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424B1 -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424B1
KR100986424B1 KR1020080044385A KR20080044385A KR100986424B1 KR 100986424 B1 KR100986424 B1 KR 100986424B1 KR 1020080044385 A KR1020080044385 A KR 1020080044385A KR 20080044385 A KR20080044385 A KR 20080044385A KR 100986424 B1 KR100986424 B1 KR 10098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able
battery termin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537A (ko
Inventor
조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42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는, 케이블과 연결되며 배터리단자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단자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터미널과,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제1 터미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단자 및 상기 제1 터미널과 고정 결합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는, 외주면에 배터리단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배터리단자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케이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터미널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 터미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는, 차량용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을 위한 체결력이 하향으로 인가되는바, 차량용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을 위한 공구가 엔진룸 내의 기타 부품이나 차체에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케이블 착탈 작업이 용이해지고, 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배터리와 케이블 간의 체결이 풀어지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터미널, 나사결합

Description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Battery terminal connecting assembly}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배터리 단자에 케이블을 체결시킬 때 차량용 배터리 단자를 향해 하향으로 체결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해 각종 전장 부품들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에는 배터리단자가 형성되고 케이블에는 케이블 접속구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단자에 케이블 접속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와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케이블 접속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접속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접속구(10)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단자(미도시)와 결착되는 접속부(20)와, 상기 접속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의 전기장치로 연결하는 케이블 결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20)는 배터리단자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측 중앙에 원형의 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4)의 일측에는 개구(26)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이중 구조의 본체(22)와, 상기 개구(26)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홈(28)이 형성된 조임구(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구(32)는 상기 원형 공간(2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1 조임구(34)와 제 2 조임구(36)로 구성되고, 상기 각 조임구(34, 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b)가 형성되며, 이때 본체(22)의 플랜지(38b)는 상기 조임구(32)의 플랜지(38a)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결착부(40)는 케이블 단자(42)와,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각 플랜지(38b)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재(4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4)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이 상기 케이블 단자(4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연결부재(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재(46)의 상면에는 볼트(48)가 상향 돌출되고, 케이블(70)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관통공(72)이 형성된 결속단자(74)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72)을 통해 상기 볼트(48)가 관통되어 너트(76)로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단자,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10) 및 케이블(70)이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접속구(10)는, 고정볼트(60)가 결합되는 결착홈(28)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접속구의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삽입 체결되는바, 상기 고정볼트(60)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구가 엔진룸 내의 타 부품 또는 차체에 간섭되어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의 (+)단자에 케이블 접속구 장착 시 차체에 공구가 접촉하는 경우 단락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 접속구(10)는,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케이블(70)이 좌우로 흔들릴 때 그 힘이 상기 고정볼트(60)의 체결방향으로 인가되는바, 고정볼트(60)가 풀어지게 되어 배터리와 케이블(70) 간의 접촉이 불량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용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을 위한 체결력이 하향으로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배터리로의 케이블 착탈 작업이 용이해지고, 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배터리와 케이블 간의 체결이 풀어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는,
케이블과 연결되며, 배터리단자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단자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터미널; 및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제1 터미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단자 및 상기 제1 터미널과 고정 결합되는 제2 터미널;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내주면에는 제1 터미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 터미널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의 저면에는 끝단이 배터리몸체의 상면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의 상단면에는 볼트머리 또는 나사머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는,
외주면에 배터리단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배터리단자; 및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케이블 터미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터미널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 터미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터미널 수나사산이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터미널 암나사산이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는, 차량용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을 위한 체결력이 하향으로 인가되는바, 차량용 배터리 단자와 케이블 체결을 위한 공구가 엔진룸 내의 기타 부품이나 차체에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케이블 착탈 작업이 용이해지고, 케이블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더라도 배터리와 케이블 간의 체결이 풀어지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에 포함되는 제2 터미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200)는 배터리(100)에 돌출 형성된 배터리단자(120)에 케이블(1)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과 연결되어 배터리몸체(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터미널(210)과 상기 제1 터미널(21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터미널(210)을 배터리단자(120)에 고정시키는 제2 터미널(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210)은, 내측면이 배터리단자(120)의 외측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터리단자(120)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제1 터미널 암나사산(212)이 형성되고, 일측(도 2에서는 우측)에는 케이블(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2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1)의 끝단에 구비되는 케이블단자(2)에는 상기 체결돌기(216)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216)가 상기 체결공(3)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블(1)과 제1 터미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1)과 제1 터미널(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본 실시예에 언급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케이블(1)과 제1 터미널(210)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220)은,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상기 제1 터미널(21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단자(120) 및 상기 제1 터미널(21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터미널(210)을 상기 배터리단자(12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터미널(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212)과 나사결합되는 제2 터미널 수나사산(222)이 형성되는바, 상기 제1 터미널(210)이 상기 배터리단자(120)를 둘러싸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미널(220)을 하향으로 가압하면서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제2 터미널 수나사산(222)은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212)에 나사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터미널(210)과 제2 터미널(220)은 고정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212)과 제2 터미널 수나사산(222)을 생략하여, 상기 제2 터미널(220)을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제1 터미널(210)과 배터리단자(120) 사이의 공간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 터미널(220)을 상기 제1 터미널(210)과 배터리단자(120) 사이의 공간으로 결합시키는데 많은 힘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되거나 상기 케이블(1)에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터미널(210)이 상기 제1 터미널(210)과 배터리단자(12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1 터미널(210)과 제2 터미널(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 터미널(2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제2 터미널(220)과 배터리단자(120) 역시 나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단자(120)의 외주면에는 배터리단자 수나사산(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터미널(220)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122)과 나사결합되는 제2 터미널 암나사산(2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터미널(210)이 상기 배터리단자(120)를 감싸도록 상기 배터리몸체(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터미널(220)이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제1 터미널(210) 사이로 삽입되도록 회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220)의 내주면은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터미널(220)의 외주면은 상기 제1 터미널(21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제1 터미널(210)은 상기 제2 터미널(220)을 매개체로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터미널(2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터미널(210)이 함께 회 전되면 상기 제1 터미널(210)과 제2 터미널(220) 간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되므로, 상기 제1 터미널(210)은 내주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끝단이 배터리몸체(110)의 상면에 삽입되는 스토퍼(214)가 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터미널(220)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터미널 수나사산(222)이 상기 제1 터미널 암나사산(212)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터미널 암나사산(224)이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122)과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122)과 상기 제2 터미널 수나사산(222)은 같은 방향의 수나사산으로 구성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제2 터미널(2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터미널(220)의 상면에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머리(2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220)의 상면에 볼트머리(226)가 형성되면, 작업자는 렌치 등의 공구를 수직방향으로 세워 케이블(1) 착탈 작업을 하게 되므로, 상기 공구가 엔진룸 내의 다른 부품이나 차체에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작업자가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터미널(2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볼트머리(226)는 나사머리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제2 터미널(220)의 결합구조 역시 상기 제1 터미널(210)과 제2 터미널(220)의 결합구조와 마찬가지로 억지 끼워맞춤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구조로 적용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제2 터미널(22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단자(120)에 배터리단자 수나사산(122)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야하므로, 배터리단자(12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배터리(1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200)를 체결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터미널(220)은 상기 배터리단자(120)보다 경도가 큰 재료로 제작되어 상기 제1 터미널(210)과 나사결합을 이루는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단자(1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상기 배터리단자(120)와 나사결합 될 수 있도록 즉, 회전 시 상기 배터리단자(120)의 외주면에 태핑가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220)이 태핑가공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200)를 일반 배터리(100)에도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접속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에 포함되는 제2 터미널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 2 : 케이블단자
3 : 체결공 100 : 배터리
110 : 배터리몸체 120 : 배터리단자
122 : 배터리단자 수나사산 130 : 삽입홈
200 :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210 : 제1 터미널
212 : 제1 터미널 암나사산 214 : 스토퍼
216 : 체결돌기 220 : 제2 터미널
222 : 제2 터미널 수나사산 224 : 제2 터미널 암나사산
226 : 볼트머리

Claims (6)

  1. 외주면에 배터리단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배터리단자;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단자의 외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배터리단자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주면에 제 1 터미널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 1 터미널;
    상기 배터리단자와 상기 제 1 터미널 사이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제 2 터미널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 2 터미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 2 터미널;
    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터미널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터미널 수나사산과 상기 제 1 터미널 암나사산의 나사결합과,
    상기 제 2 터미널 암나사산과 상기 배터리단자 수나사산의 나사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의 저면에는 끝단이 배터리몸체의 상면에 삽입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미널의 상단면에는 볼트머리 또는 나사머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5. 삭제
  6. 삭제
KR1020080044385A 2008-05-14 2008-05-14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100986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385A KR100986424B1 (ko) 2008-05-14 2008-05-14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385A KR100986424B1 (ko) 2008-05-14 2008-05-14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37A KR20090118537A (ko) 2009-11-18
KR100986424B1 true KR100986424B1 (ko) 2010-10-08

Family

ID=4160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385A KR100986424B1 (ko) 2008-05-14 2008-05-14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0731A1 (ja) * 2012-08-01 2014-02-06 株式会社 東芝 二次電池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二次電池装置
KR102228665B1 (ko) * 2019-06-05 2021-03-1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선의 접지장치
KR2022014805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913A (ko) * 1995-12-16 1997-07-31 전성원 차량의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JPH09265975A (ja) * 1996-03-28 1997-10-07 Yazaki Corp バッテリ端子間の電気的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913A (ko) * 1995-12-16 1997-07-31 전성원 차량의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JPH09265975A (ja) * 1996-03-28 1997-10-07 Yazaki Corp バッテリ端子間の電気的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537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6691B2 (en) Load cell for securing electronic components
JP5213651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
US7274341B2 (en) Antenna mounting structure
US20200335886A1 (en)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that can be quickly disconnected, fixable plug-in connection,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ntact between an electrical contact element and an electrical conductor
KR200438004Y1 (ko) 케이블 컨넥터
KR20130069858A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US20160111799A1 (en) Battery Terminal
JP4811374B2 (ja) 端子接続部構造
JP4619980B2 (ja) 電気接続箱
JP3774062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JP5609402B2 (ja) 端子接続構造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US11239534B2 (en) Compression clamp battery connection system
US5588865A (en) Connector fastening mechanism
JP2014165168A (ja) アース端子の取付構造
US7112741B2 (en) Electronic module
JP5133857B2 (ja) 端子台
JP4227838B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KR100671735B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볼트 및 너트 구조
JP5851721B2 (ja) ボルト締め端子の端子斜め防止構造、及び電気接続箱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KR101317804B1 (ko) 너트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차단기 단자 어셈블리
KR20070023395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JP2007265642A (ja) 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