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282A -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282A
KR20140031282A KR1020137031850A KR20137031850A KR20140031282A KR 20140031282 A KR20140031282 A KR 20140031282A KR 1020137031850 A KR1020137031850 A KR 1020137031850A KR 20137031850 A KR20137031850 A KR 20137031850A KR 20140031282 A KR20140031282 A KR 2014003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ssembly
textile material
conductor strands
zon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프레드 베르뮐런
잔 반 틸버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3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Parallel wires, incorporated in a fab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뿐만 아니라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축성 있는 지지대(3)가 도체 스트랜드들(2)이 집적된 텍스타일 소재(4)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제조하기 쉬운 신축성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달성된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은 쉬우며, 텍스타일 소재(4)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미리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적어도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집적하는 단계, 및 텍스타일 소재(4)를 케이블 어셈블리(1)의 조립된 상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재료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CABLE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SUPPORT MADE FROM A TEXTILE MATERIAL}
본 발명은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도전성 스트랜드들/도체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 미리 정해진 도전성 패턴으로 적어도 2개의 도전성 스트랜드들/도체들을 고정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데이터 또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들에는 연선(stranded wire)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케이블 하네스(harness)들로서 제조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며 까다로운 일이다. 레이아웃 보드들과 같은 특수 공구들이 개발되어, 각각의 개별 하네스에 대해 만들어져야 한다. 개별 전선들이 래핑(wrapping)이나 코팅에 의해 함께 유지되어야 하며, 이 또한 시간 소모적이고 조작자에 민감한 동작이다. 래핑은 또한 케이블에 강도(stiffness)를 부가하여, 케이블을 덜 신축성 있게 한다. 이런 이유로, 케이블들의 공사는 비용, 재료 및 노동 집약적이다.
종래의 제조 방법들은 도체들에 대한 도안 및 압출 장비, 차폐용 테이핑 장비, 브레이드(braid)용 브레이딩 장비 및 외피용 압출 장비와 같이, 서로 다른 프로세스 단계들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부설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은 특정 재료 특성들을 필요로 하며,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재료들의 범위는 제한적이다.
상기의 내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하기 쉬운 신축성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쉽고 매우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케이블 어셈블리는 신축성 있는 지지대가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이 집적되는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매우 신축성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선된 신축성에 기여하는 상당한 수의 텍스타일 소재들이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 적어도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을 고정하는 단계,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을 미리 정해진 도체 패턴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텍스타일 소재를 케이블 어셈블리로 성형하는 단계에 의해 이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타일 소재는 섬유들의 망으로 구성된 신축성 있는 재료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제멋대로 결합될 수 있는 다른 천연 및 합성 섬유들은 생성될 케이블 어셈블리의 기능을 보증하는데 필수적인 특성들을 갖는 신축성 있는 지지대가 선택되게 한다. 또한, 천연 소재들이며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많은 텍스타일 소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들은 원하는 대로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각자에게 유리한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더 개선될 수 있다.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을 텍스타일 소재로 집적하기 위해,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은 텍스타일 소재로 직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을 텍스타일 소재로 직조함으로써,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이 의도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도체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은 정해진 도체 패턴으로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 고정될 수 있어, 예를 들어 플랫 타입 케이블의 케이블 하네스들 또는 심지어 "PCB"형 케이블 하네스들의 용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여기서 개별 도전성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은 스트랜드들 또는 도체들을 각각의 단부에 있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커넥터들에서 또는 전기 디바이스에서 종결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이어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의도된 목적을 위해 설계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상당한 다목적성에 기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병렬 쌍들의 쉬운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타일 소재로 나란히 정렬되는 케이블 쌍을 형성하는 2개의 도전성 스트랜드들로 도체 패턴이 구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매우 신축성 있고 거의 무한한 수의 병렬 전선들로 생성될 수 있는 플랫 타입 케이블의 제조는 일 실시예에서 쉽게 수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 도체 패턴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다수의 도체 스트랜드들로 구성된다. 신축성 있는 텍스타일 소재를 구성하는 섬유 소재는 일반적으로 매우 얇기 때문에, 평행한 도체 스트랜드들은 매우 가까운 거리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 매우 작고 울트라-플랫 타입인 케이블 하네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체 스트랜드들을 미리 결정된 도체 패턴으로 정렬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무한정 다양한 패턴의 자동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자카드(Jacquard) 직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체 스트랜드들을 직조된 어셈블리로 패턴화하는 것은 또한 다른 기술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케이블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레이저 절단을 사용하여 절단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로 쉽게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도체들의 끝부분들은 필요에 따라 절단될 수 있다. 텍스타일 지지대 소재의 전체 폭을 사용하고 다수의 미리 정해진 케이블 패턴들을 나란히 직조한 다음, 개별 패턴들을 분리하기 위해 텍스타일 소재를 세로 방향으로 절단함으로써 생성 방법이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로써, 생성되는 낭비량이 감소될 수 있다.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은 미리 정해진 도체 패턴으로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 정렬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또한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을 구조화할 필요 없이 도체 스트랜드들의 종결을 용이하게 한다. 도체 스트랜드들을 패턴화함으로써, 스트랜드들 각각이 원하는 위치에서 텍스타일 지지대 소재에 들어가고 나갈 수 있어, 스트랜드들의 종결의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트랜드들은 패브릭 밖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콘택으로 쉽게 크림프(crimp)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의 플랫 설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스트랜드들과 쉽게 전기 접속될 수 있는, 절연 변위 커넥터들과 같은 피어싱(piercing) 타입들의 커넥터들을 사용하여 종결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타일 소재는 직물일 수 있는데, 이는 단순하고 잘 설정된 방법이며 서로 다른 섬유 소재들의 임의의 결합이 직물로 결합되게 한다. 대안으로, 부직포가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위한 텍스타일 소재로서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이점은 지지대의 특성들이 케이블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도체 스트랜드들의 의도된 용도를 위해 구체적으로 선택되고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소재의 다목적성이다. 예를 들어, 로봇들과 같이 많은 움직임들이 있는 환경들에서 사용되는 동적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들은 매우 신축성 있으면서도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텍스타일 소재를 신축성 있는 지지대로서 사용함으로써, 케블러(Kevlar)나 노멕스(Nomex) 같은 아라미드 섬유들과 같이 특정하며 매우 강하고 저항력 있는 섬유들을 사용하여 동적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여전히 매우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텍스타일 소재는 대응하는 직조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광섬유 도체들이 갖는 한 가지 문제점은 유리 섬유들의 열 특성들이 케이블들이나 신축성 있는 광학 포일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열 특성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이러한 재료들이 수축하기 시작할 때, 유리 섬유는 수축하지 않거나 보다 적게 수축하므로 섬유가 케이블 밖으로 "자라나" 커넥터 내부에 미세 굴곡(micro-bend)을 초래하며, 이는 데이터 전송시 손실들로 이어진다. 광섬유를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로 직조함으로써, 텍스타일 소재들의 섬유들이 광학 유리 섬유들의 열 특성들과 매치하도록 선택될 수 있어, 미세 굴곡 형성 문제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케이블 어셈블리로의 광섬유와 전기선들의 결합을 위해 하이브리드 타입의 패턴들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체 스트랜드들 중 적어도 2개가 전기선과 광섬유 중에서 개별적으로 선택된다. 심지어 서로 다른 타입들의 섬유들, 다중 모드 또는 단일 모드 및 도체 재료들, 크기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로, 텍스타일 소재의 패브릭은 면, 대마, 황마, 아마, 모시, 사이잘, 동물성 섬유들, 광물 섬유들, 레이온, 모달(modal), 리오셀 섬유들, 셀룰로오스 섬유들, 실리카 섬유들, 나일론과 같은 폴리머 섬유들, 아라미드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타일이 원하는 특성들을 갖는 섬유로 형성될 수 있는 한, 패브릭의 재료는 이러한 리스트의 가능한 재료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재료 또는 특정 섬유 소재들의 결합의 사용은 텍스타일 소재의 기능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텍스타일 소재는 하기에서는 구역들로 불리는 정해진 영역들에 케이블 어셈블리의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신축성 있는 지지대는 안정화 구역 바깥쪽의 지지대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갖는 안정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개선된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케블러 또는 노멕스와 같은 아라미드 섬유들처럼 매우 저항력 있고 강한 섬유들을 추가함으로써 안정화 구역이 제조될 수 있다. 안정화 구역은 예를 들어, 신축성 있는 지지대에서 도체 스트랜드들이 정렬되는 해당 영역 또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보호부를 제공하는, 바깥쪽에 노출된 영역들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로봇 공학과 같은 동적 애플리케이션들에 특히 적합한 경량이고 상당히 내구성 있으며 극도로 신축성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신축성 있는 지지대는 전자기 차폐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차폐 구역에서, 텍스타일 소재는 도전 특성들을 갖는다. 이는 차폐 구역에 도전성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는 쉽고 간단한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 구역은 차폐 구역을 구성할 텍스타일 소재의 해당 영역들에 금속 실들과 같은 도전성 섬유들을 추가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신축성 있는 지지대는 전기 절연 외피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외피 구역에서, 텍스타일 소재는 나일론이나 실리카와 같이 매우 우수한 전기 절연체들인 재료로 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다른 구역들이 하나, 예를 들어 안정화 및 외피 구역으로 결합될 수 있다.
텍스타일 소재의 위의 예시적인 기능화된 구역들 각각은 예를 들어, 도체 스트랜드들을 구역들에 직접 직조함으로써 도체 스트랜드들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에서, 도체 스트랜드들이 지지되는 텍스타일 소재 부분은 지지대 또는 지지 구역이라 한다.
대안으로, 텍스타일 소재는 또한 도체 스트랜드들이 없는, 예를 들어 도체 스트랜드들이 수용되는 영역에 인접한, 기능화된 구역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화된 구역들을 도체 스트랜드들과 상호 작용하게 하기 위해, 텍스타일 소재를 래핑 및/또는 폴딩(fold)함으로써 텍스타일 소재가 케이블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 구역들은 도체 스트랜드들이 지지되는 섹션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도체 스트랜드들이 정렬되는 지지 구역 상부 및/또는 아래에서 폴딩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어셈블리는 플랫 타입 케이블일 수 있는데, 이 케이블의 지지 구역에서는 다수의 도체 스트랜드들이 케이블 어셈블리의 세로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나란히 정렬된다. 폭 방향에서는, 다수의 평행한 도체 스트랜드들 중 각각의 바깥쪽 도체 스트랜드에 인접하게 차폐 구역이 설계된다.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을 차폐하기 위해, 도체 스트랜드들 각각이 차폐 구역으로 둘러싸여 외부로부터의 전자기 방사에 대해 차폐되도록, 차폐 구역 중 하나는 지지 구역 상부에서 폴딩되고 반대쪽의 다른 차폐 구역은 지지 구역 밑에서 폴딩된다. 대안으로, 차폐 구역은 지지 구역 한쪽에만 제공된 다음, 도체 스트랜드들의 패턴 둘레에 적어도 한번 래핑되거나 폴딩될 수 있다. 래핑 및/또는 폴딩된 구역들은 그 구역들이 늘어날 수 있도록 이러한 구역들에 탄력성을 제공하는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래핑을 개선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성형 단계는 텍스타일 소재의 차폐 구역을 래핑 및/또는 폴딩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을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폐 구역에서 텍스타일 소재는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에 도전성 섬유들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도체 스트랜드들이 쉽게 차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옆에 정렬되는 한 쌍의 도체 스트랜드들이 차폐 구역에 인접할 수 있고, 텍스타일 소재의 롤링(roll)시,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에 차폐 구역이 래핑되어, 차폐된 케이블 쌍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서, 성형하는 단계는 도체 스트랜드들 및/또는 도체 스트랜드들을 코팅하는 차폐 구역 둘레에 텍스타일 소재의 전기 절연 외피 구역을 래핑 및/또는 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타일 소재를 성형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에 텍스타일 소재를 폴딩 또는 래핑함으로써,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에 차폐 구역이 래핑 및/또는 폴딩되고 그리고/또는 도체 스트랜드들을 커버하는 차폐 구역 둘레에 외피 구역이 래핑 및/또는 폴딩되는, 추가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가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케이블 외피 내에 배치된 차폐된 커넥터 스트랜드들 및 절연된 외피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부 실질적으로 텍스타일 소재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 그리고 선택적으로 2개의 드레인 전선들을 갖는 지지 구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스트랜드들은 케이블 쌍들의 두 그룹들 사이에 2개의 드레인 전선들을 갖는 두 쌍의 도체 스트랜드들로 정렬된다.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과 드레인 전선들은 텍스타일 소재를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폭 방향에 대응하는, 완전히 폴딩하는 방향으로 롤링할 때, 드레인 전선들 각각이 실질적으로 케이블 쌍들 중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게 하는 거리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다. 더욱이, 지지 구역의 텍스타일 소재가 역시 차폐 구역으로서 제공된다면, 드레인 전선들과 함께 2개의 차폐된 평행한 도체 쌍들을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케이블 어셈블리의 추가 롤링시, 차폐된 케이블 쌍들과 드레인 전선들이 외부에 대해 전기 절연되고 외피 내에 배치되도록 두 번째 케이블 쌍 뒤에 외피 구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케이블이 막대한 부피들로 생성되도록 설계되어, 개별 생성 단계들에서 절단되고 벗겨지고 구조화되어 이후에 외피에 의해 차폐되고 오버몰드(overmold) 또는 커버되는 종래의 케이블 제조의 약점들을 본 발명이 극복함을 증명하는데, 이러한 단계들은 정해진 패턴의 도체 스트랜드들 및 기능화된 차폐 및/또는 외피 구역들을 포함하는 텍스타일 소재를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전부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어셈블리를 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이 방법은 성형된 텍스타일 소재를 조립 상태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단계는 래핑 및/또는 폴딩된 신축성 있는 지지대의 인접한 층들을 결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흔히 이용 가능한 기계들로 인접한 층들을 꿰매거나 클램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인접한 차폐 층들의 결합시, 바람직하게는 전기 도전 재료들이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결합 재료는 이 재료가 접속하는 텍스타일 층의 재료에 맞춰진다.
본 발명은 이후 유리한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로 예시적인 방식으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별 특징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도면들에서 생략될 수 있는 가능한 구성들일 뿐이다.
도 1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단면선 2-2를 따라 도 1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단면선 4-4를 따라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 표시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케이블 실시예의 잘라낸 단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8은 단면 묘사로서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4 실시예이다.
도 9는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를 텍스타일 소재로 래핑한 후 도 8에 따른 케이블 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0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조립된 상태의 도 10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2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 묘사이다.
도 13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조립된 상태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5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 묘사이다.
도 16은 조립된 상태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은 제 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9는 케이블 어셈블리의 성형 도중의 중간 스테이지에서, 그러나 조립 상태에 이르기 전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2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 사시도(도 1)로 그리고 단면도(도 2)로 보여준다. 케이블 어셈블리(1)는 텍스타일 소재(4)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집적된 다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1)는 상당히 신축성 있는 플랫 타입 리본 케이블 어셈블리(1)로서 설계된다. 도체 스트랜드들(4)을 케이블 어셈블리(1)의 소위 지지 구역(5)에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텍스타일 소재(4)의 직조 패턴으로 직조함으로써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이 텍스타일 소재(4)에 집적된다. 도체 스트랜드들(2)은 실질적으로 리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세로 방향(L)으로 이어진다. 지지 구역(5)은 텍스타일 소재(4)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이 집적되는 영역으로서 정해진다. 폭 방향(w)에서, 텍스타일 소재(4)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지지 구역(5)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다.
텍스타일 소재(4)는 섬유 또는 실 소재(6)로 구성된 직물이다. 도체 스트랜드들(2)은 섬유들(6)이 도체 스트랜드들(2) 사이에 끼워지는 식으로 텍스타일 소재(4)에 직조된다. 이러한 인터레이싱 구조는 텍스타일 소재(4)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의 집적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텍스타일 소재(2)는 2개의 서로 다른 섬유들, 즉 노멕스 또는 케블러 섬유와 같은 아라미드 섬유(7) 및 면 섬유(8)로 구성된다.
아라미드 섬유(7)의 사용은 텍스타일 소재를 강화하여, 극도로 얇은 매우 신축성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1)가 심지어 로봇 공학과 같은 동적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될 수 있도록 마모에 대해 높은 내구성 및 보호를 제공한다. 면은 환경 친화적인 소재이기 때문에, 면 섬유(8) 또는 다른 천연 섬유의 사용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은 납(10) 그리고 납(10)을 캡슐화하는 얇은 절연 코팅(11)으로 구성된 전기선들(9)이다. 도체 스트랜드들을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함으로써, 도체 스트랜드들(2)을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고정시키는 것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체 패턴(12)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은 리본 케이블의 전선들 스타일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서로 인접하게 정렬된다.
다음에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추가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이전 실시예의 엘리먼트들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조/기능을 갖는 엘리먼트들의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된다. 또한, 이전 실시예들에 대한 케이블 어셈블리(1)의 추가 실시예들과의 차이점들만이 설명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 사시도(도 3) 및 교차선 4-4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도 4)로 보여준다.
제 2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1)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세로 방향(L)을 따라 이어지는, 텍스타일 소재(4)의 지지 구역(5)으로 직조된 다수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갖는 제 1 실시예의 리본 케이블 어셈블리(1)에 주로 대응한다.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1 단부(13)에서,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은 제 2 실시예의 텍스타일 소재(4)를 구성하는 직물(4a) 밖으로 함께 보내진다. 제 1 단부(13)에서 결합된 스트랜드들은 함께 크림프되어 제 1 커넥터(14)에서 종결된다.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2 단부(15)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은 단순히 절연 변위 커넥터(16)의 날(blade) 부분(17)이 강제로 절연을 뚫게 하여, 그 절연의 전선을 접속 전에 벗겨낼 필요를 건너뜀으로써 다수의, 필요하다면 모든 케이블 스트랜드들을 한꺼번에 쉽게 종결할 수 있는 절연 변위 커넥터(16)와 같은 피어싱 타입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종결된다. 도체 스트랜드들(2)이 정렬되며 피어싱 타입의 커넥터들(16)에 쉽게 맞춰질 수 있는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인해, 도체 스트랜드들(2)의 종결이 용이해진다.
도 5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3 실시예를 투시 평면의 상면도로 도시한다. 케이블 어셈블리(1)는 리본 타입의 이전 실시예들처럼 신축성 있는 플랫 케이블로서 설계된다. 도체 스트랜드들(2)은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집적되며, 여기서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이어진다. 도 5의 도체 패턴(12)은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2)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이전 패턴들과는 다르다. 그보다는, 도체 스트랜드들(2)은 회로 보드의 단순한 배선 흐름을 닮은 더 복잡한 패턴으로 정렬된다. 이 패턴은 본 발명에 따른 훨씬 매우 복잡한 도체 패턴들(12)을 임의로 정렬하고 구축할 가능성들의 단순한 예를 제공한다. 자카드 직조와 같은 일반적인 직조 기술들을 사용하면, 도체 스트랜드들(2)의 훨씬 매우 복잡한 패턴들(12)이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쉽게 직조될 수 있다.
도 5는 더욱이, 충분한 폭을 가진 텍스타일 소재(4)에서 다수의 반복적인 또는 서로 다른 케이블 어셈블리 유닛들(1', 1", 1"')이 나란히 제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을 사용하여 개별 도체 스트랜드 서브유닛들(1', 1", 1"')을 단순히 잘라냄으로써, 개별 케이블 어셈블리 유닛들(1', 1", 1"')이 서로 분리되어 추가 처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커넥터들(15, 16)에서 종결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다수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함으로써 신축성 있는 지지대(3)의 텍스타일 소재(4)에 미리 정해진 도체 패턴(2)으로 다수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집적하는 단계, 및 케이블 어셈블리 유닛들(1', 1", 1"')을 잘라냄으로써 텍스타일 소재(4)를 케이블 어셈블리(1)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가 증명된다.
도 7은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이 텍스타일 소재(4)를 빠져나가는 위치에서 예시적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사진을 보여준다. 도 7에서, 텍스타일 소재(4)는, 지지 구역(5)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이 개별 섬유들(6)과 인터레이싱되는 직물(4a)임이 도 7에서 추가로 확인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4 실시예가 텍스타일 소재(4)를 성형하기 이전의 조립 전 상태(도 8)로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 도시된다.
도 8의 단면도에서는, 절연 코팅(11)으로 둘러싸인 납(9)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이 서로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세로 방향(L)으로 나란히 정렬됨이 확인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의 지지 구역(5)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은 단일 타입의 섬유 소재(6)만으로 구성된 텍스타일 소재(4)에 집적된다.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이 케이블 쌍(18)을 형성한다.
케이블 쌍(18)을 형성하는 도체 스트랜드들(2) 중 하나에 인접한 폭 방향(w)에서, 텍스타일 소재(4)는 케이블 쌍(18) 둘레를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래핑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쌍(18)을 캡슐화하기 위해 텍스타일 소재(4)가 적어도 한번 케이블 쌍 둘레에 래핑될 수 있는 정도까지 계속된다. 케이블 쌍(18)에 인접한 텍스타일 소재(4) 부분에서, 텍스타일 소재는 직물(4a)의 구조로 인터레이싱된 탄력성 있는 금속 실(20a)을 포함한다. 텍스타일 소재(4)의 이 섹션은 도전성 섬유들(20)인 금속 실들(20a)로 인해, 조립 상태의 케이블 쌍(2)을 외부로부터의 전자기 방사로부터 보호하는 전자기 차폐 구역(19)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전성 섬유들(20)은 더욱이, 케이블 쌍(18) 둘레의 차폐 구역을 단단히 래핑하여, 차폐 구역(19)을 도 9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탄력성을 차폐 구역에 제공하는 신축성 있는 섬유들(20a)이다. 차폐 구역(19)의 늘어나는 특성으로 인해, 도체와 차폐 간의 거리는 케이블 어셈블리(1)가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며, 이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임피던스에 대해 유리하다.
탄력성 있는 금속 실의 사용에 대한 대안은 차폐 구역(19)에 하나의 금속 섬유와 다른 탄력성 있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케이블 어셈블리(1)를 조립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5 실시예를 참조로 그리고 도 10과 도 11의 참조에 의해 다음에 제시된다.
제 5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1)는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1)에 대응하며 케이블 쌍(18)으로 구성되는데, 이 케이블 쌍(18)의 스트랜드들(2)은 서로 인접하게 텍스타일 소재(4)에 집적된다.
그러나 제 4 실시예와는 달리, 제 5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1)에는 차폐 구역(19)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보다,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텍스타일 소재(4)의 폭 방향(W)으로 케이블 쌍(19)의 양쪽 면들까지 연장하는 전기 절연 외피 구역(21)을 포함한다. 외피 구역(21) 내의 텍스타일 소재(4)는 외피 구역(21)이 도체 스트랜드들(2)을 둘러싸고 있을 때, 이들의 외부에 대한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전기 절연 섬유들을 포함한다. 케이블 쌍(18)을 텍스타일 소재(4)의 2개의 외피 구역들(21, 21')로 코팅하기 위해, 외피 구역들 중 하나(21)는 케이블 쌍(18) 위에서 케이블 어셈블리(1)의 높이 방향(H)으로 폴딩되는 한편, 다른 외피 구역(21')은 케이블 쌍(18) 아래에서 높이 방향(H)으로 폴딩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텍스타일 소재(4)를 성형함으로써, 즉 외피 구역들(21, 21')이 케이블 쌍(18) 위와 아래에 상부 층 및 하부 층으로서 배치되도록 텍스타일 소재(4)를 폴딩함으로써, 케이블 쌍(18)이 전기 절연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를 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신축성 있는 지지대의 인접한 층들, 즉 텍스타일 소재(4)의 상부 및 하부 층이 각각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피 구역들(21, 21')은 케이블 쌍(18)의 각각의 면에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L)으로 이어지는 심(seam)(22)으로 이들을 꿰맴으로써 결합된다.
텍스타일 소재(4)의 인접한 층들을 꿰매는 대신, 이들은 또한 스테이플 고정되거나 임의의 다른 결합 기술을 사용하여 조립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쌍(18)이 전기 절연 외피 구역(21)을 사용하여 완전히 덮이지만, 물론 동일한 폴딩 기술이 차폐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피 구역들(21, 21')은 전기 도전성 섬유 소재를 포함하는 차폐 구역들(19)로서 설계될 것이다. 차폐를 마감하기 위해, 전기 도전성 섬유 소재가 심(22)에 사용되어야 한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6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케이블 어셈블리(1)는 주로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의 케이블 어셈블리에 대응하며, 리본 케이블 어셈블리(1)로서 설계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2의 케이블 어셈블리(1)는 2개의 서로 다른 타입들의 도체 스트랜드들(2), 즉 개별 도체 스트랜드들(2)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인접하게 이어지는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정렬되는 광섬유들(23)뿐만 아니라 전기선들(9)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블 어셈블리(1)는 광 도체들(22)뿐만 아니라 전기선들(9) 또한 갖는 하이브리드 타입이다.
유리로 만들어진 광섬유들이 갖는 한 가지 문제점은 유리의 열 특성들이 케이블들이나 신축성 있는 광학 포일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이 수축하기 시작할 때, 광섬유(22)는 케이블 밖으로 "자라나" 미세 굴곡 및 그에 따른 추가적인 전송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라 도체 스트랜드들(2)로서 광섬유들(22)을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함으로써, 유리 섬유들의 열 특성과 매치하는 섬유 소재(6)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미세 굴곡들의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섬유들(22)과 유사한 열 특성들을 갖는 실리카 실들이 텍스타일 소재(4)의 실(6)로서 사용된다면, 미세 굴곡들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매우 강한 아라미드 섬유들(7)과 같은 다른 기능화된 섬유들이 추가되어 직물(4a)에 사용될 수 있어, 손상되기 쉬운 광섬유들(22)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7 실시예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며, 여기서 케이블 어셈블리(1)는 도 14에서 조립 상태로 도시된다.
도 14의 케이블 어셈블리(1)는 주로 제 5 실시예의 어셈블리(도 10과 도 11)에 대응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제 7 실시예에서는, 단일 케이블 쌍(18)뿐만 아니라 다수의 케이블 쌍들(18, 18', 18", 18"') 또한 지지 구역(5)의 직물(4)에 집적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도체 패턴(12)이 4개의 개별 케이블 쌍들(18)을 포함하도록 개별 케이블 쌍들(18, 18', 18", 18"')은 텍스타일 소재(4)의 폭(W)을 따라 서로 거리(D)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다. 제 5 실시예와 유사하게, 지지 구역(5)의 양쪽 면들에 2개의 외피 구역들(21, 21')이 제공되는데, 4개의 케이블 쌍들(18, 18', 18", 18"')을 코팅하기 위해 지지 구역(5) 위와 아래에서 외피 구역들(21, 21')이 폴딩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조립 상태가 도 14에 도시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케이블 어셈블리(1)에서는, 심들(22)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쌍들(18, 18', 18", 18"') 각각의 둘레에 외피를 형성한다. 이후에, 케이블 어셈블리(1)를 절단하고 이를 도 14에서 화살표들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점선들에서 서브유닛들로 분할함으로써 개별 케이블 쌍들이 분리된다. 이로써, 다수의 케이블 쌍들(18, 18', 18", 18"')이 방법을 사용하여 쉽고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해서는, 도 8에 도시된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의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그에 따라 텍스타일 소재의 일부가 도체 스트랜드들 둘레에 래핑되어, 4개의 납들을 가진 차폐되고 절연된 케이블이 생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조립 전 상태에서,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직물(4a)이다. 그 한 측면에서,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이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된다.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인접하게 이어진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도체 스트랜드들(2) 간의 거리는 첫 번째와 세 번째 그리고 세 번째와 네 번째 도체 스트랜드들 간의 거리보다 더 크다. 두 번째와 세 번째 도체 스트랜드들(2) 사이의 텍스타일 소재(4)는, 평평한 직물(4a)을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래핑함으로써 텍스타일 소재를 도 16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 성형할 때,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서로의 상부에 2개의 스트랜드들로 이루어진 2개의 행들로 정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로서 작용한다. 도체 스트랜드들(2) 중 네 번째에 인접한 폭 방향(W)에서, 직물(4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지지 구역(5) 다음의 차폐 구역(19)을 형성하는 도전성 섬유들(20)로 구성된다. 텍스타일 소재(4a)를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계속해서 래핑한다면, 도 16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2) 둘레에 차폐 구역(19)이 래핑되어 이러한 스트랜드들에 대한 차폐를 제공한다.
폭 방향(W)으로 차폐 구역(19) 뒤에, 전기 절연 섬유 소재로 구성된 외피 구역(21)이 이어진다. 케이블 어셈블리(1)가 도 16에 도시된 완전히 조립된 상태로 이송된다면, 차폐 구역(19) 둘레에 그리고 결과적으로 도체 스트랜드들(2)을 가진 지지 구역(5) 둘레에도 또한 외피 구역(21)이 래핑된다.
제 8 실시예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깥쪽 외피 안에 차폐된 도체들을 배치한 케이블들이 쉽게 생성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들(1)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외피 구역(21)은 또한 케이블 어셈블리(1)의 보호를 제공하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진 내구성 있는 섬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피 구역(21)은 동시에, 안정화 구역(24) 밖에 있는 지지대(3)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갖는 안정화 구역(24)이기도 하다.
도 17은 도체 스트랜드들(2)이 실질적으로 텍스타일 소재(4)의 세로 방향(L)을 따라 이어지게 정렬되며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되는 예시적인 케이블 어셈블리(1)의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9 실시예가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다.
도 18과 도 19의 실시예는 주로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제 8 실시예에 대응한다.
케이블 어셈블리(1)의 제 9 실시예는 2개의 차폐된 병렬 케이블 쌍들(18, 18')을 갖는 케이블을 드레인 전선들(25, 25')과 조립하기 위해 설계된다. 2개의 케이블 쌍들(18, 18') 사이의 텍스타일 소재(4)의 지지 구역(5)에서, 2개의 드레인 전선들(25)이 정렬된다. 모든 전기선들(9)과 드레인 전선들(25)은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L)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직물(4a)로 직조된다. 케이블 어셈블리(1)를 완전히 덮는 방향을 따라 조립 상태로 래핑할 때, 텍스타일 소재(4)의 측면에서 첫 번째 케이블 쌍(18)은, 드레인 전선(25)이 케이블 쌍(18)의 2개의 평행한 도체 스트랜드들(2) 사이의 홈(cleavage)(26)에 배치되게 케이블 쌍(18)이 첫 번째 드레인 전선(25)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폴딩된다. 텍스타일 소재(4)를 더 래핑할 때, 다른 두 번째 드레인 전선(25')은 도 19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8에 도시된 홈(26) 반대편 홈(26')에서 케이블 쌍(1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텍스타일 소재(4)를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계속해서 래핑할 때, 두 번째 케이블 쌍(18')은, 첫 번째 드레인 전선(25)이 두 번째 케이블 쌍(18')의 도체 스트랜드들 사이의 홈(27)에 배치되도록 첫 번째 케이블 쌍(18)의 상부에 배치된다. 2개의 케이블 쌍들(18, 18')과 2개의 드레인 전선들(25, 25')의 도체 패턴(12)으로 인해, 텍스타일 소재(4)의 래핑시 2개의 케이블 쌍들은, 하나의 드레인 전선(25)은 4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의 가운데에 그리고 다른 드레인 전선(25')은 케이블 쌍(18)에 인접하게 정렬되도록 서로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9 실시예에서, 도체 스트랜드들(2)과 드레인 전선들(25, 25')이 텍스타일 소재(4)로 집적되는 지지 구역(8)은 지지 구역이 동시에 차폐 구역(19)이기도 하도록 전기 도전성 섬유들(20)을 포함한다. 따라서 텍스타일 소재(4)를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래핑할 때, 차폐 구역(19)의 텍스타일 소재(4)는 동시에 첫 번째 케이블 쌍(18)을 두 번째 케이블 쌍(18')으로부터 차폐하기도 한다.
폭 방향(W)으로 두 번째 케이블 쌍(18) 뒤의 나머지 텍스타일 소재(4)는 아라미드 섬유들과 같은 저항력 있는 섬유들을 사용함으로써 강화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 어셈블리(1)를 보호하기 위한 안정화 구역(24)을 동시에 제공하는 외피 구역(21)으로서 설계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텍스타일 소재(4)를 완전히 덮는 방향(E)으로 계속해서 래핑할 때, 도체 스트랜드들(2)과 드레인 전선들(25, 25')을 가진 지지 구역(8) 둘레에 외피(21)와 안정화 구역(24)이 완전히 래핑됨으로써, 케이블 어셈블리의 외부 절연 및 보호 외피를 제공한다.

Claims (15)

  1.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고정된 적어도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로서,
    상기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이 집적된 텍스타일 소재(4)로 만들어지는,
    케이블 어셈블리(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은 상기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소재(4)는 직물(4a)인,
    케이블 어셈블리(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안정화 구역(24)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화 구역(24)은 상기 안정화 구역(24) 바깥쪽의 상기 지지대(3)에 비해 개선된 내마모성을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전자기 차폐 구역(19)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 차폐 구역(19)에서 상기 텍스타일 소재(4)는 도전성 섬유들(20)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있는 지지대(3)는 전기 절연 외피 구역(21)을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의 둘레에 상기 안정화 구역(24), 상기 차폐 구역(19) 및/또는 상기 외피 구역(21)이 래핑(wrap)되고 그리고/또는 폴딩(fold)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의 둘레에 상기 차폐 구역(19)이 래핑되고 그리고/또는 폴딩되며, 상기 차폐 구역(19)의 둘레에 상기 외피 구역(21)이 래핑되고 그리고/또는 폴딩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
  9.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텍스타일 소재(4)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3)에 미리 정해진 도체 패턴(12)으로 적어도 2개의 도체 스트랜드들(2)을 집적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타일 소재(4)를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1)의 조립된 상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을 상기 텍스타일 소재(4)로 직조함으로써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이 고정 및 정렬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소재(4)는 래핑 및/또는 폴딩함으로써 성형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2)의 둘레를 상기 텍스타일 소재(4)의 차폐 구역(19)으로 래핑 및/또는 폴딩함으로써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모든 도체 스트랜드들(2)을 차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 및/또는 상기 도체 스트랜드들(2)을 코팅하는 상기 차폐 구역(19)의 둘레를 상기 텍스타일 소재(4)의 전기 절연 외피 구역(21)으로 래핑하고 그리고/또는 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소재(4)를 상기 조립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래핑 및/또는 폴딩된 신축성 있는 지지대(3)의 인접한 층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층들은 함께 꿰매지는,
    케이블 어셈블리(1)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31850A 2011-04-29 2012-04-24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KR201400312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4332A EP2518736A1 (en) 2011-04-29 2011-04-29 Cable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support made from a textile material
EP11164332.6 2011-04-29
PCT/EP2012/057451 WO2012146578A2 (en) 2011-04-29 2012-04-24 Cable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support made from a textil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282A true KR20140031282A (ko) 2014-03-12

Family

ID=4599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850A KR20140031282A (ko) 2011-04-29 2012-04-24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54085A1 (ko)
EP (1) EP2518736A1 (ko)
JP (1) JP2014517446A (ko)
KR (1) KR20140031282A (ko)
CN (1) CN103635977A (ko)
WO (1) WO20121465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5596B1 (fr) * 2010-01-27 2013-04-26 Afitex Internat Geocomposite permettant la detection de fuite par un balai electrique et procede d'utilisation
US20160233006A1 (en) * 2015-02-09 2016-08-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rlocking ribbon cable units and assemblies of same
CN109390082A (zh) * 2017-08-07 2019-02-2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数据传输线缆
WO2020121478A1 (ja) * 2018-12-13 2020-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部材
KR102003430B1 (ko) * 2018-12-13 2019-07-24 주식회사 토마스 케이블 반호 형상의 플렉시블 지지부재를 이용한 클램프형 케이블
US11929599B2 (en) 2019-03-06 2024-03-1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iring member with fix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member with fixing member
DE112019007121T5 (de) * 2019-03-29 2021-12-16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Verkabelungsbaute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381A (en) * 1970-06-26 1972-04-04 Surprenant Inc Woven flat conductor
US3646247A (en) * 1971-01-11 1972-02-29 Electroweave Inc Foldable woven multistrand electrical cable
US4095042A (en) * 1976-09-07 1978-06-13 Southern Weaving Company Woven shielded cable
US4143236A (en) * 1976-11-26 1979-03-06 Southern Weaving Company Controlled impedance cable
US4281211A (en) * 1979-04-13 1981-07-28 Southern Weaving Company Woven cover for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US4460803A (en) * 1983-02-15 1984-07-17 Woven Electronics Corporation Unitary woven jacket and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132309A (ja) * 1984-07-20 1986-02-15 第一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ブルおよびその製造法
US4818820A (en) * 1987-04-13 1989-04-04 Joslyn Corporation Transmission system
US5373103A (en) * 1993-08-09 1994-12-13 Woven Electronics Corp. Ribbon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with woven shielding
JPH08190812A (ja) * 1995-01-11 1996-07-23 Yazaki Corp フラットシールド回路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4488A (ja) * 1995-04-03 1996-10-18 Kitagawa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US6296725B1 (en) * 1998-09-29 2001-10-02 Litton Systems, Inc. High frequency ribbon cable for twist capsule cable applications
DE29910196U1 (de) * 1999-06-11 1999-09-16 Gruber Sabine Vorrichtung zur parallelen Verbindung von mindestens einem Längsprofil und/oder mindestens einer Leitung mittels eines textilen Materials
BR0212239A (pt) * 2001-08-31 2004-10-26 Federal Mogul Powertrain Inc Portador flexìvel, e, método para fazer o mesmo
DE102005035754A1 (de) * 2005-07-29 2007-02-08 Amphenol-Tuchel-Electronics Gmbh Verfahren zur Kontaktierung von partiell leitfähigen textilen Halb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54085A1 (en) 2014-02-27
WO2012146578A2 (en) 2012-11-01
WO2012146578A3 (en) 2012-12-27
EP2518736A1 (en) 2012-10-31
JP2014517446A (ja) 2014-07-17
CN103635977A (zh)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1282A (ko) 텍스타일 소재로 만들어진 신축성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JP4569300B2 (ja) ケーブルハーネス
WO2016114184A1 (ja) 電線、端子付電線及び端子付電線製造方法
JP4523771B2 (ja) 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
CN105590682A (zh) 具有同轴电单元的光电混合缆及其制造方法
KR200477214Y1 (ko) 다심 케이블
WO2012120639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943846B2 (ja) 複合ケーブル
JP2018137197A (ja) 編組カバー付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479389B (zh) 屏蔽部件、带屏蔽部件的电线、屏蔽部件的中间制造物以及屏蔽部件的制造方法
CN111508658B (zh) 一种光电复合缆
KR20140027268A (ko) 실드를 포함하는 스타-쿼드 케이블
CN215118363U (zh) 一种带光纤的屏蔽控制扁电缆
JP5455691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330803B2 (ja) 複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2120640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456252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214476570U (zh) 一种易于敷设的耐扭、耐低温电缆
CN218159770U (zh) 一种vr设备信号连接线
JP7316875B2 (ja) 複合ケーブル
CN211455378U (zh) 一种用于拖链的动力控制光纤复合扁电缆
CN214253924U (zh) 一种抗拉耐弯折机器人拖链电缆
WO2021241163A1 (ja) 配線部材
CN105869726A (zh) 用于道路机械设备的高弹性屏蔽控制复合缆
CN111341493A (zh) 一种用于拖链的动力控制光纤复合扁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