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260A - 환경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환경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260A
KR20140026260A KR1020130095783A KR20130095783A KR20140026260A KR 20140026260 A KR20140026260 A KR 20140026260A KR 1020130095783 A KR1020130095783 A KR 1020130095783A KR 20130095783 A KR20130095783 A KR 20130095783A KR 20140026260 A KR20140026260 A KR 2014002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test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473B1 (ko
Inventor
마사타카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환경 시험 장치(1)는, 공기 배출공(41) 및 공기 흡인공(42)이 형성된 칸막이 벽(15), 칸막이 벽(15)에 의해 분리된 시험실(10) 및 공조실(11); 배출 덕트(21) 및 공기 배출공(41)으로부터의 공기를 배출 덕트(21)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22)를 포함한다.
또한,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는, 시험실(10)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칸막이 벽(15)을 제외한 서로 인접하는 벽면을 구성한다. 또한, 배출 덕트(21)는,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21a)을 갖는 환경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경 시험 장치{Environment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료의 환경 시험을 수행하는 환경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환경 상황에서의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환경 시험에 있어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49914호(이하, 선행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칸막이 벽에 의해 분리되는 한편 상하 2곳의 개구를 통해 서로 연통된 시험실 및 공조실을 갖는 환경 시험 장치가 이용된다. 상기 환경 시험 장치에서는, 공조실내에서 가습 장치, 냉각 장치 등에 의해 공기를 일정 온습도로 조정하고, 그 조정된 공기를 공조실의 최상측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상부 개구를 통해 시험실로 공급함으로써, 시험실 내의 공기를 일정 온습도로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상부 개구를 통해 시험실에 유입된 공기는, 시험실내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기류가 되어, 하부 개구에서 흡인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시험실에 수평의 선반을 상하로 복수단 설치하여, 각 선반위에 시료를 안착시킬 경우(즉, 복수의 시료를 연직 방향으로 나열했을 경우), 선반의 하단에 안착된 시료에는 공기류가 닿기 어려워져, 선반의 상단에 있는 시료와 선반의 하단에 있는 시료의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게다가 선반의 상단에 있는 시료가 발열하면, 그 발열이 선반의 하단에 있는 시료에 영향을 주어, 이들 시료에 대한 온도 조건도 달라진다.
또한, 시험실에 있어서, 복수의 시료를 수평 방향으로 나열하고 그 시료가 나열된 방향으로 공기류가 생기도록, 공조실에서 시험실로 공기가 공급되는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도, 기류의 상류와 하류에서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류에 있는 시료가 발열하면, 하류에 있는 시료에 그 발열이 영향을 주어, 이들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다르면, 환경 시험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4991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환경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환경 시험 장치는, 제 1 공기 배출공 및 제 1 공기 흡인공이 형성된 칸막이 벽에 의해 분리된 시험실 및 별실을 갖는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칸막이 벽을 제외한 제 1 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시험실에 배치되는 복수의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공기 배출공을 갖는 배출 덕트 및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칸막이 벽을 제외한 상기 제 1 벽면에 인접하는 제 2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별실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배출 덕트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공기 배출공에서 시험실로 배출된 공기가, 복수의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므로,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제 2 벽면의 일부 또는 상기 제 2 벽면과 마주보는 제3 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기 배출공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보다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공기 흡인공을 갖는 흡인 덕트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인 덕트는, 상기 제 2 공기 흡인공에서 흡인한 공기를 상기 제 1 공기 흡인공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2 공기 배출공에서 시험실로 배출된 공기가, 복수의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흐른다. 그러므로,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을 한층 더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은, 상기 칸막이 벽 및 상기 제 1 벽면 모두에 인접하고, 상기 안내 덕트는,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을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다른쪽 면과 마주보는 공간과 상기 배출 덕트를 연통시키는 연통공 및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다른쪽 면에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제 1 영역과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영역으로 구분하는 칸막이 판을 갖고,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은,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공간과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공기가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공간 및 연통공을 통해 배출 덕트로 흐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칸막이 판과 평행한 1이상의 편향판이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공기를 배출 덕트에 효과적으로 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별실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상기 안내 덕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공기를 별실에서 안내 덕트로 효과적으로 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시험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가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시험실이 획정되고,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시험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시료의 발열이나 폭발에 의해, 시험실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출 덕트 및 안내 덕트가 손상되어도, 이것들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시험실 벽면을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의 주위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변동되기 어려워져, 시험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환경 시험 장치에 의하면, 제 2 공기 배출공에서 시험실로 배출된 공기가, 복수의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이것에 의해,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환경 시험 장치의 문을 떼어낸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안내 덕트를 우측에서 봤을 때의 도면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흡인 덕트를 좌측에서 봤을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험조의 개략 사시도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조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조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환경 시험 장치의 시험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시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의 환경 시험 장치(1)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환경 시험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2), 케이스(2) 내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3a)을 갖는 시험조(3), 및 시험조(3)의 개구를 덮는 단열성 문(4)을 갖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전방(도 2 중 지면 앞측, 도 3 중 하측) 부분에는, 시험조(3)가 전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2)의 후방 부분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장치(5)가 수납된 전원 수납 공간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문(4)보다 우측에는 표시부(8) 및 조작부(9)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8)는, 시험조(3)의 시험실(10) 내의 온습도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9)는, 시험실(10) 내의 온습도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시험조(3)는, 문(4)으로 개방, 폐쇄되는 전방의 개구를 제외한 주위의 벽면이 단열층(3b)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공간(3a)의 온도 및 습도가 변화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시료에 대한 환경조건이 변동되기 어려워져, 시험 정밀도가 향상된다. 시험조(3)의 뒤쪽 및 이 뒤쪽 부분의 단열층(3b)에는, 4개의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6)에서는, 전원 장치(5)의 접속부로서의 커넥터(5a)가 전방을 향해 각각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6)과 커넥터(5a) 사이에는 봉지제가 충진되어 시험실(10)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평판 형상의 시료 트레이(91)가, 시험실(10) 내에 수납된다. 시료 트레이(91)는, 예를 들어, 시료(90)로서의 2차 전지와 접속 가능한 복수의 소켓, 시험실(10)로의 삽입 방향(시험실(10)에 대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단자, 및 이들 소켓 및 단자를 접속하는 복수의 배선을 갖고 있다. 그리고, 시료 트레이(91)가 시험실(10) 내에 수납됨으로써, 시료 트레이(91)의 단자와 커넥터(5a)가 접속되어, 소켓에 접속된 복수의 시료(90)(2차 전지)와 전원 장치(5)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다양한 환경하에서의 2차 전지의 충방전 시험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시험실(10) 내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시료 트레이(91)에는, 시험실(10)에 삽입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료(90)가 3개 나열된다. 이 때, 복수의 시료(90)는,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지만, 삽입 방향을 따라서는 나열되지 않는다. 이러한 시료 트레이(91)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의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삽입함으로써, 단자가 커넥터(5a)에 접속되어, 복수의 시료(90)와 전원 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시료 트레이(91)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 방향(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단자가 커넥터(5a)에서 분리되어 시료(90)와 전원 장치(5)를 전기적으로 비접속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 트레이(91)를 시험실(10) 내에 넣거나 빼내는 것만으로 시료(90)와 전원 장치(5)의 전기적인 접속, 비접속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시료(90)가 나열된 시료 트레이(91)를 시험실(10) 내에, 연직 방향을 따라 4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험조(3)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3a)을 하부 공간(11)과 상부 공간(16)으로 나누는 칸막이 벽(15)과 3개의 덕트(21~23)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벽(15)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단부에 2개의 공기 배출공(제 1 공기 배출공)(41)이 형성되고, 좌측 단부에 1개의 공기 흡인공(제 1 공기 흡인공)(42)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공기 배출공(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공기 흡인공(4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재(延在)되어 있다.
하부 공간(11)은, 공조실(별실)로써, 도 2 중, 오른쪽에서부터 순서대로, 2개의 송풍기(31), 예를 들어 시즈 히터 등의 전열 히터로 이루어지는 공기 히터(32), 냉각 장치(33), 및 용기내의 물을 내장 히터로 가열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 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송풍기(31)는,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고, 공기 배출공(41)과 각각 마주보고 있다. 즉, 1개의 공기 배출공(41)에 대하여, 1개의 송풍기(3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31)가 설치됨으로써 공조실(11)에서 조정된 공기를 안내 덕트(22)(후술 한다)로 효과적으로 흘릴 수 있다. 공기 흡인공(42)에서 공조실(11)로 유입된 공기는, 순차적으로 가습 장치(34), 냉각 장치(33), 및 공기 히터(32)에 의해 그 온도 및 습도가 조정되면서 우측으로 흘러, 일정 온습도가 된 상태로 2개의 송풍기(31)에 의해 각 공기 배출공(41)에서 위쪽을 향해 배출된다.
3개의 덕트(21~23)는, 상부 공간(16)에 설치되고, 각 덕트(21~23)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시험실(10)의 6개의 벽면 중 서로 다른 하나의 벽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칸막이 벽(15)이, 시험실(10)의 하면측의 벽면을 구성하고 있다. 3개의 덕트(21~23)에는, 시험실(10) 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21a)이 형성된 배출 덕트(21), 2개의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배출 덕트(21)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22), 및 시험실(10)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공기 흡인공(23a)이 형성되어 흡인한 공기를 공기 흡인공(42)으로 안내하는 흡인 덕트(23)가 있다.
배출 덕트(2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판 형상 부재는, 그 4변이 시험조(3)의 상판, 덕트(22, 23) 및 칸막이 벽(15)에 맞닿은 상태로, 시험조(3)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배출 덕트(21)는,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시험조(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덕트(21)의 판 형상 부재는, 시험조(3)의 뒤쪽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시험조(3)의 뒤쪽과의 사이에 공기가 흐르는 유로(21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 덕트(21)는, 공기 배출공(제 2 공기 배출공)(21a)을 갖고, 유로(21b)에서의 공기가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 덕트(21)의 문(4)과 마주보는 면은, 시험실(10)을 획정하는 6개의 벽면 중 하나(제 1 벽면)를 구성하고 있다.
안내 덕트(2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 부재(25)를 갖고, 판 형상 부재(25)의 3변이 시험조(3)의 상판, 뒤쪽 및 칸막이 벽(15)에 맞닿은 상태로, 시험조(3)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안내 덕트(22)는,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시험조(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덕트(22)는, 판 형상 부재(25)가 시험조(3)의 우벽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시험조(3)의 우벽부와의 사이에 2개의 공기 배출공(41)과 연통 가능한 유로(22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안내 덕트(22)(판 형상 부재(25))의 한쪽 면(흡인 덕트(23)와 마주보는 면)은, 시험실(10)을 획정하는 6개의 벽면 중 하나로, 배출 덕트(21)가 구성하는 벽면과 인접한 벽면(제 2 벽면)을 구성하고 있다.
판 형상 부재(25)에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중 우단부(후단부)에 2개의 연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통공(22a)은,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동시에, 상기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연통공(22a)은, 판 형상 부재(25)의 배출 덕트(21)(유로(21b))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유로(22b)와 유로(21b)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연통공(22a)은,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으나, 판 형상 부재(25)의 우단부(일단부)에 있어서, 2개의 연통공(22a)이 연직 방향으로 연속된 1개의 긴 연통공을 구성할 수 있다.
안내 덕트(22)는, 판 형상 부재(25)의 다른쪽 면에서 돌출된 칸막이 판(26) 및 편향판(27)을 더 갖고 있다. 칸막이 판(26)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판 형상 부재(25)를 제 1 영역(25a)과 제 2 영역(25b)으로 구분한다. 칸막이 판(26)은, 수평 방향에 대해 대략 45도 경사져 있다. 판 형상 부재(25)의 제 1 영역(25a)에는, 2개의 연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다. 편향판(27)은, 칸막이 판(26)과 평행하게 연재되어, 제 1 영역(25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판(26) 및 편향판(27)의 양단부는, 판 형상 부재(25)에 인접한 변까지 연직 또는 수평으로 연재되어 있다. 칸막이 판(26) 및 편향판(27)의 판 형상 부재(25)로부터의 돌출량은 동일하다. 편향판(27)의 양단부는, 공기 배출공(41) 사이 및 연통공(2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 덕트(22)가, 칸막이 판(26) 및 편향판(27)이 시험조(3)의 우벽부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유로(22b)가 제 1 영역(25a)과 마주보는 공간에 구성된다. 또한, 이 때, 유로(22b)가 편향판(27)에 의해 2개로 나뉘어 진다. 즉, 전방의 공기 배출공(41)과 상측의 연통공(22a)이 연통되고, 후방의 공기 배출공(41)과 하측의 연통공(22a)이 연통된다. 이것에 의해,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배출 덕트(21)에 효과적으로 흘릴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송풍기(31)로부터의 공기가 함께 상측의 연통공(22a)으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측의 송풍기(31)로부터의 공기가 칸막이 판(26)에 의해 상측의 연통공(22a)으로, 후방측의 송풍기(31)로부터의 공기가 편향판(27)에 의해 하측의 연통공(22a)으로 유도되어, 안내 덕트(22)에서 균압화된 공기가 배출 덕트(21)의 유로(21b)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배출 덕트(21)의 공기 배출공(21a)에서 배출된 공기가, 시험실(10) 내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흘러, 해당 기류가 층류 상태가 된다.
흡인 덕트(23)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상 부재(35)를 갖고, 판 형상 부재(35)의 3변이 시험조(3)의 상판, 뒤쪽 및 칸막이 벽(15)에 맞닿은 상태로, 시험조(3)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즉, 흡인 덕트(23)는,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 시험조(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흡인 덕트(23)는, 판 형상 부재(35)가 시험조(3)의 좌벽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시험조(3)의 좌벽부와의 사이에 공기 흡인공(42)과 연통 가능한 유로(23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 덕트(23)(판 형상 부재(35))의 한쪽 면(안내 덕트(22)와 마주보는 면)은, 시험실(10)을 획정하는 6개의 벽면 중 하나로, 안내 덕트(22)가 구성하는 벽면과 마주보는 벽면(제3 벽면)을 구성하고 있다.
판 형상 부재(35)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중 우단부(전단부)에 3개의 공기 흡인공(제 2 공기 흡인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 덕트(23)는, 시험실(10)의 공기를 공기 흡인공(23a)에서 흡인하여, 그 공기를 공기 흡인공(42)을 통해 공조실(11)로 안내한다. 이들 공기 흡인공(23a)은,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동시에, 해당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들 공기 흡인공(23a)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 형상 부재(35)의 배출 덕트(21)(유로(21b))와 가장 떨어진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흡인공(23a)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공기 배출공(21a)에서 시료(90)보다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배출공(21a)에서 배출된 공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즉, 복수의 시료(90)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흐른다. 그러므로, 시료(90)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을 한층 더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공기 흡인공(23a)은, 연직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으나, 판 형상 부재(35)의 일단부에 있어서, 3개의 공기 흡인공(23a)이 연직 방향으로 연속된 1개의 긴 공기 흡인공을 구성할 수 있다.
흡인 덕트(23)는, 판 형상 부재(35)의 다른쪽 면에서 돌출된 칸막이 판(36) 및 2개의 편향판(37, 38)을 더 갖고 있다. 칸막이 판(36)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전후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판 형상 부재(35)를 제 1 영역(35a)과 제 2 영역(35b)으로 구분한다. 칸막이 판(36)은, 수평 방향에 대해 약 45도 경사져 있다. 판 형상 부재(35)의 제 1 영역(35a)에는, 3개의 공기 흡인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편향판(37, 38)은, 칸막이 판(36)과 평행하게 연재되어, 제 1 영역(35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판(36) 및 편향판(37, 38)의 양단부는, 판 형상 부재(35)에 인접한 변까지 연직 또는 수평으로 연재되어 있다. 칸막이 판(36) 및 편향판(37, 38)의 판 형상 부재(35)로부터의 돌출량은 동일하다. 편향판(37, 38)의 일단부는 공기 흡인공(23a)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공기 흡인공(42)을 전후 방향에 대하여 3 등분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흡인 덕트(23)가, 칸막이 판(36) 및 편향판(37, 38)이 시험조(3)의 좌벽부와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유로(23b)가 제 1 영역(35a)과 마주보는 공간에 구성된다. 또한, 이 때, 유로(23b)가 편향판(37, 38)에 의해, 3개로 나뉘어 진다. 즉, 3개의 공기 흡인공(23a) 각각이 공기 흡인공(42)과 개별적으로 연통하여, 균등한 흡인력이 각 공기 흡인공(23a)에 생긴다. 그러므로, 공기 배출공(21a)에서 시험실(10)로 배출된 공기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흐르기 쉬워진다. 그 결과, 시험실(10) 내에서 층류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이어서, 환경 시험 장치(1)의 시험조(3) 내에서의 기류에 대하여 도 3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환경 시험 장치(1)는, 3개의 덕트(21~23)를 갖는다. 그러므로, 공조실(11)에서 조정되어 송풍기(31)에 의해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는, 유로(22b)(제 1 영역(25a)과 마주보는 공간)에 일시적으로 축적된다. 그리고, 공기가 유로(22b)에서 균압화되어 2개의 연통공(22a)에서 배출 덕트(21)의 유로(21b)로 공급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배출공(41)에서 위쪽으로 배출된 공기는, 유로(22b)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나아가, 연통공(22a)을 통해 유로(21b)로 흐른다. 이 유로(21b)에서도 공기가 일단 축적되어, 배출 덕트(21)의 공기 배출공(21a)에서는, 균압화된 공기가 시험실(10) 내로 배출된다.
공기 배출공(21a)에서 시험실(10) 내로 배출된 공기는, 시험실(10)에 수납된 시료 트레이(91) 사이, 가장 위쪽에 있는 시료 트레이(91)와 시험조(3)의 상판 사이, 및 가장 아래쪽에 있는 시료 트레이(91)와 칸막이 벽(15) 사이에 있어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흐른다. 이 때, 복수의 시료(9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고, 전후 방향으로는 나열되지 않기 때문에, 각 시료(90)에 대한 환경조건이 동일해 진다. 그리고, 시험실(10) 내로 배출된 공기는, 전방의 공기 흡인공(23a)에서 흡인 덕트(23) 내로 흡인된다. 그 후, 공기는, 유로(23b)에서 공기 흡인공(42)을 통해 공조실(11)로 흐른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환경 시험 장치(1)에 의하면,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안내 덕트(22)가 배출 덕트(21)로 안내하고, 배출 덕트(21)에서 배출된 공기가, 시험실(10)에서, 시료(90)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후방에서 전방으로의 방향)으로 흐른다. 그러므로, 시료(90)에 대한 환경조건의 불균일성이 줄어든다. 또한, 각 덕트(21~23)가 나사 고정되어 있을 뿐이므로, 덕트(21~23)의 착탈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2차 전지(시료(90))의 충방전 시험을 수행하고 있을 때에, 시료(90)의 발열이나 폭발에 의해, 시험실(10)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덕트(21~23)가 손상되어도, 이들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시험실(10)을 용이하게 복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환경 시험 장치(1)는, 시험조(3)의 하부 공간에 공조실(11)이, 상부 공간에 시험실(10)이 설치되고, 공조실(11)의 우측 단부의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시험실(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흐르도록,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공조실(11), 시험실(10),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 등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조(3)의 상부 공간에 공조실(11)이, 하부 공간에 시험실(10)이 설치되고, 공조실(11)의 우측 단부의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시험실(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흐르도록,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를 설치할 수 있다(제 1 변형예). 구체적으로는,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 때, 안내 덕트(22)는, 칸막이 판(26)과 편향판(27)을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반대로 기울여 공기 배출공(41)으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흡인 덕트(23)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여 칸막이 판(36)과 편향판(37, 38)을 반대로 기울여 공기 흡인공(23a)으로부터의 공기를 비스듬히 위쪽으로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조(3)의 우측부 공간에 공조실(11)이, 좌측부 공간에 시험실(10)이 설치되고, 공조실(11)의 상측단부의 공기 배출공(41)에서 배출된 공기를 시험실(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흐르도록,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를 설치할 수 있다(제 2 변형예).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시험조(3)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 된다. 이것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시료 트레이(91)를 세로로 하여 횡방향으로 복수 나열할 수 있다. 이 때, 시료(90)가 나열된 방향은 연직 방향이 되지만, 공기의 흐름은, 전후 방향이므로, 가로 방향과 직교한다. 또한, 흡인 덕트(23)를 시험조(3)의 좌측에 배치하면, 시료 트레이(91)가 수평 위치인 상태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좌측에 배치된 흡인 덕트(23)와 공조실(11)을 연통시키는 공간을 시험조(3)의 아래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조(3)의 하부 우측 공간에 공조실(별실)(211)이, 상부 좌측 공간에 시험실(210)이 설치되고, 공조실(211)의 공기 배출공(241)에서 배출된 공기를 시험실(2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흐르도록, 배출 덕트(21) 및 안내 덕트(222)를 설치할 수 있다(제3 변형예). 본 변형예에서의 공조실(211)은, 상술한 공조실(11)에 칸막이 벽(211a)이 형성됨으로써 구획된 공간이다. 그리고, 이 공간내에, 송풍기, 공기 히터, 냉각 장치, 및 가습 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한, 공조실(211)에는, 공기 흡인공(242)도 설치되어 있다.
공기 배출공(241)은 후방에, 공기 흡인공(242)은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덕트(222)가 시험실(210)의 우측 벽면의 후방 반부(半部)를 구성하고, 흡인 덕트(223)가 시험실(210)의 우측 벽면의 전방 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안내 덕트(222) 및 흡인 덕트(223)는, 편향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판 형상 부재(225, 235) 및 칸막이 판(226, 2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덕트(222)의 후방 단부에는, 연통공(222a)이 형성되고, 흡인 덕트(223)의 전방 단부에는, 공기 흡인공(2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도, 시험실(21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공기가 배출되어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칸막이 벽(211a)의 좌측은 공간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칸막이 벽(211a)은 판 형상 부재(225, 235)의 적어도 한쪽과 일체일 수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시료(90) 및 시료 트레이(91)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수납된다. 그리고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공조실(211) 대신에, 공조실(11)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재되어, 공기 흡인공(242)과 연통되는 전방 공간 및 공기 배출공(241)과 연통되는 후방 공간으로 나누는 동시에, 이들 양 공간을 공조실(11)의 좌단부에서 연통시키는 칸막이 벽이 설치된 공조실(11)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흡인공(242)으로 흡인된 공기가, 전방 공간에서 좌측으로 흐르고 그 후, 후방 공간에서 우측으로 흘러 공기 배출공(241)에서 배출된다. 이것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험조(3)의 주위에는, 단열층(3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 덕트(21~23)가, 시험조(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안내 덕트(22) 및 흡인 덕트(23)에는, 편향판(27, 37, 38)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31) 도 1 또는 3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흡인 덕트(23, 223)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는,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배출 덕트(21)의 공기 배출공(21a)에서 시료(90)보다 떨어진 위치에 공기 흡인공(4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공기 배출공(21a)에서 시험실로 배출된 공기의 흐름이,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어,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시험실(10, 210)은,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시험실은, 7이상의 벽면에 의해 획정된 다면체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제 1~제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배출 덕트(21)를 시험조(3)의 후방 부분(뒤쪽 부분)에 설치하고 있었으나,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의 어디에도 설치할 수 있다. 즉, 시료(90)를 나열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 덕트(21)도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안내 덕트(22)와 흡인 덕트(23)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안내 덕트(222)와 흡인 덕트(223)의 위치도 바꿀 수 있다. 이 경우, 배출 덕트를 안내 덕트 측에 이동시킨다. 또한, 공조용 기기(예를 들어, 송풍기, 공기 히터, 냉각 장치, 및 가습 장치 등)는, 공조실(11)이 아니라, 안내 덕트(22, 222) 또는 흡인 덕트(23, 223)에 설치하여, 안내 덕트(22, 222) 또는 흡인 덕트(23, 223)가 공조실을 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조실(11)은 단순한 별실이 된다.
흡인 덕트(23)는, 안내 덕트(22)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막이 벽(15) 대신에 흡인 덕트(23)를 배치하고, 유로(23b)에 공조용 기기를 배치하여, 흡인 덕트(23)가 공조실(별실)을 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흡인 덕트(23)의 판 형상 부재(35)가 시험실(10)과 공조실을 나누는 칸막이 벽이 된다. 또한, 이 때, 공기 흡인공(23a)은,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있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문(4)의 뒤쪽을 안내 덕트(22)나 흡인 덕트(23)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환경 시험 장치 3 : 시험조
3a : 내부 공간 3b : 단열층
10, 210 : 시험실 11 : 공조실(별실)
15 : 칸막이 벽 21 : 배출 덕트
21a : 공기 배출공(제 2 공기 배출공) 22, 222 : 안내 덕트
22a, 222a : 연통공 23, 223 : 흡인 덕트
23a, 223a : 공기 흡인공(제 2 공기 흡인공)
25 : 판 형상 부재 25a : 제 1 영역
25b : 제 2 영역 26 : 칸막이 판
27 : 편향판 31 : 송풍기
41 : 공기 배출공(제 1 공기 배출공)
42 : 공기 흡인공(제 1 공기 흡인공)

Claims (10)

  1. 제 1 공기 배출공 및 제 1 공기 흡인공이 형성된 칸막이 벽에 의해 분리된 시험실 및 별실을 갖는 환경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칸막이 벽을 제외한 제 1 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시험실에 배치되는 복수의 시료가 나열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제 2 공기 배출공을 갖는 배출 덕트; 및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칸막이 벽을 제외한 상기 제 1 벽면에 인접하는 제 2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별실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배출 덕트로 안내하는 안내 덕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실을 획정하는 6개 이상의 벽면 중, 상기 제 2 벽면의 일부 또는 상기 제 2 벽면과 마주보는 제3 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 공기 배출공에서 상기 복수의 시료보다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 2 공기 흡인공을 갖는 흡인 덕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흡인 덕트는,
    상기 제 2 공기 흡인공에서 흡인한 공기를 상기 제 1 공기 흡인공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은,
    상기 칸막이 벽 및 상기 제 1 벽면 모두에 인접하고,
    상기 안내 덕트는,
    한쪽 면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면을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다른쪽 면과 마주보는 공간과 상기 배출 덕트를 연통시키는 연통공; 및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다른쪽 면에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연통공이 형성된 제 1 영역과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영역으로 구분하는 칸막이 판;
    을 갖고,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은,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부재의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칸막이 판과 평행한 1이상의 편향판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5.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실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상기 안내 덕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별실에는,
    상기 제 1 공기 배출공에서 상기 안내 덕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송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7.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시험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가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시험실이 획정되고,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시험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갖는 시험조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가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시험실이 획정되고,
    상기 배출 덕트 및 상기 안내 덕트는, 상기 시험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의 주위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조의 주위에는,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시험 장치.
KR1020130095783A 2012-08-24 2013-08-13 환경 시험 장치 KR10163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5759 2012-08-24
JP2012185759A JP5655040B2 (ja) 2012-08-24 2012-08-24 環境試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260A true KR20140026260A (ko) 2014-03-05
KR101631473B1 KR101631473B1 (ko) 2016-06-17

Family

ID=5021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783A KR101631473B1 (ko) 2012-08-24 2013-08-13 환경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55040B2 (ko)
KR (1) KR101631473B1 (ko)
CN (1) CN103630844B (ko)
TW (1) TWI5559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654A (ko) 2017-07-31 2019-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레지스트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8721A (zh) * 2014-12-12 2016-07-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测试箱
CN106442283B (zh) * 2016-08-31 2019-01-01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大气腐蚀的模拟方法
JP6842156B2 (ja) * 2016-10-25 2021-03-17 株式会社システック 防爆恒温槽
JP7145129B2 (ja) * 2019-08-20 2022-09-30 エスペック株式会社 環境試験装置
FR3127811B1 (fr) * 2021-10-05 2023-10-27 Centre Scient Et Technique Du Batiment Enceinte climatiq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248A (ja) * 1997-08-06 1999-02-26 Chuo Riken:Kk 両面型プレートヒータ及び二重加熱恒温槽
JP2002349914A (ja) 2001-05-24 2002-12-04 Espec Corp 加湿装置
CN1403772A (zh) * 2001-08-31 2003-03-19 Lg电子株式会社 冰箱中的冷却空气循环装置
JP2011145187A (ja) * 2010-01-15 2011-07-28 Espec Corp ダク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環境試験装置
JP2011206661A (ja) * 2010-03-29 2011-10-20 Espec Corp 恒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3816A1 (de) * 1982-06-25 1983-12-29 Maschinenfabrik Georg Kiefer Gmbh, 7000 Stuttgart Luftverteiler zur raumbelueftung
JPS5932728A (ja) * 1982-08-19 1984-02-22 Takezo Koyanagi 地中熱利用の冷暖房及びハウス栽培並に融雪装置
JP2006275326A (ja) * 2005-03-28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恒温庫
JP2007071457A (ja) * 2005-09-07 2007-03-22 Ishikawajima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環境試験用空調装置
KR100688606B1 (ko) * 2006-06-12 2007-03-02 이재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통합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248A (ja) * 1997-08-06 1999-02-26 Chuo Riken:Kk 両面型プレートヒータ及び二重加熱恒温槽
JP2002349914A (ja) 2001-05-24 2002-12-04 Espec Corp 加湿装置
CN1403772A (zh) * 2001-08-31 2003-03-19 Lg电子株式会社 冰箱中的冷却空气循环装置
JP2011145187A (ja) * 2010-01-15 2011-07-28 Espec Corp ダク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環境試験装置
JP2011206661A (ja) * 2010-03-29 2011-10-20 Espec Corp 恒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654A (ko) 2017-07-31 2019-02-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레지스트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55955B (zh) 2016-11-01
KR101631473B1 (ko) 2016-06-17
TW201408962A (zh) 2014-03-01
JP5655040B2 (ja) 2015-01-14
JP2014044089A (ja) 2014-03-13
CN103630844A (zh) 2014-03-12
CN103630844B (zh)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6260A (ko) 환경 시험 장치
KR101870997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 평가 장치
CN109565096A (zh) 用于管理电池系统中的热失控气体的方法和设备
EP2369249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5618411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4868522A (zh) 充电器
WO2011088712A1 (zh) 一种集装箱式数据中心
US10881019B2 (en) Cooling apparatus
CN103164003A (zh) 电子装置散热系统
KR20130093020A (ko) 충방전 시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60798A (ja) 蓄電装置
JP6057826B2 (ja) 蓄電装置
CN102724848B (zh) 网络机柜
JP2017102792A (ja) データセンタ
JP6129683B2 (ja) 蓄電装置
JP6586698B2 (ja) 環境性能評価装置
JP2016205688A (ja) ダクト及びデータセンター
JP6571359B2 (ja) 充放電検査装置
JP2013027666A (ja) 収納具
CN113540613A (zh) 基于极耳散热的软包电芯模组及电池包
CN107215541B (zh) 一种分析仪试剂仓体结构
JP5096505B2 (ja) ダク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環境試験装置
JP2012048548A (ja) 機器収容ラック、及び該機器収容ラックを有するデータセンタ
JP5050895B2 (ja) 発熱体収納装置
CN107176383B (zh) 一种分析仪试剂存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