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670A - 페달 엔코더 장치 - Google Patents

페달 엔코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670A
KR20140021670A KR1020137031001A KR20137031001A KR20140021670A KR 20140021670 A KR20140021670 A KR 20140021670A KR 1020137031001 A KR1020137031001 A KR 1020137031001A KR 20137031001 A KR20137031001 A KR 20137031001A KR 20140021670 A KR20140021670 A KR 20140021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arriage
accident
holding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클라브 치첵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4Adjustable consoles, e.g. for changing position of mounting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페달 장치(1), 특히 페달 엔코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페달(3), 특히 가속 페달(4), 페달(3)용 베어링(5), 베어링(5)이 배치된 베어링부(8), 사고 시 전방으로 페달(3)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9)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8)는 이동 가능한 캐리지(9)로서 형성되므로, 사고 시 캐리지(9)는 베어링(5) 및 페달(3)과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달 엔코더 장치{PEDAL VALUATOR ARRANG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작동 또는 구동 모터의 출력을 제어 또는 조절하기 위해, 자동차에 가속 페달을 포함하는 페달 장치, 특히 페달 엔코더 장치가 사용된다. 이 경우 페달은 운전자의 발로 작동하기 위해 발 공간의 하부 후방 영역에 배치된다. 사고 시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승객 보호 장치, 예를 들어 안전 벨트 또는 에어백에 의해 머리 또는 흉부 부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사고 시 계기 패널 아래의 객실은 엔진 블록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용 가능한 발 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발 부상 위험을 높인다. 특히 발 공간 내로 돌출한 페달은 주어진 공간을 더 제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고에 따른 추가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페달 장치에 사고시 전방으로, 즉 엔진 블록의 방향으로 페달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이동시켜 사고 시 더 넓은 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EP 0 983 912 A1호에는 페달, 페달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페달로서 페달에 가해지는 병진 운동 또는 트러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페달 푸시 로드(pedal push rod), 및 사고 시 페달 푸시 로드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페달 푸시 로드의 측면 좌굴과 이로 인해 자동차의 흙받이(splash board)의 방향으로 페달의 이동을 야기하는 좌굴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페달 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이 경우 좌굴 장치는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사고로 인한 활성화시 페달 푸시 로드의 제어된 좌굴에 의해 적어도 흙받이에 근접할 때까지 페달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고 시 발 공간이 확장될 수 있는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페달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자동차용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 특히 페달 엔코더 장치는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페달, 특히 가속 페달, 페달용 베어링, 베어링이 배치된 베어링부, 및 사고 시 전방으로 페달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이동 가능한 캐리지로서 형성되므로, 사고 시 캐리지는 베어링 및 페달과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페달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이로 인해 바람직하게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데, 그 이유는 베어링부가 캐리지로서 형성되므로, 예컨대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캐리지는 기계적 수단 또는 장치에 의해서만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캐리지, 베어링부 및 페달은 사고 시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으로 인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페달 장치는 캐리지의 이동을 위한 능동형 구동장치,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또는 불꽃(pyrotechnic)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네거티브 가속력과 캐리지, 특히 베어링부 및 특히 페달의 관성에 의해서만 캐리지가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사고 시에도 충분한 크기의 발 공간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리지, 베어링부 및 페달은 사고 시 캐리지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을 초과할 때에만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발생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작은 경우에, 예를 들어 브레이킹 시 또는 매우 경미한 사고의 경우에, 캐리지는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더 큰 경우에만 운전자의 부상이 고려되고 이러한 경우에만 전방으로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캐리지의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캐리지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클수록, 바람직하게 캐리지에 의해 전방으로 나간,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의 및 그 반대로의 경로는 커진다. 따라서, 캐리지의 이동은 각각의 네거티브 가속력 크기 또는 사고의 규모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사고 위치는 다양하다. 즉, 캐리지에 의해 나간 경로가 클수록, 사고 위치는 전방을 향해 또는 자동차의 구동 모터를 향해 더 넓게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캐리지는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 시 슬라이딩 베어링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므로, 제조시 저렴하고 또한 작동 시 안전하다.
변형예에서 캐리지는 자동차의 정상적인 주행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에 의해 주행 위치에 홀딩된다. 자동차의 정상적인 주행 작동 시 캐리지의 이동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에 의해 주행 위치에 홀딩되고, 사고 시 더 큰 네거티브 가속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전방으로 캐리지의 이동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사고 시 캐리지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는 캐리지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에 제공된 힘에 의해 파괴되므로, 캐리지는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에 의해, 특히 캐리지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발생하는 네거티브 가속력 또는 캐리지의 관성으로 인한 힘이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에 제공되므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는 파괴되고 이로써 전방을 향한 캐리지의 이동이 보장되거나 또는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2개 또는 다수의 또는 2개보다 훨씬 많은 홀딩 부재들이 제공된다. 홀딩 부재들은, 사고 시 캐리지가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다수의 홀딩 부재들이 시간적으로 오프셋 되어 파괴되도록 배치된다. 홀딩 부재들은, 홀딩 부재들 중 하나의 홀딩 부재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이 다른 하나의 홀딩 부재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보다 크거나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딩 부재들은 바람직하게, 시간적으로 먼저 파괴되는 홀딩 부재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이 시간적으로 추후에 파괴되는 홀딩 부재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캐리지가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를 향해 비교적 약간만 이동되고, 따라서 비교적 소수의 홀딩 부재만 파괴되는 비교적 경미한 사고 시 운전자의 발에 부하를 가하는 힘은 운전자 발에 작용하는 더 큰 힘이 감수될 수 있는 비교적 심각한 사고 시보다 작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양한 홀딩 부재들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상이한 크기의 힘은 예를 들어, 파괴를 위해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홀딩 부재들이 설정 파괴점보다 더 큰 두께 및/또는 더 작은 홈 및/또는 더 작은 휨 길이를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파괴되는 홀딩 부재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이 증가하도록 페달 장치가 형성되면, 이는 캐리지의 가용 이동 경로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도 비교적 심각한 사고 시 발생하는 운전자 발의 큰 부하도 합리적인 한계에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 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이다. 홀딩 바 또는 리브는 제조 시 특히 간단하고,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베이스 홀딩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홀딩 바는 캐리지를 모든 방향으로, 특히 모든 수평 방향으로 홀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곡선 주행 또는 가속 시에도 캐리지의 고정 배치가 보장된다.
특히 다수의 리브들은 차례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오프셋 되어,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주행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다수의 사고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로 캐리지가 이동하는 경우, 이로 인해 이동 시 차례로 상이한 리브들이 파괴되고 따라서 리브들에 의해 캐리지의 네거티브 가속력이 흡수된다.
추가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는 특히 리브이고, 캐리지에 슬롯이 형성되고, 베이스 홀딩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캐리지의 이동 시 베이스 홀딩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은 캐리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달리 이동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페달을 출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 특히 스프링은 페달에 출발 위치의 방향으로 복귀력을 제공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특히 가속 페달로서 능동형 페달을 위해 페달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 유닛은, 모터 유닛과 페달 사이의 기계적 연결부에 의해 특히 출발 위치의 방향으로 페달에 힘, 특히 복귀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 유닛은 전기 모터이다. 바람직하게 모터 유닛은 압전 부재 또는 전자석이다. 특히 모터 유닛과 페달 사이의 기계적 연결부는 트랜스미션을 포함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페달 장치는 페달의 위치, 특히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에 의해 페달의 위치가 검출되고, 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를 참고로 제어 유닛에 의해 내연기관을 위한 흡기 채널 내에서 스로틀 장치, 예를 들어 에어 플랩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페달의 위치에 따라서 센서에 의해 자동차를 위한 구동 모터의 출력, 예를 들어 내연기관 및/또는 전기 모터가 제어된다. 따라서 자동차에 E-가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페달 장치는 가속 페달 모듈을 포함하고, 가속 페달 모듈에 탄성 부재 및/또는 모터 유닛 및/또는 센서가 통합된다.
특히 가속 페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에 의해, 예를 들어 홀딩 플레이트에 의해 주행 위치에 홀딩되고, 사고 시, 가속 페달 모듈에 사고 시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가 파괴되므로, 가속 페달 모듈은 페달과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사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사고 시 캐리지와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가속 페달 모듈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속 페달 또는 페달도 함께 상기 전방으로의 이동을 실시하므로 가속 페달 모듈도 페달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가속 페달 모듈 및 바람직하게 페달의 이동은 전방을 향한 수평 성분 외에도 위를 향한 수직 성분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페달 장치는 베이스 홀딩부를 포함하고, 특히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는 베이스 홀딩부에 형성되고 및/또는 특히 캐리지와 베이스 홀딩부 사이에 슬라이딩 베어링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페달은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페달 엔코더 장치를 매우 간단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페달 엔코더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절단선 A-A 아래의 도 1에 따른 페달 엔코더 장치의 캐리지 및 베이스 홀딩부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자동차의 측면도.
페달 장치(1)로서 페달 엔코더 장치(2)는, E-가스 시스템에 의해 전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해 구동 모터로서 도시되지 않은 내연기관 및/또는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28)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센서(24)에 의해 가속 페달(4)인 페달(3)의 위치가 검출되고, 센서(24)에 의해 검출된 가속 페달(4)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차(28)의 구동 모터의 출력이 제어 및/또는 조절된다. 구동 모터로서 내연기관에서 예를 들어 스로틀 장치, 예컨대 스로틀 밸브는 서보 모터에 의해 이동되고, 전기 모터의 경우에는 전기 모터에 제공된 전력이 상응하게 제어 및/또는 조절된다(도시되지 않음).
페달(3)은 필름 힌지(6)인 베어링(5)에 회전축(7)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도 2). 발을 이용해서 자동차(28)의 운전자에 의해 가속 페달(4)에 힘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이로 인해 가속 페달(4)은 출발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이동된다. 출발 위치에서 자동차(28)의 구동 모터에 의해 예를 들어 공회전 가스로서 최소 출력이 요구되고, 종료 위치에서 자동차(28)의 구동 모터에 의해 최대 출력이 요구된다. 출발 위치로부터 종료 위치로 가속 페달(4)의 이동을 위해 가속 페달(4)은 도 1에 따라 시계 방향과 반대로 회전축(7)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 경우 회전축(7)은 도 1의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놓인다. 스프링(21)으로서 탄성 부재(20)에 의해 가속 페달(4)에 지속적으로 복귀력이 제공된다. 스프링(21)에 의해 가속 페달(4)에 제공되는 이러한 복귀력으로 인해, 발을 이용해서 가속 페달(4)에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가속 페달(4)은 출발 위치로 이동되거나 또는 출발 위치에 있게 된다.
모터 유닛(22)은, 탄성 부재(20) 또는 스프링(21)에 추가해서 가속 페달(4)에 보완적인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전기 모터(23)로서 모터 유닛(22)은 샤프트에 의해 트랜스미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트랜스미션은 가속 페달(4)에 연결된다. 탄성 부재(20), 모터 유닛(22) 및 센서(24)는 가속 페달 모듈(25)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통합된다. 자동차(28)는 도시되지 않은 주행 보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주행 보조 시스템에 의해 자동차 운전자에게 조작 요구가 전달될 수 있다. 모터 유닛(22)의 작동 시 가속 페달(4)에 추가 복귀력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복귀력은 자동차(28)의 운전자의 발에 의해 햅틱 방식으로 감지될 수 있다. 주행 보조 시스템에 의해 예를 들어 앞차에 대한 매우 작은 안전 거리가 검출되고 및/또는 자동차(28)의 허용된 최고 속도의 초과가 검출되면, 모터 유닛(22)에 의해 추가 복귀력이 가속 페달(4)에 전달되므로, 이로써 조작 요구가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두 가지 상황에서 가속 페달(4)을 약간만 출발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로 인해 자동차(28)의 속도는 더 감소한다.
또한, 페달 엔코더 장치(2)는 자동차(28)의 차체에 고정된 플라스틱 베이스 홀딩부(10) 및 캐리지(9)로서 베어링부(8)를 포함한다. 캐리지(9)로서 베어링부(8)에 가속 페달(4)을 위한 베어링(5)으로서 필름 힌지(6)가 배치되거나 또는 고정된다(도 2). 베이스 홀딩부(10)에 일체형으로, 실질적으로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캐리지(9)의 이동 방향(27)으로 연장된 슬롯(11) 내부에 다수의 리브들(18;도 2 및 도 3)이 형성된다. 리브들(18)은 설정 파괴점으로서 홈(19)을 갖는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캐리지(9)에 다수의 가이드 레일(12)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캐리지(9)는 주행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홀딩 로드(15)에 의해 베이스 홀딩부(10)에 고정된다. 이 경우 홀딩 로드(15)는 한편으로는 보어(16)에서 캐리지(9)에 배치되고, 또한 보어(17)에서 베이스 홀딩부(10)에 배치된다(도 2). 따라서 리브들(18)과 홀딩 로드들(15)은 캐리지(9)를 위한 홀딩 부재(14)이다.
자동차(28)의 사고 시 자동차(28)는 심한 네거티브 가속력에 노출된다. 자동차(28)의 이러한 심한 네거티브 가속력은 캐리지(9)에도 작용하므로, 캐리지(9), 필름 힌지(6) 및 페달(3)의 관성으로 인해 캐리지(9)에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 방향(27)을 향해 심한 가속력이 작용한다. 캐리지(9)에 작용하는 이러한 가속력은, 홀딩 로드(15)의 구조적 설계로 인해 홀딩 로드(15)를 파괴시키고, 이로 인해 캐리지(9)는 페달(3) 및 필름 힌지(6)와 함께 이동 방향(27)으로 이동을 실시하게 한다. 따라서 캐리지(9)는 자동차(28)의 엔진실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한편, 상기 이동 중에 주행 위치로부터 제 1 사고 위치로 이동된 제 1 경로(X1) 후에 리브(18;도 3)와 가이드 레일(12)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캐리지(9)의 가속력이 충분한 크기일 때 상기 리브(18)는 파괴되고, 캐리지(9)의 가속력의 일부를 흡수한다.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경로 길이(X2)를 갖는 캐리지(9)의 추가 이동 거리에서 유사하게 다른 리브(18)가 파괴되고, 추가 이동 경로(X3)에서 보완 리드(18)가 파괴된다. 캐리지(9)의 추가 이동 시 캐리지(9)에 대한 네거티브 가속력이 충분히 클 때 모든 리브들(18)이 파괴되고 이로써 캐리지(9)의 가속력은 가이드 레일(12)이 베이스 홀딩부(10) 상의 슬롯(11) 단부에 배치될 때까지 흡수된다.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캐리지(9)의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페달(3)과 필름 힌지(6)는 함께 이동되고, 따라서 이로 인해 발 공간(29)이 확대된다. 캐리지(9)에 발생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작은 더욱 경미한 사고의 경우에, 상기 캐리지는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리브만이 파괴된 후에 미리 정지될 수 있으므로, 캐리지(9)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클수록, 캐리지(9)에 의해 전방으로 나간,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의 경로가 커진다.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캐리지(9)의 이동 시 페달(3)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가속 페달 모듈(25)도 함께 전방을 향한 이와 같은 운동을 실시한다. 이 경우 가속 페달 모듈(25)은 하나 또는 2개의 홀딩 플레이트(26)에 의해 베이스 홀딩부(10)에 고정된다(도 1). 베이스 홀딩부(10)는 홀딩 플레이트(26)가 고정된 경사 섹션을 갖는다. 플라스틱 홀딩 플레이트(26)는 가속 페달 모듈(25)에서 네거티브 가속력이 충분히 클 때 파괴되고 이로 인해 가속 페달 모듈(25)이 페달(3)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홀딩 플레이트(26)의 영역에서 베이스 홀딩부(10)의 경사로 인해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가속 페달 모듈(25)의 이동은 전방을 향한 수평 성분 외에 위를 향한 수직 성분도 포함한다. 캐리지(9) 및 가속 페달 모듈(25)은 슬라이딩 베어링(13)에 의해 베이스 홀딩부(10)에 지지된다. 특히 베이스 홀딩부(10)에 가이드 레일(12)이 배치되므로, 가이드 레일(12)과 베이스 홀딩부(10) 사이에 슬라이딩 베어링(13)이 형성된다.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장치(1)에 의해 주요 장점들이 제공된다. 캐리지(9)는 캐리지(9)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에 의해서만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을 실시하므로, 이로 인해 사고 시 발 공간(29)이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페달(3)을 이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능동형의, 고장에 민감한 액추에이터가 필요치 않은데, 그 이유는 페달(3)이 캐리지(9)와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을 실시하기 때문이다.
1 페달 장치
2 페달 엔코더 장치
3 페달
4 가속 페달
5 베어링
8 베어링부
9 캐리지
10 베이스 홀딩부
18 리브
20 탄성 부재
22 모터 유닛
24 센서
28 자동차

Claims (15)

  1. 자동차(28)를 위한 페달 장치(1), 특히 페달 엔코더 장치(2)로서,
    - 출발 위치와 종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페달(3), 특히 가속 페달(4),
    - 상기 페달(3)용 베어링(5),
    - 상기 베어링(5)이 배치된 베어링부(8) 및
    - 사고 시 전방으로 상기 페달(3)을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9)를 포함하는 페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8)는 이동 가능한 캐리지(9)로서 형성되므로, 사고 시 상기 캐리지(9)는 상기 베어링(5) 및 상기 페달(3)과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9), 상기 베어링부(8) 및 상기 페달(3)은 사고 시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으로 인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9), 상기 베어링부(8) 및 상기 페달(3)은 사고 시 상기 캐리지(9)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을 초과할 때에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9)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이 클수록, 상기 캐리지(9)에 의해 전방으로 나간,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의 및 그 반대로의 경로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9)는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 시 슬라이딩 베어링(1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9)는 상기 자동차(28)의 정상적인 주행 작동 시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에 의해 주행 위치에 홀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는 적어도 하나의 홀딩 로드(15)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사고 시 상기 캐리지(9)에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으로 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는 상기 캐리지(9)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에 제공되는 힘에 의해 파괴되므로, 상기 캐리지(9)는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홀딩 부재들(14)이 제공되고, 상기 홀딩 부재들(14)은,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상기 캐리지(9)의 이동 시 상기 적어도 2개의 홀딩 부재들(14) 중 하나의 홀딩 부재(14)는 다른 홀딩 부재(14)에 대해 시간적으로 오프셋 되어 파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나의 홀딩 부재(14)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은 상기 다른 홀딩 부재(14)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힘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로 상기 캐리지(9)의 이동 시 상기 적어도 2개의 홀딩 부재들(14)의 파괴를 위해 필요한 각각의 힘은 시간적으로 추후에 파괴되는 홀딩 부재(14)의 경우에 그 전에 파괴되는 홀딩 부재(14)의 경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다수의 홀딩 부재(14) 또는 리브(18) 또는 홀딩 로드(15)는 차례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오프셋 되어, 주행 위치로부터 사고 위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장치(1)는 가속 페달 모듈(25)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 페달 모듈(25)에 탄성 부재(20) 및/또는 모터 유닛(22) 및/또는 센서(24)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페달 모듈(25)은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 예를 들어 홀딩 플레이트(26)에 의해 주행 위치에 홀딩되고, 사고 시 상기 가속 페달 모듈(25)에 사고 시 작용하는 네거티브 가속력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가 파괴되므로, 상기 가속 페달 모듈(25)은 상기 페달(3)과 함께 주행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사고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장치(1)는 베이스 홀딩부(10)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딩 부재(14)는 상기 베이스 홀딩부(10)에 형성되고 및/또는 특히 상기 캐리지(9)와 상기 베이스 홀딩부(10)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장치.
KR1020137031001A 2011-05-25 2012-04-02 페달 엔코더 장치 KR20140021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6474.7 2011-05-25
DE102011076474A DE102011076474A1 (de) 2011-05-25 2011-05-25 Pedalwertgeberanordnung
PCT/EP2012/055937 WO2012159810A1 (de) 2011-05-25 2012-04-02 Pedalwertgeb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670A true KR20140021670A (ko) 2014-02-20

Family

ID=459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001A KR20140021670A (ko) 2011-05-25 2012-04-02 페달 엔코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14455B1 (ko)
JP (1) JP5805311B2 (ko)
KR (1) KR20140021670A (ko)
CN (1) CN103619635B (ko)
DE (1) DE102011076474A1 (ko)
WO (1) WO2012159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21924A1 (de) * 2011-12-22 2013-06-27 Audi Ag Verstellbares schienengeführtes Fußhebelwerk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107408A1 (de) 2012-08-13 2014-02-13 Ab Elektronik Gmbh Fahrzeugpedaleinheit mit Sollbruchstelle für den Crashfall
CN106114216B (zh) * 2016-09-05 2018-06-01 厦门丰泰国际新能源汽车有限公司 防误踩油门装置
DE102016116619A1 (de) * 2016-09-06 2018-03-08 HELLA GmbH & Co. KGaA Pedal, insbesondere Fahrpedal
JP6881257B2 (ja) * 2017-11-28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JP6591645B1 (ja) * 2018-09-21 2019-10-16 豊田鉄工株式会社 樹脂製ペダルアーム
DE102021206619A1 (de) 2021-06-25 2022-12-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nachgiebigen Anbindung einer stehenden Pedalerie an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7711Y1 (ko) * 1966-11-24 1970-04-14
CA1289039C (en) * 1986-08-18 1991-09-17 Gabriel M. Sitrin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DE19727309A1 (de) * 1997-06-27 1999-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Pedalerie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Bremssystem mit elektrischer Signalübertragung
US6220112B1 (en) * 1998-02-10 2001-04-24 Teleflex Incorporated Throttle controlled transmission lockout
DE19840463A1 (de) 1998-09-04 2000-03-09 Volkswagen Ag Pedal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9851468A1 (de) * 1998-11-09 2000-05-11 Volkswagen Ag Pedalanordnung
DE10222106A1 (de) * 2002-05-17 2004-01-22 Fico Cables, S.A., Rubi Pedalsicherheitssystem
CN101367375A (zh) * 2008-05-07 2009-02-1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制动踏板装置及其安全保护方法
JP2010073141A (ja) * 2008-09-22 2010-04-0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76474A1 (de) 2012-11-29
EP2714455B1 (de) 2017-03-22
EP2714455A1 (de) 2014-04-09
WO2012159810A1 (de) 2012-11-29
JP5805311B2 (ja) 2015-11-04
CN103619635B (zh) 2017-06-30
JP2014516177A (ja) 2014-07-07
CN103619635A (zh)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1670A (ko) 페달 엔코더 장치
US8175783B2 (en) Organ type accelerator pedal assembly
US8820810B2 (en) Steering column cover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8813897B2 (en) Impact absorbing apparatus of vehicle
CN102463893A (zh) 用于车辆的油门踏板
EP3533653A1 (en) Vehicular accelerator pedal device
US6227597B1 (en) Vehicle seat with limited rearward movement
US101125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ctuator for a loading surface that is adjustably mounted on a motor vehicle body
KR102496790B1 (ko) 차량용 시트와 연동하는 크래쉬 패드 제어 장치, 및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어 방법
JP2000136738A (ja) 車両の駐車操作支援装置
JP4758692B2 (ja) 車両用乗員膝部保護装置
US11541753B2 (en) Vehicular pedal device
JP2008105560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292774B1 (ko) 차속적응형스포일러제어장치
JP3214268U (ja) 自動車のペダル
KR101463795B1 (ko) 전두부 변형 열차
JP2019009842A (ja) 電動式産業車両
CN102029929B (zh) 汽车座椅坐垫倾角调节装置的电磁式驱动机构
JP2015199482A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踏込み量規制構造
JP2003104150A (ja) 機械機構による衝突時の座席衝撃緩和装置
KR101755733B1 (ko) 차량용 프로펠러샤프트의 꺾임방향 유도장치
KR0131687Y1 (ko) 제동 겸용 가속 페달장치
KR200462736Y1 (ko) 자동차용 속도 제한장치
JP2020015343A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
JP4311221B2 (ja) 可動バン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