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080B1 -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080B1
KR101365080B1 KR1020120095710A KR20120095710A KR101365080B1 KR 101365080 B1 KR101365080 B1 KR 101365080B1 KR 1020120095710 A KR1020120095710 A KR 1020120095710A KR 20120095710 A KR20120095710 A KR 20120095710A KR 101365080 B1 KR101365080 B1 KR 10136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unit
porous belt
bon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제
최병권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09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유리를 파지하는 유리 파지유닛;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를 구비하며, 유리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유리를 파지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유리 파지유닛과 함께 유리합착필름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 및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FILM SEPARATING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러스 벨트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사용하여 포러스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 디스플레이(FPD)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종래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며, 평면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필름 분리장치에 대한 동작도로서, 회전형 진공롤(10)을 이용하여 유리(glass) 기판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필름(film)을 유리 기판으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때, 유리 기판은 LCD 또는 PDP용 기판일 수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진공롤(10)이 보호필름에 진공으로 흡착된 후에,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진공롤(10)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유리 기판이 화살표 B 방향으로 진행됨으로써 유리 기판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유리 기판으로부터 제거되는 보호필름은 손상이 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회전형 진공롤(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빠른 속도록 보호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적용되는 LCD 또는 PDP용 기판과 달리, OLED 플렉서블 셀(Flexible Cell) 물류에 적용되는 OLED용 기판의 경우에는 필름(EL)이 사용되고 유리(glass)가 제거되는 방식을 가지기 때문에 유리 제거 시 필름이 손상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OLED용 기판의 경우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진공롤(10)을 이용하게 되면, 유리가 제거된 필름이 진공롤(10)의 표면을 따라 빠져나오면서 굽어지게 되므로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려면 사이즈가 큰 진공롤(미도시)을 사용해야 하는데, 진공롤에 형성되는 진공홀에 의하여 필름에 자국이 남게되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워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필름을 포러스 벨트에 안착한 후 경사지게 이송하여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고 있으나, 포러스 벨트의 특정영역에만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되어 이송되는 등 포러스 벨트의 특정영역만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므로, 포러스 벨트의 특정영역이 파손, 훼손 등이 되는 경우에는 포러스 벨트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33887 ((주) 와이티에스) 2006.04.2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포러스 벨트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사용함으로써, 포러스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를 파지하는 유리 파지유닛;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를 구비하며, 상기 유리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를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상기 유리 파지유닛과 함께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 및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포러스 벨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와, 상기 유리합착필름에서 분리된 상기 필름을 상기 수평 이송부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경사 이송부를 구비한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러스 벨트는,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러스 벨트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필름이 안착되는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진공홀에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진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진공슬롯이 형성된 진공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 연결부; 및 상기 경사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 이송부에 대한 상기 경사 이송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한 후, 상기 포러스 벨트에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된 초기 위치와 다른 위치에 새로운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상기 수평 이송부 및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는, 상기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에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블록; 및 일단부가 상기 포러스 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블록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포러스 벨트가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하는 한 쌍의 릴부재; 상기 한 쌍의 릴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공기의 유출입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릴부재의 내주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는 에어 샤프트(air shaft)일 수 있다.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릴부재에 권취된 상기 포러스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합착하여 파지하는 유리 파지부재; 및 상기 유리 파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는,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경사 이송부의 이송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X축 이송부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 및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경사 이송부에 대해 상하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 파지부재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필름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필름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필름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 분리부재; 및 상기 유리 파지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분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포러스 벨트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포러스 벨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의 필름 분리장치에 대한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벨트와 진공챔버의 하나의 단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상태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로서, 필름 분리부재에 의해 유리와 필름이 초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의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의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glass) 및 필름(EL)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OLED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필름(EL)을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및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벨트와 진공챔버의 하나의 단위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 상태 단면 구조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로서, 필름 분리부재에 의해 유리와 필름이 초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의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glass)의 일면에 필름(EL)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를 파지하는 유리 파지유닛(200)과,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310)를 구비하며, 유리 파지유닛(200)을 이용하여 유리를 파지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100)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유리 파지유닛(200)과 함께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과, 포러스 벨트(310)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과,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유리와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필름 분리유닛(50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파지유닛(200)은, 유리합착필름(100)이 이송되는 작업 라인 상에서 상부에 위치한 유리를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 파지유닛(200)은 진공에 의한 흡착 방식으로 유리를 파지할 수 있다.
유리 파지유닛(200)은, 유리합착필름(100)을 파지하는 유리 파지부재(210)와, 유리 파지부재(210)에 연결되되 유리 파지부재(210)를 이송시키는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230)와, 유리 파지부재(210)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필름 가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유리 파지부재(210)는 진공에 의한 흡착 방식으로 유리를 파지하며, 유리 파지부재(210)는 몸체부(211)와, 몸체부(211)에 연결되는 복수의 노즐브라켓(213)과, 복수의 노즐브라켓(213)에 각각 연결되고 진공압에 의해 유리를 흡착하는 복수의 흡착노즐(215)을 포함한다.
몸체부(211)는 파지될 유리의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다. 예컨대, 유리의 사이즈가 가로/세로 2 미터(m)인 경우에, 몸체부(211)는 유리 면적과 같거나 그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제작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213)은 복수의 흡착노즐(21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213)은 몸체부(211)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다.
복수의 노즐브라켓(213)에는 높낮이 조절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흡착노즐(215)의 단부들 모두가 동일평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흡착노즐(215)이 장착되는 노즐브라켓(213)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다른 흡착노즐(215)들과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부는 볼트와 너트의 간단한 조합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복수의 흡착노즐(215)은 실질적으로 유리를 진공으로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흡착노즐(215)은 하나의 노즐브라켓(213)에 2개씩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노즐브라켓(213)에 1개씩 마련되거나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유리 파지부재(210)에 의해 유리가 진공으로 파지될 때, OLED를 형성하는 LTPS, EL, 박막봉지로 인하여 필름의 테두리부 영역이 후술할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에서 이동 시 들뜰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유리 파지부재(210)가 유리를 잘 파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파지부재(210)의 전방부에는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필름 가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즉, 필름 가압부로 필름을 가압하여, 필름의 전방부가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의 경사 이송부(333) 표면에 잘 흡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유리 파지유닛(200)이 유리를 흡착함으로써 흡착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230)는, 유리 파지부재(2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230)는, 유리 파지부재(210)를 경사 이송부(333)의 이송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231)와, 유리 파지부재(210)를 X축 이송부(231)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233)와, 유리 파지부재(210)를 경사 이송부(333)에 대해 상하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235)를 포함한다.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230)는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은, 유리 파지부재(210)를 이용하여 유리를 파지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100)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면서 유리 파지유닛(200)과 함께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은,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310)와,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포러스 벨트(310)가 수평방향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프레임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부(330)는, 포러스 벨트(310)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311)에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진공홀(311)과 연통되는 복수의 진공슬롯(337)이 형성된 진공챔버(335)와, 포러스 벨트(3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331)와, 유리합착필름(100)에서 분리된 필름을 수평 이송부(331)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경사 이송부(333)를 포함한다.
포러스 벨트(310)는 안착된 유리합착필름(100)을 진공에 의한 흡착방식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포러스 벨트(310)는 실질적으로 필름에 직접 접촉되어 필름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이 포러스 벨트(310)에 안착된다.
도 5 및 도 6은 포러스 벨트(310)와 진공챔버(335)의 하나의 단위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포러스 벨트(310)는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이 안착되는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311)을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부(330)에는 포러스 벨트(310)의 복수의 진공홀(311)에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진공홀(311)과 연통하는 복수의 진공슬롯(337)이 형성된 진공챔버(335)가 마련된다.
진공챔버(335)는 포러스 벨트(310)의 하부에 고정되는데 반해, 포러스 벨트(310)는 실질적으로 필름에 직접 접촉되어 필름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포러스 벨트(310)는 프레임부(330)의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이송되면서 필름을 강제로 이송한다.
한편, 진공챔버(335)의 상면에 형성된 진공슬롯(337)은, 진공챔버(335)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낮게 단차진 단차부(336)에 형성된다. 그리고, 진공슬롯(337)과 대향된 진공챔버(335)의 하면에는 공기순환통로(338)가 형성된다.
진공챔버(335) 내의 공기유동공간(339)은 상호간 개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존(Z1,Z2,Z3)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진공슬롯(337)은 각 존(Z1,Z2,Z3)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진공챔버(335)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진공챔버(335) 내의 공기유동공간(339)이 상호간 개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존(Z1,Z2,Z3)으로 형성되고 각 존(Z1,Z2,Z3)에 하나씩 대응되도록 진공슬롯(337)이 분할되어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한 존(Z1,Z2,Z3)에 진공의 리크(leak)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다른 존(Z1,Z2,Z3)들을 통해 진공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포러스 벨트(310)와 필름 간의 진공 흡착이 해제되어 필름의 이송이 실패로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진공슬롯(337)은 포러스 벨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공챔버(335)의 상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또한 진공챔버(335) 내의 공기유동공간(339) 역시 반드시 개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존(Z1,Z2,Z3)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처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펌프(미도시)가 동작되면, 진공홀(311)의 외부에서 진공홀(311) 및 진공슬롯(337)을 경유하여 진공챔버(335) 내의 공기유동공간(339) 및 공기순환통로(338) 쪽으로 진공이 형성됨에 따라 포러스 벨트(310)의 표면에서 필름은 진공으로 흡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부(330)의 수평 이송부(331)는 유리 파지부재(210)에 의해 유리가 파지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이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송되는 구간이며, 경사 이송부(333)는 수평 이송부(331)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경사지게 마련되어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이 단독으로 이송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 이송부(331)와 경사 이송부(333)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330)를 제작할 때 수평 이송부(331)의 후방부 측에 경사 이송부(333)를 형성할 수 있다.
유리와 필름이 분리된 이후, 포러스 벨트(310)에 안착된 필름은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이송되므로, 필름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필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프레임부(330)를 이루는 수평 이송부(331)와 경사 이송부(333)는 분리형으로 하는 경우에, 프레임부(330)는 수평 이송부(331)와 경사 이송부(333)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프레임부(330)는 수평 이송부(331)와 경사 이송부(333)를 별도로 제작한 후에, 힌지 역할을 하는 회전 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프레임부(330)는 경사 이송부(333)에 연결되어 수평 이송부(331)에 대한 경사 이송부(333)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엑츄에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조절 엑츄이에터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330)는 필름이 안착된 포러스 벨트(310)가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필름 분리유닛(500)은,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초기에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필름 분리유닛(500)은, 유리와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 분리부재(510)와, 유리 파지유닛(200)에 연결되되 필름 분리부재(5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름 분리부재(510)는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 분리용 칼날로 구성될 수 있다.
필름 분리용 칼날(510)은 실질적으로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8의 (a) 및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과 유리 사이로 삽입되어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가 진행되도록 한다.
실제로, 필름과 유리 사이의 표면장력이 큰 경우에는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본 실시예처럼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를 필름과 유리 사이로 삽입시켜 이동시키면 물리적인 힘에 의해 필름과 유리 간의 초기 분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530)는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530)는 유리 파지유닛(200)에 연결되는 연결부(531)와, 연결부(531)에 연결되되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지지하는 지지부(533)와,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경사 이송부(333)의 이송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534)와,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경사 이송부(333)의 이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535)와,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53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531)에 의해 필름 분리유닛(500)이 유리 파지유닛(200) 측에 연결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예컨대,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한 후, 프레임에 필름 분리유닛(500)을 연결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름 분리유닛(500)의 설치 위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지지부(533)는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복적 사용에 의해 필름 분리용 칼날(510)이 무뎌진 경우에,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교체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X축 이송부(535)는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경사 이송부(333)의 이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X축 이송부(535)에 의해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Y축 이송부(534)는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비롯하여 필름 분리용 칼날(510)이 지지되는 지지부(533)를 경사 이송부(333)의 이송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Y축 이송부(534)가 동작되어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필름과 유리의 전방부에 위치한 변의 전체 영역이 초기 분리될 수 있다.
Z축 이송부(536)는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필름과 유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필름 분리용 칼날(510)을 비롯하여 필름 분리용 칼날(510)이 지지되는 지지부(533)를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X축 이송부(535), Y축 이송부(534) 및 Z축 이송부(536)는 모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유리 파지유닛(200),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 및 필름 분리유닛(500)에 의한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는 유리 파지부재(210)에 의해 파지되고,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은 수평 이송부(331) 상에 마련된 포러스 벨트(310)에 흡착된 상태에서 수평 이송부(331)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100)이 수평 이송부(331)를 따라 경사 이송부(333)에 인접하게 이송된 경우에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유리와 필름의 원활한 분리를 위하여 유리 파지유닛(200)의 전방부에 필름 분리유닛(500)이 마련된다.
즉, 유리합착필름(100)의 전방부가 경사 이송부(333)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이송된 경우에, 필름 분리유닛(500)의 Z축 이송부(536)에 의해 필름 분리부재(510) 즉,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유리합착필름(100)의 유리와 필름 사이의 앞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필름 분리유닛(500)의 X축 이송부(535)에 의해 필름 분리용 칼날(510)의 선단부가 유리와 필름 사이로 진입되며, 필름 분리유닛(500)의 Y축 이송부(534)에 의해 유리와 필름의 전방부에 위치한 변의 전체 영역이 초기 분리된다.
이처럼, 유리와 필름의 초기 분리가 진행된 후에, 유리 파지부재(210)와 포러스 벨트(310)가 해당 경로를 따라 이송되면, 특히 필름을 흡착한 포러스 벨트(310)가 필름을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면, 초기에 분리가 완료된 유리와 필름이 유리 파지부재(210) 및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의 경사 이송부(333)의 동작에 의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이 완전 분리되면, 유리 파지부재(210)는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230)에 의해 유리를 유리 적재부(미도시)에 적재시킨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필름은 별도의 이송수단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송되며 포러스 벨트(310)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즉, 유리 파지부재(210) 및 포러스 벨트(310)는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기 이전의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한 후에, 특히 포러스 벨트(31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하는 공정을 반복하는 경우에 유리합착필름(100)의 필름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의 특정영역만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이로써 필름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의 특정영역의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파손 및 훼손되는 정도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포러스 벨트(310)의 전체 영역을 균등하게 사용하여 포러스 벨트(310)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러스 벨트(310)의 전체 영역을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이 마련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은,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한 후, 포러스 벨트(310)에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된 초기 위치(B)와 다른 위치(C)에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포러스 벨트(310)를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을 포함한다.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은,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분리한 후 분리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의 초기 위치(B) 및 초기 위치(B)와 다른 위치(C)로 포러스 벨트(3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은 포러스 벨트(310) 상에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은, 포러스 벨트(310)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와,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포러스 벨트(310)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포러스 벨트(310)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를 포함한다.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는 포러스 벨트(310)가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왕복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는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부(330)에 설치된 리니어 모터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가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왕복운동하게 한다. 리니어 모터의 왕복운동에 의하는 경우에 리니어 모터의 왕복운동 거리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의 이송거리가 제한된다.
그리고,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는, 유리합착필름(100)으로부터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된 후,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가 초기 위치(B)로 복귀한 경우에 종전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된 포러스 벨트(310) 상의 위치와 다른 위치(C)에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포러스 벨트(310)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는 포러스 벨트(310) 상의 유리합착필름(100)의 위치를 변경하는 잡 체인지(job change)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는,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에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블록(436)과, 일단부가 포러스 벨트(310)에 연결되며 구동블록(436)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포러스 벨트(310)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포러스 벨트(310)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100)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체(4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블록(436)은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를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에 연결되어 리니어 모터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그리고, 구동체(437)는 구동블록(436)의 상면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포러스 벨트(310)에 연결되어 있어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를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의 왕복운동에 관계없이 구동체(437)의 왕복운동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가 수평 이송부(331) 및 경사 이송부(333)를 따라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체(437)는 구동블록(436)의 상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를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와는 별개의 리니어 모터 또는 구동블록(436)의 상면에서 왕복운동 가능한 LM 가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에 의한 포러스 벨트(310)의 이송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파지유닛(200),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 및 필름 분리유닛(500)에 의해 유리합착필름(100)이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된 후, 포러스 벨트(310)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에 의해 초기 위치(B)로 복귀된다.
즉, 유리합착필름(100)을 유리와 필름으로 상호 분리한 후,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포러스 벨트(310)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된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에 의해 초기 위치(B)로 복귀된다.
그리고, 포러스 벨트(310)에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된 후 종전과 같은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포러스 벨트(310) 중 특정영역에 계속하여 유리합착필름(100)을 안착하고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포러스 벨트(310)의 특정영역이 손상, 훼손되므로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 상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를 이용하여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 상의 위치를 변경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435)는 구동블록(436)이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430)를 구성하는 리니어 모터에 연결되어 리니어 모터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한다.
그리고,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 상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블록(436)의 상면에서 왕복운동하는 구동체(437)를 유리합착필름(100)의 진행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구동체(437)의 이동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 상에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포러스 벨트(310) 상에 유리합착필름(100)이 안착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포러스 벨트(310) 전체를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포러스 벨트(310)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데 필요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측면 구조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측면구조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나타내는 구조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의 동작 전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는,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100a)의 유리를 파지하는 유리 파지유닛(200a)과,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300a)를 구비하며, 유리 파지유닛(200a)을 이용하여 유리를 파지된 상태에서 유리합착필름(100a)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유리 파지유닛(200a)과 함께 유리합착필름(100a)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a)과, 포러스 벨트(310a)에 안착되는 유리합착필름(100a)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a)과, 유리합착필름(100a)의 유리와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유리와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필름 분리유닛(500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의 유리 파지유닛(200a),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a) 및 필름 분리유닛(500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파지유닛(200),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 및 필름 분리유닛(5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a)은, 유리합착필름(100a)을 유리와 필름으로 분리한 후, 포러스 벨트(310a)에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된 초기 위치(D)와 다른 위치(E)에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포러스 벨트(310a)를 수평 이송부(331a) 및 경사 이송부(333a)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을 포함한다.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은 포러스 벨트(310a) 상에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위치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포러스 벨트(310a) 상에 안착된 유리합착필름(100a)을 수평 이송부(331a) 및 경사 이송부(333a)를 따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은,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 마련되되 포러스 벨트(310a)가 수평 이송부(331a)와 경사 이송부(333a)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포러스 벨트(310a)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하는 한 쌍의 릴부재(450a)와, 한 쌍의 릴부재(450a)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축(451a)과, 회전축(451a)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구동부(453a)와,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 마련되되 한 쌍의 릴부재(450a)에 권취된 포러스 벨트(310a)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455a)를 포함한다.
한 쌍의 릴부재(450a)는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 마련되며 포러스 벨트(310a)를 권취 및 권출하면서 포러스 벨트(310a)가 수평 이송부(331a) 및 경사 이송부(333a)를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릴부재(450a)는 회전축 구동부(453a)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포러스 벨트(310a)의 이송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한 쌍의 릴부재(450a) 각각에는 회전축(451a)이 삽입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451a)은 공기의 유출입에 의해 한 쌍의 릴부재(450a)의 내주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는 에어 샤프트(air shaft)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릴부재(450a)에 권취된 포러스 벨트(310a)가 수평 이송부(331a) 및 경사 이송부(333a)를 따라 이송되면서 느슨하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는 한 쌍의 릴부재(450a)에 권취된 포러스 벨트(310a)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455a)가 마련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부(455a)는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 마련된 롤러타입으로 구성되며, 롤러의 상하 운동에 의해 포러스 벨트(310a)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장력 조절부(455a)는 포러스 벨트(310a)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포러스 벨트(310a)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은 회전축 구동부(453a)의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회전축(451a)인 에어 샤프트에 전달하여 에어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릴부재(450a)에 포러스 벨트(310a)를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은, 프레임부(330a)의 일측에 마련되어 회전축(451a)을 지지하는 지지 실린더(456a)와, 회전축 구동부(453a)와 회전축(451a) 사이에 개재된 클러치(457a)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400a)에 의한 포러스 벨트(310a)의 이송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을 참조하면, 유리 파지유닛(200a),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300a) 및 필름 분리유닛(500a)에 의해 유리합착필름(100a)이 유리와 필름로 상호 분리된 후, 포러스 벨트(310a)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410a)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즉, 유리합착필름(100a)을 유리와 필름으로 상호 분리한 후,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될 수 있도록 포러스 벨트(310a)는 회전축 구동부(453a)의 동작에 의한 한 쌍의 릴부재(450a)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초기 위치(D)로 복귀된다.
그리고, 포러스 벨트(310a)에 새로운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된 후 종전과 같은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포러스 벨트(310a) 중 특정영역에 계속하여 유리합착필름(100a)을 안착하고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포러스 벨트(310a)의 특정영역이 손상, 훼손되므로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a) 상의 위치를 변경(E)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8을 참조하면, 포러스 벨트(310a)를 복귀시키는 데 있어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a)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한 쌍의 릴부재(450a)를 이전 복귀작업에 필요한 회전 수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하여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310a) 상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처럼, 포러스 벨트(310a) 상에 유리합착필름(100a)이 안착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포러스 벨트(310a) 전체를 균등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포러스 벨트(310a)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유리와 필름을 상호 분리하는데 필요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100a: 유리합착필름 200,200a: 유리 파지유닛
210,210a: 유리 파지부재 230,230a: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
300,300a: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 310,310a: 포러스 벨트
330,330a: 프레임부 331,331a: 수평 이송부
333,333a: 경사 이송부 400,400a: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
410,410a: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 430: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
435: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 436: 구동블록
437: 구동체 450a: 한 쌍의 릴부재
451a: 회전축 453a: 회전축 구동부
455a: 장력 조절부 500,500a: 필름 분리유닛
510,510a: 필름 분리부재 530,530a: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

Claims (14)

  1. 유리의 일면에 필름이 합착된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를 파지하는 유리 파지유닛;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되는 포러스 벨트(porous belt)를 구비하며, 상기 유리 파지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를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이송하여 상기 유리 파지유닛과 함께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하는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 및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및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포러스 벨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 이송부와, 상기 유리합착필름에서 분리된 상기 필름을 상기 수평 이송부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이송하는 경사 이송부를 구비한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러스 벨트는,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러스 벨트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필름이 안착되는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진공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복수의 진공홀에 진공압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진공홀과 연통되는 복수의 진공슬롯이 형성된 진공챔버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상호 연결하는 회전 연결부; 및
    상기 경사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 이송부에 대한 상기 경사 이송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합착필름 위치 변경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으로 분리한 후, 상기 포러스 벨트에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된 초기 위치와 다른 위치에 새로운 상기 유리합착필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상기 수평 이송부 및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 가능하게 하는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러스 벨트 구동부는,
    상기 제1 포러스 벨트 구동부에 연결되어 왕복운동하는 구동블록; 및
    일단부가 상기 포러스 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블록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상기 포러스 벨트를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상기 포러스 벨트에 안착되는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포러스 벨트가 상기 수평 이송부와 상기 경사 이송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포러스 벨트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권취 및 권출하는 한 쌍의 릴부재;
    상기 한 쌍의 릴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공기의 유출입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릴부재의 내주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는 에어 샤프트(air sha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러스 벨트 이송모듈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릴부재에 권취된 상기 포러스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합착필름을 합착하여 파지하는 유리 파지부재; 및
    상기 유리 파지부재에 연결되되,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이송시키는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지부재 이송부는,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경사 이송부의 이송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 이송부;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X축 이송부에 교차되는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 및
    상기 유리 파지부재를 상기 경사 이송부에 대해 상하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Z축 이송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지유닛은,
    상기 유리 파지부재의 전방부에 마련되되, 상기 유리합착필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필름의 전방부를 가압하는 필름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합착필름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을 초기에 분리하는 필름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 분리유닛은,
    상기 유리와 상기 필름 사이에 삽입되는 필름 분리부재; 및
    상기 유리 파지유닛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분리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름 분리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20120095710A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136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10A KR101365080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10A KR101365080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080B1 true KR101365080B1 (ko) 2014-02-26

Family

ID=5027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710A KR101365080B1 (ko) 2012-08-30 2012-08-30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431B1 (ko) 2007-02-09 2008-05-21 한동희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KR20080054167A (ko) * 2006-12-12 2008-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JP2011190071A (ja) 2010-03-16 2011-09-29 Canon Inc 記録装置
KR20120081911A (ko) * 2011-01-12 2012-07-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167A (ko) * 2006-12-12 2008-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KR100831431B1 (ko) 2007-02-09 2008-05-21 한동희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JP2011190071A (ja) 2010-03-16 2011-09-29 Canon Inc 記録装置
KR20120081911A (ko) * 2011-01-12 2012-07-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527B1 (ko) 필름 박리 장치
KR100961541B1 (ko)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JP2009109979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TWI570044B (zh) 片材操作方法
KR101746605B1 (ko) 카세트 이송 시스템
KR20170112003A (ko) 시트형 필름 절단기
US8376012B2 (en) Component press-bonding apparatus and component press-bonding method
EP3435145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ilm from a display device
KR101203896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JP2006308912A (ja) 光学シート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365080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10156122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KR101396224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분리장치
KR20160109636A (ko) 기판 회전 장치
KR101731262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20170021622A (ko) 패널 편광 필름 부착 시스템
KR101318175B1 (ko) 필름 공급장치
KR101504147B1 (ko) 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KR101353993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유리 제거장치
JP2009036897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167076B1 (ko) 기판 이송장치
KR10143066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CN107265838A (zh) 划片设备
KR1018730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0388522Y1 (ko) 패널시트 클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