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732A -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732A
KR20140024732A KR1020120091222A KR20120091222A KR20140024732A KR 20140024732 A KR20140024732 A KR 20140024732A KR 1020120091222 A KR1020120091222 A KR 1020120091222A KR 20120091222 A KR20120091222 A KR 20120091222A KR 20140024732 A KR20140024732 A KR 2014002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aterial
detecting
target
type probe
hair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511B1 (ko
Inventor
심봉주
박현규
원병연
백송이
김지태
조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511B1/ko
Priority to US13/892,820 priority patent/US20140057256A1/en
Publication of KR2014002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16Hybridisation assay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25/00Reactions involving modified oligonucleotides, nucleic acids, or nucleotides
    • C12Q2525/30Oligonucleotides characterised by their secondary structure
    • C12Q2525/301Hairpin oligonucleot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probe)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loop)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스템(stem)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특징으로 하고, 표적물질과 혼성화시에 헤어핀 구조가 깨짐으로써 상기 신호물질이 압타머로부터 분리되어 전극까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신호의 변화에 의해 표적물질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Hairpin-type probe for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for detecting target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적물질을 검출하는 프로브에 대한 것으로, 특히, 표적물질과 혼성화시에 신호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신호 변화를 통하여, 표적물질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표적물질 검출방법에 대한 것이다.
핵산 증폭기술은 1990년대 이후 핵산의 정량 증폭 기술로 발전하여 급속히 시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존의 PCR 기술이 표적핵산의 증폭과정 전의 최초 농도를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을 극복하고 초기 농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정량 증폭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비특이적 형광물질인 SYBR green과 염기서열 특이적인 TaqMan probe 등을 사용한 정량중합효소연쇄반응 (qPCR)인 real-time PCR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많은 연구 성과들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은 real-time PCR 기법은 최근 유전자 분석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기법으로 인정되어 핵산 분석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했던 신종플루 (H1N1) 바이러스 감염 확진에 사용되면서 그 가치를 입증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의 real-time PCR 방법들은 크고 비싼 분석 장비와 고가의 형광 물질, 그리고 숙련된 전문기술 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진단은 반드시 전문적인 시설과 인력을 갖춘 대학/종합 병원 또는 전문 진단 기관에의 의뢰를 통해서만 가능한 실정이어서 시료의 채취로부터 결과 통보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된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지역 소규모 병원 및 보건소, 또는 심지어 가정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현장 진단 시스템 (POCT, point-of-care testing) 이 구현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저렴하고 소형의 장치에서도 간편하게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례로, 최근 간편하고, 값싸고,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한 분석 방법인 전기화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real-time PCR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방법들은, 하나의 반응 챔버에서 여러 종류의 표적 핵산을 동시에 검출하는 다표적 분석이 어렵고, 별도의 형광물질(interchelator)을 표지(labeling) 해야하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고가의 광학장비가 필요하다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적물질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표적물질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는 one-step 핵산 검출 방법과, 별도의 형광물질 표지가 필요하지 않은 다표적 real-time PCR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probe)는,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loop)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스템(stem)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적물질은 핵산(nucleic acid)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적물질 인식부위는 표적물질과 결합하는 압타머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루프가 표적물질과 혼성화(hybridization)되면,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압타머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금속 이온(ion), 나노입자(nanoparticle), 양자점(quantum dot),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페리시아나이드 (ferricyanide), 페로센 유도체 (ferrocene derivatives), 루테늄 유도체 (ruthenium derivatives), 오스뮴 유도체 (osmium derivatives), 퀴논(quinones)계 단백질, 및 다우노마이신(daunomycin)계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타머는 C-C 또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은 이온(Ag+)이고, 상기 압타머는 C-C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수은 이온(Hg2 +)이고, 상기 압타머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제1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loop)와, 제1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스템(stem)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1프로브(probe); 및 제2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와, 제2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를 포함하는 스템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2프로브;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set)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한 표적물질의 검출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는,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상기 프로브의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압타머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를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적물질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2종류 이상의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로 다른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수 표적물질의 검출방법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적물질과 혼성화시에 헤어핀 구조가 깨짐으로써 신호물질이 압타머로부터 분리되어 전극까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신호의 변화에 의해 표적물질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는 one-step 핵산 검출 방법과, 별도의 형광물질 표지가 필요하지 않은 다표적 real-time PCR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표적물질의 양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의 신호물질과 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적물질을 검출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표적물질 검출시, 표적물질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가 표적물질(성병 유발인자인 클라미디아(Chlamydia)의 핵산)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Complementary target)와, 그렇지 않은 경우(Noncomplementary target)의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를 이용하여 표적물질(100)의 양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의 신호물질(21)과 스템(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표적물질을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프로브(1)로써, 루프(10)와 스템(20)으로 이루어진 헤어핀형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헤어핀형이라 함은 비컨 프로브(beacon probe)와 같이 루프(10)와 스템(20)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루프(10)는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해서, 표적물질(100)과 혼성화(hybridization)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표적물질(10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DNA 또는 RNA와 같은 핵산(nucleic acid)일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표적물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10)가 표적물질(100)을 인식할 수 있는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전체 또는 그 일부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루프(10)는 검출하고자 하는 표적물질(100)에 대응하는 염기서열을 일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적물질(10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템(20)은 루프(10)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서 헤어핀형 구조를 만드는 부분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압타머로 이루어지거나 이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타머(aptamer)는 단일 또는 이중 나선의 DNA, RNA 형태를 가지고, 표적 단백질과의 3차원적 결합을 통해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생고분자 물질로써, 다양한 표적분자에 결합하는 특징을 가져서 universal capturing agent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압타머를 이용하여, 헤어핀형 구조를 가지는 프로브를 제작하고, 상기 압타머에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를 결합시켜서 표적물질을 검출하는 것이다. 압타머를 루프(10)에 연결하고, 상기 압타머에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를 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은 전기화학적 전압-전류법(voltammetry)에 의해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써, 전극(200)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를 변화시키는(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호물질(21)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서열의 스템(stem) 부분과, 표적물질(100)과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루프(loop) 부분으로 구성된 비컨 프로브(beacon probe)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루프(10)가 표적물질(100)과 혼성화되면, 헤어핀형 구조가 깨짐으로써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이 스템(20)의 압타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이 프로브(1)의 스템(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자유로운 상태일 때보다 전극(200) 표면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전기화학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표적물질(100)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물질(21)이 압타머와 결합하고 있어, 분석 용액 내에서 전극(200)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내지 못한다(도 1의 A 참조). 그러나, 표적물질(100)이 존재할 때는, 상기 표적물질(100)이 프로브(1)의 루프(10) 서열과 혼성화됨으로써, 신호물질(21)과 결합되었던 스템(20)의 구조가 깨지고, 신호물질(21)이 분리된다. 그러면, 신호물질(21)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전극(200) 표면 근처에 도달하여 산화/환원에 의해 전기화학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것이다(도 1의 B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시료 내 표적물질의 양이 증가하면 그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압-전류법(voltammetry)을 통해 얻어지는 전기화학적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시료 내 전체 신호물질(21)의 양은 같으나 신호물질(21)의 물질이동 현상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고, 별도의 형광물질(interchelator)을 표지(labeling)하거나 추가적인 세척과정 없이, 표적물질의 실시간 검출이 가능한 전기화학적 one-step 분석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은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써, 전극(200)과의 거리에 따라 신호를 내거나 내지않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금속 이온(ion), 나노입자(nanoparticle), 양자점(quantum dot 형태),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페리시아나이드 (ferricyanide), 페로센 유도체 (ferrocene derivatives), 루테늄 유도체 (ruthenium derivatives), 오스뮴 유도체 (osmium derivatives), 퀴논(quinones)계 단백질, 및 다우노마이신(daunomycin)계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압타머는 C-C 또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자들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C-C mismatch와 T-T mismatch 서열이 각각 Ag+와 Hg2 +이온과 결합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를 디자인하였고, 이것을 이용한 실험 결과를 확인한 뒤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g+를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로 이용하고 C-C mismatch 서열을 압타머 서열로 사용하여 프로브(1)를 구성하면, 표적물질인 핵산이 있는 경우에는 C-C mismatch 서열에 결합되어 있는 Ag+이 분리되어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C-C mismatch나 T-T mismatch와 같은 간단한 서열을 반복하여 압타머를 구성하면, 같은 양의 표적핵산으로 신호증폭이 가능하여 고감도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C-C mismatch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전기화학적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이 은 이온(Ag+)이고, 상기 압타머는 C-C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은 수은 이온(Hg2 +)이고, 상기 압타머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납 이온(Pb2 +)을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로 사용하고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quadruplex 서열을 압타머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표적물질 인식부위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을 가지는 2종류 이상의 다양한 프로브(1)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1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와, 제1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a)이 결합된 압타머를 포함하는 스템으로 이루어진 제1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1프로브(1a); 및 제2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와, 제2전기화학적 신호물질(21b)이 결합된 압타머를 포함하는 스템으로 이루어진 제2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2프로브(1b);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set)일 수 있다.
도 4의 A는 각각 다른 위치에서 신호를 발생하는 서로 다른 신호물질(21a, 21b)들과 결합하는 여러 종류의 프로브(1a, 1b)를 이용한 다표적 핵산검사 및 다표적 real-time PCR을 나타낸다. 이 프로브(1a, 1b)들은 각각 서로 다른 표적핵산과 결합함으로써 각각 서로 다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서로 다른 2종의 표적핵산을 동시에 검출하는 다표적 real-time PCR에서, 시료에 어떤 종류의 표적 핵산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2종의 신호물질(21a, 21b)이 모두 압타머에 결합되어 있어서, 전극(200) 표면으로 자유 확산이 불가능하여 어떠한 전기화학적 신호도 발생하지 않는다. 도 4의 B에서는 2종의 표적핵산 중에 1종의 표적핵산만이 존재할 경우 이 1종의 표적핵산만 증폭되고, 이 표적핵산이 프로브(1a)에 혼성화함으로써, 그에 해당되는 프로브(1a)에 결합된 신호물질(21a)만이 자유확산이 가능하여 신호가 발생한다. 반면, 표적핵산이 존재하지 않아 증폭되지 않은 다른 표적핵산에 해당하는 프로브(1b)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신호물질(21b)이 압타머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4의 C에서는 2종의 표적핵산이 모두 존재할 경우 모든 표적핵산이 증폭되고, 모든 신호물질(21a, 21b)이 자유확산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2종의 서로 다른 신호가 동시에 발생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로 다른 신호물질(21a, 21b)들과, 이들이 결합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압타머 서열로 구성된 여러 종류의 프로브(1a, 1b)를 이용하면, 한 개의 반응 챔버에서 여러 종류의 표적핵산을 동시에 검출하는 다표적 검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서로 다른 표적핵산에 해당하는 프로브(1a, 1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신호물질(21a, 21b)이 결합되기 때문에, 신호물질(21a, 21b)의 종류를 기반으로 특정 핵산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물질(21)인 금속은 압타머와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이온 형태가 유리하다. 또한, 상기 신호물질(21)인 금속들은 각각 서로 다른 산화 전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Bi, Cd, Cu, Ga, Ge, In, Ni, Pb, Sb, Sn, Tl, Zn, Hg, Au, Ag, Pt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석 방법은 전기화학적 stripping analysis 방법이 적합하며, 신호의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은(Hg), 비스뮤스(Bi) 또는 갈린스탄(galinstan; gallium, indium, tin의 혼합물)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적물질(100)을 검출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화학 신호물질(21)과 결합하는 프로브(1)를 이용한 핵산 검출 방법에 기초하여, 핵산 뿐만 아니라 소분자, 단백질, 세포 등도 검출할 수 있다.
즉, 루프(10) 부분을 표적핵산에 상보적인 서열 대신 소분자, 단백질, 세포 등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서열로 구성하면, 표적물질(100)이 루프(10) 부분의 압타머 서열과 결합하면서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을 자유롭게 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다양한 표적물질(100)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루프(10)에서 상기 표적물질 인식부위는 표적물질과 결합하는 압타머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한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를 표적물질(100)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1)를 이용한 표적물질의 검출방법이다.
상기 프로브(1)를 표적물질(100)과 반응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 기준 전극(reference electrode), 보조 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는 반응챔버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1)를 신호물질을 함께 가한다.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작업 전극(200)은 신호 물질의 종류에 따라 금 (Au), 은 (Ag), 백금 (Pt), 탄소 (C)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표적물질(100)이 포함된 PCR 반응 용액(중합효소, 시발체, dNTPs)을 상기 반응챔버에 주입하여 PCR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PCR의 열변성(denaturation), 결합(annealing), 중합(polymerization or extension) 세 단계 중 결합 단계가 종료될 시점에서 전기화학적 신호를 측정한다. 시료에 표적물질(100)이 존재하여 PCR이 진행됨에 따라 표적물질(100)의 양이 증가하면, 표적물질(100)이 본 발명의 프로브(1)와 혼성화 함에 따라 압타머에 결합되어 있던 신호물질(21)이 자유롭게 분리되어 전기화학적 신호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브(1)를 표적물질(100)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적물질(100)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검출 방법을 기반으로 PCR 증폭과 신호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표적 핵산의 증폭을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전기화학적 real-time PCR 방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1) 세트를 2종류 이상의 표적물질(100)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로 다른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수 표적물질의 검출방법일 수 있다.
즉, 각각 구분되는 고유의 산화 전위를 갖고 있는 여러 종류의 금속 이온을 신호물질(21a, 21b)로 이용하고, 그것으로부터의 신호 측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여러 종류 표적핵산의 증폭을 전기화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전기화학적 다표적 real-time PCR 방법인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표적 핵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금속과 결합할 수 있는 프로브(1) 세트를 이용하면, 한 개의 반응 챔버에서 다표적 real-time PCR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각각 서로 다른 금속으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전기화학적 신호의 증가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표적 핵산들의 유무를 PCR 증폭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 전기화학적 one - step 핵산 검출법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시료 내에 있는 표적 핵산의 존재 여부 또는 농도를 검출하였다.
먼저, 성병 유발 인자인 클라미디아(Chlamydia)의 핵산을 표적 핵산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표적 핵산에 혼성화할 수 있는 서열로 루프 부분을 구성하였으며, 신호물질인 납 이온 (Pb2 +)과 결합할 수 있는 G-quadruplex형태의 압타머 서열로 스템 부분을 구성하여, molecular beacon probe를 합성하였다(GGG TAG GGT TTA AAA GGG ATT GCA GCT TGG GTT GGG).
반응 용액에 상기 beacon probe와 신호 물질을 담고, 반응챔버에 glassy carbon 작업 전극, Ag/AgCl 기준 전극 및 Pt 보조 전극을 설치하였다. 여기에 1 pM부터 1 μM 농도의 표적 핵산을 첨가하고 30분 반응 후 anodic stripping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이 때, 30분의 반응 시간은 충분한 반응 시간을 주기 위함이므로, 적용 용도에 따라 반응시간의 단축은 가능하다. 전기화학적 신호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2 min accumulation at -0.8 V; subsequent square-wave stripping from -0.8 to -0.2 V with step potential of 2 mV, amplitude of 25 mV, and frequency of 25 Hz.
그 결과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표적물질 검출시, 표적물질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적 핵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가 표적물질(성병 유발인자인 클라미디아(Chlamydia)의 핵산)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Complementary target)와, 그렇지 않은 경우(Noncomplementary target)의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가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표적 핵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류 신호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 프로브
10 : 루프
20 : 스템
21 : 신호물질
100 : 표적물질
200 : 전극

Claims (14)

  1. 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loop)와,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스템(stem)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prob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은 핵산(nucleic ac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물질 인식부위는 표적물질과 결합하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가 표적물질과 혼성화(hybridization)되면,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압타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금속 이온(ion), 나노입자(nanoparticle), 양자점(quantum dot),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페리시아나이드 (ferricyanide), 페로센 유도체 (ferrocene derivatives), 루테늄 유도체 (ruthenium derivatives), 오스뮴 유도체 (osmium derivatives), 퀴논(quinones)계 단백질, 및 다우노마이신(daunomycin)계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타머는 C-C 또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은 이온(Ag+)이고, 상기 압타머는 C-C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은 수은 이온(Hg2 +)이고, 상기 압타머는 T-T 미스매치(mismatch)의 반복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10. 제1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loop)와, 제1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aptamer)를 포함하는 스템(stem)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1프로브(probe); 및
    제2표적물질 인식부위를 포함하는 루프와, 제2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결합된 압타머를 포함하는 스템으로 이루어진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제2프로브;를 포함하는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set).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를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한 표적물질의 검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화학적 신호는,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상기 프로브의 전기화학적 신호물질이 압타머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한 표적물질의 검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를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적물질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형 프로브를 이용한 표적물질의 실시간 검출방법.
  14. 제10항에 따른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2종류 이상의 표적물질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로 다른 전기화학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핀형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수 표적물질의 검출방법.
KR1020120091222A 2012-08-21 2012-08-21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KR10145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22A KR101454511B1 (ko) 2012-08-21 2012-08-21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US13/892,820 US20140057256A1 (en) 2012-08-21 2013-05-13 Hairpin-type probe for detecting target material and method for detecting target materi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222A KR101454511B1 (ko) 2012-08-21 2012-08-21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32A true KR20140024732A (ko) 2014-03-03
KR101454511B1 KR101454511B1 (ko) 2014-10-23

Family

ID=5014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222A KR101454511B1 (ko) 2012-08-21 2012-08-21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57256A1 (ko)
KR (1) KR101454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82A (ko) * 2018-01-31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압타머-신호물질 수식 프라이머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반의 표적핵산 검출방법
KR20190092881A (ko) * 2018-01-31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헤어핀 프로브 기반 등온 핵산 증폭을 이용한 표적핵산 검출 방법
WO2020242226A1 (ko) * 2019-05-28 2020-12-03 프로지니어 주식회사 핵산 검출용 다가 핵산 나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고감도 핵산 탐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4790B (zh) * 2015-03-26 2017-06-09 济南大学 基于核酸适配体检测链霉素的生物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5044081B (zh) * 2015-06-12 2018-07-20 青岛科技大学 一种Pb2+含量的测定方法
CN105651746A (zh) * 2015-12-30 2016-06-08 华东师范大学 基于硫黄素t染料设计的无标记荧光探针检测碘离子的方法
US11168357B2 (en) 2016-05-24 2021-11-09 Atila Biosystems, Inc. Omega amplification
CN107741446A (zh) * 2016-11-18 2018-02-27 广东海洋大学 基于纳米通道限域效应的汞离子电化学传感器及其用途
CN106841349B (zh) * 2017-01-18 2019-05-14 南京师范大学 一种用于汞离子检测的适配体传感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419352A (zh) * 2018-03-01 2018-08-17 大连理工大学 一种等离子体中负离子密度测量系统和方法
CN112080552B (zh) * 2020-09-16 2023-04-07 清华大学深圳国际研究生院 一种基于G四链体分子信标双酶级联等温扩增的检测目的miRNA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801A1 (en) * 2003-03-25 2004-09-30 Heeger Alan J. Reagentless, reusable bioelectronic detectors and their use as authentication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82A (ko) * 2018-01-31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압타머-신호물질 수식 프라이머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반의 표적핵산 검출방법
KR20190092881A (ko) * 2018-01-31 2019-08-08 한국과학기술원 헤어핀 프로브 기반 등온 핵산 증폭을 이용한 표적핵산 검출 방법
WO2020242226A1 (ko) * 2019-05-28 2020-12-03 프로지니어 주식회사 핵산 검출용 다가 핵산 나노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고감도 핵산 탐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511B1 (ko) 2014-10-23
US20140057256A1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511B1 (ko) 표적물질 검출용 헤어핀형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표적물질 검출방법
KR101319492B1 (ko) 신호물질의 이동현상 조절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원―스탭 핵산 검출 및 정량방법
CN103597094B (zh) 利用电活性水解探针(e-tag探针)监测实时聚合酶链式反应(pcr)的方法和装置
US10465244B2 (en) Electrochemical DNA biosensor using graphene biochip for species identification
CN103305612A (zh) 一种基于恒温级联核酸扩增的铅离子检测试剂盒及其检测方法
Rai et al. Electrochemically amplified molecular beacon biosensor for ultrasensitive DNA sequence-specific detection of Legionella sp.
Huang et al. An electrochemical biosensor for the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ased on SRCA-CRISPR/Cas12a
US10557165B2 (en) Nucleic acid detection method and assay kit
Xu et al. Background current reduction and biobarcode amplification for label-free, highly sensitive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pathogenic DNA
CN105593409A (zh) 传感器生长控制器
Luo et al. Real time electrochemical monitoring of PCR amplicons using electroactive hydrolysis probe
WO2013021841A1 (ja) 核酸解析法
Fu et al. Functionalized paper microzone plate for colorimetry and up-conversion fluorescence dual-mode detection of telomerase based on elongation and capturing amplification
Aoki et al. 384-Channel electrochemical sensor array chips based on hybridization-triggered switching for simultaneous oligonucleotide detection
Dong et al. Rolling circle amplification-coupled glass nanopore counting of mild traumatic brain injury-related salivary miRNAs
Kara et al. Electrochemical probe DNA design in PCR amplicon sequence for the optimum detection of microbiological diseases
CN104458842B (zh) 超灵敏的dna电化学检测方法、试剂以及系统
JP5262725B2 (ja) 核酸検出方法及び核酸検出用チップ
CN106033060B (zh) 基于吗啉寡核苷酸功能化磁性微球的高灵敏度dna荧光分析方法
Chen et al. Electrochemical biosensor based on hairpin DNA probe using 2-nitroacridone as electrochemical indicator for detection of DNA species related to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Venkatesan et al. Optimisation of an asymmetric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the amplification of single-stranded DNA from Wuchereria bancrofti for electrochemical detection
JP6559838B2 (ja) 核酸検出方法及びアッセイキット
KR102625649B1 (ko) 핵산 증폭 기술에서 신호전달물질을 이용한 핵산의 전기화학적 검출방법
KR101188433B1 (ko) 과산화효소 활성을 가지는 핵산효소를 이용한 핵산의 검출방법
JP4104876B2 (ja) 試料中の標的核酸を定量する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