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175A -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175A
KR20140024175A KR1020120090806A KR20120090806A KR20140024175A KR 20140024175 A KR20140024175 A KR 20140024175A KR 1020120090806 A KR1020120090806 A KR 1020120090806A KR 20120090806 A KR20120090806 A KR 20120090806A KR 20140024175 A KR20140024175 A KR 2014002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ylinder
plate
transf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068B1 (ko
Inventor
천성철
Original Assignee
뉴바이오 (주)
천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바이오 (주), 천성철 filed Critical 뉴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120090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73Conveying moulds
    • B29D11/00182Conveying moulds using carri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92Drying moulded articles or half products, e.g. preforms, during or after mould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5Removing impurities from contact lenses, e.g. le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7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moulds mounted on rotating supporting const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방식으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순차적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성형액을 넣은 후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결합하여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함으로써 콘텍트 렌즈를 성형하도록 한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몰드에 형성된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한 후, 이 성형홈에 상부몰드를 가압 결합하여 건조기로 이송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가 삽입 안착되는 몰드삽입공이 다수 형성된 몰드삽입부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몰드수용부에 수용된 하부몰드를 설정된 개수만큼 이동시켜 상기 몰드삽입공에 삽입 안착시키는 하부몰드이송부; 상기 하부몰드이송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회전판의 회전동작으로 하부몰드가 삽입된 몰드삽입부가 후단으로 이동된 경우 그 몰드삽입부에 삽입된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하는 성형액주입부; 상기 성형액주입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상부몰드를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상부몰드이송부; 상기 상부몰드이송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상부몰드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몰드가압부; 상부몰드와 하부몰드가 결합되어 형성된 몰드결합체를 들어내어 건조기로 이송시켜 성형액을 가열 건조시키는 몰드결합체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Join equipment of insert formolding contact lens molds}
본 발명은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방식으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순차적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성형액을 넣은 후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결합하여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함으로써 콘텍트 렌즈를 성형하도록 한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텍트 렌즈의 성형은, 하부몰드에 형성된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한 후, 이 성형홈에 상부몰드를 가압하여 성형액을 가열 건조하여 정형화되게 고형시킨 다음, 상기 하부몰드와 상부몰드에서 정형화되게 고형된 콘텍트 렌즈를 탈형하는 순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당 분야에서는 상부몰드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를 포함하는 전사층을 스탬핑을 통해 형성하여, 전사과정을 통해 최종 제작된 콘텍트 렌즈의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가 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성형액이 주입된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표면에 전사층이 형성된 상부몰드를 가압시키면, 상기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주입된 성형액은 상부몰드를 통한 가압 성형과정 중에 상부몰드의 표면에 형성된 전사층이 전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콘텍트 렌즈 성형을 위해 하부몰드와 상부몰드의 결합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하부몰드를 몰드결합홈에 안착시킨 후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그 상부에 상부몰드를 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하부몰드와 상부몰드가 비틀리는 문제가 발생되어 불량이나 품질이 나쁜 콘텍트 렌즈를 성형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시간 대비 생산량이 매우 저조함은 물론, 인건비의 증가로 생산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계화에 의한 자동방식으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의 결합작업을 하였으나, 하부몰드의 인입작업이나 하부몰드와 상부몰드가 결합된 몰드결합체를 인출하는 작업은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따라서, 정형화된 각도와 위치 및 압력에 의해 결합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은 감소되었으나, 대부분의 기술이 낱개씩 결합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간 대비 생산량이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0902658호(콘텍트 렌즈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방식이 아닌 자동방식으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순차적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성형액을 넣은 후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결합하고, 결합된 몰드결합체를 건조기로 이송시키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생산량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의 구성은 하부몰드에 형성된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한 후, 이 성형홈에 상부몰드를 가압 결합하여 건조기로 이송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가 삽입 안착되는 몰드삽입공이 다수 형성된 몰드삽입부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몰드수용부에 수용된 하부몰드를 설정된 개수만큼 이동시켜 상기 몰드삽입공에 삽입 안착시키는 하부몰드이송부; 상기 하부몰드이송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회전판의 회전동작으로 하부몰드가 삽입된 몰드삽입부가 후단으로 이동된 경우 그 몰드삽입부에 삽입된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하는 성형액주입부; 상기 성형액주입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상부몰드를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상부몰드이송부; 상기 상부몰드이송부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에 근접 설치되어 상부몰드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몰드가압부; 상부몰드와 하부몰드가 결합되어 형성된 몰드결합체를 들어내어 건조기로 이송시켜 성형액을 가열 건조시키는 몰드결합체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에는 방사상으로 상기 몰드삽입부가 적어도 5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몰드이송부는, 하부몰드수용부의 각 수용홈에 수용된 하부몰드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이 형성된 하부몰드이송판과, 하부몰드이송판을 하부몰드수용부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1승하강실린더와, 하부몰드이송판을 회전판의 몰드삽입부로 이동시키도록 제1승하강실린더가 설치된 제1실린더고정체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하부몰드이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몰드이송부는, 상부몰드수용부의 각 수용홈에 수용된 상부몰드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이 형성된 상부몰드이송판과, 상부몰드이송판을 상부몰드수용부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2승하강실린더와, 상부몰드이송판을 회전판의 몰드삽입부로 이동시키도록 제2승하강실린더가 설치된 제2실린더고정체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상부몰드이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몰드수용부와 회전판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몰드이송판에 진공흡착되어 이송되는 상부몰드의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분사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몰드가압부는, 상기 상부몰드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부몰드의 개수만큼 마련되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가압구고정판과, 그 가압구고정판을 승하강시키는 가압구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구는 가압구고정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몰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구는 가압구고정판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구의 상부는 가압구고정판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단차지게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몰드결합체이송부는, 몰드삽입부에 삽입된 몰드결합체의 외측 일부분을 걸어 이송시키도록 몰드삽입부의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과, 몰드결합체이송편을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편실린더와, 이송편실린더가 장착된 결합체이송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와,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가 설치된 제3실린더고정체를 건조기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는 상기 몰드삽입부에 삽입된 몰드결합체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몰드삽입공의 개수만큼 몰드상승봉이 상측에 장착된 몰드상승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건조기의 일측에는 상기 몰드결합체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몰드결합체를 일렬로 정렬하여 건조기로 인입시키는 몰드정렬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몰드정렬유닛은, 상기 한 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에 각각 걸려 이송되는 몰드결합체가 각각 놓여지도록 두 개 설치되고 그 중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몰드결합체안착판과,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 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몰드결합체안착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안착판실린더와,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에 놓여진 몰드결합체를 건조기의 컨베어로 이송시키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이동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몰드결합체를 분할하여 하나씩 삽입 결속한 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의 몰드결합체결속홈이 형성된 이송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따르면, 작업자에 의한 수동방식이 아닌 기계화에 의한 자동방식으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를 순차적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성형액을 넣어 콘텍트 렌즈를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생산량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건비 절약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하부몰드이송부를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하부몰드이송판의 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성형액주입부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성형액주입부의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이송부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이송판 및 몰드다발지지판을 보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이송판과 에어분사유닛을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이송판에 흡착된 상부몰드에 에어가 분사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가압부를 보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상부몰드가압부의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몰드결합체이송부를 보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몰드상승봉의 상승에 따른 몰드결합체의 이송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서 몰드정렬유닛을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는 반구형의 콘텍트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하부몰드(120)와 상부몰드(100)를 순차적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그 사이 즉, 하부몰드(120)의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하여 가압 결합한 후 건조기(800)로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판(200)과, 하부몰드이송부(300)와, 성형액주입부(400)와, 상부몰드이송부(500)와, 상부몰드가압부(600) 및 몰드결합체이송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200)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부몰드(1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몰드삽입공(212)이 다수 형성된 몰드삽입부(210)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몰드삽입부(210)는 원판 또는 사각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몰드의 삽입을 위해 예로서 도면과 같이 8개의 몰드삽입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몰드삽입공(212)의 갯수는 제작시 적게하거나 많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 당업계에서 생산되는 몰드다발에 구비된 하부몰드 및 상부몰드가 8개임에 따라 8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0)에 근접되게 그 회전판의 주연부에 빙둘러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와, 성형액주입부(400)와, 상부몰드이송부(500)와, 상부몰드가압부(600) 및 몰드결합체이송부(7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00)에는 상기 몰드삽입부(210)가 방사상으로 적어도 5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먼저, 상기 회전판(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는 하부몰드수용부(130)에 수용된 하부몰드(120)를 시스템 동작시 미리 세팅시켜 놓은 설정된 개수만큼 이동시켜 상기 몰드삽입공(212)에 삽입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몰드수용부(130)는 하부몰드이송부(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몰드수용부(130)에 형성된 수용홈(132)은 상기 몰드삽입부(210)에 형성된 몰드삽입공(212)의 갯수와 동일하거나 작은 갯수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몰드수용부(130)의 수용홈(132)에 하부몰드(120)를 공급하여 수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하나씩 수용시킬 수도 있으나 인건비 등의 절감을 위해 기계화를 통해 자동으로 수용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하부몰드의 공급은 도 1과 같이 통상의 파츠피더(125)를 이용하여 하부몰드를 차례로 수용홈(132)에 공급할 수 있고, 이때 하부몰드수용부(130)는 파츠피더로부터 하나씩 공급되는 하부몰드를 수용홈에 하나씩 수용시키도록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는 하부몰드수용부(130)의 각 수용홈(132)에 수용된 하부몰드(120)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312)이 형성된 하부몰드이송판(310)과,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하부몰드수용부(130)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1승하강실린더(320)와,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회전판(200)의 몰드삽입부(210)로 이동시키도록 제1승하강실린더(320)가 설치된 제1실린더고정체(330)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하부몰드이동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몰드이송판(310)의 에어흡입공(312)에는 호스를 매개로 하여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있고,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에어흡입공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몰드이송판(310) 하면에 하부몰드를 흡착시키게 되고, 그 흡착상태로 하부몰드이동실린더(340)에 의해 회전판(200)에 형성된 몰드삽입부(210)로 이동되어 몰드삽입공(212)으로 삽입되어 진다.
즉, 제1승하강실린더(320)의 동작으로 하부몰드이송판(310)이 하부몰드수용부(130)로 하강되어 하면에 하부몰드가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펌프의 동작으로 에어를 흡입하여 하부몰드가 하부몰드이송판(310)의 하면에 흡착되는 것이고, 그 상태로 제1승하강실린더(320)를 동작시켜 하부몰드이송판(310)을 상승시킨 후 하부몰드이동실린더(340)를 동작시켜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회전판(200)의 몰드삽입부(210)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제1승하강실린더(320)를 동작시켜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하강시키고, 진공펌프의 동작을 정지시켜 흡착상태의 하부몰드가 하부몰드이송판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몰드삽입공(212)에 삽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몰드가 몰드삽입공(212)에 삽입된 후에는 회전판(20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몰드삽입부(210)가 일 실시예로 도 1과 같이 회전판에 방사상으로 8개가 형성된 경우, 45°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판(200)이 45°각도로 회전한 후에는 다시 하부몰드이송부의 동작에 의해 다른 몰드삽입부에 하부몰드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회전되어 45°이동된 몰드삽입부에 삽입된 하부몰드에는 상부의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하게 된다.
이때, 성형액을 주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성형액주입부(400)는 하부몰드이송부에 대해 45°각도에 위치되게 설치하여도 되고, 회전판이 한번 더 회전된 각도인 90°각도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다.
90°각도에 위치된 경우에는 회전판이 두 번의 회전동작을 한 경우, 하부몰드(120)의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액주입부(400)는 각각의 하부몰드에 일시에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노즐(410)이 하부몰드의 개수만큼 설치되는데, 이 주입노즐(410)은 성형액저장통과 호스로 연결되어 있고, 노즐고정판(420)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고정판(420)은 성형액 주입시에만 하강되어 성형액을 주입하도록 노즐고정판실린더(430)에 의해 승하강동작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성형액 주입시 상기 노즐고정판실린더(430)의 하강동작으로 노즐고장판(420)이 하강되어져 주입노즐(410)을 통해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주입을 마친후에는 노즐고정판실린더(430)가 상승동작하게 되고, 회전판(200)은 45°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판(200)의 45°회전후에는 다시 하강되어져 성형액을 주입하게 되며 이를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액주입부(400)의 후단에는 성형액 주입 후 상부몰드를 성형홈에 삽입시켜 하부몰드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몰드이송부(5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성형액주입부의 뒤에 설치되는 상부몰드이송부(500)는 성형액주입부에 대해 45°각도 또는 90°각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몰드이송부(500)는 상부몰드수용부(110)의 각 수용홈(112)에 수용된 상부몰드(100)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512)이 형성된 상부몰드이송판(510)과, 상부몰드이송판(510)을 상부몰드수용부(110)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2승하강실린더(520)와, 상부몰드이송판(510)을 회전판(200)의 몰드삽입부(210)로 이동시키도록 제2승하강실린더(520)가 설치된 제2실린더고정체(530)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상부몰드이동실린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은 하부몰드이송부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하부몰드이송부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는 하부몰드수용부(130)에 수용된 하부몰드를 이송하게 되는 반면, 상부몰드는 낱개로 분리되지 않은 채 몰드다발에 붙어 있는 상태로 표면에 다양한 모양이나 무늬를 포함하는 전사층을 스탬핑하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몰드다발(105)을 프레스를 통해 낱개로 분리하는 상부몰드분리기를 거치게 되고, 분리되어 낱개로 각각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부몰드(100)를 상부몰드이송부(500)가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몰드분리기는 몰드다발(105)을 올려놓도록 가장자리로 상부몰드가 안착 수용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되고 중앙부분이 개구된 상부몰드수용부(110)와, 그 상부몰드수용부를 프레스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14)과, 상부몰드(100)를 몰드다발(105)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프레스부(1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몰드수용부(110)의 수용홈(112)에 상부몰드가 안착되게 몰드다발을 올려놓는 경우, 약간의 오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차 발생시 약간 비틀어진 위치를 정확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몰드수용부(110)의 개구된 중앙부에는 승하강되면서 몰드다발(105)을 지지하여 주는 몰드다발지지판(118)이 설치된다.
상기 몰드다발지지판(118)의 가장자리에는 몰드다발의 지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119)이 형성되어 있어 몰드다발(105)의 정확한 안착을 안내하게 되며, 몰드다발이 안착된 상태에서 몰드다발지지판(118)이 하강되어져 상기 상부몰드수용부(110)의 수용홈(112)에 몰드다발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몰드(100)가 정확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를 몰드다발에서 분리함과 아울러 공급하는 방식 외에도, 상기 하부몰드의 공급과정과 같이 상부몰드분리기에 의해 이미 분리된 상부몰드를 파츠피더를 이용하여 공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상부몰드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부몰드 하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분사유닛(5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유닛(550)은 상기 상부몰드수용부(110)와 회전판(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몰드이송판(510)에 진공흡착되어 이송되는 상부몰드(100)의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에어분사유닛(550)은 적어도 상부몰드이송판(510)과 동일하거나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에어분사판(552)과, 상기 상부몰드이송판(510)에 흡착된 상부몰드 각각에 모두 에어를 분사시키도록 상기 상부몰드와 대향되는 에어분사판(552)의 해당부위에 상부몰드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형성된 에어분사구멍(5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에어분사구멍(554)은 진공펌프와 호스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몰드이송부(500)의 후단에는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삽입된 상부몰드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상부몰드가압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몰드가압부(600)는 상부몰드이송부(500)에 대해 45°또는 90°각도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상부몰드(1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부몰드(100)의 개수만큼 마련되는 가압구(610)와, 상기 가압구(610)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가압구고정판(620)과, 그 가압구고정판(620)을 승하강시키는 가압구실린더(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구(610)는 가압구고정판(620)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몰드(100)를 가압하도록 가압구고정판(620)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구(610)의 상부는 상기 가압구고정판(62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구고정판(620)의 상면에 걸쳐지게 외측방향으로 단차진 단턱부(6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구(610)는 상기 단턱부(612)에 의해 상기 가압구고정판(620)에 걸쳐진 상태로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몰드를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구(610)에 의해 하부몰드에 약간 비틀리게 삽입된 상부몰드를 하부몰드의 성형홈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삽입시킴은 물론, 상호 밀착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구(610)를 통한 가압과정을 거친 후에는 하부몰드와 상부몰드가 결합된 몰드결합체(150)를 건조기(800)로 이송시켜 성형액을 가열 건조시키게 되는데, 몰드결합체(150)의 이송을 위해 상부몰드가압부(600) 후단에 설치되는 몰드결합체이송부(700)는 상기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몰드결합체(150)의 외측 일부분을 걸어 이송시키도록 몰드삽입부(210)의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710)과, 몰드결합체이송편(710)을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편실린더(720)와, 이송편실린더(720)가 장착된 결합체이송유닛(730)을 승하강시키는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와,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가 설치된 제3실린더고정체(750)를 건조기(800)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이동실린더(7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200)의 하부에는 상기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몰드결합체(1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몰드삽입공(212)의 개수만큼 몰드상승봉(772)이 상측에 장착된 몰드상승유닛(770)이 설치된다.
즉, 몰드상승유닛(770)에 의해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몰드결합체(15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에 의해 결합체이송유닛(730)이 하강되고, 그 결합체이송유닛(730)에 구비된 몰드결합체이송편(710)이 몰드결합체(150) 근방에까지 위치하며, 이송편실린더(720)의 동작으로 몰드결합체이송편(71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승상태의 몰드결합체(150) 측면을 걸게 되며, 그 상태로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의 상승동작으로 몰드삽입부(210)의 몰드삽입공(212)으로부터 이격되고, 이송유닛이동실린더(760)의 동작으로 건조기(800)가 구비된 위치로 이동시킨 후 건조기의 컨베어(802)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기(800)의 컨베어(802)에 직접 안착시킬 수도 있고, 후술되는 몰드정렬유닛(810)에 안착시킨 후 일렬 또는 설정된 특정형태로 정렬시킨 후 컨베어(802)로 이동시켜 건조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몰드정렬유닛(810)은 건조기(8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몰드결합체가 안착되는 몰드결합체안착판(812)과, 안착판실린더(814) 및 이송판(8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812)는 상기 한 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710)에 각각 걸려 이송되는 몰드결합체(150)가 각각 놓여지도록 두 개가 설치되고, 그 중 하나는 고정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판실린더(814)가 설치되고, 상기 안착판실린더(814)는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812) 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몰드결합체안착판(812)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몰드결합체(150)가 안착되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 절반인 반원을 이루는 몰드결합체(150)를 이동시켜 예로서, 몰드결합체가 8개인 경우 각각 4개씩 구비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판(816)은 이송수단(818)의 동작에 의해 각각 4개씩 반원을 형성하도록 안착된 몰드결합체를 밀어 건조기(800)의 컨베어(802)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총 8개의 몰드결합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안착된 상태임에 따라 밀어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일렬로 정렬되게 된다.
이때, 정렬과정에서 서로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상기 이송판(816)의 전면에는 몰드결합체가 하나씩 삽입 결속된 채 이송되도록 다수개의 몰드결합체결속홈(817)이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수단에 의한 상기 이송판(816)의 이동동작시 상기 몰드결합체결속홈(817)에 몰드결합체(150)가 하나씩 삽입된 상태로 건조기(800)의 컨베어(802)로 이송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은 통상 사용되는 실린더일 수 있고, 실린더 외에도 모터와 샤프트 등의 부품을 이용하여 이송수단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는 콘텍트 렌즈 성형을 위해 하부몰드(120)의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그 상부에 상부몰드(100)를 삽입한 후 가압하여 결합하고, 결합된 몰드결합체(150)를 건조기(800)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수동방식이 아닌 기계화에 의한 자동방식으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량 증가는 물론, 하부몰드와 상부몰드의 정확한 결합을 통해 품질이 좋은 콘텍트 렌즈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100: 상부몰드 110: 상부몰드수용부
114: 이동수단 116: 프레스부
118: 몰드다발지지판 119: 안착홈
120: 하부몰드 122: 성형홈
125: 파츠피더 130: 하부몰드수용부
132, 112: 수용홈 150: 몰드결합체
200: 회전판 210: 몰드삽입부
212: 몰드삽입공 300: 하부몰드이송부
310: 하부몰드이송판 312: 에어흡입공
320: 제1승하강실린더 330: 제1실린더고정체
340: 하부몰드이동실린더 400: 성형액주입부
410: 주입노즐 420: 노즐고정판
430: 노즐고정판실린더 500: 상부몰드이송부
510: 상부몰드이송판 512: 에어흡입공
520: 제2승하강실린더 530: 제2실린더고정체
540: 상부몰드이동실린더 550: 에어분사유닛
552: 에어분사판 554: 에어분사구멍
600: 상부몰드가압부 610: 가압구
612: 단턱부 620: 가압구고정판
630: 가압구실린더 700: 몰드결합체이송부
710: 몰드결합체이송편 720: 이송편실린더
730: 결합체이송유닛 740: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
750: 제3실린더고정체 760: 이송유닛이동실린더
770: 몰드상승유닛 772: 몰드상승봉
800: 건조기 802: 컨베어
810: 몰드정렬유닛 812: 몰드결합체안착판
814: 안착판실린더 816: 이송판
817: 몰드결합체결속홈 818: 이송수단

Claims (9)

  1. 하부몰드(120)에 형성된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한 후, 이 성형홈(122)에 상부몰드(100)를 가압 결합하여 건조기(800)로 이송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120)가 삽입 안착되는 몰드삽입공(212)이 다수 형성된 몰드삽입부(210)가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200);
    상기 회전판(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몰드수용부(130)에 수용된 하부몰드를 설정된 개수만큼 이동시켜 상기 몰드삽입공(212)에 삽입 안착시키는 하부몰드이송부(300);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200)에 근접 설치되어 회전판(200)의 회전동작으로 하부몰드(120)가 삽입된 몰드삽입부(210)가 후단으로 이동된 경우 그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하부몰드(120)의 성형홈(122)에 성형액을 주입하는 성형액주입부(400);
    상기 성형액주입부(400)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200)에 근접 설치되어 하부몰드(120)의 성형홈(122)에 상부몰드(100)를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상부몰드이송부(500);
    상기 상부몰드이송부(500)의 후단에 위치되게 상기 회전판(200)에 근접 설치되어 상부몰드(100)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몰드가압부(600);
    상부몰드(100)와 하부몰드(120)가 결합되어 형성된 몰드결합체(150)를 들어내어 건조기(800)로 이송시켜 성형액을 가열 건조시키는 몰드결합체이송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200)에는 방사상으로 상기 몰드삽입부(210)가 적어도 5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몰드이송부(300)는, 하부몰드수용부(130)의 각 수용홈(132)에 수용된 하부몰드(120)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312)이 형성된 하부몰드이송판(310)과,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하부몰드수용부(130)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1승하강실린더(320)와, 하부몰드이송판(310)을 회전판(200)의 몰드삽입부(210)로 이동시키도록 제1승하강실린더(320)가 설치된 제1실린더고정체(330)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하부몰드이동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이송부(500)는, 상부몰드수용부(110)의 각 수용홈(112)에 수용된 상부몰드(100)를 진공흡착하도록 하면에 에어흡입공(512)이 형성된 상부몰드이송판(510)과, 상부몰드이송판(510)을 상부몰드수용부(110)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도록 승하강시키는 제2승하강실린더(520)와, 상부몰드이송판(510)을 회전판(200)의 몰드삽입부(210)로 이동시키도록 제2승하강실린더(520)가 설치된 제2실린더고정체(530)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상부몰드이동실린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수용부(110)와 회전판(200)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몰드이송판(510)에 진공흡착되어 이송되는 상부몰드(100)의 하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분사유닛(5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가압부(600)는, 상기 상부몰드(1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부몰드(100)의 개수만큼 마련되는 가압구(610)와, 상기 가압구(610)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가압구고정판(620)과, 그 가압구고정판(620)을 승하강시키는 가압구실린더(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610)는 가압구고정판(620)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자중에 의해 상기 상부몰드(100)를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구(610)는 가압구고정판(620)에 상하 유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구(610)의 상부는 가압구고정판(62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외측방향으로 단차지게 단턱부(6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결합체이송부(700)는,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몰드결합체(150)의 외측 일부분을 걸어 이송시키도록 몰드삽입부(210)의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한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710)과, 몰드결합체이송편(710)을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편실린더(720)와, 이송편실린더(720)가 장착된 결합체이송유닛(730)을 승하강시키는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와, 이송유닛승하강실린더(740)가 설치된 제3실린더고정체(750)를 건조기(800)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이동실린더(76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00)의 하부에는 상기 몰드삽입부(210)에 삽입된 몰드결합체(15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몰드삽입공(212)의 개수만큼 몰드상승봉(772)이 상측에 장착된 몰드상승유닛(7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800)의 일측에는 상기 몰드결합체이송부(700)에 의해 이송된 몰드결합체(150)를 일렬로 정렬하여 건조기(800)로 인입시키는 몰드정렬유닛(81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정렬유닛(810)은, 상기 한 쌍의 몰드결합체이송편(710)에 각각 걸려 이송되는 몰드결합체(150)가 각각 놓여지도록 두 개 설치되고 그 중 하나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몰드결합체안착판(812)과,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812) 중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몰드결합체안착판(812)을 이동시키기 위한 안착판실린더(814)와,
    상기 몰드결합체안착판(812)에 놓여진 몰드결합체(150)를 건조기(800)의 컨베어(802)로 이송시키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이동되고, 전면에 다수개의 몰드결합체를 분할하여 하나씩 삽입 결속한 채 이송시키도록 다수개의 몰드결합체결속홈(817)이 형성된 이송판(8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KR1020120090806A 2012-08-20 2012-08-20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KR101426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806A KR101426068B1 (ko) 2012-08-20 2012-08-20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806A KR101426068B1 (ko) 2012-08-20 2012-08-20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75A true KR20140024175A (ko) 2014-02-28
KR101426068B1 KR101426068B1 (ko) 2014-07-31

Family

ID=5026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806A KR101426068B1 (ko) 2012-08-20 2012-08-20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277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매직콘 콘택트렌즈 성형 장치
KR20160135415A (ko) * 2015-05-18 2016-11-28 (주)지오메디칼 컬러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KR20160135414A (ko) * 2015-05-18 2016-11-28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KR101714437B1 (ko) * 2016-07-11 2017-03-09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원주형 정렬방식의 컬러 콘텍트렌즈 인쇄 시스템
WO2020024121A1 (zh) * 2018-08-01 2020-02-06 深圳明智超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一模256穴背光源透镜模具
KR102431512B1 (ko) * 2022-05-26 2022-08-10 최동철 콘택트렌즈 자동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270B1 (ko) * 2016-02-04 2017-10-26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 자동 결합장치
KR102244065B1 (ko) 2019-12-05 2021-04-22 김태수 컨택트렌즈 제조장치
KR102535240B1 (ko) * 2021-05-27 2023-05-26 김완태 콘택트렌즈 성형 장치
KR102431515B1 (ko) 2022-05-26 2022-08-10 최동철 콘택트렌즈 제조용 렌즈몰드 자동 정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754A (en) * 1998-10-30 2000-03-28 Optima, Inc. Continuous extrusion-compression molding process for making optical articles
US6439870B1 (en) * 2000-05-26 2002-08-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Apparatus for automated ophthalmic lens fabrication
JP3675462B2 (ja) * 2003-09-18 2005-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装置
KR200370783Y1 (ko) * 2004-09-17 2004-12-23 김병주 콘택트렌즈 몰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277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매직콘 콘택트렌즈 성형 장치
KR20160135415A (ko) * 2015-05-18 2016-11-28 (주)지오메디칼 컬러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KR20160135414A (ko) * 2015-05-18 2016-11-28 (주)지오메디칼 콘택트렌즈 자동 제조장치
KR101714437B1 (ko) * 2016-07-11 2017-03-09 주식회사 피에스산업 원주형 정렬방식의 컬러 콘텍트렌즈 인쇄 시스템
WO2020024121A1 (zh) * 2018-08-01 2020-02-06 深圳明智超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一模256穴背光源透镜模具
KR102431512B1 (ko) * 2022-05-26 2022-08-10 최동철 콘택트렌즈 자동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68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68B1 (ko)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CN110202356B (zh) 洗衣机进排水管用卡箍的组装机
KR101790270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몰드 자동 결합장치
KR101654361B1 (ko) 시트마스크 자동분리장치
KR100432237B1 (ko)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809483B1 (ko) 콘택트 렌즈 분리장치
KR101785572B1 (ko) 콘택트 렌즈 성형용 듀얼 레이어 자동 몰드 인쇄시스템
US20170197331A1 (en) Mold assembly for concrete products forming machine
KR101190639B1 (ko) 콘택트렌즈 성형용 주형몰드 공급장치
CN210255003U (zh) 一种洗衣机进排水管用卡箍的组装机
JP5775502B2 (ja) 剛性中子の取り出し装置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CN204711854U (zh) 纤维网片取放进料装置
CN210588058U (zh) 一种自动组装设备
KR101404599B1 (ko) 립스틱 성형장치
KR102666020B1 (ko) 점자 표시 장치용 부품 제조 장치
CN104440628B (zh) 纤维网片取放进料装置
CN204382114U (zh) 一种纤维网片放置系统
CN212634677U (zh) 用于烘焙盒激光焊接的压紧装置
CN204711861U (zh) 纤维网片放置中转架
CN204711864U (zh) 纤维网片取放中转送料装置
TW201511920A (zh) 球閥開關全自動射出機
CN211105762U (zh) 一种隐形眼镜合模成型设备
KR102414551B1 (ko) 사출공정시스템
JP3618191B2 (ja) 半導体製造装置の着脱機構
KR102611694B1 (ko) 점자 표시 장치용 요크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