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782A -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782A
KR20140023782A KR1020120090240A KR20120090240A KR20140023782A KR 20140023782 A KR20140023782 A KR 20140023782A KR 1020120090240 A KR1020120090240 A KR 1020120090240A KR 20120090240 A KR20120090240 A KR 20120090240A KR 20140023782 A KR20140023782 A KR 20140023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ost terminal
battery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613B1 (ko
Inventor
정우원
박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9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6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주변에 장착된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포스트단자를 배터리의 폴에 원터치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의 특징은, 배터리(B)에 형성된 포스트(P)에 끼워지고 외압에 의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임부재(110)와 조임부재(110)들을 연결하는 상태로 연장되어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로 구성된 포스트단자(100); 상기 조임부재(110)들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정회전되어서 조임부재(110)들의 외측을 가압하거나 역회전되어서 조임부재(110)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회전샤프트(300); 및 상기 회전샤프트(300)가 조임부재(110)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회전샤프트(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레버부재(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POST TERMINAL USING LEVER}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배터리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로 차량의 주행에 의해 충전되어 차량의 시동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량에 설치된 램프나 오디오 등의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케이블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상부에 2개의 포스트(양단자와 음단자)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포스트에는 'U'형태의 배터리연결단자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전원케이블에 전원을 인가한다. 즉, 배터리연결단자는 포스트에 끼워진 상태로 볼트가 양단에 관통되어서 너트가 나사결합 된 후 볼트와 너트가 조여짐에 따라 포스트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배터리연결단자는 드라이버로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경우 포스트에 고정되므로, 사용자가 드라이버를 항상 휴대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배터리연결단자가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경우, 배터리 주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되어 드라이버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작업 중에 다른 부품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배터리의 주변에 장착된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포스트단자를 배터리의 폴에 원터치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는, 배터리(B)에 형성된 포스트(P)에 끼워지고 외압에 의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임부재(110)와 조임부재(110)들을 연결하는 상태로 연장되어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로 구성된 포스트단자(100); 상기 조임부재(110)들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정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외측을 가압하거나 역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회전샤프트(300); 및 상기 회전샤프트(300)가 조임부재(110)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회전샤프트(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레버부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복수의 샤프트(310); 상기 샤프트(310)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11); 및 상기 삽입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샤프트(310)들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홀(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311)는 볼트축이고, 상기 삽입홀(312)은 볼트축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임부재(110)들은 각각의 외측면에 외측돌기(10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양측에 가압판(330)들이 형성되고, 가압판(330)들의 서로 마주되는 면에 각기 가압돌기(33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부(340)가 양단에 각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돌출부(340)들이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내주면이 다각형인 결합홀(710)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상기 조임부재(110)는 어느 하나는 내주면이 다각형인 고정홀(11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샤프트(300)가 관통되어서 공회전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12)에 삽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편(510)이 일단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700)의 타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단으로 외주면이 원형인 가이드관(520)이 돌출 형성되며, 회전샤프트(300)와 결합되는 너트부재(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관통홀(111)에 공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너트부재(500)에 결합되는 나사축(301)이 일단에 연장되고, 타단에 외주면이 다각형인 헤드(3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가이드관(520)이 고정된 상태로 공회전되도록 타단에 내주면이 원형인 가이드홀(740)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35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에 내주면이 다각형인 레버홀(7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걸림부재(900)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단자(100)는 상기 걸림부재(900)가 걸리는 록킹홀(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재(900)는 상기 레버부재(7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910); 상기 연장부(910)의 단부에 중앙부분이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시소운동 되는 바디(920); 및 상기 바디(920)의 일단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쐐기형태의 걸림돌기(9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주변에 장착된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포스트단자를 배터리의 폴에 원터치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드라이버)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버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킹수단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버수단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커버수단이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는 포스트단자(100), 회전샤프트(300) 및 레버부재(700)를 포함한다.
포스트단자(100)는 배터리(B)에 형성된 포스트(P)에 끼워지고 외압에 의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임부재(110)와 조임부재(110)들을 연결하는 상태로 연장되어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로 구성된다. 조임부재(110)들은 회전샤프트(30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조임부재(110)들의 외측면에는 외측돌기(10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포스트단자(100)는 복수의 조임부재(110)가 포스트(P)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밀착되도록 조임부재(110)의 마주되는 면을 연결하는 상태로 포스트(P)의 직경보다 약간 큰 내경으로 원호형태의 내측홈(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포스트(P)는 배터리(B)의 상부에 돌출되면서 결합되는 포스트단자(100)에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회전샤프트(300)는 조임부재(110)의 관통홀(111)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정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외측을 가압하거나 역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러한, 회전샤프트(300)는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샤프트(310)와, 샤프트(310)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11) 및 삽입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샤프트(310)들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홀(3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부(311)는 볼트축이고, 삽입홀(312)은 볼트축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부(311)가 삽입홀(312)에 나사 결합되므로, 복수의 샤프트(310)는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삽입부(311)가 삽입홀(312)에서 나사결합됨에 따라 외압이 가해져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샤프트(310)들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샤프트(300)의 양측에는 각각 가압판(330)이 형성되고, 가압판(330)의 내측면에는 조임부재(110)의 외측돌기(101)에 대응하는 가압돌기(33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판(330)은 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331)는 외측돌기(101)를 용이하게 가압하도록 외측돌기(101)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가압돌기(331)와 외측돌기(101)는 서로 부드럽게 교차되어서 가압하도록 각각의 끝단에 테이퍼(332)(1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샤프트(300)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부(340)가 양단에 각기 돌출 형성된다.
레버부재(700)는 회전샤프트(300)를 회전시켜 조임부재(110)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회전샤프트(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기 위한 것으로,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레버부재(7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경우 회전샤프트(300)에 도통되는 전류에 의해 감전되지 않도록 부도체로 구성되거나 절연재가 도포될 수 있다. 특히, 회전샤프트(30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부재(700)는 돌출부(340)들이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내주면이 다각형인 결합홀(710)이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340)가 결합홀(710)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340)의 다각면이 결합홀(710)의 다각면에 면접촉되므로, 회전샤프트(300)가 레버부재(700)에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부재(700)의 양단을 벌여서 레버부재(700)에 형성된 결합홀(710)들을 회전샤프트(300)의 돌출부(340)들에 끼우게 되면, 회전샤프트(300)의 돌출부(340)가 결합홀(710)에 삽입되면서, 돌출부(340)의 다각면이 결합홀(710)의 다각면에 면접촉되어서 고정된다. 따라서, 레버부재(700)가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340)가 결합홀(710)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회전샤프트(300)가 축방향을 중심으로 레버부재(7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700)가 외압에 의해 회전샤프트(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400)는 레버부재(70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회전샤프트(300)에서 레버부재(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으나 일예로 회전샤프트(300)에 끼워져서 레버부재(7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와셔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레버부재(700)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레버부재(700)가 회전샤프트(300)를 정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회전샤프트(300)의 가압돌기(520)가 조임부재(110)의 외측돌기(101)를 가압하게 되므로, 조임부재(110)들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부재(700)를 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으로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레버부재(700)를 역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으로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 상태의 레버부재(700)를 180도로 완전히 회전시키는 경우 포스트(P)에 조임부재(110)들이 조여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이다.
포스트단자(P)의 조임부재(110)들 중 어느 하나는 내주면이 원형인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11)은 회전샤프트(300)의 외주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샤프트(30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임부재(110)들 중 다른 하나는 내주면이 다각형인 고정홀(112)이 형성된다. 고정홀에는 후술하는 너트부재(500)가 삽입된다.
너트부재(500)는 조임부재(110)의 고정홀(112)에 고정되어 회전샤프트(300)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너트부재(500)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편(510)이 일단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편(510)이 고정홀(112)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편(510)의 외주면이 고정홀(112)의 내주면에 면접촉되어 돌출편(510)이 고정홀(112)에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레버부재(700)의 타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단으로 외주면이 원형인 가이드관(520)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너트부재(500) 일단의 돌출편(510)에서 타측의 가이드관(520)까지 관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회전샤프트(300)는 너트부재(500)에 나사결합되도록 관통홀(111)에 공회전가능하게 관통되는 나사축(301)이 일단에 연장되고, 타단이 레버부재(700)의 일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샤프트(300)는 레버부재(700)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레버부재(700)의 회전하는 경우 나사축(301)이 회전되면서 너트부재(500)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샤프트(300)는 레버부재(700)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단에 외주면이 다각형인 헤드(35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350)에 이탈방지부재(400)인 와셔가 설치되는 경우 헤드(350)에서 레버부재(7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출편(510)을 고정홀(112)에 삽입시켜서 고정한다. 즉, 너트부재(500)는 돌출편(510)을 고정홀(112)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조임부재(110)의 외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샤프트(300)를 돌출편(510)에 관통홀(111)에 삽입시키면서 회전시키면 나사축(301)이 돌출편(510)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회전샤프트(300)의 헤드(350)는 다른 조임부재(110)의 외측에 밀착된다. 즉, 회전샤프트(300)가 너트부재(50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너트부재(500)와 헤드(350)가 조임부재(110)들의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레버부재(700)는 헤드(35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에 내주면이 다각형인 레버홀(730)이 형성되고, 가이드관(520)이 고정된 상태로 공회전되도록 타단에 내주면이 원형인 가이드홀(740)이 형성된다. 여기서, 헤드(350)가 레버홀(730)에 삽입되는 경우 헤드(350)의 외주면이 레버홀(730)의 내주면에 면접촉되어 헤드(350)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회전되는 레버부재(700)에 의해 헤드(560)에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300)가 관통홀(111)의 내주면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홀(740)은 가이드관(520)이 삽입되어서 공회전되도록 가이드관(52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레버부재(700)의 양단을 벌려서 일단의 레버홀(730)이 회전샤프트(300)의 헤드(350)에 끼우고, 레버부재(70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홀(740)을 가이드관(520)에 끼운다. 이어서, 사용자가 회전샤프트(300)에 결합된 레버부재(700)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샤프트(300)가 정회전되어서 조임부재(110)에 고정된 너트부재(500)에 조여지게 된다. 따라서, 조여지는 너트부재(500)와 헤드(350)가 조임부재(110)들의 양측을 가압하게 되므로, 조임부재(110)들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부재(700)를 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으로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700)는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걸림부재(90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재(900)는 레버부재(7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910)와, 연장부(910)의 단부에 중앙부분이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시소운동 되는 바디(920) 및 바디(920)의 일단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쐐기형태의 걸림돌기(9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스트단자(100)는 걸림부재(900)가 걸리는 록킹홀(150)이 형성된다. 다. 이러한, 록킹홀(150)은 연결부재(13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부재(700)를 정회전시켜서 가압하는 경우 걸림돌기(930)가 록킹홀(150)의 테두리에 눌려지면서 바디(920)가 연장부(910)를 중심으로 탄성변형됨과 동시에 시소운동 되면서 걸림돌기(930)가 록킹홀(15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서 걸리게 된다. 따라서, 레버부재(700)는 포스트단자(100)에 록킹되므로 회전샤프트(300)의 회전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는 도 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920)의 타단을 파선으로 된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바디(920)가 연장부(910)에서 역방향으로 시소운동 되므로, 걸림돌기(930)가 록킹홀(150)에서 이탈되면서 분리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포스트단자(100)에서 록킹이 해제된 레버부재(700)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포스트단자(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부재(700)를 이용하여 원터치형식으로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 체결시켜서 고정하거나, 체결을 해제하여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 체결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레버부재(700)는 포스트단자(100)를 포스트(P)에 체결시킨 상태로 걸림부재(500)에 의해 포스트단자(100)에 고정되므로, 조임부재(110)들의 조임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버부재(7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된 상태에서 약180도로 정회전되어서 걸림부재(500)에 의해 포스트단자(100)에 고정되어 배터리(B)의 상부면에 평행한 상태로 근접되므로 배터리(B) 주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단자(100)와 회전샤프트(300) 및 레버부재(700)를 커버하여서 보호하는 커버수단(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수단(20)은 베이스프레임(21), 커버부재(23) 및 커버록킹부재(25)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21), 커버부재(23) 및 커버록킹부재(25)는 전류가 도통되지 않도록 부도체인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프레임(21)은 포스트단자(100)에 고정되어 배터리(B)에 지지되는 것으로, 베이스판(21a) 포스트홀(21b) 및 고정돌기(21c)를 포함한다.
베이스판(21a)은 배터리(B)의 상부면에 지지된다.
포스트홀(21b)은 베이스판(21a)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0)가 관통된다.
고정돌기(21c)는 복수로 구성되어 포스트홀(21b)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포스트단자(100)를 고정시켜 포스트단자(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재(23)는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포스트단자(100)와 회전샤프트(300) 및 레버부재(700)를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부재(23)는 레버부재(37)의 동작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23)는 회전부재(2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22)는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재(22a)와, 지지부재(22a)들에 양단이 고정되는 회전핀(22b) 및 회전핀(22b)에 착탈가능하게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도록, 커버부재(23)의 일측에 형성되되 단면이 'C'형태인 끼움부재(22c)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끼움부재(22c)를 회전핀(22b)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서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23)가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서 회전되어서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할 수 있다.
커버록킹부재(25)는 커버부재(23)의 타측을 베이스프레임(21)의 타측에 록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21)의 타측과 커버부재(23)의 타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록킹되는 록킹돌기(25a)와 록킹홀(2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록킹돌기(25a)는 베이스프레임(21)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기립되는 플레이트(26)에 형성되고, 록킹홀(25b)은 커버부재(23)의 타측에 일단이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이 자재되면서 탄성변형되는 록킹플레이트(28)에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부재(23)의 타측을 베이스프레임(21)의 타측에 가합하는 경우, 록킹플레이트(28)가 탄성변형되면서 록킹홀(25b)이 록킹돌기(25a)에 끼워져서 록킹되므로, 커버부재(23)가 베이스프레임(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수단(20)은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전원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가이드(2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블가이드(24)는 가이드판(24a), 가이드부재(24b) 및 체결돌기(24c)를 포함한다.
가이드판(24a)은 베이스프레임(21)의 측방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배터리(B)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전원케이블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가이드부재(24b)는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가이드판(24a)에 지지되는 전원케이블의 타측을 커버하여서 가이드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4b)는 단면이 'C'형태의 반원관이거나 'ㄷ'형태로 절곡된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4b)는 가이드판(24a)에 지지되는 전원케이블에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전원케이블을 커버하여서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B)의 측면에 고정된 가이드판(24a)에 전원케이블을 밀착시켜서 전원케이블이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돌기(24c)는 복수로 구성되어 가이드부재(24b)의 양단이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가이드부재(24b)의 양단에 형성되고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돌기(24c)들은 쐐기형태로 형성되어서 서로 엇갈린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4b)가 가이드판(24a)에 가압되는 경우 서로 엇갈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포스트단자(100)의 연결부재(130)에 연결된 전원케이블을 가이드판(24a)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이드부재(24b)를 가이드판(24a)에 가압하는 경우, 체결돌기(24c)들이 서로 결합되므로 가이드부재(24b)가 가이드판(24a)에 결합되어서 전원케이블을 커버하여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배터리 P : 포스트
100 : 포스트단자 110 : 조임부재
111 : 관통홀 112 : 고정홀
130 : 연결부재 150 : 록킹홀
101 : 외측돌기 102 : 테이퍼
20 : 커버수단 21 : 베이스프레임
24 : 케이블가이드 24a : 가이드판
24b : 가이드부재 24c : 체결돌기
23 : 커버부재 25 : 커버록킹부재
300 : 회전샤프트 310 : 샤프트
311 : 삽입부 312 : 삽입홀
330 : 가압판 331 : 가압돌기
340 : 돌출부 350 : 헤드
301 : 나사축 302 : 테이퍼
500 : 너트부재 510 : 돌출편
520 : 가이드관 700 : 레버부재
710 : 결합홀 730 : 레버홀
900 : 걸림부재 910 : 연장부
920 : 바디 930 : 걸림돌기

Claims (12)

  1. 배터리(B)에 형성된 포스트(P)에 끼워지고 외압에 의해 포스트(P)의 외주면을 조이는 상태로 포스트(P)에 고정되는 복수의 조임부재(110)와 조임부재(110)들을 연결하는 상태로 연장되어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로 구성된 포스트단자(100);
    상기 조임부재(110)들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며 정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외측을 가압하거나 역회전되면 조임부재(110)들의 가압을 해제하는 회전샤프트(300); 및
    상기 회전샤프트(300)가 조임부재(110)들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회전샤프트(300)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키는 레버부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복수의 샤프트(310);
    상기 샤프트(310)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311); 및
    상기 삽입부(31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샤프트(310)들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홀(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11)는 볼트축이고, 상기 삽입홀(312)은 볼트축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10)들은 각각의 외측면에 외측돌기(10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양측에 가압판(330)들이 형성되고, 가압판(330)들의 서로 마주되는 면에 각기 가압돌기(331)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부(340)가 양단에 각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돌출부(340)들이 각기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내주면이 다각형인 결합홀(710)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10)는 어느 하나는 내주면이 다각형인 고정홀(11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샤프트(300)가 관통되어서 공회전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12)에 삽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외주면이 다각형인 돌출편(510)이 일단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700)의 타단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타단으로 외주면이 원형인 가이드관(520)이 돌출 형성되며, 회전샤프트(300)와 결합되는 너트부재(5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00)는 관통홀(111)에 공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너트부재(500)에 결합되는 나사축(301)이 일단에 연장되고, 타단에 외주면이 다각형인 헤드(35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가이드관(520)이 고정된 상태로 공회전되도록 타단에 내주면이 원형인 가이드홀(740)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35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일단에 내주면이 다각형인 레버홀(7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700)는 상기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걸림부재(900)가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단자(100)는 상기 걸림부재(900)가 걸리는 록킹홀(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900)는 상기 레버부재(7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장부(910);
    상기 연장부(910)의 단부에 중앙부분이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시소운동 되는 바디(920); 및
    상기 바디(920)의 일단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0)에 걸리는 쐐기형태의 걸림돌기(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단자(10)와 회전샤프트(300) 및 레버부재(700)을 커버하여서 보호하는 커버수단(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수단(20)은
    상기 포스트단자(10)에 고정되어 배터리(B)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21);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포스트단자(10)와 체결수단(30)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3); 및
    상기 커버부재(23)의 타측을 베이스프레임(21)의 타측에 록킹시키는 커버록킹부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단(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일측에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배터리(B)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전원케이블을 가이드 하는 케이블가이드(2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가이드(24)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1)의 측방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배터리(B)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전원케이블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판(24a);
    상기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양단이 고정되어 가이드판(24a)에 지지되는 전원케이블의 타측을 커버하여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4b); 및
    상기 가이드부재(24b)의 양단이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가이드부재(24b)의 양단에 형성되고 가이드판(24a)의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돌기(24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20120090240A 2012-08-17 2012-08-17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138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40A KR101385613B1 (ko) 2012-08-17 2012-08-17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40A KR101385613B1 (ko) 2012-08-17 2012-08-17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782A true KR20140023782A (ko) 2014-02-27
KR101385613B1 KR101385613B1 (ko) 2014-04-21

Family

ID=50269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40A KR101385613B1 (ko) 2012-08-17 2012-08-17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6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084A (ko) * 2016-01-19 2017-07-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984684B1 (ko) 2018-02-13 2019-05-3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006753B1 (ko) 2018-02-13 2019-08-02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007360A (ko) * 2018-07-13 2020-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FR3097081A1 (fr) * 2019-06-05 2020-12-11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connexion electrique
KR20210144257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5190T3 (es) * 1988-12-22 1994-01-16 Lars Eriksson Pinza para borna terminal de bateria para conexion a una fuente de energia electrica externa o a un dispositivo de consumo.
JPH0850892A (ja) * 1994-08-04 1996-02-20 Yazaki Corp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060102216A (ko) * 2005-03-23 2006-09-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용 커넥터
KR100832046B1 (ko) * 2007-08-06 2008-05-27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084A (ko) * 2016-01-19 2017-07-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984684B1 (ko) 2018-02-13 2019-05-31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2006753B1 (ko) 2018-02-13 2019-08-02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레버 회전식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200007360A (ko) * 2018-07-13 2020-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FR3097081A1 (fr) * 2019-06-05 2020-12-11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connexion electrique
KR20210144257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613B1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613B1 (ko)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JP4881954B2 (ja) 電池用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KR100821595B1 (ko) 클램프를 이용해 조임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US10637173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US9083038B2 (en) Battery cell terminal quick connect clamp with connecting tab
JP2012252858A (ja) コネクタ
JP2010135176A (ja) ねじ部材緩み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端子装置
KR101396511B1 (ko)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KR100832046B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WO2016121893A1 (ja) 車両にオーディオスピーカを取り付けるための改善された器具およびそれの取り付け構造物
KR20120086543A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JP5255492B2 (ja) コネクタ
KR10136611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CN212810736U (zh) 一种网络线缆防脱落装置
KR20100131559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101361349B1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KR20090004111A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조
KR20160000576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150035203A (ko) 전선 접속장치
KR101716736B1 (ko) 자동차 배터리 접속단자
KR101838814B1 (ko) 스터드볼트 분해, 조립용 소켓
KR101046444B1 (ko)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JP3520729B2 (ja) コネクタ
KR200468582Y1 (ko) 완철용 접지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