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152A - 차량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152A
KR20190084152A KR1020170175609A KR20170175609A KR20190084152A KR 20190084152 A KR20190084152 A KR 20190084152A KR 1020170175609 A KR1020170175609 A KR 1020170175609A KR 20170175609 A KR20170175609 A KR 20170175609A KR 20190084152 A KR20190084152 A KR 20190084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all
image
user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533B1 (ko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6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coustic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B60K2370/11
    • B60K2370/143
    • B60K2370/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 표시 중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차량에 마련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키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비활성화시키고,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방법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계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이러한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차량은 부가적인 기능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기능의 동작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차량은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이 통신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스피커,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한다.
일 측면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시 통화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하기 위한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단말기에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보다 크기가 크다.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단말기에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전화의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입력부에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운드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제1영역에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제어부는 통화 전환 명령의 버튼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통화 전환 명령의 버튼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전화의 통화 종료 명령을 더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화의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복귀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은 운전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은 조수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이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1영상은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고,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제2영역에 표시되는 통화 정보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제1영역에 표시되는 통화 정보보다 간략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사운드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화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이 표시되는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수신 정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 표시 중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차량에 마련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키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비활성화시키고,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차량에 마련된 헤드 유닛의 표시부에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의 제1영상과 함께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발신 명령에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발신용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발신용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폰북, 즐겨찾기, 최근 통화 목록, 번호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의 표시를 수행하고, 화면의 제2영역에 제2영상의 표시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수행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2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에 전화 통화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로 전화 통화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화면의 제2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와 인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좀 더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의 제1영역에 표시되는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동승자가 운전자(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통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통화 모드 중 차량 내부의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의 동작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의 소리가 단말기를 통하여 통화하는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루투스 전화 통신 기능을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예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 위를 주행한다. 이러한 차량(1)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 글래스(117)는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우 글래스와,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우 글래스와,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식의 클러스터(123)는 차량 정보 및 주행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센터 페시아(124)는 대시 보드(122) 중에서 운전석(121a)과 조수석(12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센터 페시아(124)에는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5)이 마련될 수 있고,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 페시아(124)에는 사용자의 단말기(2)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멀티단자는 사용자의 단말기(2)와 헤드유닛(125) 간의 유선 통신,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2)와 사용자인터페이스(130) 간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멀티단자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및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저장 장치, 사용자용 단말기(2),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고,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한다.
헤드유닛(125)은 사용자의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헤드 유닛(125)은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제공된 영상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음성 입력을 위한 제1사운드 입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26:126a, 126b, 126c)는 헤드 유닛(126) 및 센터페시아(125)에 마련될 수 있고, 스티어링 휠(132)에도 마련될 수 있다.
제1입력부(126:126a, 126b, 126c)는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입력부(126:126a, 126b, 126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표시된 버튼과 아이콘의 선택 명령과,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124)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제1표시부(127)는 헤드유닛(125)에 마련될 수 있고, 헤드 유닛(125)에 의해 제어되는 각종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표시부(127)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제1사운드 입력부(128)는 하나의 마이크로 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폰 또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마이크로 폰은 지향성 마이크로 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사운드 입력부(128)는 헤드라이닝, 또는 헤드 라이닝에 마련된 오보 헤드 콘솔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사운드 출력부(129)는 제1증폭부와 제1스피커를 포함하고, 대시보드, 도어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전화 통화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헤드유닛(125)에 마련된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헤드 유닛(125)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내부에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제어부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의 표시 제어를 직접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헤드 유닛(125)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콘텐츠나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라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141)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감지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차량은 내부에 마련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차량 방향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휠(142)과, 차량의 제동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페달(143)과, 차량의 가속을 조절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44)과, 기어박스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주차(P), 전진 주행(D), 후진 주행(R) 및 중립(N) 중 어느 하나로 조작되는 변속레버(145)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GPS 수신기, 오디오 기기, 후방 카메라, 사용자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1)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및 외부 단말기인 사용자용 단말기(2)와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참조).
제1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는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GPS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1)과,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2)의 제어 구성도이다.
동일 이름을 가진 차량(1)의 구성부와 단말기(2)의 구성부 간의 구별을 위해, 차량의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고 단말기의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
차량은 제1입력부(126), 제1표시부(127), 제1사운드입력부(128), 제1사운드 출력부(129),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제1통신부(150), 제1제어부(160) 및 제1저장부(161)를 포함한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센터페시아(124), 헤드유닛(125), 스티어링 휠(142)에 마련된 각각의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제1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선택받으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용 단말기(2)와의 통신 연결 명령 및 통신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전화 통화 기능 수행 시 통화 연결 명령 및 통화 종료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전화 통화 기능 중 발신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수신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의 정보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하며, 디엠비 기능 선택 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채널 및 음량 정보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사용자용 단말기(2)를 이용하여 음악 재생 시, 음악 재생, 정지,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된 입력부(126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에 표시된 버튼 및 아이콘을 선택하고, 커서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의 조작 신호 또는 터치 패드의 신호를 제1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사용자용 단말기(2)로부터 폰북 정보의 다운로드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26: 126a, 126b, 126c)는 제1사운드입력부(128), 제1사운드 출력부(129),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등의 동작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설명 명령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사운드입력부(128)의 동작 명령은 음소거 실행/취소 명령일 수 있고,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동작 명령은 스피커의 볼륨 레벨 조정 명령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 명령은 화면의 밝기 조정 명령, 문자의 크기 조정 명령, 문자의 색상 조정 명령, 화면 분할 명령일 수 있다.
제1표시부(127)는 사용자가 조작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1입력부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표시하고,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제1표시부(127)는 전화 수신 시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하고, 통화 중 통화 정보를 표시하며, 전화 발신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의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통화 정보는 통화 상대방(즉,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이름, 닉네임, 그룹명,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통화 시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운드입력부(128)는 차량 내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제1사운드 출력부(129)는 제1스피커를 포함하고, 제1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증폭시키기 위한 제1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증폭부는 필터링된 음성 신호 및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 등의 사운드 신호를 일정 레벨로 증폭시키고, 증폭된 사운드 신호를 제1스피커로 전송한다.
제1스피커는 제1증폭부에서 전송된 사운드 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변환하여 공기 중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한다.
이러한 제1스피커는 통화 연결 음을 사운드로 출력하고, 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을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1사운드 출력부(129)는 제1 제어부(160)의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1사운드 출력부(129)는 내비게이션 정보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1사운드 출력부(129)는 내비게이션 기능 시 경로 및 주행 정보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고, 콘텐츠나 외부 방송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 라디오 등의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UI 입력부(131)와 UI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UI 입력부(131)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입력부(131)는 터치 패널 상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본체의 베젤(미도시)에 UI입력부(131)로 버튼이 마련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입력부(131)는 버튼의 조작 신호를 제1제어부(160)에 전송한다.
UI입력부(131)는 통화 연결 명령, 통화 종료 명령,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통화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UI입력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행 명령,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UI 표시부(132)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UI 입력부(13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UI 표시부(13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제1입력부(126)를 통해 동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UI 입력부(131)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제1제어부(160)에 전송하고, 제1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UI 표시부(132)에 동작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UI 표시부(132)는 단말기(2)와의 페어링 정보를 표시하고, 단말기(2)와의 통신 유무 정보를 표시한다.
UI 표시부(132)는 오디오 기능 수행 시 오디오의 재생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며,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라디오 기능 수행 시 라디오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UI 표시부(132)는 발신 시 번호 키패드 영상, 즐겨찾기 영상, 폰북 영상, 최근 통화 목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전화 통화 기능 수행 시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통화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통화 정보는 통화 상대방(즉,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이름, 닉네임, 그룹명,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통화 시간 및 통화 상대방의 사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I 표시부(132)는 사용자의 단말기(2)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UI 표시부(132)는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목적지 입력을 위한 한/영 문자 버튼, 숫자 버튼, 특수 문자 버튼 등을 영상으로 표시하고,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경로가 매칭된 지도 정보, 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인 UI 표시부(132)는, 복수 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영역을 가진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인 UI 표시부(132)는 사용자(즉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과 인접하고 제1영상을 표시하는 제1영역(133)과,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과 인접하고 제2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134)을 포함하고, 홈 메뉴로 이동하기 위한 홈 메뉴 아이콘 및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고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제3영역(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의 크기는 제2영역의 크기보다 크다.
아울러 제1영역에 표시되는 버튼의 수는 제2영역에 표시되는 버튼의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여기서 각 영역에 표시되는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UI 표시부(132)는 제1 영역(133), 제2영역(134) 및 제3영역(135)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버튼을 영상으로 표시한다.
UI 표시부(132)는 제1 영역(133)과 제2영역(134)에 서로 다른 기능에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동일한 기능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되, 동일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UI 표시부(132)는 제1 영역(133)에 내비게이션 기능의 지도 영상 중 확대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내비게이션 기능의 지도 영상 중 축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UI 표시부(132)는 제1 영역(133)에 내비게이션 기능의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오디오 기능의 오디오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영상은 재생 목록 영상과, 재생 중인 곡명 및 재생 시간의 영상을 포함하고, 이전 곡 재생, 다음 곡 재생, 반복 재생, 일시 정지, 정지 등의 버튼 영상을 포함한다.
제1통신부(150)은 제1제어부(160) 및 사용자의 단말기(2)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1)과 단말기(2) 사이에서 정보가 교환되도록 한다.
제1제어부(160)는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의 페어링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의 페어링을 제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60)는 단말기(2)와의 불루투스 페어링 시도 명령을 제1통신부(150)에 전송하고, 복수 개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2)와 제1통신부(150) 간의 페어링을 수행하며, 복수 개의 프로파일에 대한 페어링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각 프로파일에 대한 페어링 성공으로 판단되면 페어링된 단말기(2)의 정보 저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프로파일은, 단말기와 통신하여 음성 정보를 송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Hands Free Profile)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 간에 기본적이 접근 필요 요건을 기술한 일반 접근 프로파일(GAP: Generic Access Profile)과, 재생, 일시 정지, 볼륨레벨 조정, 이전곡/다음곡 등의 곡 선택 등의 동작 제어 명령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오디오/비디오 원격 제어 프로파일(AVRCP: Audio Video Remote Control Profile)과, 오디오 정보를 송수신 및 제어하기 위한 고급 오디오 배포 프로파일(A2DP: Advance Audio Distribution Profile)과, 텍스트 및 영상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파일 프로파일(FTP: File Transfer Profile)과, 전화번호부에 접근하고 통화 연결 시 발신자 및 수신자의 이름을 안내하기 위한 폰북 프로파일(PBAP: Phone Book Access Profile)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제어부(160)는 단말기(2)와 핸즈프리 프로파일을 통해 페어링되면 실시간으로 단말기(2)에 전화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제1제어부(160)는 오디오 재생 기능 또는 라디오 기능 수행 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입출력 기능 및 제1통신부(150)의 정보 송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2)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정보, 영상 정보,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제어하고, 수신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2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입력부(13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기능 수행 명령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수행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2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입력부(13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된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이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이 제1표시부(12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13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되도록 제1표시부(12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132)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132)의 동작 제어 시 UI 표시부(132)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UI 표시부(132)의 제2영역에 제2영상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하나의 기능이 수행 중이면, UI 표시부(132)의 제1영역에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UI 표시부(132)의 제2영역에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영상과 제2영상은,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 중인 하나의 기능이 내비게이션 기능이면, 제1제어부(160)는 상세 지도 영상(확대 지도 영상)을 제1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축소 지도 영상을 제2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축소 지도 영상에는 길 안내 영상이 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두 개의 기능이 수행 중이면, UI 표시부(132)의 제1영역(133)에 제1기능에 대응하는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UI 표시부(132)의 제2영역(134)에 제2기능에 대응하는 제2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기능이 내비게이션 기능이고 제2영상이 오디오 재생 기능이면, 제1제어부(160)는 지도 영상을 제1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오디오 영상을 제2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부는 두 개의 기능이 수행될 때 운전에 중요한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1영역(133)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운전의 중요도가 내비게이션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보조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2영역(134)에 표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노이즈 제거, 전처리 및 해상도 조정 등의 영상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능은, 오디오 재생 기능, 라디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말기(2)로부터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1표시부(127)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1제어부(160)는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정보에서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 번호 또는 확인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이름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수신 정보의 수신 중, 제1입력부(126) 또는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한다.
즉 제1제어부(160)는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인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제1영역에 표시된 제1영상을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1사운드 입력부(128)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음성 신호를 단말기(2)에 전송하도록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오디오 재생 기능, 라디오 기능, 콘덴츠 재생 기능과 같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 수행 중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의 사운드 출력을 정지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한 사운드 출력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화 통화의 사운드와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한 사운드의 동시 출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제1제어부(160)는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134)에 제1영상을 표시 중에,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단말기 통화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1제어부(160)는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비활성화를 제어하고, 단말기(2)에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의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며, UI표시부의 제1영역(133)과 제2영역(134)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 제어한다.
즉 제1제어부(160)는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134)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60)는 UI표시부의 제1영역에(133)에 통화 영상의 표시 시에 상세한 통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UI표시부의 제2영역에(134)에 통화 영상의 표시 시에 간략한 통화 영상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어부(160)는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 표시 시에는 통화 설정 버튼의 영상과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UI표시부의 제2영역(1344)에 통화 영상 표시 시에는 상대방의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26) 또는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거나 단말기(2)를 통해 통화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의 통화 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제1영역(133)에 제1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을 다시 제2영역(1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상대방과 통화 중 단말기(2)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핸즈프리 통화 모드로 전환 제어한다.
이때 제1제어부(160)는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인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정보가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제1영역에 표시된 제1영상을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26) 또는 UI입력부(131)를 통해 발신 명령이 입력되거나 단말기(2)를 통해 발신 명령이 수신되면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화면인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발신용 통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제1영역(133)에 표시된 제1영상을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발신용 통화 영상은 번호 키패드 영상, 즐겨찾기 영상, 폰북 영상, 최근 통화 목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60)는 발신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비활성화를 제어하고, 단말기(2)에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의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며, UI표시부의 제1영역(133)과 제2영역(134)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 제어한다.
즉 제1제어부(160)는 발신 중 또는 발신 연결 시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134)에 발신용 통화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예의 제1제어부는 하나의 기능이 수행될 때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영역을 두 개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기능이 수행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영역을 분할하지 않고, 통합된 전체 영역에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통화 기능이 수행될 때 통합된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두 영역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제어부(160)는 헤드 유닛(125)에 마련된 제어부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60)는 차량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61)는 페어링된 단말기(2)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1저장부(161)는 제1제어부(141)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2)에서 전송된 폰북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폰북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이름과, 적어도 하나의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16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저장부는 제1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는 제2입력부(210), 제2표시부(220), 제2사운드 입력부(230), 제2사운드 출력부(240), 제 2통신부(250), 제2제어부(260) 및 제2저장부(261)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2)는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 이동성, 및 전화 통화 기능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는 전화 통화 기능, 오디오 재생 기능, 영상 재생 기능 및 인터넷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을 제2제어부(260)에 전송한다.
제2입력부(210)는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기능은 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차량(1)과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2입력부(210)는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받거나, 이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볼륨 조절을 위한 조절 버튼, 번호 등의 문자가 인쇄된 버튼,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명령을 갖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버튼은 물리적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고 터치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입력부(210)는 통화 연결 명령, 통화 종료 명령,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통화 설정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표시부(220)는 전화 통화 기능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고 차량(1)과의 통신 상태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제2표시부(220)는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220)는 전화 발신 시 번호 키패드 영상을 표시하고, 전화 수신 시 발신자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와, 통화 연결 버튼 및 통화 종료 버튼 영상을 표시하며 전화 발신 시 수신자의 이름이나 전화번호 번호와, 통화 연결 버튼 및 통화 종료 버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220)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단말기(2)의 제2입력부와 제2표시부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제2사운드 입력부(230)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고 수집된 소리의 음파를 검출하고, 이 음파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기 신호를 제2제어부(26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2사운드 입력부(230)는 마이크로 폰을 포함한다.
제2사운드 입력부(23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 시 차량의 제1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사운드의 입력을 차단하거나 사운드의 입력을 수행한다.
즉 제2사운드 입력부(230)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내의 제1사운드 입력부(128)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이 입력되도록 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을 직접 입력받음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이 입력되도록 한다.
제2사운드 출력부(240)는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한다.
제2사운드 출력부(24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 시 차량의 제1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사운드의 출력을 차단하거나 사운드의 출력을 수행한다.
제2사운드 출력부(240)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차량 내의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상대방의 음성을 직접 출력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제2통신부(25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통신부(250)는 전화 통화 기능 수행 시 차량(1)과 음성 정보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제2통신부(250)는 오디오 기능 시 차량(1)과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제2통신부(250)는 전화 통신, USB,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제2제어부(260)는 제2입력부(210)에 페어링 버튼의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과의 페어링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1)의 제1통신부(150)와의 페어링 시, 제2통신부(250)에서 지원하는 모든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한다.
즉 제2제어부(260)는 GAP, HFP, AVRCP, A2DP, FTP, PBAP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의 제1통신부(150)와 페어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차량의 제1제어부(160)와 통신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제2저장부에 저장된 폰북 정보가 차량의 제1통신부(15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수신 신호를 차량의 제1통신부(150)로 전송한다.
제2제어부(260)는 사용자용 단말기(2)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차량의 제1통신부(15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핸즈프리 프로파일(HFP)에 의해 수행되는 통화 음성의 입출력 및 통화 연결 상태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과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의 비활성화를 제어하고, 차량으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제2입력부(210)를 통해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통화 전환 명령을 차량(1)에 전송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며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의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으로부터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거나 제2입력부(210)를 통해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으로부터 통화 종료 명령이 수신되거나 제2입력부(210)를 통해 통화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통화 종료를 수행한다.
즉 단말기는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시 단말기의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를 통해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이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는 단말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 상대방화 통화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시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의 입력 및 출력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탑승자의 음성이 제2사운드 입력부(230)와 제2사운드 출력부(24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는 단말기를 통해 직접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제2저장부(261)는 폰북 정보를 저장한다.
폰북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정보로, 적어도 하나의 이름과, 이름별 전화번호와, 이름별 즐겨 찾기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름별 전화번호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복수일 경우에는 번호별 전화 종류가 설정될 있다.
제2저장부(261)는 페어링된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저장부(26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저장부(261)는 제2제어부(26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로, 도 6a 내지 도 13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표시하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171)한다.
즉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 2 영역(133, 134)에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내비게이션 기능이 선택되면 GPS 수신 모듈에 수신된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일정 범위 내 지도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 2 영역(133, 134)에 서로 다른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차량은 제1입력부(126)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입력부(131)를 통해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위치와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의 경로 정보를 지도 정보에 매칭시켜 내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내비게이션 영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표시하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 2 영역(133, 134)에 서로 다른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과 제2영역(134)에 내비게이션 영상을 표시하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으로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제2영상으로 길 안내 정보를 갖는 아이콘과 이모티콘(134a)이 오버랩된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과 오디오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1영역에 표시하고, 오디오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2영역에 표시한다.
즉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과 오디오 재생 기능이 선택되면 내비게이션 기능과 오디오 재생 기능 중 사용자의 운전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1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2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과 오디오 재생 기능 중 먼저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1영역에 표시하고 나머지 기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제1입력부(126)를 통해 단말기(2)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2)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차량은 단말기(2)와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172)되면 핸즈프리 모드를 수행한다.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으로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제2영상으로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하며 주행하는 중에, 단말기(2)로부터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173)되면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174)한다. 이때 차량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통해 전화 수신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된 제1표시부(127)를 통해 수신 알림 정보를 문자로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은 유지시킨다.
차량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된 제1표시부(127)를 통해 수신 정보 중 발신자의 전화 번호나 이름을 표시하는 것도 하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132)의 제1영역(134)을 통해 수신 알림 정보를 문자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표시되는 확대 지도 영상을 일정 크기만큼 잘라내고, 제1영역(133) 중 확대 지도 영상이 배치되고 남은 영역(133a)에 수신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표시되는 확대 지도 영상의 크기를 일정 크기만큼 축소시키고, 제1영역 중 축소된 확대 지도가 배치되고 남은 영역에 수신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의 확대 지도 영상에 수신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오버랩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수신 알림 정보 외에 수신 정보 중 발신자의 전화 번호나 이름을 표시하는 것도 하다.
차량은 수신 알림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UI표시부(132)의 제1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전화 수신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차량은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175)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통화 거부로 판단하고 수신 정보의 표시를 종료(176)한다.
반면 차량은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177)한다.
여기서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차량은 제1사운드 출력부(129)가 활성화 상태이면 제1사운드 입력부(128)만을 활성화시킨다.
이 때 단말기의 제2사운드 입력부와 제2사운드 출력부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차량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 수행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차량은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제1영역에 표시된 제1영상을 UI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표시(178)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며,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 제2영역(134)에 표시된 축소 지도 영상은 삭제한다.
이때 제1영역(133)에 표시되는 통화 영상은, 상세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통화 설정 버튼의 영상(133b)과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133c)과, 통화 전환 버튼의 영상(133d)과, 통화 종료 버튼의 영상(133e)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 설정 버튼의 영상은, 제1스피커의 볼륨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의 영상(b1), 마이크 온오프(즉 음소거 온/오프) 설정을 위한 버튼의 영상(b2) 및 번호 키패드의 영상(b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상대방과 통화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179)하고,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180)하며,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즉 차량은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통화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전환 버튼의 터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제1입력부(126)를 통해 통화 전환 버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종료 버튼의 터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제1입력부(126)를 통해 통화 종료 버튼의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화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은,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은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종료하고,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비활성화시키며,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과 제2영역(134)의 영상을 복귀시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은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있었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있었다면, 차량은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으로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제2영상으로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182)한다.
차량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 수행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183)하고 단말기(2)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한다.
여기서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때 단말기의 제2사운드 입력부와 제2사운드 출력부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통화 영상을 표시(184)한다.
차량은UI표시부의 제2영역에(134)에 통화 영상의 표시 시에 간략한 통화 영상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상세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으로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간략한 통화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간략한 통화 영상은 상대방의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만으로, 상대방의 전화 번호, 이름(134b), 및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134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단말기 통화 모드 수행 중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185)하고 단말기(2)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177)한다.
여기서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제1사운드 입력부(128)와 제1사운드 출력부(129)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때 단말기의 제2사운드 입력부와 제2사운드 출력부는 비활성화 상태이다.
차량은 단말기 통화 모드 수행 중 단말기(2)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하고,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유지한다.
여기서 단말기 통화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은, 차량의 제1사운드 입력부와 제1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고, 단말기의 제2사운드 입력부와 제2사운드 출력부의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단말기 통화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차량은 블루통신 연결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제1사운드 입력부와 제1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상태를 유지시킨다.
차량은 단말기 통화 모드에서 통화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종료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제2 영상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을 표시하며,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제2영역(134)에 표시된 제2영상을 다시 제2영역(134)에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차량의 통화 설정 및 발신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아울러 통화 설정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 수행에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주행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과 제2영역(134)에 내비게이션 영상을 표시하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으로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제2영상으로 길 안내 정보를 갖는 아이콘과 이모티콘이 오버랩된 축소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차량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중 볼륨 레벨 버튼의 영상(b1)의 위치의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로 상대방과 통화를 제어하면서 제1영역(133)에 표시된 상대방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삭제하고, 삭제된 공간에 볼륨 레벨 조정을 위한 영상(133f)을 표시하고,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통화 볼륨을 설정한다.
이때 차량은 통화 전환 버튼의 영상(133d)과 통화 종료 버튼의 영상(133e) 표시는 유지시킬 수 있다.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중 마이크 온/오프 버튼의 영상(b2)의 위치의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로 상대방과 통화를 제어하면서 제1사운드 입력부를 비활성화시키고, 마이크 온/오프 버튼의 터치 신호가 다시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로 상대방과 통화를 제어하면서 제1사운드 입력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량은 단말기와 블루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1입력부(126)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입력부(131)를 통해 발신 명령이 입력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발신용 통화 영상을 표시하고, 발신 명령이 입력되기 전 제1영역에 표시된 제1영상을 제2영역(134)에 표시한다.
이때 차량은 제1사운드 입력부와 제1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발신용 통화 영상은 번호 키패드 영상, 즐겨찾기 영상, 폰북 영상, 최근 통화 목록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발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발신용 번호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은 단말기와 블루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발신 명령이 입력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I입력부(131)를 통해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단말기로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발신용 통화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영역에 표시되는 제1영상은 발신 명령이 입력되기 전 제1영역에 표시된 영상이다.
이때 차량은 제1사운드 입력부와 제1사운드 출력부를 비활성화시킨다.
단말기는 제2사운드입력부와 제2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킨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1영역(133)에 확대 지도 영상을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UI 표시부의 제2영역(134)에 발신용 번호 키패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발신 명령 시, 전화 번호는 음성으로 입력 가능하다.
1: 차량 2: 사용자 단말기
126: 제1 입력부 127: 제1표시부
128: 제1사운드 입력부 129: 제1사운드 출력부
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제1통신부
160: 제1제어부 210: 제1입력부
220: 제2표시부 230: 제2사운드입력부
240: 제2사운드 출력부 250: 제2통신부
260: 제2제어부

Claims (23)

  1.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단말기에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보다 크기가 큰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운드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1영역에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전환 명령의 버튼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전환 명령의 버튼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6. 제 2 항에 있어서,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전화의 통화 종료 명령을 더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의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과 제2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을 복귀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은 운전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이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은 조수석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영역인 차량.
  10.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은 내비게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이고,
    상기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제2영역에 표시되는 통화 정보는,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통화 정보보다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운드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활성화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비활성화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3. 제 10 항에 있어서,
    통화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5. 제 10 항에 있어서,
    통화 종료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에 제1영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영역에 제2영상이 표시되는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수신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18.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 표시 중 전화의 수신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고,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을 표시하고,
    핸즈프리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 중 통화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에 통화 전환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단말기 통화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비활성화시키고,
    통화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에 제1영상을 표시하고 제2영역에 제2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통화 모드의 수행 중 상기 단말기로부터 통화 전환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차량에 마련된 헤드 유닛의 표시부에 상기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의 제1영상과 함께 상기 수신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발신 명령에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영역에 발신용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 상기 제1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용 통화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폰북, 즐겨찾기, 최근 통화 목록, 번호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70175609A 2017-12-20 2017-12-20 차량 및 그 방법 KR10245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09A KR102459533B1 (ko) 2017-12-20 2017-12-20 차량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09A KR102459533B1 (ko) 2017-12-20 2017-12-20 차량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152A true KR20190084152A (ko) 2019-07-16
KR102459533B1 KR102459533B1 (ko) 2022-10-27

Family

ID=6747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09A KR102459533B1 (ko) 2017-12-20 2017-12-20 차량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5615S1 (en) 2021-08-23 2023-05-09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876A (ko) * 2009-09-04 2012-06-1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화면 스크롤 중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12235185A (ja) * 2011-04-28 2012-11-29 Alpine Electronics Inc 電話帳表示車載機器
JP2014027692A (ja) * 2011-03-23 2014-02-06 Denso Corp 車両用装置、および機器連携システム
KR2016003245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876A (ko) * 2009-09-04 2012-06-12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화면 스크롤 중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14027692A (ja) * 2011-03-23 2014-02-06 Denso Corp 車両用装置、および機器連携システム
JP2012235185A (ja) * 2011-04-28 2012-11-29 Alpine Electronics Inc 電話帳表示車載機器
KR2016003245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5615S1 (en) 2021-08-23 2023-05-09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533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2160B2 (en)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nt to use services based on proximity
CN101222238B (zh) 用于信息处理设备的音频输出方法
US20140106734A1 (en) Remote Invocation of Mobile Phone Functionality in an Automobile Environment
US7957774B2 (en) Hands-free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
US20150365771A1 (en) Vehicle communiation with a hearing aid device
JP2017050856A (ja) 車両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カスタマイズ
JP2007104343A (ja) ハンズフリー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41293B2 (en) In-vehicle display system for navigation and additional functions
US8825115B2 (en) Handoff from public to private mode for communications
CA2561744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processing of outputs to a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US20210352455A1 (en) Method for enabling, and causing, stored settings of controls for functions of a radio head unit in an automotive vehicle to be re-programmed
WO2005101674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processing of inputs to a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CN107666535B (zh) 车载装置、车载装置音频输出控制方法以及音频输出控制系统
KR102459533B1 (ko) 차량 및 그 방법
US202002311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the driver of a motor vehicle
US20090036169A1 (en) Motor vehicle cordless hands-free kits
CN115268819A (zh) 一种车内多媒体音区切换方法、装置、汽车及存储介质
KR20150053276A (ko) 이동통신단말기와 차량 헤드유닛이 연계된 음성 처리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657657B1 (ko) 통신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방법
KR101587063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3224653A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そのスピーカの制御方法
JP2018142841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90061581A (ko) 블루투스 기반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729284B2 (ja) 車両用装置、車両用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24613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