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130A -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130A
KR20140030130A KR1020137020562A KR20137020562A KR20140030130A KR 20140030130 A KR20140030130 A KR 20140030130A KR 1020137020562 A KR1020137020562 A KR 1020137020562A KR 20137020562 A KR20137020562 A KR 20137020562A KR 20140030130 A KR20140030130 A KR 2014003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over layer
trim component
substantially parallel
internal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힙쉬어
스캇 한센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4003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2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of moulding techniqu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2Mid-console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부 트림 구성요소가 제공되며 이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그리고 내부 트림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을 포함한다.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WITH A COVER LAYER}
본 출원은 2011 년 1 월 3 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인 미국 가출원 제 61/429,358 호의 이익 및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을 위한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고, 더 특별하게는,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차량 보관 칸(vehicle storage compartment)들은 적재물 및 다른 작은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오버헤드 콘솔은 선글라스, 운전 글라스, 또는 다른 물품들을 보관하기에 적절한 보관 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보관 칸들은 중앙 콘솔, 팔걸이, 시트들, 도어 패널들, 또는 차량 내부의 다른 영역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한 보관 칸들은 칸의 내용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및/또는 시야로부터 내용물들을 숨기기 위해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다양한 도어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탬부어 도어(tambour door)들이 일반적으로 곡선의 개구들을 갖는 보관 칸들을 위하여 적절하다. 통상적인 탬부어 도어들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일련의 상호 잠금된 평행한 리브들 또는 단편(segment)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탬부어 도어는 평행한 단편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탬부어 도어가 곡선의 보관 칸 개구의 외형들에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관 칸 개구에 대한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불행하게도, 리브들이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강성인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show surface)은 단단하고 및/또는 뻣뻣할 수 있다. 게다가, 리브들 사이의 리세스들은 먼지 및/또는 다른 오염물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어의 외양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다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평행한 리브들 각각은 트랙을 따라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내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도록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가시 표면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커버 층을 더 포함하며, 후방 표면은 쿠션의 일체형 외부 스킨에 고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내부 트림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쿠션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쿠션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커버 층을 포함한다. 커버 층은 가시 표면 및 후방 표면을 포함하고, 쿠션은 쿠션에 대하여 커버 층을 고착시키기 위해 후방 표면에 대하여 성형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성형하기 위해 다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루브들을 갖는 제 1 주형 안으로 수지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커버 층의 가시 표면이 공동 근처에서 배치되도록 제 2 주형의 공동에 커버 층을 라이닝(lining)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이 방법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제 2 주형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폼(foam)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커버 층의 후방 표면에 접합되는 쿠션을 성형하도록 제 2 주형 안으로 폼을 붓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 은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도어를 각각 갖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관 칸들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차량의 내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가요성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 의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중앙 콘솔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커버 층을 갖는 예시적인 가요성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라인 5-5 을 따라 취해진,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도어의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6 은 더 두꺼운 쿠션을 갖는,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도어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7 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지 않는 쿠션을 갖는, 외부 층을 갖는 가요성 도어의 제 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8 은 쿠션의 압축 및 일체형 외부 스킨 및 커버 층의 대응하는 굴곡(flexure)을 도시하는, 가요성 도어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도 9 는 부착된 러너(runner)들 및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리브들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폼을 주형 안에 부음으로써 쿠션이 성형되고 커버 층이 쿠션의 일체형 외부 스킨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후의 리브들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가요성 도어를 성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공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1 은 시트(14)들 및 중앙 콘솔(16)을 갖는 내부(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량(1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내부(12) 내의 중앙 콘솔(16) 및/또는 다른 영역들은 보관 칸을 에워싸는 가요성 도어와 같은,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보관 칸들은 다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들은 트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관 칸의 개구를 따른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탬부어 도어는 보관 칸의 내부를 마주하는 내부 표면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쿠션의 내부 표면은 탬부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탬부어 도어가 곡선의 보관 칸 개구의 외형들에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관 칸 개구에 대한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쿠션은 쿠션 성형 공정 동안 성형되는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층이 접착제 연결에 의해 또는 쿠션 성형 공정을 통하여 쿠션에 고착될 수 있다. 커버 층은 원하는 외양을 제공하면서 쿠션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통상적인 탬부어 도어들은 일련의 상호 잠금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서로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는 결합된 평행한 리브들 또는 단편들을 포함한다. 탬부어 도어 단편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가 각각의 단편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들은 먼지 및/또는 다른 오염물들을 수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도어의 외양을 저하시킨다. 게다가, 탬부어 도어가 굽혀질 때, 근처의 단편들은 서로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이에 있는 리세스들의 폭은 감소된다. 리세스들의 감소되는 폭은 근처의 단편들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핀치(pinch) 지점들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단편들이 일반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강성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은 단단하고 및/또는 뻣뻣할 수 있다. 커버 층을 갖는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본 실시예들은 이러한 리세스들을 없앨 수 있고 부드러운 가시 표면을 생기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탬부어 도어의 커버 층 상에 수집되는 임의의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단편들 사이의 핀칭의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층의 가시 표면은 탬부어 도어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별개의 팔걸이 및 보관 칸 도어에 의해 이용되는 공간은 감소된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차량의 내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중앙 콘솔(16)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중앙 콘솔(16)은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에 의해 에워싸이는 보관 칸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콘솔(16)은 운전자 시트(14)와 승객 시트(14) 사이의 차량 내부(12)의 바닥에 커플링된다. 본 구성에서, 콘솔(16)은 보관 영역 및 하나 또는 양쪽 시트(14)들의 착석자를 위한 팔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콘솔(16)은 전방 벽(18), 후방 벽(20), 2 개의 대향하고 일반적으로 대칭인 측벽(22)들 및 정상 표면(24)을 갖는, 일반적으로 각기둥 형(prismatic)이다.
콘솔(16)은 콘솔(16)의 메인 본체를 형성하는 2 개의 측 패널(26)들을 또한 포함한다. 본 구성에서, 각각의 측 패널(26)은 콘솔(16)의 측 벽(22)들 중 하나 및 후방 벽(20), 전방 벽(18) 및 정상 표면(24)의 부분들을 제공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22)들은 볼록하고 오목한 부분들 양쪽을 갖는 복합-곡선의 상부 외형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높여진 후방 벽(20) 및 더 낮은 전방 벽(18) 사이에서 천이된다. 측 패널(26)들의 정상 에지(28)들은 곡선의 정상 표면(24)을 형성한다. 정상 표면(24)은 착석자가 콘솔(16)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30)를 포함한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콘솔(16)은 후방 벽(20) 및/또는 정상 표면(24)의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 패널(32)을 포함한다.
본 구성에서, 콘솔(16)은 개방 위치와 도시된 닫힌 위치 사이에서 천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34)를 포함한다. 도어(34)는 착석자가 2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도어(34)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38)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방향(40)으로 개방 위치를 향하여 도어(34)를 슬라이딩하는 것은 콘솔(16) 내에 위치되는 보관 칸의 내부를 노출시킬 것이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도어(34)는 쿠션에 커플링되는 일련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이다. 리브들은 측벽(22)들 내의 트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쿠션은 도어(34)가 굽혀지고 개구(30)의 외형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어(34)는 원하는 외양을 제공하고 쿠션을 보호하기 위해 쿠션의 외부 표면에 고착되는 커버 층을 또한 포함한다. 커버 층은 개구(30)의 외형들을 수용하기 위해 쿠션과 일치하게 굽혀질 수 있다. 쿠션 및 커버 층은 도어(34)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별개의 도어(34) 및 팔걸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공간을 감소시킨다.
본 탬부어 도어가 중앙 콘솔(16)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차량(10)의 내부(12) 도처에 위치되는 유사한 탬부어 도어들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오버헤드 콘솔, 도어 패널, 계기 패널, 또는 내부(12)의 다른 구역 내에 위치되는 보관 칸은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도어들에 추가로, 다른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들이 유사한 평행한 리브들, 쿠션 및 커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커버 층은 다양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구성요소의 외양을 보강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 은 가요성 도어(34)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 의 중앙 콘솔(16)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측벽(22)들은 방향(40)으로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되는 레일 또는 트랙(36)들을 포함한다. 특정한 구성들에서, 트랙(36)들은 C-형상의 횡단면을 포함하고, 측 패널(26)들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측 패널(26)들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탬부어 도어(34)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은 트랙(36)들에 맞물리고 도어(34)를 지지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지만, 부착된 쿠션은 도어(34)가 굽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개구(30)의 외형들을 수용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 위치로의 도어(34)의 천이는 중앙 콘솔(16) 내의 보관 칸의 내부(42)를 노출시킨다.
이해될 것과 같이, 차량 착석자는 핸들(38)을 파지하고 도어(34)를 중앙 콘솔(16)의 전방 벽(18)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어(34)를 닫을 수 있다. 커버 층이 쿠션의 외부 표면에 고착되기 때문에, 커버 층의 가시 표면은 차량(10)의 내부(12)를 마주한다. 그 결과, 도어(34)의 단편들에 의해 핀칭되는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또는 없어질 수 있다. 일단 닫힌 위치에서, 도어(34)의 커버 층은 팔걸이를 위한 적절한 표면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차량 내부(12)의 외양을 보강할 수 있다.
도 4 는 도 2 의 중앙 콘솔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커버 층을 갖는 예시적인 가요성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가요성 도어(34)는 패드형 기재 또는 쿠션(46)에 커플링되는 다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을 포함한다. 리브(44)들은 도어(34)를 지지하기 위해 및 개구(30)에 걸친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솔(16)의 트랙(36)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브(44)들은 각각의 트랙(36)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상호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48)들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마주하는 쿠션(46)의 표면에 커플링되고, 이에 의해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34)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가 곡선의 보관 칸 개구의 외형들과 정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쿠션(46)은 가요성 도어(34)의 외부 표면에 매끄럽고, 일치하는 외양을 제공하는 가시 표면을 갖는 커버 층(50)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고, 따라서 사출 성형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44)들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리브(44)들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출 성형을 위해 적절한 다른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리브(44)들은 화학적 발포제(blowing agent)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은 2 개의 반응성 폼 화합물들이 혼합되고 쿠션(46)의 원하는 형상을 갖는 개방 주형 안에 부어지는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된다. 주형은 그 후 폐쇄되고 혼합물이 팽창되고 경화되게 된다. 폼을 붓기에 앞서 리브(44)들을 주형 안에 놓음으로써, 폼은 경화 공정 동안 리브(44)들에 접합될 것이다. 그 결과, 단일 가요성 구성요소가 성형될 것이다. 또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반응(chemistry) 뿐만 아니라 온도 변동들은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이 낮은 밀도의 폼 쿠션의 외부 표면 상에 성형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인 쿠션(46)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거나 또는 텍스쳐 가공된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가질 수 있지만, 탬부어 도어(34)가 곡선의 보관 칸 개구(30)의 외형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가요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이 낮은 밀도의 폼 쿠션의 외부 표면 상에 성형되는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애는 다양한 폼 화합물들 및/또는 온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체 쿠션(46)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가요성 도어(34)는 개방 및 닫힌 위치들 사이의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패스너(예컨대, 볼트들, 스크류들 등)들에 의해 도어(34)에 부착되거나 또는 리브(44)들을 따라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핸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구성들에서, 폼은 플라스틱 핸들 위에 부어지거나, 또는 단단한 파지(grasping)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 주위에 부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핸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구성들에서, 커버 층(50)이 일치하는 외양을 성립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핸들 위에 고착될 수 있거나, 또는 단단한 파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 주위에 고착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도어(34)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 대신에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노브들, 리세스들 등)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실시예들은 쿠션(46) 및 커버 층(50)에 오목부 또는 리세스를 성립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누어진 가시 표면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 구성들과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들의 가요성 도어(34)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별개의 단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쿠션(46)은 가요성이고, 리브(44)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가요성 도어(34)의 단일 시각적 외양을 유지한다. 게다가, 가요성 도어(34)는 쿠션의 외부 표면에 고착되는 커버 층(50)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34)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 층(50)은 먼지 및/또는 다른 잔해의 수집 및 핀칭을 야기할 수 있는 단편들 사이의 리세스들을 또한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없앤다. 또한, 커버 층(50)은 탬부어 도어(34)의 시각적 외양을 보강하는 구성들 및/또는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커버 층(50)은 가죽, 비닐, 섬유(직물 또는 부직물) 및/또는 다양한 다른 재료들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층(50)은 재료(52)의 제 1 피스 및 재료(54)의 제 2 피스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재료(52)의 제 1 피스 및 재료(54)의 제 2 피스는 스티칭(58)에 의한 이음매(seam)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커버 층(50)은 이음매들을 갖지 않는 재료의 단일 피스로부터, 또는 다중 이음매(56)들을 갖는 재료의 3 개 또는 4 개 이상의 피스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도시된 실시예는 가요성 도어(34)를 축방향으로 2 등분하는 이음매(56)를 나타내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원호들, 코너들, 직선들 및/또는 다른 형상들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에서 이음매(56)들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커버 층(50)이 쿠션(46)과 함께 굽혀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매끄러운(예컨대 주름이 없는) 외양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도록 커버 층(50)은 쿠션(46)의 외부 표면에 고착된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접착제 연결에 의해, 또는 성형 공정을 통하여 쿠션(46)의 외부 표면에 고착될 수 있다.
도 5 는 도 4 의 라인 5-5 을 따라 취해진 가요성 도어의 제 1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마주하는 쿠션(46)의 제 1 표면(60)에 커플링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사출 성형은 완료된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 주형 안에 액체 수지를 주입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단 리브(44)들이 성형되면, 리브(44)들은 쿠션(46)을 성형하기 위한 형상의 공동을 갖는 주형 안에 놓일 수 있다. 폼은 그 후 주형 안에 부어질 수 있다. 폼이 팽창하고 경화될 때, 폼은 리브(44)들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리브(44)들 및 쿠션(46)을 포함하는 단일 구조물을 성형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반응 뿐만 아니라 온도 변동들은,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높은 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62)이 낮은 밀도 폼 쿠션(46) 주위에 성형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버 층(50)은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62)의 외부 표면(64)에 고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커버 층(50)의 에지(66)는 쿠션(46) 아래에서 접힐 수 있고, 패스너(68)에 의해 쿠션(46)의 제 1 표면(60)에, 또는 리브(44)들에 고착될 수 있다. 예컨대, 패스너(68)는 스테이플(staple) 또는 핀일 수 있다.
쿠션(46)의 두께(70)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34)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차량 팔걸이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쿠션형 코어를 성립시킨다. 이해될 것과 같이, 더 두꺼운 쿠션(46)들이 팔걸이에 보강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더 얇은 쿠션(46)들은 추가적인 가요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커버 층(50)은 팔걸이의 가시 표면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가죽, 비닐 또는 천과 같은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두께(70)는 대략 5 ㎜ 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컨대, 두께(70)는 대략 5 내지 15, 6 내지 13, 7 내지 11 일 수 있거나 또는 약 9 ㎜ 일 수 있다. 게다가, 일체형 외부 스킨(62)을 갖는 쿠션(46)들에 대하여, 일체형 외부 스킨(62)의 두께(72)는 쿠션(46)이 압축될 때 스킨이 굽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체형 외부 스킨(62)의 두께(72)는 대략 2, 1.5, 1, 0.5, 0.3, 0.2 또는 0.1 ㎜ 일 수 있거나, 그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커버 층(50)의 두께(74)는 쿠션(46)이 압축될 때 커버 층(50)이 굽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두께(74)는 대략 2, 1.5 또는 1.0 ㎜ 일 수 있거나, 그 미만일 수 있다.
도 6 은 더 두꺼운 쿠션(46)을 가지며, 커버 층(50)을 갖는 가요성 도어(34)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더 두꺼운 쿠션(46)은 탬부어 도어(34)가 팔걸이로서 사용되는 구성들에서 보강된 승객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커버 층(50)은 보강된 승객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가죽, 비닐 또는 천과 같은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더 두꺼운 쿠션(46)은 가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탬부어 도어(34)는 탬부어 도어(34)가 편평한 표면을 따라 또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콘솔(16)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의 두께(76)는 대략 16 ㎜ 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로서, 두께(76)는 대략 10 내지 20, 12 내지 18, 14 내지 16 일 수 있거나 또는 약 15 ㎜ 일 수 있다.
도 7 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지 않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도어(34)의 제 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쿠션(46)은 높은 밀도의 외부 스킨이 낮은 밀도의 폼 쿠션(46) 주위에 성형되는 것을 야기하지 않는 다양한 폼 화합물들 및/또는 성형 공정들로부터 성형된다. 오히려, 전체 쿠션(46)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낮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버 층(50)은 낮은 밀도의 폼 쿠션(46)의 외부 표면(78)에 고착될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접착제 연결 또는 성형 공정을 통하여 쿠션(46)의 외부 표면(78)에 고착될 수 있다.
도 8 은 쿠션(46)의 압축 및 일체형 외부 스킨(62) 및 커버 층(50)의 대응하는 굴곡을 도시하는, 가요성 도어(34)의 상세 횡단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쿠션(46)은 단단한 리브(44)들 근처에 배치되고 로드 하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는, 탬부어 도어(34)가 차량 내부(12) 내의 팔걸이로서 사용된다면, 착석자 팔의 중량은 쿠션(46)이 변형될 때 도어(34)의 큰 영역에 걸쳐 분산될 것이고, 이에 의해 착석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킨다. 일체형 외부 스킨(62)은 쿠션(46)이 변형될 때 굽혀지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는, 커버 층(50)은 일체형 외부 스킨(62)에 고착되고 쿠션(46)이 변형될 때 굽혀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쿠션(46)을 보호하고 원하는 외양을 제공한다.
이해될 것과 같이, 쿠션(46)의 부드러움은 변형에 대한 쿠션의 저항을 판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시험들이 쿠션의 변형에 대한 저항을 판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공지된 압입력 휨(indentation force deflection, IFD)은 그의 두께의 일부(예컨대 25 %) 만큼 50 평방 인치 쿠션 구역을 압입하기에 충분한 힘을 측정한다. 25 % IFD 시험에 근거하여, 연질 재료들은 대략 6 내지 24 파운드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중간 재료들은 대략 24 내지 36 파운드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경질 재료들은 대략 36 내지 45 파운드를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은 대략 24 내지 36 파운드의 25 % IFD 를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질도(softness) 범위는 원하는 레벨의 승객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연질 구성요소의 원하는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연질도를 갖는 쿠션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일체형 외부 스킨(62)은,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커버 층(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일체형 외부 스킨(62)의 가요성 및 내구성은 성분 재료의 경도를 판정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경도의 하나의 측정은 압입에 대한 저항이고, 그렇지 않다면, 예컨대 Shore A 등급으로 나타낸, 듀로미터(Durometer)로서 나타내어진다. 듀로미터 등급에서, 재료들은 일반적으로 범위들을 근거하여 특징지어진다. 경질 또는 강성 엘라스토머들은 일반적으로 약 90 Shore A 보다 큰 듀로미터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연질 엘라스토머들은 일반적으로 약 60 Shore A 내지 약 90 Shore A 의 듀로미터를 갖는 것을 포함하며, 초연질 엘라스토머들은 일반적으로 약 60 Shore A 미만의 듀로미터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일체형 외부 스킨(62)은 대략 20 내지 60 Shore A 의 듀로미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체형 외부 스킨(62)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내구성 및 매끄러움은 유지한다. 일체형 외부 스킨(62)의 내구성 및 매끄러움을 유지하는 것은 커버 층(50)을 지지하는 외부 스킨(62)의 능력을 보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내구성 있고 매끄러운 외부 스킨(62)은 커버 층(50)과 일체형 외부 스킨(62) 사이의 접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일체형 외부 스킨(62)은 20 Shore A 미만 또는 60 Shore A 초과의 듀로미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착석자 손가락(80)이 방향(82)으로 탬부어 도어(34)를 누르고, 이에 의해 일체형 외부 스킨(62) 및 커버 층(50)이 굽혀지는 것을 유도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손가락(80)이 탬부어 도어(34)와 접촉하는, 외부 스킨(62)은 방향(82)으로 거리(84) 만큼 옮겨지고, 이에 의해 쿠션(46)을 압축한다. 유사하게는, 커버 층(50)은 방향(82)으로 거리(86) 만큼 옮겨진다. 그 결과, 곡률이 일체형 외부 스킨(62) 및 커버 층(50) 내에 유도된다. 일체형 외부 스킨(62) 및 커버 층(50)이 가요성이기 때문에, 크랙 형성의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진다. 또한, 쿠션(46)이 압축 가능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34)는 차량 내부(12) 내에서 팔걸이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도 9 는 부착된 러너들 및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리브(44)들의 사시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사출 성형은 완료된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 주형 안에 액체 수지를 주입하는 것을 수반한다. 주형은 원하는 구성요소들의 형상을 갖는 공동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주형은 공동들을 성립시키기 위해 함께 프레스되는 제 1 절반 및 제 2 절반을 포함한다. 가압된 액체 수지는 그 후 일련의 흐름 경로들 또는 그루브들을 통하여 공동들 안으로 주입된다. 완료된 부품은 액체 수지가 경화되고 굳어짐으로써 성형된다. 하지만, 흐름 경로들 내에 남아있는 잔여 수지가 마찬가지로 경화되고 굳어질 것이며, 러너들 및 커넥터들은 부품에 부착된 채로 남겨진다.
도시된 사출 성형된 부품은 리브(44)들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2 개의 길이방향 러너(88)들, 및 러너(88)들과 리브(44)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일련의 커넥터(90)들을 포함한다. 러너(88)들은 각각의 리브(44)에 수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 흐름 경로들에 의해 형성되지만, 커넥터(90)들은 길이방향 흐름 경로들과 리브(44)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흐름 경로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러너(88)들 및 커넥터(90)들은 사출 성형 공정이 완료된 후에 리브들을 함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러너(88)들 및 커넥터(90)들은 부품이 쿠션(46)을 성형하기 위해 제 1 주형으로부터 제 2 주형으로 전달될 때 리브(44)들의 공간 및 배향을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사출 성형된 부품은 2 개의 구멍(92)들을 더 포함한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볼트들, 스크류들 등과 같은 패스너들에 의해 탬부어 도어(34)에 부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92)들은 핸들을 탬부어 도어(34)에 고착시키기 위한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멍(92)들은 스크류 보스(screw boss)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크류들이 핸들을 탬부어 도어에 고착시키기 위해 구멍(92)들을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멍(92)들은 펀칭 공정 또는 다른 기계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사출 성형된 부품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주형은 구멍(92)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가 핸들을 탬부어 도어(34)에 장착하기 위해 2 개의 구멍(92)들을 제공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구멍(9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다른 실시예들은 노브들 또는 다른 그립(grip)들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탬부어 도어(34)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9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폼을 주형 안에 부음으로써 쿠션(46)이 성형되고, 커버 층(50)이 쿠션(46)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후의 리브(44)들의 사시도이다. 일단 도 9 에 나타낸 부품이 성형되면, 부품은 쿠션(46)을 성형하기 위해 제 2 주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 2 주형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리브(44)들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리세스들은 원하는 쿠션(46)의 형상을 갖는 공동과 정렬된다. 2 개의 반응성 화합물들은 그 후 혼합되고 주형 안에 부어지며, 이에 의해 쿠션(46)을 성형한다. 추가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반응 뿐만 아니라 온도 변동들은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62)이 낮은 밀도의 폼 쿠션(46) 주위에 성형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반응 및 온도 변동들은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 없이 낮은 밀도의 폼 쿠션(46)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쿠션(46)은 폼이 경화될 때 리브(44)들에 접합될 것이다. 일단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부품은 주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러너(88)들 및 커넥터(90)들이 부품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나타낸 것과 같이, 쿠션(46)은 2 개의 구멍(94)들을 더 포함한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볼트들, 스크류들 등과 같은 패스너들에 의해 탬부어 도어(34)에 부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46) 내의 구멍(94)들은 핸들을 탬부어 도어(34)에 고착시키기 위한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구멍(94)들은 드릴링 또는 커팅과 같은 기계가공 공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주형은 구멍(94)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쿠션(46)의 구멍(94)들은 사출 성형된 부품의 구멍(92)들과 각각의 구멍(94 및 92)이 각각의 패스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쿠션(46)은 이음매(56)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이음매 양각부(96)를 또한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재료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스들을 결합하고 뿐만 아니라 커버 층(50)의 외양을 보강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음매(5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음매 양각부(96)는 이음매(56)의 위치에 대응하는 쿠션(46)의 부분을 커팅 또는 밀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62)을 갖는 실시예들에서, 이음매 양각부(96)는 높은 밀도의 가요성 외부 스킨(62)의 부분을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쿠션(46)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주형은 성형 공정 동안 이음매 양각부(96)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도시된 실시예는 쿠션(46)에 부분적으로 고착되는 커버 층(50)을 더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 층(50)은 가시 표면(98) 및 후방 표면(100)을 포함한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예컨대 가죽, 비닐, 섬유, 직물 재료, 및/또는 부직물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의된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커버 층(50)을 형성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커버 층(50)의 외양을 보강하기 위해 재료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스들을 결합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음매(5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음매(56)는 프렌치 이음매(French seam), 덧붙임 이음매(lapped seam), 바운드 이음매(bound seam) 및/또는 편평한 이음매(flat seam)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재료(52)의 제 1 피스를 스티칭(58)에 의해 재료(54)의 제 2 피스에 고착함으로써 형성되는 프렌치 이음매(56)를 포함한다. 또한, 프렌치 이음매(56)는 커버 층(50)의 후방 표면(100) 상에 돌출 부분(102)을 포함한다. 커버 층(50)이 쿠션(46)에 적용되고 고착될 때, 도 10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돌출 부분(102)은 이음매 양각부(96)와 정렬되고 이 이음매 양각부에 의해 수용된다. 이해될 것과 같이, 이러한 구성은 커버 층(50)의 가시 표면(98)에 매끄럽고 보강된 외양을 제공한다.
이전에 언급된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접착제 연결에 의해 쿠션(46)에 고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쿠션(46)에 부분적으로 고착되는 커버 층(50)을 나타낸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접착제 연결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수지들 등과 같은 글루(gl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특정한 접착제들은 커버 층(50)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예컨대, 가죽, 비닐, 섬유 등)에 따른 다양한 분야들에 대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커버 층(50)은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것과 같이, 성형 공정에 의해 쿠션(46)에 고착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볼트들, 스크류들 등과 같은 패스너들에 의해 탬부어 도어(34)에 부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층(50)은 구멍(104)들을 포함한다. 구멍(104)들은 탬부어 도어(34)에 핸들을 고착시키기 위한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멍(104)들은 커팅 또는 펀칭과 같은 기계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해될 것과 같이, 구멍(104)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기계가공 공정은 커버 층(50)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예컨대, 가죽, 비닐, 천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구멍(104)들은 쿠션(46)의 구멍(94)들 및 사출 성형된 부품의 구멍(92)들과 각각의 구멍(104, 94 및 92)이 각각의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도 11 은 가요성 도어(34)를 성형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공정(106)의 공정 흐름도이다. 먼저, 블록(108)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지가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을 형성하기 위해 다중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루브들을 갖는 제 1 주형 안으로 주입된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수지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일 수 있다. 하지만, 이해될 것과 같이, 사출 성형에 적합한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수지는 작업 동안 도어(34)를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구부림 저항을 갖는 리브(44)들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그 이후에, 블록(110)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쿠션(46)의 형상을 규정하는 공동을 갖는 제 2 주형에 커버 층(50)을 라이닝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 층(50)의 가시 표면(98)이 공동의 내부 표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커버 층(50)은, 예컨대 가죽, 비닐, 섬유, 직물 재료 및/또는 부직물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제 1 수지가 경화 및/또는 굳어진 후에, 블록(112)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쿠션을 성형하기 위한 제 2 주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리브(44)들은 원하는 배향으로 리브(44)들을 유지하고 리브(44)들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러너(88)들 및 커넥터(90)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리브(44)들은 단일 유닛으로서 제 1 주형으로부터 제 2 주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 2 주형은 리브(44)들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리브들을 쿠션의 형상을 규정하는 공동과 정렬시킨다. 폼은 그 후, 블록(114)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쿠션을 성형하기 위한 제 2 주형 안에 부어질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것과 같이, 2 개의 반응성 화합물들은 혼합되고 주형 안으로 부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쿠션(46)을 성형한다. 또한, 쿠션(46)은 폼이 경화될 때 리브(44)들에 접합되고 커버 층(50)의 후방 표면(98)에 접합될 것이다. 일단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탬부어 도어(34)는 주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록(116)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러너(88)들 및 커넥터(90)들은 완료된 탬부어 도어(34)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의 단지 특정한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들 및 변화들(예컨대, 크기들, 치수들, 구조물들, 다양한 요소들의 형상들 및 부분들, 파라미터(예컨대, 온도들, 압력들 등)들의 값들, 장착 배치물들, 재료들의 사용, 색상들, 배향들 등의 변동들)이 청구항들에 인용된 요지의 이점들 및 신규적인 교시들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다.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 또는 차례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변화되거나 또는 다시 차례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원리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수정들 및 변화들을 커버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이행의 모든 특징들(즉, 본 발명을 실행하는 현재 고려된 최적의 모드와 관련되지 않은 특징들, 또는 청구되는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되지 않은 특징들)은 설명되지 않았을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실제 이행의 개량에서, 임의의 공학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수많은 이행 사양 결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량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 소비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실험 없이, 본 명세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의 디자인, 제조 및 제작을 담당하는 과정일 수 있다.

Claims (20)

  1.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트랙을 따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에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내부 표면 및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는 쿠션으로서, 상기 내부 표면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 및
    가시 표면 및 후방 표면을 갖는 커버 층으로서, 상기 후방 표면은 쿠션의 일체형 외부 스킨에 고착되는, 커버 층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두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두께는 대략 5 ㎜ 보다 더 큰,
    내부 트림 구성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의 후방 표면은 접착제 연결에 의해 쿠션의 일체형 외부 스킨에 고착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의 후방 표면은 성형 공정에 의해 쿠션의 일체형 외부 스킨에 고착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25 % 압입력 휨 등급에서의 대략 24 파운드보다 더 큰 그리고 대략 36 파운드 미만의 연질도를 갖는 재료로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은 가죽, 비닐, 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커버 층의 이음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이음매 양각부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9.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
    상기 쿠션을 중심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커버 층으로서, 상기 커버 층은 가시 표면 및 후방 표면을 포함하는, 커버 층을 포함하고;
    상기 쿠션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쿠션에 고착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로 성형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보관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탬부어 도어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는 폼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층의 후방 표면은 일체형 외부 스킨에 고착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핸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층은 부직물 재료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4.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은 트랙을 따른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15.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으로서,
    대응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그루브들을 갖는 제 1 주형 안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제 2 주형의 공동에 커버 층을 라이닝 하는 단계로서, 커버 층의 가시 표면은 공동 근처에 배치되는, 제 2 주형의 공동에 커버 층을 라이닝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제 2 주형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폼이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접합되고 커버 층의 후방 표면에 접합되는 쿠션을 성형하도록 제 2 주형 안에 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형성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제 2 주형 안에 부어지는 2 개의 반응성 화합물들의 상호 반응에 의해 성형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형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함께 유지하는 러너들 및 커넥터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그루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러너들 및 커넥터들은 폼이 제 2 주형 안에 부어진 후에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부터 제거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두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의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구부림을 용이하게 하는 쿠션을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작 방법.
KR1020137020562A 2011-01-03 2012-01-03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KR201400301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29358P 2011-01-03 2011-01-03
US61/429,358 2011-01-03
PCT/US2012/020105 WO2012094340A1 (en) 2011-01-03 2012-01-03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with a cover 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130A true KR20140030130A (ko) 2014-03-11

Family

ID=4552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562A KR20140030130A (ko) 2011-01-03 2012-01-03 커버 층을 갖는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021733A1 (ko)
EP (1) EP2661383B1 (ko)
JP (1) JP2014501663A (ko)
KR (1) KR20140030130A (ko)
CN (1) CN103347740B (ko)
BR (1) BR112013017193A2 (ko)
WO (1) WO2012094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1323B2 (en) 2008-12-03 2016-11-01 Jason M. Hipshier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smooth surface
US20150258939A1 (en) * 2012-11-01 2015-09-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EP2848404B1 (en) * 2013-09-13 2017-11-2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Roller shutter and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said roller shutter
US10336228B2 (en) * 2017-03-14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Pllc Four-component armres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308151B2 (en) 2017-04-11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mrest assembly and unitary armrest subassembly having a support substrate and resilient web secured together by mechanical fastening feature
US10232802B2 (en) 2017-08-02 2019-03-19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panel with compressible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US10737636B2 (en) * 2018-01-31 2020-08-11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09204159A (zh) * 2018-09-19 2019-01-15 苏州顺时特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定型塑胶垫
US11904811B2 (en) 2021-03-01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rage assembly for a vehicle
FR3131733A1 (fr) * 2022-01-13 2023-07-14 Airbus Atlantic Sas Elément d’habillage d’une arête de coque de siège aéronaut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procédé de pose d’un tel élé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5224A (en) * 1987-09-18 1989-03-20 Hayashi Telempu Kk Manufacture of composite trimming material for vehicle
JPH01162839U (ko) * 1988-05-02 1989-11-13
JPH09193952A (ja) * 1996-01-18 1997-07-29 Kojima Press Co Ltd 入れ物の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66219A (ja) * 2003-08-27 2005-03-17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4169707B2 (ja) * 2004-02-05 2008-10-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内装部材の組付構造
JP2006062556A (ja) * 2004-08-27 2006-03-09 Kasai Kogyo Co Ltd 加飾シート材料
DE102005006119B4 (de) * 2005-02-10 2008-09-25 Lisa Dräxlmaier GmbH Rollo mit weicher Oberfläche
DE102005019884B3 (de) * 2005-04-28 2006-07-13 Lisa Dräxlmaier GmbH Rollo eben zur Umgebungsfläche
DE102005023062B3 (de) * 2005-05-19 2006-10-05 Lisa Dräxlmaier GmbH Rollo mit gekrümmter Oberfläche
US7721926B2 (en) * 2005-11-08 2010-05-25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e America, Inc. Vehicle storage structure
JP4911582B2 (ja) * 2006-07-07 2012-04-04 河西工業株式会社 ステッチラインを有する表皮の貼着方法
EP2086793B1 (en) * 2006-11-21 2016-05-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interior component
US9481323B2 (en) * 2008-12-03 2016-11-01 Jason M. Hipshier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smooth surface
JP5308191B2 (ja) * 2009-02-27 2013-10-0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蓋部材
JP5222182B2 (ja) * 2009-02-27 2013-06-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ームレスト
JP5308200B2 (ja) * 2009-03-17 2013-10-0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内装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1733A1 (en) 2014-01-23
CN103347740A (zh) 2013-10-09
WO2012094340A1 (en) 2012-07-12
BR112013017193A2 (pt) 2016-09-20
EP2661383A1 (en) 2013-11-13
CN103347740B (zh) 2016-07-13
EP2661383B1 (en) 2017-10-25
JP2014501663A (ja)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1383B1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with a cover layer
US9085265B2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skin show surface
US20150258939A1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US10464280B2 (en) Trim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KR101221297B1 (ko) 일체화된 스티칭을 갖는 차량용 트림 패널
JP4914213B2 (ja) 自動車内装用の複合トリム部品の製造方法
US9481323B2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smooth surface
KR20090122191A (ko) 국소적인 깊은 연성 구역을 구비하는 트림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트림 패널
US8083283B2 (en) Armrest foam bun insert
WO2017053313A1 (en) Trim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US7572401B2 (en) Insert molded bolster in two-shot door panel
JP5368832B2 (ja) シートパッド成形型およびその成形型を用いた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CZ2011861A3 (cs) Konstrukcní díl, zpusob výroby konstrukcního dílu a forma
JP6650361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JP2024059994A (ja) 車両用のシートパッド
JPS58209385A (ja) 異硬度クツシヨン体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