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43A -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843A
KR20140029843A KR1020120095711A KR20120095711A KR20140029843A KR 20140029843 A KR20140029843 A KR 20140029843A KR 1020120095711 A KR1020120095711 A KR 1020120095711A KR 20120095711 A KR20120095711 A KR 20120095711A KR 20140029843 A KR20140029843 A KR 2014002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lass
unit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224B1 (ko
Inventor
최병권
금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09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유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유닛; 및 유리합착필름 안착부가 이송가능하게 연결되며, 필름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필름 파지유닛과 함께 유리합착필름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FILM SEPARATING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와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을 유리와 필름으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 디스플레이(FPD)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종래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며, 평면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필름 분리장치에 대한 동작도로서, 회전형 진공롤(10)을 이용하여 유리(glass) 기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film)을 유리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때, 유리 기판은 LCD 또는 PDP용 기판일 수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진공롤(10)이 보호필름에 진공으로 흡착된 후에,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진공롤(10)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유리 기판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진행됨으로써 유리 기판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유리 기판으로부터 제거되는 보호필름은 손상이 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형 진공롤(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빠른 속도록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적용되는 LCD 또는 PDP용 기판과 달리, OLED 플렉서블 셀(Flexible Cell) 물류에 적용되는 OLED용 기판의 경우에는 필름(EL)이 사용되고 유리(glass)가 제거되는 방식을 가지기 때문에 유리 제거 시 필름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OLED용 기판의 경우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롤(10)을 이용하게 되면, 유리가 제거된 필름이 진공롤(10)의 표면을 따라 빠져나오면서 굽어지게 되므로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려면 사이즈가 큰 진공롤(미도시)을 사용해야 하는데, 진공롤에 형성되는 진공홀에 의하여 필름에 자국이 남게되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워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출원인은 유리 파지유닛으로 유리합착필름의 유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의 필름을 안착시켜 이송하면서, 유리합착필름의 유리와 필름을 상호분리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한편,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이 분리된 후, 유리는 유리 적재부로 반출되고, 필름은 후공정, 예컨데 유리가 제거된 필름의 상면에 다른 종류의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만약 유리를 제거한 후 유리가 제거된 필름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일련의 공정이 인라인화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면, 유리가 제거된 필름을 후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서 초기위치인 로딩 유닛(loading unit)으로 필름이 복귀되어야 한다.
즉, 필름이 공정의 초기위치인 로딩 유닛으로 다시 복귀되도록 필름을 역방향으로 이송한 후, 필름을 로딩 유닛으로 이송하여야 한다.
이 경우, 로딩 유닛은 언로딩(unloading)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유리제거필름은 언로딩 역할을 수행하는 로딩 유닛에 도달된 이후에 후공정인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고, 이후에 필름을 역방향으로 이송하여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다시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은 작업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한 후, 바로 필름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의 새로운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가 요구된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33887 ((주) 와이티에스) 2006.04.2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와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효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필름을 바로 후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유닛; 및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가 이송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름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상기 필름 파지유닛과 함께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필름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에서 분리된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복수 개 연결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이송 브라켓을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하는 이송 브라켓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 지지되며, 높이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롤러 안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브라켓 구동부는, 상기 이송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롯; 및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부 틸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 틸팅모듈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에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워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으로 상기 롤러부를 밀착하여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롤러부의 이송속도에 동기되어 상기 가압레버가 복수의 상기 롤러부를 각각 밀착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에 밀착되어 상기 유리를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부재; 및 상기 필름 파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이송시키는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는,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상기 X축 이송부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 및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높이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지유닛은, 상기 필름 파지부재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리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유리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유리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리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 분리부재; 및 상기 필름 파지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 분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리와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효율적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필름을 바로 후공정으로 이송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필름 분리장치에 대한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 틸팅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의 하나의 단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 단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 부분 확대도로서, 유리 분리부재에 의해 유리와 필름이 초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glass) 및 필름(EL)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OLED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필름(EL)을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및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 틸팅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의 하나의 단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립 상태 단면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부분 확대도로서, 유리 분리부재에 의해 유리와 필름이 초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OLED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필름(EL)의 일면에 유리(glass)가 합착된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작업라인인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과 인라인(IN-Line)되며 분리된 필름을 후공정으로 언로딩하는 언로딩(unloading unit) 작업라인과,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을 사이에 두고 언로딩 작업라인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으로 로딩시키는 로딩(loading unit) 작업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로딩 작업라인,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 및 언로딩 작업라인을 갖춘 구조를 가지며, 로딩 작업라인,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 및 언로딩 작업라인은 인라인화된 작업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합착필름(100)이 로딩 작업라인에 로딩되고,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으로 이송되어 유리와 필름으로 상호 분리된 후, 분리된 유리는 언로딩 작업라인을 거쳐 유리가 적재되는 유리 적재대(미도시)로 이송되고, 분리된 필름은 후공정, 예를들어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에서 분리된 필름을 연속적으로 후공정인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필름은 유리합착필름(100)을 분리하는 작업 중에 파지된 상태로 이송되며, 유리가 분리된 필름은 분리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하에서는,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고, 필름을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후공정인 라미네이팅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 작업라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에 안착된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유닛(300)과,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가 이송가능하게 연결되며 필름 파지유닛(300)을 이용하여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필름 파지유닛(300)과 함께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과,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유리와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유리 분리유닛(500)을 포함한다.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가 접촉되어 안착되며, 유리합착필름(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유리합착필름(100)을 진공에 의한 흡착방식으로 유리를 파지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실질적으로 유리에 직접 접촉되어 유리합착필름(100) 및 유리합착필름(100)에서 분리된 유리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진공패드(21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진공패드(210) 각각은,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가 안착되는 표면에 복수의 진공홀(211)이 형성된 패드부(213)와, 복수의 진공홀(211)에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진공홀(211)과 연통하는 복수의 진공슬롯(233)이 형성된 진공챔버(230)를 포함한다.
진공챔버(230)의 상면에 형성된 진공슬롯(233)은, 진공챔버(23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낮게 단차진 단차부(231)에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슬롯(233)과 대향된 진공챔버(230)의 하면에는 공기순환통로(235)가 형성된다.
진공챔버(230) 내의 공기유동공간(237)은 상호간 개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존(Z1,Z2,Z3)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진공슬롯(233)은 각 존(Z1,Z2,Z3)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진공챔버(23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진공챔버(230) 내의 공기유동공간(237)이 상호간 개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존(Z1,Z2,Z3)으로 형성되고 각 존(Z1,Z2,Z3)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진공슬롯(233)이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한 존(Z1,Z2,Z3)에 진공의 리크(leak)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다른 존(Z1,Z2,Z3)들을 통해 진공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패드부(213)와 유리 간의 진공 흡착이 해제되어 유리의 이송이 실패로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미도시)가 동작되면, 진공홀(211)의 외부에서 진공홀(211) 및 진공슬롯(233)을 경유하여 진공챔버(230) 내의 공기유동공간(237) 및 공기순환통로(235) 쪽으로 진공이 형성됨에 따라 패드부(213)의 표면에서 유리는 진공으로 흡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름 파지유닛(300)은, 유리합착필름(100)이 이송되는 작업 라인 상에서 상부에 위치한 필름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필름 파지유닛(300)은,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부재(310)와, 필름 파지부재(310)에 연결되되 필름 파지부재(310)를 이송시키는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330)와, 필름 파지부재(310)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유리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유리 가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필름 파지부재(310)는 진공에 의한 흡착 방식으로 필름을 파지하며, 필름 파지부재(310)는 몸체부(311)와, 몸체부(311)에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브라켓(313)과, 복수의 노즐브라켓(313)에 각각 연결되고 진공압에 의해 필름을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노즐(315)을 포함한다.
몸체부(311)는 파지될 필름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필름의 사이즈가 가로/세로 2 미터(m)인 경우에, 몸체부(311)는 필름 면적과 같거나 그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313)은 복수의 흡착노즐(31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313)은 몸체부(311)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313)에는 높낮이 조절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흡착노즐(315)의 단부들 모두가 동일평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흡착노즐(315)이 장착되는 노즐브라켓(313)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다른 흡착노즐(315)들과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부는 볼트와 너트의 간단한 조합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복수의 흡착노즐(315)은 실질적으로 유리를 진공으로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노즐(315)은 하나의 노즐브라켓(313)에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노즐브라켓(313)에 1개씩 마련되거나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필름 파지부재(310)에 의해 필름이 진공으로 파지되어 이동될 때, 유리의 강성에 의해 유리의 테두리부 영역이 후술할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 특히 제2 서브 프레임(415)에서 이동 시 들뜰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 파지부재(310)의 전방부에는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유리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유리 가압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리 가압부로 유리를 가압하여, 유리의 전방부가 후술할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의 제2 서브 프레임(415)의 표면에 잘 흡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필름 파지유닛(300)이 필름을 흡착한다.
또한,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330)는, 필름 파지부재(3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330)는, 필름 파지부재(310)를 유리합착필름(100)의 이송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331)와, 필름 파지부재(310)를 X축 이송부(331)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333)와, 필름 파지부재(310)를 높이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3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330)는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름 파지유닛(300)은 진공에 의한 흡착 방식으로 필름을 파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름 파지유닛(300)은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상호 분리한 후 파지된 필름을 후공정인 라이네이팅 공정으로 이송하는 데 있어 필름의 표면이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은, 필름 파지부재(310)를 이용하여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100)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면서 필름 파지유닛(300)과 함께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410)과, 가이드 프레임(410)의 일측에 배치되되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430)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410)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프레임(410)은, 필름 파지유닛(300)을 이용하여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1 서브 프레임(411)에 연결되되 유리합착필름(100)에서 분리된 유리를 제1 서브 프레임(411)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제2 서브 프레임(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서브 프레임(411)은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송하는 구간이며, 제2 서브 프레임(415)은 제1 서브 프레임(411)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지게 마련되어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유리를 단독으로 이송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410)을 제작할 때, 제1 서브 프레임(411)의 후방부 측에 경사지게 제2 서브 프레임(415)을 형성한다.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을 일체형으로 하여, 후술할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430)의 회전롤러(433)가 매끄럽게 제1 서브 프레임(411) 및 제2 서브 프레임(415)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즉,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을 따라 회전롤러(433)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430)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430)은,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에 복수 개 연결되되,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를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부(431)와, 가이드 프레임(410)에 배치되되 롤러부(431)를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 구동부(436)를 포함한다.
롤러부(431)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는데, 롤러부(431)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432)과, 회전축(43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가이드 프레임(410)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회전롤러(433)를 포함한다.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을 구성하는 진공패드(210)가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된 경우에, 롤러부(431)는 각각의 진공패드(210)에 대응되게 진공패드(210)의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즉, 롤러부(431)의 회전축(432)은 진공패드(210)와 연결브라켓(435)에 의해 연결되며, 회전축(432)은 연결브라켓(435)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베어링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복수의 롤러부(431)가 복수의 진공패드(210)를 각각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며, 진공패드(210)의 이송은 회전롤러(433)의 구름운동에 의해 가능하다.
회전롤러(433)는 가이드 프레임(410), 즉 제1 서브 프레임(411) 및 제2 서브 프레임(415)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롤러(433)가 제1 서브 프레임(411) 및 제2 서브 프레임(415)을 따라 이탈되지 않고 제1 서브 프레임(411) 및 제2 서브 프레임(415)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제1 서브 프레임(411)에는 회전롤러(433)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하는 제1 가이드 슬롯(413)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서브 프레임(415)에는 회전롤러(433)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하는 제2 가이드 슬롯(4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가이드 슬롯(413)과 제2 가이드 슬롯(417)은 연속되게 형성되며, 제2 가이드 슬롯(417)은 제1 가이드 슬롯(413)에 대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된 진공패드(210)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롤러(433)는 제1 가이드 슬롯(413) 및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순차로 이동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고 난 후 유리가 안착된 진공패드(210)의 하부에 연결된 회전롤러(433)는 제2 가이드 슬롯(417) 및 제1 가이드 슬롯(413)을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롤러 구동부(436)는, 회전롤러(433)를 제1 가이드 슬롯(413) 및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롤러 구동부(436)는, 회전축(432)의 양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 브라켓(437)과, 가이드 프레임(410)에 배치되되 한 쌍의 이송 브라켓(437)을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하는 이송 브라켓 구동부(439)를 포함한다.
이송 브라켓(437)에는 회전축(432)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회전롤러 안착홈부(438)가 형성된다. 회전롤러 안착홈부(438)에 회전축(432)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 지지된다.
회전롤러 안착홈부(438)는 회전축(432)의 일단부가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는 제1 가이드 슬롯(413)을 따라 이송되는 회전축(432)이 경사진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이송되는 경우에 제1 가이드 슬롯(413)과 제2 가이드 슬롯(417)의 높이차로 인하여 회전축(432)이 회전롤러 안착홈부(438)의 저면에 접촉되어 회전축(432)의 이송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롤러 구동부(436)에 의한 이송은, 이송 브라켓(437) 구동부(439)에 의해 이송 브라켓(437)이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이송 브라켓(437)에 지지된 회전축(432)도 역시 왕복운동을 하며, 이로써 회전롤러(433)가 가이드 프레임(410)의 제1 가이드 슬롯(413) 및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송 브라켓 구동부(439)는, 이송 브라켓(437)에 연결되어 이송 브라켓(437)을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게 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한다.
한편, 제1 가이드 슬롯(413)에 대해 제2 가이드 슬롯(417)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1 가이드 슬롯(413)과 제2 가이드 슬롯(417)의 경계에서, 진공패드(210)에 안착된 유리의 강성에 의해 회전롤러(433)의 하면이 제2 가이드 슬롯(417)에서 들뜨거나, 경사진 제2 가이드 슬롯(417)이 회전롤러(433)의 진행을 방해하는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롤러(433)가 이송되는 방향이 달라지는 경우에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고 회전롤러(433)의 진행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은,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 사이에 배치되되 롤러부(431)가 제1 가이드 슬롯(413)에서 제2 가이드 슬롯(417)의 경사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부 틸팅모듈(450)을 더 포함한다.
롤러부 틸팅모듈(450)은,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 사이에 배치되되 롤러부(431)를 제2 가이드 슬롯(417)의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51)와, 제1 서브 프레임(411)과 제2 서브 프레임(415) 사이에 배치되되 가압부(451)에 롤러부(431)를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워 공급부(455)를 포함한다.
회전롤러(433)가 수평되게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롯(413)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이송됨에 있어, 가압부(451)는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을 제2 가이드 슬롯(417) 방향으로 가압하여 회전롤러(433)의 하면이 제2 가이드 슬롯(417)에서 들뜨지 않게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압부(451)는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에 접촉하여,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을 제2 가이드 슬롯(417)의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453)를 포함한다.
그리고, 파워 공급부(455)는 가압레버(453)에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을 밀착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복수의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이 제2 가이드 슬롯(417)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가압레버(453)를 이용하여 복수의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 모두를 밀착 가압하기 위해서는, 가압레버(453)의 동작을 복수의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의 이송속도에 동기시켜야 한다.
즉, 파워 공급부(455)는 복수의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가 제2 가이드 슬롯(417)에 진입할 때 가압레버(453)가 각각의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레버(453)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파워 공급부(455)는 가압레버(453)를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의 이송속도에 동기시키는 구동모터(457)를 포함한다.
한편, 가압레버(453)에 의해 회전롤러(433) 또는 회전축(432)이 제2 가이드 슬롯(417)의 경사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회전축(432)은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회전롤러 안착홈부(438)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회전롤러(433)의 하면이 제2 가이드 슬롯(417)에 접촉되게 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리 분리유닛(500)은,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초기에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리 분리유닛(500)은, 유리와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 분리부재(510)와, 필름 파지유닛(300)에 연결되되 유리 분리부재(5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리 분리부재(510)는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 분리용 칼날을 포함한다.
유리 분리용 칼날(510)은 실질적으로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10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과 유리 사이로 삽입되어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가 진행되도록 한다.
실제로, 필름과 유리 사이의 표면장력이 큰 경우에는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처럼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를 필름과 유리 사이로 삽입시켜 이동시키면 물리적인 힘에 의해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530)는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530)는 필름 파지유닛(300)에 연결되는 연결부(531)와, 연결부(531)에 연결되되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지지하는 지지부(533)와,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유리합착필름(100)의 이송 방향에 교차하는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534)와,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유리합착필름(100)의 이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535)와,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높이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53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531)에 의해 유리 분리유닛(500)이 필름 파지유닛(300) 측에 연결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예컨대,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한 후, 가이드 프레임(410)에 유리 분리유닛(500)을 연결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리 분리유닛(500)의 설치 위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지지부(533)는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복적 사용에 의해 유리 분리용 칼날(510)이 무뎌진 경우에,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교체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Y축 이송부(534)는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비롯하여 유리 분리용 칼날(510)이 지지되는 지지부(533)를 유리합착필름(100)의 이송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X축 이송부(535)는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유리합착필름(100)의 이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0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송부(535)에 의해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도 10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Y축 이송부(534)가 동작되어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필름과 유리의 전방부에 위치한 변의 전체 영역이 초기 분리될 수 있다.
Z축 이송부(536)는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유리 분리용 칼날(510)을 비롯하여 유리 분리용 칼날(510)이 지지되는 지지부(533)를 높이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X축 이송부(535), Y축 이송부(534) 및 Z축 이송부(536)는 모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필름 파지유닛(300),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400) 및 유리 분리유닛(500)에 의한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에 진공 흡착되고,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은 필름 파지부재(310)에 의해 진공 흡착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제1 서브 프레임(411)의 제1 가이드 슬롯(413) 및 제2 서브 프레임(415)의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이송된다.
유리합착필름(100)이 제1 가이드 슬롯(413)을 따라 제2 가이드 슬롯(417)에 인접하게 이송된 경우에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유리와 필름의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필름 파지유닛(300)의 전방부에 유리 분리유닛(500)이 마련된다.
즉, 유리합착필름(100)의 전방부가 제2 가이드 슬롯(417)에 인접하게 이송된 경우에, 유리 분리유닛(500)의 Z축 이송부(536)에 의해 유리 분리부재(510) 즉,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 사이의 앞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유리 분리유닛(500)의 X축 이송부(535)에 의해 유리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유리와 필름 사이로 진입되며, 유리 분리유닛(500)의 Y축 이송부(534)에 의해 유리와 필름의 전방부에 위치한 변의 전체 영역이 초기 분리된다.
이처럼, 유리와 필름의 초기 분리가 진행된 후에, 필름 파지부재(310)와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가 경사진 제2 가이드 슬롯(417)의 해당 경로를 따라 이송되면, 특히 유리를 흡착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가 제2 가이드 슬롯(417)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되면, 초기에 분리가 완료된 유리와 필름이 필름 파지부재(310) 및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의 이송동작에 의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이 완전 분리되면, 필름 파지부재(310)는 필름을 후공정인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이송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유리는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유리 적재부(미도시)로 이송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거나 유리가 적재된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후 별도의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유리를 유리 적재부(미도시)로 이송할 수 있다.
즉, 필름 파지부재(310) 및 유리합착필름 안착부(200)는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기 이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와 같은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유리합착필름 200: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210: 진공패드 211: 진공홀
213: 패드부 230: 진공챔버
231: 단차부 233: 진공슬롯
235: 공기순환통로 237: 공기유동공간
300: 필름 파지유닛 310: 필름 파지부재
311: 몸체부 313: 노즐브라켓
315: 흡착노즐 330: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
400: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 410: 가이드 프레임
411: 제1 서브 프레임 413: 제1 가이드 슬롯
415: 제2 서브 프레임 417: 제2 가이드 슬롯
430: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 431: 롤러부
432: 회전축 433: 회전롤러
435: 연결브라켓 436: 롤러 구동부
437: 이송 브라켓 438: 회전롤러 안착홈부
439: 이송 브라켓 구동부 450: 롤러부 틸팅모듈
451: 가압부 453: 가압레버
455: 파워 공급부 457: 구동모터
500: 유리 분리유닛 510: 유리 분리부재
530: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 531: 연결부
533: 지지부 534: Y축 이송부
535: X축 이송부 536: Z축 이송부

Claims (18)

  1.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유닛; 및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가 이송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필름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상기 필름 파지유닛과 함께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는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필름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에서 분리된 상기 유리를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 이송모듈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복수 개 연결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롤러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이송 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이송 브라켓을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게 하는 이송 브라켓 구동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접촉 지지되며, 높이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롤러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브라켓 구동부는,
    상기 이송 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롯; 및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슬롯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가 상기 제1 가이드 슬롯에서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부 틸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 틸팅모듈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롤러부를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가압부에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파워 공급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2 가이드 슬롯의 경사방향으로 상기 롤러부를 밀착하여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파워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롤러부의 이송속도에 동기되어 상기 가압레버가 복수의 상기 롤러부를 각각 밀착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안착부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에 밀착되어 상기 유리를 진공흡착하는 진공패드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필름을 파지하는 필름 파지부재; 및
    상기 필름 파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이송시키는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부재 이송부는,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진행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상기 X축 이송부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 및
    상기 필름 파지부재를 높이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지유닛은,
    상기 필름 파지부재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리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유리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유리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리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유리 분리부재; 및
    상기 필름 파지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 분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유리 분리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20120095711A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139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11A KR101396224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11A KR101396224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43A true KR20140029843A (ko) 2014-03-11
KR101396224B1 KR101396224B1 (ko) 2014-05-19

Family

ID=5064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711A KR101396224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338A1 (ko) * 2018-03-20 2019-09-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디본딩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본딩 방법
KR102093949B1 (ko) * 2019-11-22 2020-03-26 주식회사 한송네오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일괄 필름 분리 및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862B1 (ko) * 1999-06-02 2001-12-12 김병선 에프, 씨, 디이 브라운관의 화면에 필름의 자동접착장치
KR100831431B1 (ko) 2007-02-09 2008-05-21 한동희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KR101217147B1 (ko) * 2010-05-04 2012-12-31 투비엔스 주식회사 펜형 휴대용 인슐린 주입 장치
KR101203896B1 (ko) * 2011-01-12 2012-11-2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338A1 (ko) * 2018-03-20 2019-09-26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디본딩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본딩 방법
KR20190110266A (ko) * 2018-03-20 2019-09-3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디본딩 서포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본딩 방법
KR102093949B1 (ko) * 2019-11-22 2020-03-26 주식회사 한송네오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일괄 필름 분리 및 검사 장치
CN112830251A (zh) * 2019-11-22 2021-05-25 汉松新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制造用一批膜分离及检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224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527B1 (ko) 필름 박리 장치
KR101365074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KR101400676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20120107360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방법
KR10139622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20160111601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1203896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KR101545498B1 (ko) 기능성 필름 커팅장치
CN108218212A (zh) 基板切割设备
KR102593615B1 (ko) 기판 절단 장치
JP2006308912A (ja) 光学シートの供給方法及び装置
JP5015107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用の面取り機及びその面取り加工方法
KR20140024827A (ko) 고정밀도 전자동 라미네이팅 장치
KR20170021622A (ko) 패널 편광 필름 부착 시스템
KR101545499B1 (ko) 기능성 필름 커팅장치
JP2015147292A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KR1008323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자파 차폐 필름 부착기
KR101504147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JP4854337B2 (ja) 板材の加工装置とそれを備えた加工設備
KR101353993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JP2006259059A (ja) パネル組立装置およびパネル組立方法
KR101609712B1 (ko) 흡착지그
KR101365080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143066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1289706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