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243A -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243A
KR20140025243A KR1020120091952A KR20120091952A KR20140025243A KR 20140025243 A KR20140025243 A KR 20140025243A KR 1020120091952 A KR1020120091952 A KR 1020120091952A KR 20120091952 A KR20120091952 A KR 20120091952A KR 20140025243 A KR20140025243 A KR 2014002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olume
mobile phone
vehicle
cal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5243A/ko
Publication of KR2014002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가 접속 모듈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폰과 접속하는 단계, 제어부가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된 휴대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태정보로부터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통화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음량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과 사고 위험성을 줄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AUDIO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통화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 구비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시스템에는 블루투스(Bluetooth) 핸즈프리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도 켜지면서,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 대기 상태가 된다. 운전자의 휴대폰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AVN 시스템과 연결되면, 운전자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다.
만약, AVN 시스템에서 오디오를 재생하는 중에 운전자가 외부로 전화를 발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AVN 시스템은 오디오의 재생을 중단하고,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을 지원하여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AVN 시스템은 운전자의 휴대폰과 일 대 일로 연결되어 핸즈프리 기능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운전자와 함께 탑승한 동승자의 휴대폰과는 연동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즉, 동승자가 외부로 전화를 발신하거나 외부로부터 동승자의 휴대폰으로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의 AVN 시스템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승자의 원활한 통화를 위해서는 운전자가 오디오의 음량을 수동으로 감소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동승자가 통화를 할 때마다 운전자가 오디오의 음량을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주행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6214호(2012.06.22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의 블루투스 온오프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통화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접속 모듈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과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된 상기 휴대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 모듈은 1:N 접속을 지원하여 다수의 휴대폰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를 음소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이 동승자 휴대폰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승자 휴대폰의 좌석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개벌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전의 음량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통화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음량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과 사고 위험성을 줄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가 검출된 휴대폰의 좌석정보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음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오디오의 음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10), 접속 모듈(20), 제어부(30), 메모리부(40) 및 오디오 출력부(50)를 포함한다.
휴대폰(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화를 수신하거나 발신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탑재된 핸드폰(Cell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Tablet) 등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
접속 모듈(20)은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10)과 접속되어, 접속된 휴대폰의 상태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한다.
이러한 접속 모듈(20)은 1:N 접속을 지원하여 다수의 휴대폰(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동시에 접속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즉, 접속 모듈(20)은 차량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휴대폰(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접속되어, 접속된 휴대폰(10)의 상태정보를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접속 모듈(20)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10)과 접속한다.
이때,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10)과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리스트에는 접속 모듈(20)을 통해 이전에 접속을 수행했던 휴대폰(1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는 접속 모듈(20)로부터 입력되는 휴대폰(10)의 상태정보로부터 휴대폰(10)의 통화상태가 검출되는지 확인하고, 휴대폰(10)의 통화상태가 검출되면,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킨다.
즉, 제어부(30)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10) 중 어느 하나의 휴대폰이 통화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을 이용하여 휴대폰(10)의 통화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미리 설정된 레벨로 감소시키거나 음소거(Mute)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30)가 휴대폰(10)의 통화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모리부(40)에는 접속 모듈(20)을 통해 이전에 접속을 수행했던 휴대폰(1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리스트는 제어부(30)가 접속 모듈(20)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휴대폰(10)과 접속을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0)에는 현재 접속 모듈(20)을 통해 접속된 휴대폰(10)이 운전자 휴대폰인지 동승자 휴대폰인지에 대한 정보 및 휴대폰(10)의 좌석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휴대폰(10)의 좌석정보는 이전에 접속을 수행했던 휴대폰(10)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게 테이블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50)는 오디오를 외부로 출력하며, 오디오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은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부(50)는 운전석, 조수석 측에 각각 1개씩, 후석 좌우측에 각각 1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오디오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 이를 참조하여 차량 내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접속 모듈(20)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10)과 접속한다(S100).
휴대폰(10)과의 접속이 완료되면, 제어부(30)는 접속 모듈(20)로부터 접속 모듈(20)에 접속된 휴대폰(10)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이어서, 제어부(30)는 휴대폰(10)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서 휴대폰(10)의 통화상태가 검출되는지 확인한다(S120).
여기서, 휴대폰(10)의 상태정보는 통화상태와 대기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통화상태는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수신상태 및 외부로 전화를 걸어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발신상태를 포함하며, 대기상태는 통화상태 외의 기타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PF; Hands Free Profile)을 이용하여 휴대폰(10)의 통화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휴대폰(10)의 통화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는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10)이 동승자 휴대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본 실시예에서, 운전자 휴대폰에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폰북 액세스 프로파일(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 고품질 오디오 프로파일(A2DP; 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등의 기능이 지원되는 반면, 동승자 휴대폰에는 핸즈프리 프로파일만 지원된다.
따라서, 제어부(30)가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휴대폰과 동승자 휴대폰을 구분할 수 있다.
만약,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10)이 동승자 휴대폰인 경우, 제어부(30)는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킨다(S140).
이때, 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폰(10)의 좌석정보에 따라 각각의 오디오 출력부(5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이 후석 우측에 탑승한 동승자의 휴대폰인 경우, 제어부(30)는 후석 우측에 위치하는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후석 우측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후석 우측에 위치하는 오디오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을 다른 위치의 오디오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보다 더 낮은 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가 후석 우측에 위치하는 오디오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의 음량만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킨 후, 제어부(30)는 해당 휴대폰(10)의 통화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하여(S150), 통화상태가 종료되면 오디오 출력부(50)를 제어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전의 음량으로 복귀시킨다(S160).
반면,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10)이 동승자 휴대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0)에서 해당 휴대폰(10)이 운전자 휴대폰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핸즈프리 제어를 수행한다(S170).
여기서, 핸즈프리 제어는 운전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핸즈프리 제어시, 제어부(30)는 오디오 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재생을 정지시키고, 휴대폰(10)으로부터 접속 모듈(2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성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음성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접속 모듈(20)을 통해 휴대폰(10)으로 전달하여 핸즈프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통화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음량을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과 사고 위험성을 줄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화가 검출된 휴대폰(10)의 좌석정보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음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오디오의 음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휴대폰
20 : 접속 모듈
30 : 제어부
40 : 메모리부
50 : 오디오 출력부

Claims (6)

  1. 제어부가 접속 모듈을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폰과 접속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접속 모듈을 통해 접속된 상기 휴대폰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여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듈은 1:N 접속을 지원하여 다수의 휴대폰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를 음소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통화상태가 검출된 휴대폰이 동승자 휴대폰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승자 휴대폰의 좌석정보에 따라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개벌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폰의 통화상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오디오의 음량을 감소시키기 전의 음량으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KR1020120091952A 2012-08-22 2012-08-22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KR20140025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52A KR20140025243A (ko) 2012-08-22 2012-08-22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952A KR20140025243A (ko) 2012-08-22 2012-08-22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243A true KR20140025243A (ko) 2014-03-04

Family

ID=5064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952A KR20140025243A (ko) 2012-08-22 2012-08-22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52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62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오디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4056231A1 (de) * 2022-09-16 2024-03-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662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오디오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4056231A1 (de) * 2022-09-16 2024-03-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986B2 (en) Automatically disabling the on-scre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JP4973580B2 (ja)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
CA2798802C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routing in a vehicle mounted communication system
EP1676372B1 (en) System for managing mobile communications
US9106309B2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KR20060063258A (ko) 차량용 핸즈프리 시스템
KR101526736B1 (ko)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JP2006115098A (ja) 車載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
US20110212748A1 (en) Handoff from public to private mode for communications
JP2006203737A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車載用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携帯通信端末のハンズフリープログラム
KR20140025243A (ko) 차량용 오디오의 음량 제어 방법
CN103249600A (zh) 车载电子系统
JP4458721B2 (ja) 車載用電話システム、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KR102219224B1 (ko) 차량 핸즈프리 전화 연결 시스템
JP6760700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CN102745142B (zh) 具有通讯功能的车载托架
JP2003224653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そのスピーカの制御方法
KR20130090229A (ko) 차량용 편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7657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JP4950273B2 (ja) 電子装置
TWI510391B (zh) 車載免提系統、具有車載免提系統之交通工具及行動電話
JP3156304B2 (ja) 電話装置
KR20190084152A (ko) 차량 및 그 방법
KR20190061581A (ko) 블루투스 기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907526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