시험항목 발명예1 발명예2 비교예
피부자극 0.3 0.4 2.4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명예 1,2의 마사지팩은 피부자극이 극히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시험군 20명 중 특히 피부가 검은 5명을 따로 선발한 후 3명은 한 쪽 팔에는 발명예 1과 비교예를 각각 한 부위씩 일정크기로 떨어져 바르고, 다른 2명의 한 쪽 팔에는 발명예 2와 비교예를 동일한 형태로 발라 2개월간 유지하였다.
이때, 샘플을 바르기 전에 시험군 팔의 해당 부위를 미리 카메라로 촬상하여 기준 영상을 획득하고, 2개월 후 동일 부위를 재 촬상하여 비교 영상을 획득한 다음 영상분석법을 통해 피부색을 분석하여 기준 영상과 비교 영상을 대조하였다.
대조 결과, 발명예 1,2을 바른 부위는 5명 모두 피부색이 옅어졌음을 확인하였으나, 비교예의 경우에는 피부색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약간 더 검어졌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마사지팩 사용시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피부 진정 작용 및 소염 작용에 의해 발명예1,2 사용시 청량감과 시원함을 느꼈다고 설문 조사되었는 바, 총 20명 중 18명이 그렇다고 답변하였고, 나머지 2명은 잘 모르겠다고 답변했으며, 비교예에 대해서는 20명 모두 끈적임이 심하고 불쾌하다고 답변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마사지팩이 천연 화장품의 일종으로 사용하여도 손색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돼지껍데기에 포함된 불필요한 부분인 지방과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증솥에 넣고 1-2시간 푹 삶아 멸균처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을 통해 얻어진 돼지껍데기를 정제수로 세척한 다음 월계수잎ㆍ감초ㆍ모과와 함께 증솥에 넣고 다시 1-2시간 동안 푹 삶아 젤라틴화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통해 얻어진 젤라틴화 된 돼지껍데기를 중성처리한 후 단백질 분해 곡물효소 및 트립신, 펩티다아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분쇄기로 분쇄하여 저분자화된 콜라겐 젤리형태로 만드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돼지껍데기에서 콜라겐단백질을 추출하는 제1단계;
    백강잠의 점성을 제거하기 위해 백강잠을 쌀뜨물에 완전히 잠긴 상태로 최소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점성이 제거된 것을 확인한 다음 깨끗이 씻은 상태로 준비하고, 준비된 토사자와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과정과, 혼합된 혼합물을 끓는 물에 3-10분간 담궈 살균하는 과정과, 살균된 혼합물을 분쇄기에 넣고, 혼합물과 1:1의 중량비로 정제수를 분쇄기에 부은 다음 젤리화될 때 까지 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를 만드는 제2단계;
    살구씨에 함유된 독소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살구씨를 깨끗이 세척한 다음 살균건조기에서 말린 다음 분쇄하여 살구씨가루를 만드는 제3단계;
    가지 껍질을 벗긴 상태로 식물성 글리세린에 담궈 30일 이상 숙성시켜 안토시안이 추출된 추출물을 만드는 제4단계;
    상기 각 단계에서 만들어진 백강잠 토사자 젤리 8-10중량%, 살구씨 가루 20-25중량%, 가지 추출물 10-12중량%, 및 나머지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저분자 콜라겐 젤리를 혼합한 후 30-60분간 교반하여 일정 점성을 갖도록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히알루론산이 2-4중량부 더 첨가되어, 피부의 진피에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과 엘라스틴 섬유의 그물망 구조로 팩이 될 때 그물망 사이 사이에 채워져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식물성 오일이 1-2중량부 더 첨가되는데, 상기 식물성 오일은 이러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호호바오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조성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항산화제가 0.4-0.8중량부 더 첨가되는데,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와 비에이치티가 각각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KR1020120098626A 2012-09-06 2012-09-06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KR10145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26A KR101457068B1 (ko) 2012-09-06 2012-09-06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626A KR101457068B1 (ko) 2012-09-06 2012-09-06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41A true KR20140032141A (ko) 2014-03-14
KR101457068B1 KR101457068B1 (ko) 2014-10-31

Family

ID=5064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626A KR101457068B1 (ko) 2012-09-06 2012-09-06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4A (ko) * 2019-07-05 2021-01-13 (주)나노스토리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KR20210155197A (ko) *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 유착능이 우수한 피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6194A1 (en) * 2003-11-18 2005-05-19 Mary Kay Inc. Compositions for achieving benefits in skin using key cellular metabolic intermediates
KR100849020B1 (ko) 2007-04-02 2008-07-29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가수분해 콜라겐 펩타이드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9471B1 (ko) * 2008-07-22 2011-08-2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0302U (ko) * 2011-12-23 2012-01-10 이석훈 돼지껍데기와 미강을 가공 합성하여 피부미용을 도모하는 천연 마사지팩 조성물 및 제조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4A (ko) * 2019-07-05 2021-01-13 (주)나노스토리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KR20210155197A (ko) *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골 유착능이 우수한 피크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068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16B1 (ko) 주름·미백 기능을 포함한 다중기능성 마스크용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EP066807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lant extracellular matrix extract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CN107828841A (zh) 一种胶原蛋白及胶原多肽的提取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JP2011516585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737446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8434443A (zh) 一种美白抗氧化组合物及其用途
KR101810226B1 (ko) 연어 유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888539A (zh) 有机护肤基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及有机化妆品
KR100837879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7386A (ko) 달팽이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CN109528536A (zh) 一种含有胆碱鞣花酸盐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457068B1 (ko) 돼지껍데기로부터 추출된 콜라겐단백질을 이용한 천연 마사지팩 제조방법
KR101639578B1 (ko)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137874A (ja) ビタミンC(Ascorbicacid)を含有するレシチン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9328A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23502305A (ja) 化粧品のための、天然機能性成分を有する天然ポリマーで作製されたナノファイバーマトリックス
KR100429590B1 (ko)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310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002891B1 (ko) 삼색도장버섯 추출물 및 삼색도장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14903B1 (ko) 약용식물 복합추출액 함유 노화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831756B1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가 피부용 패치
JP2002370960A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