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129A - 세탁기용 댐퍼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129A
KR20140029129A KR1020130046681A KR20130046681A KR20140029129A KR 20140029129 A KR20140029129 A KR 20140029129A KR 1020130046681 A KR1020130046681 A KR 1020130046681A KR 20130046681 A KR20130046681 A KR 20130046681A KR 20140029129 A KR20140029129 A KR 20140029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unit
cylinder
bearing housing
coil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770B1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자와
요시노리 가네다
신이치로 가와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2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6Magnetic or 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5Fluids magnetorheolog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실린더에 대하여 코일 유닛을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세탁기용 댐퍼를 제공한다.
원통형 실린더와,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 등을 몰드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코일 유닛과, 코일 유닛의 양단부에 배치하여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상태로 실린더 내에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과, 코일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밖으로 도출된 리드선과, 코일 유닛 중앙부에 코일 유닛의 내주면과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두고 관통하며, 또한 베어링 하우징에 축 지지되어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로드와 코일 유닛의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일단측의 베어링 하우징을, 실린더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접합되는 코일 유닛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했다.

Description

세탁기용 댐퍼{DAMPER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조를 방진 지지하는 데에 유효한 세탁기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이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수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서스펜션을 설치하고 드럼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대처하고 있다. 상기 서스펜션은 진동 에너지를 소산(消散)시켜 충격 또는 진동의 진폭을 경감시키는, 소위 진동에 대한 감쇠 작용을 발휘하는 댐퍼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서스펜션의 댐퍼에는 예를 들어 자장의 강도에 따라 점도가 변화되는 자기점성유체(MR유체)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자기점성유체를 사용한 댐퍼로서는 보빈에 감겨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과, 보빈의 양단부에 설치된 요크를 열가소성 수지로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코일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닛은 원통형상의 실린더 내에 수용되고, 그 양단부에 배치된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로드가 삽입 통과되어 축지지되며 또한 로드는 코일 유닛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관통하고, 그 간극에 자기점성유체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댐퍼 구성에 의해 수조의 진동에 연동하여 로드가 왕복운동함으로써, 로드와 자기점성유체 사이에 마찰접촉에 기초하는 마찰 저항이 발생하고, 상기 마찰저항에 의해 수조의 진동진폭을 빠르게 감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자기점성유체에 코일유닛으로부터의 자장이 인가됨으로써 마찰저항을 크게 하고, 또는 마찰저항을 가변시킬 수 있어 원하는 감쇠작용을 제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코일에 통전하기 위해 코일 유닛으로부터 리드선이 실린더 밖으로 도출되어 있지만, 드럼의 회전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은 당연히 댐퍼에도 전달된다.
이 진동은 실린더 내에 수용된 코일유닛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리드선이나 코일이 인장되어 단선될 우려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1163호
그래서, 실린더에 대하여 코일유닛을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세탁기용 댐퍼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용 댐퍼에 따르면 세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을 감은 보빈, 상기 보빈의 양단부에 배치된 요크를 몰드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코일 유닛과, 상기 코일 유닛의 양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코일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 밖에 도출된 리드선과, 상기 코일 유닛 중앙부에 상기 코일 유닛의 내주면과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두고 관통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서 축 지지되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상기 코일 유닛의 사이의 상기 간극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일단측의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접합되는 상기 코일 유닛을 요철 끼워 맞춤으로 실린더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용 댐퍼에 따르면, 세탁기의 수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을 감은 보빈, 상기 보빈의 양단부에 배치된 요크를, 몰드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코일 유닛과, 상기 코일 유닛의 양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코일 유닛 중앙부에 상기 코일 유닛의 내주면과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두고 관통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으로 축 지지되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와, 상기 로드와 상기 코일 유닛과의 사이의 상기 간극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코일 유닛의 외주부위와의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코일 유닛을 상기 실린더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댐퍼.
이에 의해, 실린더에 대하여 코일유닛을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므로 리드선이나 코일을 단선시킬 우려가 없는 세탁기용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댐퍼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유닛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상당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상당도이다.
도 6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실린더의 외관도이다.
도 6의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상당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도 6 상당도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3에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드럼식 세탁기(이하, 간단히 세탁기라고 함)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했지만,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세탁기의 기본적 구성으로 해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외부상자(1)의 전면(前面)부(도시 우측)에 형성한 세탁물 출입구(2)에는, 출입구(2)를 개폐하는 문(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상자(1)의 전면부의 상부에는 조작 패널(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이면측(외부상자(1) 내)에 운전 제어용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상자(1)의 내부에는 저수 가능한 수조(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6)는 축방향을 전후 방향(도 3 중의 좌우 방향)으로 하는 횡축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수조(6)를 외부상자(1)의 저판(1a)상에 좌우 한쌍(한쪽만 도시)의 서스펜션(7)에 의해 탄성적으로 방진 지지하고, 또한 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7)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조(6)의 배부(背部)에는 모터(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8)는 예를 들어 직류 브러시리스모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아우터로터형이고, 로터(8a)의 중심부에 부착된 회전축(도시 생략)을 베어링 브래킷(9)을 통하여 수조(6)를 관통하여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수조(6)의 내부에는 회전조로서의 드럼(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10)의 둘레측부(몸체부)에는 그 거의 전역에 걸쳐 소구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일부만 도시). 상기 드럼(10)도 수조(6)와 동일하게, 축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는 횡축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것을 후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모터(8)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부착함으로써 수조(6)와 동축의 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드럼(10)은 모터(8)와 직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조로서 기능하고, 모터(8)는 드럼(10)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장치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드럼(10) 및 수조(6)는 모두 전면측에 개구부(12, 13)를 갖고 있고, 그 중의 수조(6)의 개구부(13)는 환형상의 벨로우즈(14)를 통하여 세탁물 출입구(2)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물 출입구(2)는 벨로우즈(14), 수조(6)의 개구부(13) 및 드럼(10)의 개구부(12)를 통하여 드럼(10)의 내부에 연통하고 있다.
수조(6)의 최저부가 되는 저부(底部)에서의 후부에는 배수밸브(15)를 통하여 배수관(16)이 접속되어 있어, 수조(6) 내의 물을 기외(機外)로 배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수조(6)의 배부로부터 상방 그리고 전방에 걸쳐서 연장되는 순환풍로(21)를 갖는 건조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장치(17)는 순환풍로(21)에 연통하여 제습기(18), 송풍기(19) 및 가열기(20)를 배치하여 구성되고, 수조(6) 내의 공기를 제습하고 이어서 가열하여 수조(6) 내에 되돌리는 순환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드럼(10)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여기에서, 상기한 서스펜션(7)의 상세 구조를 설명한다. 서스펜션(7)은 드럼(10)의 회전에 수반되는 수조(6)의 진동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방진 지지하는 것으로, 개략 코일 스프링(22), 댐퍼(23) 및 로드(24)를 구성의 주체로 하고 있다.
또한, 로드(24)는 상세한 내용을 후술하지만 수조(6)와 서스펜션(7)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기능하고 또한 댐퍼(23)의 내부에 삽입 통과되어 댐퍼(23)를 구성하는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서스펜션(7)은 수조(6)를 외부상자(1)의 저판(1a)상에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스펜션(7)의 하부에서는 댐퍼(23)를 구성하는 실린더(25)의 하단부에 연결부재(26)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재(26)를 외부상자(1)의 저판(1a)에 설치한 부착판(27)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 통과하고, 탄성좌판(28) 등을 통하여 선단부에 너트(29)를 체결함으로써 외부상자(1)의 저판(1a)에 부착 고정하고 있다.
한편, 서스펜션(7)의 상부는 로드(24)를 통하여 수조(6)에 연결되어 있다. 즉, 실린더(2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로드(24)는 코일 스프링(22)내를 통하여 수조(6)에 설치된 부착판(30)에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삽입 통과하고 탄성좌판(31) 등을 개재하여 선단부에 너트(32)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수조(6)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2)은 압축형 코일 스프링으로, 수조(6)측과 댐퍼(23)(실린더(25)) 사이에 약간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어서, 내부에 로드(24)를 갖는 댐퍼(23)의 구체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댐퍼(23)의 종단면도이고, 우선 댐퍼(23)의 개략 구성으로서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실린더(25) 내에 이간하여 배치된 베어링 하우징(34, 44) 사이에 끼워진 코일 유닛(35)을 수용한 구성을 주체로 하고 있다.
이하, 우선 댐퍼(23)의 하부측의 구성부터 상술하면, 원통형상의 실린더(25)의 거의 중간부에는 내방으로 밀어내어져 직경이 작아진 환형상의 단차부(段部)(33)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33)를 위치 결정부로서 원통형상의 실린더(25)의 도시 상단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의 실린더(25) 내에 삽입된 환형상의 제1 베어링 하우징(34)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1 베어링 하우징(34)은 제1 베어링 하우징(34)의 외주부에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한 홈부(34a)에, 상기 홈부(34a)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린더(25)의 둘레벽부에 내방으로 돋을새김 형성한 볼록부 형상의 원통 형상의 돌기부(25a)를 끼워 맞추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실린더(25) 내에서 베어링 하우징(34)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걸어 맞추고, 실린더(25) 내에 제1 베어링 하우징(34)이 소정 위치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제1 베어링 하우징(34)의 내주부에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진 로드(2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베어링(4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어링(48)은 예를 들어 소결함유메탈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베어링 하우징(34)의 상면측에 접합하여 코일 유닛(35)이 실린더(25)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코일 유닛(35)은 도 1 중에 도시한 최하부에 위치하는 제1 요크(36)와, 제1 코일(37)을 감은 제1 보빈(38)과, 중간에 위치하는 제2 요크(39)와, 제2 코일(40)을 감은 제2 보빈(41)과, 최상부에 위치하는 제3 요크(42)를 구비하고, 이들을 열가소성 수지로 외주부를 덮도록 몰드 성형으로 일체화하여 구성되고, 그 몰드 수지부(43)를 포함하는 전체 형상은 거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요크(36, 39, 42)는 자성 부재의 소결금속제로 중앙부를 개구한 원판 링형상을 이루고, 도 2에 도시한 코일 유닛(35)의 외관 사시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요크(36, 39, 42)의 외주부의 일부가 몰드 수지부(43)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몰드를 성형되며, 상기 노출부분은 실린더(25)와의 사이의 자기저항을 감소시키는 부분으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후술하는 작용 설명 참조).
또한,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접합되는 코일 유닛(35)의 하단면은 제1 요크(36)의 외방측의 단면(이하, 외단면이라고 함)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코일 유닛(35)의 중앙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35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35a)는 각 요크(36, 39, 42)의 내주면과, 이에 연결되는 각 보빈(38, 41)의 내주면으로 형성되고, 그 중 각 요크(36, 39, 42)로 형성되는 개구 부분은 약간 직경이 작아지고 있다.
상기 개구부(35a)에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둥근 봉 형상의 로드(24)의 외주면이 개구부(35a)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삽입 통과되고, 즉 상하 운동(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간극에 대해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이를 총칭하여 도 1 중에 간극(G)이라고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댐퍼(23)의 상부측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코일 유닛(35)의 상단면, 즉 제3 요크(42)의 외단면에 접합되는 환형상의 제2 베어링 하우징(44)이 실린더(25) 내부의 상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2 베어링 하우징(44)의 내주부에는 로드(24)를 상하운동(왕복운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베어링(48)을 구비하고, 제1 베어링 하우징(34)의 베어링(48)과 공통 부품으로 하고 있다. 제2 베어링 하우징(44)은 실린더(25)의 상단부에 코킹 가공에 의해 끼워 맞춤 고정된 모자 형상의 캡(45)에 의해 유지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45)을 실린더(25)의 상단부와 함께 내방으로 전연(展延)하도록 코킹 가공함으로써 제2 베어링 하우징(44)을 상방으로부터 억압하여 압착 지지하고, 실린더(25)로부터 상방으로의 빠짐 방지를 도모함과 동시에 실린더(25) 내의 상부에 수용 유지한다.
또한, 캡(45)의 상면과, 캡(45)으로부터 상방으로 일부 돌출된 제2 베어링 하우징(44)의 외주위에는 코일 스프링(22)의 하단부가 지지되고, 소위 스프링시트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 결과, 코일 유닛(35)은 실린더(25) 내에서 하부측의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상부측의 제2 베어링 하우징(44)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수용 지지된다. 또한, 상기 끼워진 각 접합간에는 예를 들어 오일시일로 이루어진 3개의 시일부재(47a, 47b, 47c)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일부재(47a, 47b, 47c)는 모두 동일한 구성(공통 부품)으로, 그 중 최하부의 시일부재(47a)는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코일 유닛(35)의 하단부의 제1 요크(36)가 접합되는 부위에, 제1 요크(36)측에 끼워 맞춘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일부재(47a)와는 시일의 방향을 역배치한 상부의 2개의 시일부재(47b, 47c)는 코일 유닛(35)의 상단부의 제3 요크(42)와 제2 베어링 하우징(44)이 접합되는 부위에 장착되며, 시일 부재(47b)는 제3 요크(42)측에 끼워 맞추어지고, 시일 부재(47c)는 제2 베어링 하우징(44)측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코일 유닛(35)을 몰드 성형할 때, 3부분의 각 요크(36, 39, 42)와 각 보빈(38, 41)의 단판(端板)과의 접합부위의 4부분에 수밀성(시일 효과)을 확보하기 위해 O링(46a, 46b, 46c, 46d)이 억압 삽입되어 있고 이는 후술하는 간극(G)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50)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으로, 몰드 성형에 의해 한층 더 확실하게 수밀성이 유지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24)가 각 시일부재(47a, 47b, 47c)와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제2 베어링 하우징(34, 44)이나 코일 유닛(3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한 접합된 부재간의 시일 작용과 함께 삽입된 로드(24)와의 시일작용으로서도 기능한다.
이에 의해, 코일 유닛(35)을 끼워 상하로 대치하는 2개의 시일부재(47a, 47b)는 로드(24)와의 사이에 발생한 간극의 상하부를 밀폐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필요한 용량의 간극(G)을 형성한다.
로드(24)가 삽입되어 형성된 간극(G)에는 실린더(25)외의 소정 부위로부터의 주입이 가능한 자기점성유체(50)가 소정량 충전되고, 자기점성유체(50)는 간극(G)내에 누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유지된다.
또한, 로드(24)의 하단부에는 걸림 고정링(49)이 장착되고 상기 걸림 고정링(49)이 제1 베어링 하우징(34)의 하면에 충돌함으로써, 실린더(25)로부터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제1 코일(47) 및 제2 코일(40)에 직렬(또는 병렬이어도 가능)에 접속된 2개의 리드선(51)이 실린더(25) 밖으로 도출되고, 이들 코일(37, 40)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코일(37, 40)을 통전 제어하는 제어회로(제어장치(5))에 접속된다.
리드선(51)의 실린더(25)의 출구에는 리드선(51) 보호용 부시(52)가 장착되어 있다. 부쉬(52)는 리드선(51)을 삽입 통과하는 통형상을 이루고, 그 기부(基部)는 몰드 성형에 의해 매설된다.
리드선(51)의 매설 위치는 제3 요크(42)의 외주부의 일부를 절개한 오목부(42a)에 대응하고 있고, 부시(52)의 기부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3 요크(42)는 제1 요크(36)와 공통의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그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시(52)의 실린더(25) 밖으로의 도출부분은 코일 유닛(35)을 실린더(25) 내에 삽입할 때, 실린더(25)의 상단부(타단부)로부터 형성된 1개의 절개홈(53) 내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고, 실린더(25)의 소정 위치까지 삽입 통과된다.
상기 부시(52)가 삽입 통과된 절개홈(53)은 그 후에 실린더(25)의 상단부를 덮도록 끼워 맞추어진 캡(45)에 의해 은폐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제3 요크(36, 42)에 대해서 더욱 상세한 구성(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요크(42)는 리드선(51)을 삽입 통과한 부시(52)의 기부를 수용하는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요크(36)에도 상대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오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목부(36a)는 각별한 기능은 없고 몰드 수지부(43)가 충전되어, 거의 원형상의 외곽(外郭)이 형성되고, 코일 유닛(35)으로서 실린더(25) 내에 수용하는 경우에 어떤 방해도 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제1, 제3 요크(36, 42)는 부품의 공통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제1 요크(36)측에는 제3 요크(42)측에서는 필요로 하지 않는 기능적으로 유효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요크(36)의 외주부에는 예를 들어 3부분(도 1에서는 1부분만 도시)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외주홈(3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외주홈(36b)은 제1 요크(36)의 양단면에 도달하고 또한 그 중 외방측의 단면(외단면)에는 연속하여 원고리 형상의 단면홈(36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몰드 성형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성형틀 내에 있어, 몰드 수지는 외주홈(36b)에도 충전되고 외방측의 단면홈(36c)까지 용이하게 도달하고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보다 외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로서의 돌출형상부(54)를 3부분에 틀 성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코일 유닛(35)의 외관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홈(36b)에 대응하는 위치의 3부분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형상부(54)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돌출형상부(54)를 갖는 제1 요크(36)의 외단면은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접합하는 구성인 점에서, 베어링 하우징(34)의 단면에는 돌출형상부(54)에 대응한 위치의 3부분에 오목부로서의 오목형상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 형상부(55)는 돌출형상부(54)가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소위 요철 끼워 맞춤은 회동 방향(둘레방향)에 대하여 걸어 맞춘 구성이다.
따라서, 제1 베어링 하우징(34)은 실린더(25)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하우징(34)과 요철 끼워 맞춤한 제1 요크(36)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즉 코일 유닛(35)은 실린더(25) 내에 제1 베어링 하우징(34)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다른쪽의 제3 요크(42)에서는 제1 요크(36)와 동일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주홈(42b)과, 외단면측(제2 하우징(44)과 접합되는 측)에 단면홈(42c)을 3부분(도 1에서는 1부분만 도시)에 형성하고 몰드 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단, 몰드 수지에 의한 외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요크(36)에 설치된 돌출 형상부(54) 상당부분은, 상기 제3 요크(42)측에는 성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3 요크(42)의 외단면은 평탄면이고 인접하는 제2 베어링 하우징(44)과는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밀착하여 접합된 상태로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코일 유닛(35)의 상하 형상의 차이는 몰드 수지의 형상의 차이만이 되고, 이점에서도 제3 요크(42)와 제1 요크(36)를 공통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체적인 요크 형상에 대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를 들어 제1, 제3 요크(36, 42)에는 공통부품으로 하는 각 시일부재(47a, 47b)를 상대하는 면측에 끼워 맞춤 지지하고, 자기점성유체(50)의 축방향으로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지만, 각 시일부재(47a, 47b)를 끼워 맞추는 환형상의 오목 함몰부의 형상도 공통이고, 또한 코일 유닛(35)으로서 몰드 성형할 때, O링(46a, 46d)을 개재하기 위함 등에 필요한 세부 형상에서도 공통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유닛(35)을 구성하는 제1, 제2, 제3 요크(36, 39, 42) 중 제1, 제3 요크(36, 42)가 공통 부품이므로 2종류의 형상의 요크부품을 준비하면 좋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코일(37, 40)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한 코일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2 요크(39)는 불필요하므로, 1종류의 요크를 준비하면 좋은 것이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서스펜션(7)을 구비한 세탁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횡축 둘레의 드럼(10)을 구비한 세탁기에서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운전 등의 각 행정에서, 제어장치(5)가 드럼(10)을 각각 적정한 회전속도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운전이 실행된다.
그리고, 드럼(10) 내에 수용된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편하중 등에 기인하여 드럼(10)에 진동을 생성하면, 탄성적으로 지지된 수조(6)도 상하 방향을 주체로 진동한다. 상기 수조(6)의 상하 진동에 응동하여 서스펜션(7)에서는 수조(6)측과 실린더(25) 사이의 코일 스프링(22)을 신축시키고, 수조(6)측에 연결된 로드(24)는 실린더(25) 내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수조(6)의 진동은 코일스프링(22)의 신축작용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고, 외부상자(1)(저판(1a))측으로의 진동전달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코일 스프링(22)의 하방측에서는 로드(24), 실린더(25), 코일 유닛(35) 등으로 이루어진 댐퍼(23)에 의해 진동 진폭을 빠르게 감쇠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즉, 드럼(10)을 회전 구동하는 운전시에는 코일 유닛(35)을 구성하는 제1, 제2 코일(37, 40)에 통전되어 자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제1, 제2 코일(37, 40)의 둘레에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코일(37)측에서는 제2 요크(39)-로드(24)-제1 요크(36)-실린더(25)-제2 요크(39)의 자기회로가 형성되고, 동일하게 제2 코일(40)측에서는 제2 요크(39)-로드(24)-제3 요크(42)-실린더(25)-제2 요크(39)의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요크(36, 39, 42)의 일부 외주면은 몰드 수지부(43)로부터 노출되는 몰드 성형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노출부분이 실린더(25)와 제1, 제2, 제3 요크(36, 39, 42)와의 사이의 자기저항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 중, 자속밀도가 높은 제1, 제2, 제3 요크(36, 39, 42)와 로드(24) 사이에 있어서는 간극 치수를 협소하게 하고 있는 점에서, 간극 부위에서 자계가 부여된 자기점성유체(50)는 점도가 급속하게 높아지고, 이것에 접촉상태에 있는 로드(24)의 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에 대한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그 결과 수조(6)의 진동 진폭을 빠르게 감쇠한다.
특히, 탈수운전에서는 드럼(10)을 고속 회전하는 회전 초기에서의 공진점 부근에서는 급속하게 진동 진폭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이와 같은 진동 진폭을 빠르게 감쇠하는 소위 댐퍼 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한다. 따라서, 이상 진동이나 이상 소음을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탈수 운전을 계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코일 유닛(35)은 그 양단부가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제2 베어링 하우징(44) 사이에 끼워져, 원통형상의 실린더(25)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수조(6)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받아 코일 유닛(35)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용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유닛(35)을 구성하는 일단측의 제1 요크(36)에, 그 외단면측에 돌출되는 돌출형상부(54)를 몰드 수지에 의해 틀 성형하고 있고, 상기 돌출형상부(54)를 갖는 외단면이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접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베어링 하우징(34)의 단면에 설치된 오목 형상부(55)에 돌출형상부(54)가 끼워 맞추어진다.
상기 요철 끼워 맞춤은 회동 방향(둘레방향)에 대하여 걸어 맞추어진 구성으로, 또한 제1 베어링 하우징(34)이 회전 불가능하게 실린더(2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요크(36)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되고, 즉 코일 유닛(35)은 실린더(25)에 대하여 제1 베어링 하우징(34)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 유지된다.
그 결과, 코일 유닛(35)이 회전하여 리드선(51)을 인장함으로써 발생하는 단선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세탁기용 댐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조(6)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자기점성유체(50)를 사용한 댐퍼(23)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실린더(25) 내에 수용되고, 양단부가 제1, 제2 베어링 하우징(34, 44)에 의해 끼워진 몰드 성형된 코일 유닛(35)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코일 유닛(35)을 사이에 끼고 있는 일단측의 예를 들어 제1 베어링 하우징(34)을, 실린더(25)에 대하여 회동 불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34)과 접합되는 코일 유닛(35)과의 사이에서 요철 끼워 맞춤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코일 유닛(35)은 기존의 제1 베어링 하우징(34)을 이용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접합한 구성이 되고, 따라서 실린더(25)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된다.
수조(6)측으로부터의 진동을 받아도 코일 유닛(35)은 둘레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고 또한 제1, 제2 베어링 하우징(34, 44)에 의해 끼워지고 축방향의 동작이 규제된 소정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코일(37, 40)로부터 실린더(25) 밖으로 도출된 리드선(51)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단선될 우려도 없다.
또한, 코일 유닛(35)과 제1 베어링 하우징(34) 사이에서의 요철 끼워 맞춤 수단 중 돌출형상부(54)를 코일 유닛(35)의 몰드 수지부(43)로 형성했다. 이 때문에, 몰드 성형시에 용이하게 틀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형상부(54)에 상당하는 볼록부를 코일 유닛(35)측의 제1 요크(36) 자체에 설치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요크(36)를 소결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볼록부의 돌기부위에 깨짐이 발생하기 쉽고 가공이 곤란해지는 불리한 점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요크(36)와, 이와 상대하는 위치의 제3 요크(42)를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가령 상기와 같이 제1 요크(36) 그 자체에 볼록부를 설치하는 경우, 제3 요크(42)에도 공통화를 위해 동일한 볼록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요크(42)측의 볼록부는 불필요한 형상이고 편성시에 인접부재의 방해가 되어, 댐퍼(23)의 전체길이(全長)에도 영향을 주는 등, 부품의 공통화는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요크(36)의 외주부에 외주홈(36b)을 설치하여, 돌출부(54)에 이르는 몰드 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상기 수지에 의해 제1 요크(36)측에만 돌출형상부(5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주홈(36b)은 오목 형상이고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3 요크(42)측에 동일한 형상의 외주홈(42b)을 형성해도 편성시에 어떤 방해도 되지 않고, 상기 외주홈(42b)도 몰드 수지가 충전되고, 거의 원형상의 외곽을 형성하는 등 제1, 제 3의 요크(36, 42)를 어떤 지장도 없이 공통화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에 유효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유닛(35)의 일단측인 제1 베어링 하우징(34)과 제1 요크(36)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타단측의 제2 베어링 하우징(44)과 제3 요크(42)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적어도 어느 한쪽에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을 설치하면, 실린더(25)에 대하여 코일 유닛(23)을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4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 제1, 제3 요크(36, 42)에 외주홈(36b, 42b)과 같이 오목 형상을 설치하는 것은, 이들 요크(36, 42)를 공통화하는 데에 방해(편성시의)가 되지 않는 취지를 설명했지만, 상기 제2 실시형태는 상기 근거에 기초하여 제1, 제3 요크(56, 57)의 외단면에 오목 형상의 오목 형상부(58, 59)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제1, 제3 요크(56, 57)를 공통화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댐퍼(63)를 구성하는 코일 유닛(60)은 제1 실시형태의 코일 유닛(23)에 대하여 양단부에 배치된 제1, 제3 요크(56, 57)의 구성(형상)이 다른 이외에는 공통의 구성이다. 즉, 코일 유닛(60)으로서 몰드 성형하는 구성에 있어서, 중간부에 배치된 제2 요크(39), 코일(37, 40) 및 보빈(38, 41)을 갖는 등 제1 실시형태의 코일 유닛(23)과 공통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제1, 제3 요크(56, 57)의 각각에 설치한 오목형상부(58) 및 오목형상부(59)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들 오목형상부(58, 59)는 그 배치 구성상, 역방향으로 대치하고는 있지만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밖에, 제3 요크(57)측에 유용하게 하는 리드선(51)을 실린더(25) 밖으로 도출하는 부시(52)를 수용하는 오목부(57a)에 있어서도, 제1 요크(56)측에도 동일한 형상의 오목부(56a)를 설치하고 있는 것(제1 실시형태의 오목부(36a, 42a와 동일한 형상), 및 공통의 시일부재(47a, 47b)를 끼워 맞추는 형상도 공통인 등, 이들 제1, 제3 요크(56, 57)는 공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공통 형상의 오목 형상부(58, 59) 중,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로서 유용하게 하는 하부측의 오목 형상부(58)를 갖는 제1 요크(56)에 대해서 상술한다. 오목형상부(58)는 원판 링형상을 이루는 요크(56)의 외주부와 외단면측에 걸쳐 절개 형상으로 개방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오목 형상부(58)를 1부분 또는 복수부분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3 요크(57)에서의 동형상을 이루는 오목 형상부(59)는 몰드 수지부(64)가 그 내부에 충전되어 요철을 없앤 원형상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고, 제2 베어링 하우징(44)과는 서로 평탄면으로 접합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 요크(56)의 오목 형상부(58)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로서의 돌출형상부(61)를 갖는 제1 베어링 하우징(62)이 실린더(25) 내에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62)의 단면에 설치된 돌출 형상부(61)는 예를 들어 오목 형상부(58)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오목 형상부(58)에 끼워 맞춤 가능한 크기로 하고, 소위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회전방향의 변위를 저지하는 걸어맞춤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베어링 하우징(62)이 실린더(25) 내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즉 외주부에 오목부로서의 홈부(62a)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린더(25)의 둘레벽부에 내방으로 돋을새김 형성한 볼록부로서의 원형상의 돌기부(25a)를 요철끼워맞춤하고, 양자의 끼워맞춤에 의해 실린더(25) 내에 제1 베어링 하우징(62)을 소정 위치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베어링 하우징(62)에 요철끼워맞춤한 제1 요크(56)를 통하여 코일 유닛(60)을 실리더(25)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제2 실시형태에서도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가 특징으로 하는 제1 요크(56)측에 설치한 오목 형상부(58)에서 이에 상당하는 제3 요크(57)측에 설치한 오목 형상부(59)는 동일한 형상이고 또한 오목형상부(59)는 편성하는 데에서 어떠한 지장이 없고, 이 경우 제2 베어링 하우징(44)과 인접한 위치에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58)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 형상부(61)는 원래 단독 구성으로 하는 제1 베어링 하우징(62)에 설치되는 것으로 부품수가 증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제3 요크(56, 57)는 공통부품으로서 채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제1, 제3 요크(56, 57)나 몰드 수지부(64) 등으로 이루어진 코일 유닛(60)은 제1 베어링 하우징(62)을 통하여 실린더(25)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고, 진동에 기초하여 실린더(25) 밖으로 도출된 리드선(51)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고 단선될 우려도 없어진다.
(제3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그 중 도 5는 댐퍼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고, 도 6의 (a)는 실린더의 외관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한 실린더의 단면도이며, 코일 유닛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편성전)의 실린더의 단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도시한 댐퍼(65)는 제1 실시형태의 댐퍼(23)(코일 유닛(35))가 갖는 몰드 수지부(43)에 대하여 약간 구성이 다른 몰드 수지부(67)로 이루어진 코일 유닛(66), 코일 유닛(66)을 수용하는 실린더(68), 및 제1 베어링 하우징(71)에 있어서 상이하지만, 동일한 부호로 도시한 이외의 다른 주된 구성에서도 실질적으로 공통의 형상 및 부품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상위점에 대해 상술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유닛(66)을 직접 실린더(68)와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하여 코일 유닛(66)을 실린더(6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유닛(66)을 구성하는 몰드 수지부(67)가, 실린더(68)의 둘레벽부와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제1 요크(36)의 오목부(36a)에 충전된 몰드 수지부(67)의 일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로서의 띠형상의 홈부(69)를, 예를 들어 1부분(복수부분이어도 가능)에 몰드 성형시에 틀 성형하고 있다.
한편, 홈부(69)에 끼워맞추기 위한 볼록부로서의 돌기부(70)를 실린더(68)의 둘레벽부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5)의 둘레벽부에 내방으로 돋을새김하여 형성한 원형상을 이루고 있고, 돌기부(70)가 홈부(69)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코일 유닛(66)은 실린더(68) 내에서 둘레방향으로의 변위가 저지되고, 따라서 회전 불가능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유닛(66)은 직접 실린더(68)에 회전 불가능해지도록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제1 베어링 하우징(71)은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실린더(68)와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 맞출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베어링 하우징(71)에는 홈부(69)와 연속하여 동형상의 홈부(71a)를 갖고 있지만, 실린더(68)측에는 요철끼워맞춤하는 구성 부위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단,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베어링 하우징(71)도 실린더(68)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축지지 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실린더(68)와 코일 유닛(66)의 외주부위와의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단선 사고의 방지 등의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체적 구성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6a) 내의 몰드 수지부(67)를 이용하여 오목부(69)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제3 요크(36, 42) 자체에 새롭게 특유의 형상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공통 부품화를 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을 간단 구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7 및 도 8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그 중 도 7은 댐퍼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고, 도 8은 실린더를 도시한 도 6 상당도이다.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실린더(72)에 대하여, 코일 유닛(73)을 직접 요철끼워맞춤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댐퍼(78) 구성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유닛(73)의 타단측인 리드선(51)을 도출하는 근방부위에, 볼록부로서의 돌기부(7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74)는 부시(52)의 축방향의 측방인 타단측에 위치하고, 제3 요크(76)의 오목부(76a) 부위로부터 기립 성형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76a)는 몰드 수지가 충전되고 부시(52)의 기부를 수용하여 매설하고 또한 충전된 몰드 수지부(75)의 일부를 리드선(51)의 도출방향을 따라서 외방으로 돌출하여 돌기부(74)를 설치하고 있다.
돌기부(74)의 돌출폭은 도 8에 도시한 실린더(72)의 상단부(타단부)에 형성한 1개의 절개홈(53)내를 삽입 통과 가능한 치수 형상으로 하고, 또한 돌출 높이는 코일 유닛(73)을 실린더(72)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실린더(7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높이 치수로 하고 있다.
즉, 코일 유닛(73)을 실린더(72) 내에 타단측(도시에서 상단부)의 축방향으로부터 수용하는 경우, 리드선(51)의 부시(52)가 실린더(72)의 절개홈(53)내를 삽입 통과하고, 계속해서 돌기부(74)도 절개홈(53) 내를 삽입 통과한다. 그 후, 코일 유닛(73)이 실린더(72) 내의 소정 위치까지 수용되면, 타단부(도시 상단부)에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캡(45)이 코킹 가공에 의해 피착(被着)된다. 따라서, 돌기부(74)는 캡(45)에 의해 은폐되고 또한 절개홈(53) 내에서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걸어맞춤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돌기부(74)가 볼록부로서 기능하는 데에 대하여, 절개홈(53)은 오목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코일유닛(73)을 실린더(72) 내에 회전 불가능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인 리드선(51)이 인장됨에 의한 단선 등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유닛(73)을 실린더(72) 내에 편성하여 수용할 때, 코일 유닛(73)으로부터 도출된 리드선(51)이 방해하지 않도록 실린더(72)에 설치된 절개홈(53)을 오목부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요철끼워맞춤 수단으로서 간이한 구성으로 새로운 가공 부위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코일 유닛(73)측에 설치된 돌기부(74)는 몰드 수지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3 요크(76)의 오목부(76a)에 대하여 하부측의 제1 요크(77)에도 동일한 오목부(77a)를 갖지만, 오목부(77a)에는 몰드 수지가 충전될 뿐 돌기 형상은 아니고, 평활한 원형 외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몰드 수지의 원활한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코일 유닛(73)을 실린더(72) 내에 수용할 때 어떤 지장없이 편성할 수 있고 제1, 제3 요크(77, 76)는 공통부품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제1 베어링 하우징(71)은 실린더(72)에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할 필요는 없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 다음과 같은 전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조(6)를 방진 지지하는 서스펜션(7)은 도 3에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도록 로드(24)의 상단을 수조(6)측에 연결하고, 댐퍼(23) 하단의 실린더(25)를 저판(1a)측에 연결하여 수조(6)의 진동에 따라서 로드(24)가 직접 상하운동(왕복운동)하는 댐퍼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스펜션(7)을 상하 역배치로 해도 좋다.
즉, 로드를 저판측과 연결하고 실린더를 수조측에 연결한 경우, 로드는 실린더내를 상대적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이 되고,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자기점성유체에 의한 댐퍼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제2 코일(37, 40)을 2개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코일을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이것은 세탁용량 등 사용조건 등에 대응한 코일 및 요크의 수로 함으로써, 사용조건에 대응한 진동 감쇠력을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에, 횡축 둘레의 드럼(10)(회전조)을 구비한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축(종축) 둘레의 회전조를 구비한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외부상자 6: 수조
7: 서스펜션 10: 드럼(회전조)
17: 건조장치 21: 순환풍로
22: 코일스프링 23, 63, 65, 78: 댐퍼
24: 로드 25, 68, 72: 실린더
34, 62, 71: 제1 베어링 하우징 35, 60, 66, 73: 코일 유닛
36, 56: 제1 요크 39: 제2 요크
42, 57: 제3 요크 43, 64, 67: 몰드 수지부
44: 제2 베어링 하우징 45: 캡
50: 자기점성유체 51: 리드선
52: 부시 53: 절개홈(오목부)
54, 61: 돌출형상부(볼록부) 55, 58: 오목형상부(오목부)
69: 홈부(오목부) 70, 74: 돌기부(볼록부)

Claims (8)

  1. 세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실린더,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을 감은 보빈, 상기 보빈의 양단부에 배치된 요크를, 몰드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코일 유닛,
    상기 코일 유닛의 양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코일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밖으로 도출된 리드선,
    상기 코일 유닛 중앙부에 상기 코일 유닛의 내주면과는 직경 방향의 간극을 두고 관통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서 축 지지되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 및
    상기 로드와 상기 코일 유닛 사이의 상기 간극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일단측의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접합되는 상기 코일 유닛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하고, 상기 코일 유닛을 상기 실린더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끼워맞춤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상기 코일 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몰드 수지부와의 사이에서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수지부를 상기 코일 유닛의 상기 요크 단면까지 연장하고 볼록부를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를 상기 베어링 하우징측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끼워맞춤은 상기 코일 유닛측의 상기 요크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측에 설치된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5. 세탁기 수조의 진동을 감쇠하는 기능을 갖는 댐퍼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실린더,
    자장을 발생하는 코일, 상기 코일을 감은 보빈, 상기 보빈의 양단부에 배치된 요크를, 몰드 수지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코일유닛,
    상기 코일 유닛의 양단부에 배치하여 상기 코일 유닛을 사이에 끼고 있는 상태로, 상기 실린더 내에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코일 유닛 중앙부에 상기 코일 유닛의 내주면과는 직경방향의 간극을 두고 관통하고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서 축 지지되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 및
    상기 로드와 상기 코일 유닛 사이의 상기 간극에 충전된 자기점성유체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코일 유닛의 외주부위의 사이에서 요철끼워맞춤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코일유닛을 상기 실린더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끼워맞춤은 상기 코일 유닛의 외주부위에 설치된 오목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부위에 설치된 볼록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끼워맞춤은 상기 코일유닛의 외주부위에 설치된 볼록부와, 상기 실린더의 둘레벽의 일부를 절개한 오목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한 세탁기용 댐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의 외주부위에 설치된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상기 몰드 수지부에 의해 형성된 세탁기용 댐퍼.
KR1020130046681A 2012-08-31 2013-04-26 세탁기용 댐퍼 KR101439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1504 2012-08-31
JP2012191504A JP6042138B2 (ja) 2012-08-31 2012-08-31 洗濯機用のダン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129A true KR20140029129A (ko) 2014-03-10
KR101439770B1 KR101439770B1 (ko) 2014-10-06

Family

ID=503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681A KR101439770B1 (ko) 2012-08-31 2013-04-26 세탁기용 댐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42138B2 (ko)
KR (1) KR101439770B1 (ko)
CN (1) CN1036688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7820B (zh) * 2015-10-29 2019-07-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内桶的锁止机构及洗衣机
JP7042227B2 (ja) 2019-02-15 2022-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可変剛性ブッシュ
WO2023226085A1 (zh) * 2022-05-27 2023-11-30 深圳市朝上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齿形流道的磁流变阻尼器
KR102647757B1 (ko)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차량용 일체형 온수 시스템
KR102647761B1 (ko) * 2023-04-19 2024-03-14 이도훈 차량용 일체형 온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9105B1 (ko) * 1970-11-11 1974-10-23
JP3066946B2 (ja) * 1995-03-10 2000-07-17 日産車体株式会社 ガスステイ
JP2005011163A (ja) 2003-06-20 2005-01-13 Toshiba Corp 帳票取扱装置
JP2005291284A (ja) 2004-03-31 2005-10-20 Hitachi Ltd ダンパ
JP5426278B2 (ja) * 2009-08-21 2014-02-26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JP5426277B2 (ja) * 2009-08-21 2014-02-26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JP5127879B2 (ja) * 2010-05-21 2013-01-2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用のダンパ
KR101302247B1 (ko) * 2010-06-09 2013-09-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JP5489351B2 (ja) * 2010-06-09 2014-05-1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330343B2 (ja) * 2010-09-03 2013-10-3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854587B2 (ja) * 2010-09-13 2016-02-09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770B1 (ko) 2014-10-06
JP6042138B2 (ja) 2016-12-14
CN103668869A (zh) 2014-03-26
CN103668869B (zh) 2016-02-10
JP2014045955A (ja)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770B1 (ko) 세탁기용 댐퍼
JP5127740B2 (ja) 洗濯機
JP5106441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2906326B (zh) 阻尼器、洗涤机及洗涤干燥机
KR101348432B1 (ko) 세탁기
JP5854587B2 (ja) 洗濯機
JP5127909B2 (ja) サスペンション及び洗濯機
KR101238065B1 (ko) 세탁기
KR20120135016A (ko) 세탁기
KR101302337B1 (ko) 세탁기
JP622365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38127B1 (ko) 세탁기
KR101341759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34315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서스펜션의 댐퍼 기구 조립 방법
JP2013248232A (ja) 洗濯機
JP2012040296A (ja) 洗濯機
JP2013102803A (ja) 洗濯機
JP201506606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