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026A - 가드펜스 - Google Patents

가드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026A
KR20140026026A KR1020120092918A KR20120092918A KR20140026026A KR 20140026026 A KR20140026026 A KR 20140026026A KR 1020120092918 A KR1020120092918 A KR 1020120092918A KR 20120092918 A KR20120092918 A KR 20120092918A KR 20140026026 A KR20140026026 A KR 2014002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fence
support
coupling groove
coupling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영
Original Assignee
대진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026A/ko
Publication of KR2014002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펜스의 횡대와 지주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설치하기 용이한 가드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복수개의 횡대; 상기 횡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기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가드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드펜스{GUARD FENCE}
본 발명은 가드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주와 난간대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경사로 및 코너에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가드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펜스는 주로 교각이나 고가도로 또는 커브길 등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운전 부주의나 교통사고로 인해 차량이 도로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대형사고와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10-2011-0031555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가드펜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한 지주(10)와, 이 지주(10) 사이를 연결하는 펜스(20)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결합된 지주(10)와 펜스(20)는 도로를 따라 연속해서 설치된다.
상기 지주(10)는 알루미늄 재질의 봉으로서 주물 성형되고, 도로변 즉 차도와 인접한 인도의 가장자리 측에 그 하단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는 인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지주(10)는 차도에 대향하는 면에 차량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야간운전 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펜스(20)는 스틸 재질의 봉으로서, 양 지주(10) 사이를 연결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활처럼 휜 봉으로 형성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양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펜스(20)에는 소정의 광고판 등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지주(10)와 펜스(20)의 결합은, 펜스(20)의 양단부가 지주(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지주(10)는 다른 지주(10)와 대향되는 그 양측에 돌출된 삽입관체(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체(11)의 하부 측에는 펜스(20)와의 결합을 위한 스틸재의 돌출부(12)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20)는 활처럼 벤딩된 봉형상으로서 그 양단부가 양 지주(10)의 삽입관체(11)에 삽입되어 용접 고정된다. 이때, 알루미늄 재질의 지주(10)와 스틸 재질의 펜스(20)는 이형재질이기 때문에 용접이 어려우므로, 지주(10)에 설치된 스틸 재질의 돌출부(12)와 펜스(2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드펜스를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경사에 맞추어 상기 지주와 펜스의 결합각도를 조절하며 설치하여야 하는데, 종래와 같은 용접결합의 경우에는 이 결합각도를 맞추어 시공하기가 어렵고 또한 용접 후 각도를 보정하는 작업은 더욱 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드펜스의 돌출부는 양측에 180도 간격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너부에서의 각도조정이 한정적이어서 두 개의 펜스가 90도 이하의 예각으로 결합되어야 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고, 두 개의 가드펜스가 겹쳐서 "T"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가드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드펜스의 횡대와 지주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설치하기 용이한 가드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드펜스의 횡대와 지주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인접하는 횡대와 다양한 각도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수 있는 가드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복수개의 횡대; 상기 횡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기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가드펜스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는, 외주면에 4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일부 결합홈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로 인접하는 횡대들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ㄴ 자 형상의 한 쌍의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를 지지하는 고정볼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결합홈의 일단을 커버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홈 중 3개의 결합홈에 횡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T" 형상을 이루거나, 4개의 상기 결합홈에 횡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펜스에 따르면,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있어서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각도조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드펜스는, 횡대를 인접하는 횡대와 예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자 형상 또는 "+" 형상과 같은 다양한 평면을 가지는 가드펜스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가드펜스의 지주와 펜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주 및 연결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B"부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100)는, 지주(110), 횡대(120) 및 연결돌기(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지면에 일부 매립되어 직립하여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4개의 결합홈(111)이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1)은 내측에 후술할 연결돌기(130)가 삽입되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의 입구(111a)는 내부 공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한편, 4개의 결합홈(111) 중 결합돌기(130)가 삽입되지 아니하는 결합홈의 입구 측에는 상기 입구를 마감하는 마감커버(140)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커버(140)는 양단에 탄성력을 가지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결합홈(111)의 입구(111a)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횡대(12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에 수평설치된다. 상기 횡대(120)는 지주와 지주사이에 3개씩 설치되며, 상기 횡대(120)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돌기(13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110)의 결합홈(11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110)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드펜스가 경사로 또는 코너부에 설치되어야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는 경사로를 따라서 횡대(120)가 용이하게 변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횡대(120) 일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돌기들(130) 사이에는 간격유지대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대(150)는 원통 형상의 봉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111)에 삽입된다. 상기 간격유지대(150)는 연결돌기(130)의 상하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130)를 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하여 줌으로써 상하 연결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한편, 상기 지주 상단에는 원판 형상의 상부캡(16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160)은 상기 연결돌기 및 간격유지대가 상측으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홈의 상측을 밀폐하여 상기 결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100)의 설치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경사로에 가드펜스(100)를 설치하는 경우, 우선 복수개의 지주(110)를 중력방향으로 직립하여 설치한다. 그 후 간격유지대(150) 및 횡대(12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0)를 상기 지주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부캡(160)으로 상측을 마감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돌기(130)는 상기 지주(110)의 결합홈(111)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도 2에서와 같이 횡대(120)가 θ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경사로에서도 가드펜스를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코너부에 가드펜스를 설치하는 경우,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는 수평으로도 회전가능하도록 지주와 결합되므로, 코너진 부분에도 가드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드펜스의 지주는 사방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횡대와 인접하는 횡대를 90도 또는 그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며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는, 지주(210), 횡대(220), 연결돌기(230), 지지브라켓(250) 및 상부캡(2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210), 횡대(220), 연결돌기(230) 및 상부캡(2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지주(110), 횡대(120), 연결돌기(130) 및 상부캡(16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은 상기 지주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돌기 상측의 지지브라켓(250)은, 하측면으로 상기 연결돌기(230)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돌기 하측의 지지브라켓(250)은, 상측면으로 상기 연결돌기(230)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돌기(2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250)에는 상기 연결돌기(230)를 지지하는 고정볼트(251)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볼트(251)는 상기 지지브라켓(25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51)는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의도치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의 지주는, 외주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211) 중 3개의 결합홈에 횡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고, 나머지 결합홈에는 마감커버(2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 자 형상의 가드펜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횡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펜스의 지주는, 외주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311) 중 4개의 결합홈에 횡대(320)의 연결돌기(3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 자 형상의 가드펜스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가드펜스 110 : 지주
120 : 횡대 130 : 연결돌기
140 : 마감커버 150 : 간격유지대
160 : 상부캡

Claims (9)

  1.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수평설치되는 복수개의 횡대;
    상기 횡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가드펜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외주면에 4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펜스.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일부 결합홈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가드펜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펜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횡대들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를 더 포함하는 가드펜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ㄴ 자 형상의 한 쌍의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를 지지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가드펜스.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결합홈의 일단을 커버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하는 가드펜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중 3개의 결합홈에 횡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T" 형상을 이루는 가드펜스.
  9. 청구항 2에 있어서,
    4개의 상기 결합홈에 횡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 형상을 이루는 가드펜스.
KR1020120092918A 2012-08-24 2012-08-24 가드펜스 KR20140026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18A KR20140026026A (ko) 2012-08-24 2012-08-24 가드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918A KR20140026026A (ko) 2012-08-24 2012-08-24 가드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26A true KR20140026026A (ko) 2014-03-05

Family

ID=5064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918A KR20140026026A (ko) 2012-08-24 2012-08-24 가드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198A (zh) * 2021-02-03 2021-06-11 西华大学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开口段防护装置及防护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2198A (zh) * 2021-02-03 2021-06-11 西华大学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开口段防护装置及防护方法
CN112942198B (zh) * 2021-02-03 2022-04-12 山东冠县众立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中央分隔带开口段防护装置及防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88B1 (ko) 가로등 지주
KR100931264B1 (ko) 조립식 통합 교통신호구조물
KR102075600B1 (ko) 수평바의 각도 설치가 용이한 펜스
KR20100123343A (ko) 가드펜스
KR101137072B1 (ko) 마감재를 갖는 가드펜스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KR102133374B1 (ko) 시인성이 우수하고 반사부재의 교체가 용이한 차선분리대
KR20140026026A (ko) 가드펜스
KR200361536Y1 (ko) 조립식 가이드 펜스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101571365B1 (ko)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KR100859660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KR101630189B1 (ko) 플렉시블 펜스
KR1014758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1467958B1 (ko) 자전거가 거치되는 펜스
KR101073699B1 (ko) 안전펜스
KR102026260B1 (ko) 시공성 및 보수 편의성이 향상된 난간 구조물
KR102079617B1 (ko) 지주와 캡의 결합구조
KR100995335B1 (ko) 펜스
KR200460803Y1 (ko) 보차도용 난간
KR101732779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난간대를 갖는 안전 난간
KR101299989B1 (ko)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