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743A - 유기 el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el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743A
KR20140020743A KR1020130084938A KR20130084938A KR20140020743A KR 20140020743 A KR20140020743 A KR 20140020743A KR 1020130084938 A KR1020130084938 A KR 1020130084938A KR 20130084938 A KR20130084938 A KR 20130084938A KR 20140020743 A KR20140020743 A KR 20140020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selective reflection
electro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요시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63,816 priority Critical patent/US9219248B2/en
Publication of KR2014002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EL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유기 EL 표시장치는 입사된 광 중에서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 및 상기 소정 파장을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투과시키는 선택 반사층과, 상기 선택 반사층을 투과한 상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편광 특성을 갖는 원편광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EL 표시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유기 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의 유기 EL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화소마다 발광층을 구비하고, 이 발광층에 공급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기 EL 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 및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려면, 외광에 기인하는 반사광(고스트광)이 표시면(유기 EL 표시장치의 가장 외측의 면을 의미)을 통해 관찰자측으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외광이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서 반사하거나 또는 그 표시면을 통해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기 EL 표시 장치의 내부에 침입한 외광이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된 후에 표시면을 통해 다시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보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원편광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2면 상에 마련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입사된 광 중에서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 및 상기 소정 파장을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투과시키는 선택 반사층;
상기 선택 반사층 상에 마련되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상기 선택 반사층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소정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마련되는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선택 반사층을 투과한 상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편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1/4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 상에 마련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반사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발광층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반사전극은 공통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배선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제2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호층, 제1 절연층,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의 사이에 마련되는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절연층과 상기 제3 절연층의 사이에 마련되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반사층에는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 반사층의 표면 및 상기 콘택트홀의 내면에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마련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층과 상기 선택 반사층 사이에는 배향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은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 반사층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소정 색상의 컬러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선택 반사층 사이에 소정 색상의 컬러필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원편광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2면 상에 마련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입사된 광 중에서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 및 상기 소정 파장을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투과시키는 제1 선택 반사층;
상기 제1 선택 반사층 상에 마련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소정 원색(primary color)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층;
상기 배선층 상에서 상기 제1 투명 전극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층 상에 마련되는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선층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는 각각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선택 반사층이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선층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는 등방성 액정층이 마련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에 의하면, 발광층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모든 성분이 원편광판을 투과하는 원편광과 같은 선회 방향의 원편광으로 변환된 상태로 선택 반사층을 투과한 다음, TFT층, 투명 기판 및 원편광판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표시의 밝기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표시장치 내로 유입된 외광은 원편광판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외광 하에서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동작 설명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21은 도 9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물질층이 기판이나 다른 층 상에 존재한다고 설명될 때, 그 물질층은 기판이나 다른 층에 직접 접하면서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다른 제3의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래의 실시예에서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에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편의상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들 중 어느 하나의 원색(primary color)(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는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의 제1면(도 1에서의 하면으로 출사면) 상에 순차적으로 1/4 파장판(2) 및 편광판(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 기판으로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4 파장판(2) 및 편광판(3)을 합쳐서 원편광판(11)이라고 한다. 상기 투명 기판의 제2면(도 1에서의 상면) 상에는 순차적으로 TFT층(4), 배향층(5), 선택 반사층(6), 투명 전극(7), 격벽(8) 및 반사 전극(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 전극(10)은 공통 전극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전극(10)은 입사되는 가시광 영역 전반에 걸친 광을 전반사할 만한 굴절률 및 막두께를 갖는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8)은 불투명한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에는 투명 전극(7)을 노출시키는 관통공(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8a) 내에는 소정 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 발광층(9)은 투명 기판(1) 상에 순서대로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유기 발광층, 홀 수송층, 홀 주입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발광층(9)은 전자 주입층, 전자 수송층,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에는 특정 색상의 광을 발생시키는 소정의 형광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투명 전극(7)은 발광층(9)의 하면 전체와 접하는 면적을 가지며, 선택 반사층(6)과 격벽(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명 전극(7)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택 반사층(6)은 소정 색상의 발광층(9)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즉, 상기 선택 반사층(6)은 발광층(9)에 의해 발광되는 소정 색상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택 반사층(6)은 파장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콜레스테롤의 수산기를 할로겐으로 치환한 할로겐 화합물이나 지방산, 탄산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콜레스테릭환을 갖는 액정)가 봉입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파장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의 동작 원리는 공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서 액정 분자는 나선형상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식 λ=p·n (여기서, p는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nm), n은 액정의 평균 굴절률)에 의해 주어지는 파장 λ(nm)의 광에 대해서는 액정 분자의 나선형상 구조의 비틀림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하고,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 및 다른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는 액정 재료에 첨가하는 카이럴제의 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카이럴제로서 광반응성 카이럴제를 이용한 경우에는 조사해야 할 광의 열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선택 반사층(6)은 대응되는 발광층(9)이 발생시키는 소정 색상의 빛의 파장 λ(nm)을 중심으로 하여 특정 파장의 폭의 광만을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의 평균 굴절률(n)이 1인 경우, 액정 분자의 비틀림 방향이 우측 나사 방향이고, 또한 나선 피치가 550nm이면, 550nm을 중심으로 한 특정 폭의 광의 우측 나사 방향의 원편광 성분만이 반사된다. 또한, 상기 선택 반사층(6)이 투과시키는 상기 파장 λ(nm)의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전술한 원편광판(11)이 투과시키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과 일치한다.
상기 배향층(alignment layer, 5)은 액정 분자의 배열을 정돈하는 기능을 갖는 막으로,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배향층(5) 및 선택 반사층(6)에는 투명 전극(7)과 후술하는 TFT층(4)에 포함된 TFT의 드레인 전극(4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7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배선층으로서의 TFT층(4)은 투명 기판(1) 상에 차례대로 적층된 보호층(41), 제1 절연층(42), 제2 절연층(43), 제3 절연층(44) 및 평탄화층(49)과, 상기 제1 절연층(42)과 제2 절연층(43)의 사이에 형성된 반도체층(45)과, 상기 제2 절연층(43)과 제3 절연층(44)의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46)과, 소스 전극(47)과, 드레인 전극(48)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절연층(42)과 제2 절연층(43)의 사이에서 발광층(9)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절연층(43)과 제3 절연층(44)의 사이에서 제2 절연층(43)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층(42)의 중앙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47)은 상기 제2 절연층(43)과 제3 절연층(44)을 관통하여 반도체층(4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48)은 상기 제2 절연층(43)과 제3 절연층(44)을 관통하여 반도체층(42)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콘택트 홀(7a)을 통해 투명 전극(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45), 게이트 전극(46), 소스 전극(47) 및 드레인 전극(48)만을 가리켜 「TFT」라고 부른다. 한편, 상기 TFT층(4) 내에는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게이트 전극(46) 또는 소스 전극(4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을 도 1 및 동작 설명도인 도 2(단, 상하가 도 1과 반대로 되어 있음)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소정의 발광층(9)에 대응하는 TFT의 게이트 전극(46)에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TFT가 ON이 됨으로써 소스 전극(47), 반도체층(45), 드레인 전극(48) 및 투명 전극(7)을 통해 발광층(9)을 구성하는 홀 주입층에 홀이 주입됨과 동시에, 반사 전극(10)을 통해 발광층(9)을 구성하는 전자 주입층에 전자가 주입된다. 이에 따라, 발광층(9)을 구성하는 유기 발광층에 포함된 형광 물질이 여기됨으로써 소정 색상의 파장 λ(nm)을 가지는 광이 모든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렇게 방출되는 소정 색상의 광을 구성하는 각 광속의 성분은 우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과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을 합성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 파장층(6)에 의해 소정 색상의 광을 2개의 원편광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발광층(9)으로부터 발생하여 선택 반사층(6)에 직접 입사하거나 또는 일단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되고 나서 선택 반사층(6)에 입사한 광 중에서 원편광판(11)에 의해 투과하는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그대로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선택 반사층(6) 내에서 반사된다. 여기서, 원편광판(11)에 의해 투과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나사 방향(액정 분자의 나선 구조가 우측 나사 방향인 경우)이라고 하면,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이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고, 우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이 선택 반사층(6) 내에서 반사된다. 그리고, 선택 반사층(6)에서 반사된 원편광 성분은 발광층(9) 내에 재입사된 후에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되고, 이어서 그 선회 방향이 역전된 상태(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역전된 상태)로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되어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발광층(9)으로부터 발생한 광의 모든 성분이 원편광판(11)에 의해 투과하는 원편광과 같은 선회 방향의 원편광으로 변환된 상태로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게 되고, 이어서 TFT층(4), 투명 기판(1) 및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의 밝기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광이 상기 유기 EL 표시장치에 입사하는 경우에는 원편광판(11)을 구성하는 편광판(3)을 투과할 때에 그 대략 절반의 성분이 편광판(3)에 의해 흡수되고, 나머지 성분이 1/4 파장판(2)을 투과함으로써 원편광(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외광이 투명 기판(1)을 통해 TFT층(4)에 포함되는 각 전극(46, 47, 48)이나 도시하지 않은 배선의 표면에 입사하면 전극이나 배선의 표면에서 의해 반사하게 되며, 이러한 반사 과정에서 선회 방향이 역전된다(도 2의 예에서는 우측 나사 방향으로 역전된다). 따라서, 이 반사광이 다시 투명 기판(1)을 통과하여 원편광판(11)에 입사하는 경우에는 그 선회 방향이 원편광판(11)이 투과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과는 반대이므로 반사광의 모든 성분은 편광판(3)에 의해 흡수되며 외부로는 출사되지 않는다.
또한, 원편광판(11) 및 투명 기판(1)을 투과한 외광 중에서 TFT층(4)에서의 투명 부분을 투과한 외광은 선택 반사층(6)에 입사하게 되지만, 그 선택 반사층(6)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파장 λ(nm)의 광은 물론, 반사되는 파장 λ(nm)의 광은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는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으로 변환되어 있으므로,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여 발광층(9) 내에 입사한 다음,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된다. 이 때, 그 외광의 모든 파장 성분은 그 원편광의 선회 방향이 역전되어(도 2의 예에서는 우측 나사 방향으로 역전되어)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한다.
그리고,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한 반사광 중에서 선택 반사층(6)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파장 λ(nm)의 광은 선택 반사층(6), TFT층(4) 및 투명 기판(1)을 투과하여 원편광판(11)에 입사하게 되는데, 이때 그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원편광판(11)이 투과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과는 반대이므로, 편광판(3)에 의해 흡수되며 외부로는 출사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한 반사광 중에서 선택 반사층(6)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 λ(nm)의 광은 그 원편광의 선회 방향이 액정 분자의 나선 구조의 비틀림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우측 나사 방향)과 일치하므로 선택 반사층(6)에서 반사되어 발광층(9) 내에 다시 입사하고, 반사 전극(10)에 의해 재반사된다. 이 때, 해당 광의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재역전되어(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재역전되어)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한다. 이 경우, 선택 반사층(6)에 재입사한 광의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액정 분자의 나선 구조의 비틀림 방향과는 반대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이므로, 선택 반사층(6), TFT층(4) 및 투명 기판(1)을 투과하여 원편광판(11)에 입사한다. 이 경우, 그 원편광의 선회 방향은 원편광판(11)이 투과하는 원편광의 선회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과 같으므로,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한편, 보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표시장치에서는 TFT층(4)에서의 투명 부분(즉, 각 TFT의 전극이나 배선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낮고, 또한 격벽(8) 전체에 대해 발광층(8)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더 낮기 때문에,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는 외광에 기인한 반사광의 광량은 작다. 따라서, 외광에 기인한 반사광이 콘트라스트에 미치는 악영향의 정도는 최소한에 그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발광층(9)에 전류를 공급하는 투명 전극(7)을 구동하는 TFT나 배선이 투명 기판(1)의 일측에서 투명 기판(1)과 선택 반사층(6)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기 EL 표시장치 내로 들어와 TFT의 전극이나 배선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외광의 반사광은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외광의 반사광은 전극이나 배선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원편광의 선회 방향이 역전됨으로써 원편광판에 의해 흡수되고, 외부로는 출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유기 EL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1)의 제1면(도 3에서 상면) 상에 차례대로 TFT층(4) 및 배향층(5)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향층(5) 상에 상온에서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가 소정 색상의 광, 예를 들면 적색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는 폭으로 고정되도록 광반응형 카이럴제의 농도가 조절된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30)을 도포한다. 이어서, 투광부들(20a)이 형성된 마스크(20)를 상기 액정 조성물(30) 상에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들(20a)은 화소의 적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온에서 상기 투광부들(20a)을 통해 자외선을 액정 조성물에 조사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마스크(20)의 투광부(20a)에는 콘택트 홀(7a)의 형성을 위한 패턴(차광부)도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광부들(20a)이 화소의 녹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도록 마스크(20)를 이동한다. 이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이 녹색을 반사하게 되는 온도까지 상기 액정 조성물(30)을 가열하면서 투광부들(20a)을 통해 자외광을 액정 조성물(30)에 조사한다. 그 결과, 녹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투광부들(20a)이 화소의 청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도록 마스크(20)를 이동한다. 이어서, 콜레스테릭 액정이 청색을 반사하게 되는 온도까지 상기 액정 조성물(30)을 가열하면서 투광부들(20a)을 통해 자외광을 액정 조성물(30)에 조사한다. 그 결과, 청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선택 반사층(6) 상에 순차적으로 투명 전극(7), 격벽(8), 발광층(9) 및 반사 전극(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 기판(1)의 제2면 상에 순차적으로 1/4 파장판(2) 및 편광판(3)을 형성한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배향층(5)이 생략되어 있는 점만을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배향층(5)은 액정 제조시에 있어서 액정 분자의 배열을 정돈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선택 반사층(6)의 완성 후에는 특별히 그 기능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선택 반사층(6)은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방향성을 정돈하기 위한 배향 처리는 필요 없고, 또한 결함을 줄이기 위한 배향막의 기여라는 의미에서는 콜레스테릭 액정 재료 자체의 배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배향막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 및 제조 과정은 배향층(5)에 관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평탄화층(49)이 생략되어 있고, 선택 반사층(6)이 평탄화층(49)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점만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평탄화층(도 7의 49)은 투명 전극(7)을 형성해야 할 평면을 평탄화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투명 전극(7)의 완성 후에는 특별히 그 기능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사용하여 평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 및 제조 과정은 배향층(5) 및 평탄화층(49)에 관한 내용을 제외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각 색상용 선택 반사층(6)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점만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선택 반사층(6)은 광학 소자에 불과하며, 서로 연속되어 있을 필연성은 없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9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21은 도 9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1)의 제1면(도 10에서 상면) 상에 차례대로 TFT층(4) 및 배향층(5)을 형성한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배향층(5) 상에 상온에서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가 예를 들면 적색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는 폭으로 고정되도록 광반응형 카이럴제의 농도가 조절된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31)을 도포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투광부들(21a)이 형성된 마스크(21)를 상기 액정 조성물(31) 상에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들(21a)은 화소의 적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온에서 상기 투광부들(21a)을 통해 자외선을 액정 조성물(31)에 조사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마스크(21)의 투광부(21a)에는 콘택트 홀(7a)의 형성을 위한 패턴(차광부)도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경화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현상액(32)에 의해 액정 조성물(31)을 현상함으로써, 미경화된 액정 조성물(31)을 제거한다. 그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된 적색광용 선택 반사층(6)만이 배향층(5) 상에 남겨진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배향층(5) 상에 상온에서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가 녹색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는 폭으로 고정되도록 카이럴제의 농도가 조정된 광중합성 콜레스테릭 액정 조성물(33)을 도포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투광부들(21a)이 형성된 마스크(21)를 상기 액정 조성물(33) 상에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들(21a)은 화소의 녹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광부들(21a)을 통해 자외선을 액정 조성물(33)에 조사한다. 이에 따라, 녹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경화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액(32)에 의해 액정 조성물(33)을 현상함으로써, 미경화된 액정 조성물(33)을 제거한다. 그 결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된 적색광용 선택 반사층(6) 및 녹색광용 선택 반사층(6)만이 배향층(5) 상에 남겨진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배향층(5) 상에 상온에서 액정 분자의 나선 피치가 청색 영역의 광을 반사시키는 폭으로 고정되도록 카이럴제의 농도가 조정된 광중합성 콜레스테릭 조성물(34)을 도포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투광부들(21a)이 형성된 마스크(21)를 상기 액정 조성물(34) 상에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들(21a)은 화소의 적색광을 발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광부들(21a)을 통해 자외선을 액정 조성물(34)에 조사한다. 이에 따라, 청색광용 선택 반사층(6)이 경화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현상액(32)에 의해 액정 조성물(34)을 현상함으로써, 미경화된 액정 조성물(34)을 제거한다. 그 결과, 경화된 적색광용 선택 반사층(6), 녹색광용 선택 반사층(6) 및 청색광용 선택 반사층(6)만이 배향층(5) 상에 남겨진다. 이후, 상기 선택 반사층(6) 상에 순차적으로 투명 전극(7), 격벽(8), 발광층(9) 및 반사 전극(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투명 기판(1)의 제2면 상에 순차적으로 1/4 파장판(2) 및 편광판(3)을 형성한다.
도 2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격벽(8) 및 발광층(9) 대신에 백색광을 방출하는 백색 발광층(12)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 전극(7)에 대응하여(즉, 백색 발광층(12)에서의 투명 전극(7)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 색상의 파장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컬러 필터(13)가 선택 반사층(6)과 투명 전극(7)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점만이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백색 발광층(12)에서 발생한 백색광 중에서 특정 색상(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빛만이 컬러 필터(13)를 투과하므로, 선택 반사층(6)에는 대응하는 파장의 광만이 입사하는 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유사하다. 따라서, 유기 EL 표시장치 내에 입사한 외광 중에서 선택 반사층(6)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파장 성분은 컬러 필터(13)에 의해 흡수되어 버리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22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컬러 필터(13)가 평탄화층(49)과 배향층(5)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점만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선택 반사층(6)을 투과하는 순서와 컬러 필터(13)를 투과하는 순서가 반대가 되기 때문에, 유기 EL 표시 소자 내에 입사한 외광 중에서 선택 반사층(6)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파장 성분은 선택 반사층(6)에 입사하기에 앞서서 컬러 필터(13)에 의해 흡수되어 버리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배향층(5)이 생략되어 있고, 선택 반사층(6)의 표면 및 콘택트 홀(7a)의 내면에 질화 규소(SiN)제의 패시베이션층(14)이 형성되어 있는 점만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에는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들 중 어느 하나의 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는 부분과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가 3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및 백색을 발광하는 4개의 발광층을 포함함으로써 백색의 색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원색광을 발광하는 발광층(9) 대신에 백색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12)이 마련되어 있고, 단색용 선택 반사층(6) 대신에 각 원색(적색, 녹색 및 청색)의 파장 대역의 광(소정 선회 방향의 원편광 성분)만을 각각 반사시키는 3층의 선택 반사층들(61, 62, 63)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60)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에서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백색광을 발생하는 부분에서의 TFT의 각 전극(46~48) 및 배선에서의 외광 반사에 대한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백색 발광층(12)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을 구성하는 각 원색(적색, 녹색, 청색)은, 그 파장 대역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선택 반사층(61, 62, 63)에서 원편광판(11)을 투과 가능한 원편광과 같은 선회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과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원편광판(11)을 투과 가능한 원편광과 같은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반사층(60)을 투과하고,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각 선택 반사층(61, 62, 63) 내에서 반사되어 백색 발광층(12)으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백색 발광층(12) 내에 되돌려진 각 원색(적색, 녹색, 청색)의 원편광 성분은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그 선회 방향이 역전되어 다시 반사층(60)에 입사하지만, 이번에는 각 선택 반사층(61, 62, 63)을 투과하여 반사층(60)으로부터 출사된다. 그 결과, 반사층(60)으로부터 출사되는 모든 성분이 원편광판(11)을 투과 가능한 원편광과 같은 선회(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로 선회하는 원편광에 갖추어진다. 따라서, 백색 발광층(12)으로부터 발생한 모든 성분이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므로, 표시의 밝기가 유지된다.
또한,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유기 EL 표시장치 내에 침입한 외광은 소정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으로만 이루어지므로, 반사층(60)을 투과하여 백색 발광층(12) 내에 침입한다. 그리고, 이렇게 백색 발광층(12) 내에 침입한 외광은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된 후, 그 선회 방향이 역전되어 다시 반사층(60)에 입사한 다음, 각 파장 성분마다 대응하는 선택 반사층(61, 62, 63)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백색 발광층(12) 내에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백색 발광층(12) 내에 되돌려진 외광은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그 선회 방향이 재역전되어 다시 반사층(60)에 입사한 다음, 각 선택 반사층(61, 62, 63)을 투과하여 반사층(60)으로부터 출사된다. 그 결과, 해당 외광은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어 버리지만, 보텀 에미션 방식의 경우, TFT층(4)에서의 투명 부분(즉, 각 TFT의 전극이나 배선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낮고, 또한 격벽(8) 전체에 대해 발광층(8)의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더욱 낮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외부로 사출되는 외광에 기인한 반사광의 광량은 얼마 안 된다. 따라서, 외광의 반사광이 콘트라스트에 미치는 악영향의 정도는 최소한에 그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도 8 내지 도 9 및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에는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들 중 어느 하나의 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는 부분과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26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가 3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및 백색을 발광하는 4개의 발광층을 포함함으로써 백색의 색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3층의 선택 반사층들(61, 62, 63)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60) 대신에 등방성 액정층(선택 반사 기능을 가지지 않음)(64)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만이 다르다. 이러한 등방성 액정층(64)은 선택 반사층(6)의 재료인 액정 조성물을 노광하기 전에 고온에 노출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에서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백색광을 발생하는 부분에서의 TFT의 각 전극(46~48) 및 배선에서의 외광 반사에 대한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백색 발광층(12)으로부터 발생한 백색광은 그 모든 성분이 등방성 액정층(64)을 투과하지만, 비편광이므로 그 대략 절반의 성분이 원편광판(11)을 투과하고, 나머지가 원편광판(11)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원래 백색 발광층(12)은 파장 선택 기능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좋고, 여기(excitation)로부터 발생한 광은 컬러 필터에 의해 광량을 줄일 수 없으므로, 백색광을 발광하는 부분의 표시의 밝기는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의 표시의 밝기보다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원편광판(11)을 투과하여 유기 EL 표시장치 내에 침입한 외광은 소정 방향(도 2의 예에서는 좌측 나사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으로만 이루어지고, 등방성 액정층(64) 및 백색 발광층(12)을 투과하여 반사 전극(10)에 의해 반사된 후 그 선회 방향이 역전되므로, 반사광이 다시 백색 발광층(12) 및 등방성 액정층(64)을 투과하여 원편광판(11)에 도달해도 원편광판(11)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를 악화시키는 일이 없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도 8 내지 도 9 및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기 EL 표시장치의 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에는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들 중 어느 하나의 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을 발광하는 부분과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27에 도시된 유기 EL 표시장치에서 하나의 화소가 3원색(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및 백색을 발광하는 4개의 발광층을 포함함으로써 백색의 색재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백색을 발광하는 부분은, 전술한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TFT층(4)과 투명 전극(7) 사이에 액정층이 없다는 점만 다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각 선택 반사층(6)은 전술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파장 대역마다 현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백색광을 발광하는 부분에서는 선택 반사층(6)의 형성이 생략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각 원색을 발광하는 부분에서의 작용은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것과 동일하다. 또한, 백색광을 발생하는 부분에서의 작용은 전술한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기술적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 투명 기판 4... TFT층
6... 선택 반사층 7... 투명 전극
9... 발광층 10... 반사 전극
11... 원편광판

Claims (20)

  1.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원편광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2면 상에 마련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입사된 광 중에서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 및 상기 소정 파장을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투과시키는 선택 반사층;
    상기 선택 반사층 상에 마련되는 투명전극;
    상기 투명 전극 상에 상기 선택 반사층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소정 색상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마련되는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선택 반사층을 투과한 상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편광 특성을 갖는 유기 EL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1/4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 상에 마련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층은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발광층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반사전극은 공통전극인 유기 EL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제2면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호층, 제1 절연층, 제2 절연층 및 제3 절연층과,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의 사이에 마련되는 반도체층과, 상기 제2 절연층과 상기 제3 절연층의 사이에 마련되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층에는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트 홀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EL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층의 표면 및 상기 콘택트홀의 내면에는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이 형성된 유기 EL 표시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마련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과 상기 선택 반사층 사이에는 배향층이 더 마련되는 유기 EL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방출하는 유기 EL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 EL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반사층과 상기 투명전극 사이에 소정 색상의 컬러필터가 마련되는 유기 EL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선택 반사층 사이에 소정 색상의 컬러필터가 마련되는 유기 EL 표시장치.
  15.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원편광판;
    상기 투명 기판의 제2면 상에 마련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입사된 광 중에서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 및 상기 소정 파장을 가지며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은 투과시키는 제1 선택 반사층;
    상기 제1 선택 반사층 상에 마련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소정 원색(primary color)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층;
    상기 배선층 상에서 상기 제1 투명 전극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층 상에 마련되는 반사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는 각각 소정 파장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선회하는 원편광 성분만을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선택 반사층이 적층된 유기 EL 표시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과 상기 제2 투명전극 사이에는 등방성 액정층이 마련되는 유기 EL 표시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은 상기 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마련되는 1/4 파장판과, 상기 1/4 파장판 상에 마련되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층에 대응되게 마련되며, 상기 반사전극은 공통전극인 유기 EL 표시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방출하는 유기 EL표시장치.
KR1020130084938A 2012-08-10 2013-07-18 유기 el 표시장치 KR20140020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63,816 US9219248B2 (en) 2012-08-10 2013-08-09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988 2012-08-10
JP2012178988A JP2014038713A (ja) 2012-08-10 2012-08-10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743A true KR20140020743A (ko) 2014-02-19

Family

ID=5026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938A KR20140020743A (ko) 2012-08-10 2013-07-18 유기 el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038713A (ko)
KR (1) KR201400207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92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5835A1 (en) * 2015-08-07 2017-02-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panel
JP2017224398A (ja) * 2016-06-13 2017-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WO2018181634A1 (ja) * 2017-03-30 2018-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el画像表示装置
JP6891269B2 (ja) * 2017-03-30 2021-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el画像表示装置
WO2018207851A1 (ja) * 2017-05-11 2018-1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el画像表示装置
KR102595991B1 (ko) 2019-03-05 2023-10-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92A (ko) * 2013-12-30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38713A (ja)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0743A (ko) 유기 el 표시장치
US202102159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15334B2 (ja) 非吸収性偏光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液晶表示装置
US855317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09680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TWI728338B (zh) 顯示面板
JP2007041536A (ja) 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234085A (en) Display panel
WO2020181949A1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US20170033320A1 (en) Photoactive birefringent materials in oleds
JP2009216824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1060604A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JP2015225114A (ja) 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TW200525466A (en) Display device
US921924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JP2001318370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227697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101095634B1 (ko) 광학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00231105A (ja) 液晶表示素子
JP2008233915A (ja) 電気光学スイッチング素子および電気光学ディスプレイ
KR20070109289A (ko)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2023159A (ja) 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6154583A (ja) 半透過型カラー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250796B (zh) 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JP2008310097A (ja) 位相差膜の形成方法、液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