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395A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395A
KR20070023395A KR1020050077940A KR20050077940A KR20070023395A KR 20070023395 A KR20070023395 A KR 20070023395A KR 1020050077940 A KR1020050077940 A KR 1020050077940A KR 20050077940 A KR20050077940 A KR 20050077940A KR 20070023395 A KR20070023395 A KR 2007002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terminal
bolt
ca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3395A/ko
Publication of KR2007002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브래킷과, 중단부에 캠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접속부와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 회전 시 캠의 장축이 배터리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고정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탈착이 용이하고,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터미널의 상향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공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한다.
배터리, 터미널, 단자, 케이블, 캠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Vehicle battery terminal}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용상태도.
도 5a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단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a는 볼트가 회전하여 지지부재가 배터리 단자를 가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B : 배터리 단자
C : 케이블
100 : 브래킷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연결관
200 : 볼트 210 : 캠
300 : 지지부재 400 : 케이블 결착구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여 탈착이 용이하고, 배터리 단자와의 결속력이 우수한 반면 과다한 토크에 의한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장 부품들과 각종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결착되는 접속부(20)과, 상기 접속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의 전기장치로 연결하는 케이블 결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20)는 배터리 단자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측 중앙에 원형의 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4)의 일측에는 개구(26)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이중 구조의 본체(22)와, 상기 개구(26)의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그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홈(28)이 형성된 조임구(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구(32)는 상기 원형 공간(2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정간 격 이격된 제 1 조임구(34)와 제 2 조임구(36)로 구성되고, 상기 각 조임구(34, 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b)가 형성되며, 이때 본체(22)의 플랜지(38b)는 상기 조임구(32)의 플랜지(38a)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결착부(40)는 케이블 단자(42)와,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각 플랜지(38b)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재(4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4)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이 상기 케이블 단자(4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연결부재(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재(46)의 상면에는 볼트(48)가 상향 돌출되고, 케이블(70)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관통공(72)이 형성된 결속단자(74)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72)을 통해 상기 볼트(48)가 관통되어 너트(76)로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단자, 배터리 터미널(10) 및 케이블(70)이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10)은 고정볼트(60)가 결합되는 결착홈(28)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터미널의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체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공구의 간섭이 발생되고, 특히 배터리의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차체에 공구가 접촉하는 경우 단락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또한, 접속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단자와의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며, 터미널 장착 시 발생되는 과다한 토크에 의해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탈착이 용이하고,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터미널의 상향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공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단자와의 결속력이 우수한 반면 과다한 토크에 의한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일측에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브래킷과, 중단부에 캠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접속부와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 회전 시 캠의 장축이 배터리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은 배터리 단자(B)가 삽입되는 브래킷(100)과, 상기 배터리 단자(B)에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을 고정하는 볼트(200)와, 배터리 단자(B)와 볼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배터리 단자(B)를 가압하는 지지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100, 200, 3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브래킷(100)은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에 대해 하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하판(120)과,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110, 120)을 연결하는 연결관(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112)과 하판(114)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110)은 배터리 단자(B)를 삽입하기 위한 접속부(112)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볼트(200)가 결합되는 연장부(114)가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판(110)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배터리 단자(B)가 삽입되는 접속부(112)는 평면 상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관통공(116h)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14)는 평면 상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접속부(112)로부터 길게 돌출되고, 연장부(114)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홈(116g)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6h)과 홈(116g) 사이에는 연장부(114)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16e)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120)은 상기 상판(110)과 동일한 두께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양측에 접속부(122)와 연장부(124)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접속부(122)의 중앙에는 상판(110)의 관통공(116h)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공(126h)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24)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너트(126n)가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126h)과 너트(126n) 사이에는 연장부(124)의 길이방향으로 장공 (126e)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126n)는 상기 하판(120)의 하면으로 결합되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하판(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에 형성된 관통공(116h, 126h), 장공(116e, 126e) 및 홈(116g)과 너트(126n)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관(130)은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6h, 126h)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연장부(114 또는 124) 측으로 형성된 개구(1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구(132)는 상기 지지부재(300)와 배터리 단자(B)와의 접촉을 위한 공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볼트(200)는 그 중단부에 캠(210)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100)의 접속부(112 또는 122)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인 브래킷(100)의 연장부(114 또는 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볼트(200)는 상기 연장부(114 또는 124) 상의 홈(116g)과 너트(126n)에 결합되어지되, 그 중단부에 형성된 캠(210)이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볼트(200)의 하단부에는 수나사(220)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126n)에 나사 결합되는 바, 볼트(200) 회전 시 상기 캠(210)이 함께 회전되어 배터리 단자(B)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210)은 그 윤곽이 하트형상인 판캠으로 상기 볼트(200)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볼트(200)와 가장 멀리 이격된 외곽을 장축(도 5a 또는 도 5b의 212)이라 하고, 가장 가까이 이격된 외곽을 단축(도 5a 또는 도 5b의 214)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200)는 상기 브래킷(10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고 볼트 (200)의 상부에는 육각나사(2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200) 회전 시 공구는 볼트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므로 공구와 배터리 및 차체 사이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브래킷(100)의 접속부(112 또는 122)와 캠(210) 사이에 구비되어 볼트(200) 회전 시 볼트(200)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캠(200)에 의해 배터리 단자(B)와 밀착하여 그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소정 높이를 가지며 원주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310)의 높이는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의 이격거리와 같거나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20)는 상기 상판(110)과 하판(120)에 형성된 장공(116e, 126e)에 삽입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재(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캠(210)에 의해 배터리 단자(B)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장공(116e, 126e)을 따라 이동하며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100)의 연장부(114 또는 124) 측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는 케이블(C)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C)의 단부, 즉 상기 연장부(114 또는 124)와 연결되는 단부에는 케이블 결착구(400)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 결착구(400)에는 결합공(410)이 형성되며, 연장부(114 또는 124)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 결착구(400)는 상기 하판(120)의 상면과 캠(21)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고 볼트(200)가 상기 결합공(410)을 관통하여 너트(126n)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도 5a는 상기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이 배터리 단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a는 볼트가 회전하여 지지부재가 배터리 단자를 가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배터리 단자 가압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의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에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브래킷(100)에 형성된 관통공(116e, 126e)과 연결관(130)의 내부로 배터리 단자(B)가 삽입되도록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을 설치한다. 이때, 볼트(200)에 형성된 캠(210)은 그 장축(212)이 지지부재(300)와 접하지 않도록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지지부재(300) 또한 배터리 단자(B)와 접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상기 볼트(200)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210)은 볼트(200)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지지부재(300)와 접하게 되고, 지지부재(300)는 캠(210)에 의해 배터리 단자(B)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캠(210)을 좀 더 회전시켜 캠(210)의 장축(212)과 상기 지지부재(300)가 접하면, 지지부재(300)는 배터리 단자(B)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그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100)은 상기 지지부재(300)의 이동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브래킷(100)과 지지부재(300)가 상기 배터리 단자를 동시에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이 배터리 단자(B)에 고정된다.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을 배터리 단자(B)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동 작은 상기 고정 동작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00)를 포함하지 않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T)의 경우 볼트(200)에 형성된 캠(210)이 관통공(116h, 126h) 내에 삽입되어 배터리 단자(B)를 가압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200)를 대신하여 브래킷(100)의 연장부(114, 1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재면 어떠한 것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구조가 간단하여 배터리 단자에 탈착이 용이하고,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터미널의 상향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공구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캠의 회전에 의해 배터리 단자에 고정되므로 결속력이 우수하되, 캠과 배터리 단자 사이에 별도의 지지부재를 추가함으로써 과다한 토크에 의해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측에 배터리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브래킷과;
    중단부에 캠이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의 접속부와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트 회전 시 캠의 장축이 배터리 단자를 가압하여 상기 브래킷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판과, 상기 상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하판과, 상기 접속부 측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연장부 상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관의 연장부 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캠이 배터리 단자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과 캠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볼트 회전 시 캠에 의해 배터리 단자와 밀착하여 그를 가압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속링과 연장부 사이의 상판 및 하판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장공에 결합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로 공급하는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착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결착구는 상기 연장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20050077940A 2005-08-24 2005-08-24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070023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940A KR20070023395A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940A KR20070023395A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395A true KR20070023395A (ko) 2007-02-28

Family

ID=4365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940A KR20070023395A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33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44B1 (ko) * 2010-04-29 2011-07-04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KR20160143825A (ko) * 2014-05-14 2016-12-1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터미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44B1 (ko) * 2010-04-29 2011-07-04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접속 케이블용 연결유닛
KR20160143825A (ko) * 2014-05-14 2016-12-1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터미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8026A (zh) 快速连接电力连接器
EP3021461B1 (en) Electric motor
KR101884644B1 (ko) 연결 커넥터를 구비한 조명레일 시스템
KR20070023395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US6805593B2 (en)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
EP3107157B1 (en) Wall mount component and wire clamp connector thereof
KR200357920Y1 (ko) 지그의 구조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WO2022104435A1 (en) Battery connector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US6183295B1 (en) Mounting fixture for use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90004111A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조
KR20040003411A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JP3117098U (ja) 電源接続器
CN210517180U (zh) 一种双卡扣线材连接器
JP2001102021A (ja)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KR200194107Y1 (ko) 자동차 밧데리의 클램핑 장치
CN216872270U (zh) 一种端头连接器
KR200179977Y1 (ko) 케이블 고정장치
KR101830420B1 (ko) 조인트 커넥터
JPH07142104A (ja) 器具用アース端子装置
KR101830419B1 (ko) 조인트 커넥터
JP2001102035A (ja) バッテリの端子接続構造
JP2002164141A (ja) コネクタ取外し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