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119A -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119A
KR20140018119A KR1020130090191A KR20130090191A KR20140018119A KR 20140018119 A KR20140018119 A KR 20140018119A KR 1020130090191 A KR1020130090191 A KR 1020130090191A KR 20130090191 A KR20130090191 A KR 20130090191A KR 20140018119 A KR20140018119 A KR 20140018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lutch device
automobiles
clutch
thrust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4873B1 (ko
Inventor
줄리앙 브레이
니콜라 딜리앙코뜨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40018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 플레이트(5)를 변위시킬 수 있는 다이아프램(3)이 수용된 덮개(2)를 포함하는 클러치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이아프램(3)은 각각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의 둘레에 링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는 상기 다이아프램(3)의 양쪽에, 각각, 다이아프램(3)과 덮개(2)의 사이 및 다이아프램(3)과 가압 플레이트(5)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장치는 스러스트 와셔(16)를 포함하며, 이 스러스트 와셔(16)는 덮개(2) 상에 장착되고, 덮개(2)의 대응면(21)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면, 예컨대 평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러스트 와셔(16)는, 다이아프램(3)의 제 1 베어링부(6)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의 돌출된 베어링부(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A CLUTCH DEVICE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클러치는 예컨대 크랭크축과 같은 엔진축과 기어박스의 유입축을 회전 연동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클러치는 통상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변환하여 가압 플레이트를 변위시키는 환형 다이아프램이 수용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각각 제 1 및 제 2 베어링부의 둘레에서 피봇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쪽에, 각각, 다이아프램과 덮개의 사이 및 다이아프램과 가압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덮개, 다이아프램 및 가압 플레이트는 회전 연동된다.
이러한 장치는 예컨대 본 출원인 명의의 문헌 EP 2 048 397호에 개시되어 잇다. 이 문헌에서, 제 1 베어링부는 덮개와 일체형인 환형 돌출부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환형 다이아프램은 두 베어링부에 연동되는 레버를 형성하며 그 방사상 내측 둘레에 클러치 베어링과 협력하는 방사상 핑거를 포함하여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변위로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의 변환을 유발한다. 다이아프램의 외측 둘레는 가압 플레이트를 변위시킬 수 있다.
클러치 베어링은, 예컨대, 다이아프램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이것을 주어진 거리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 의하여 조종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제어된다.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조작되는 가압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 및 가압 플레이트에 동축상에 있는 반응 플레이트(reaction plate)에 마찰 디스크를 조이기 위하여 제공된다.
마찰 디스크는 기어박스의 유입축에 회전 연결되며 반응 플레이트는 엔진축에 연결된 플라이휠과 덮개에 회전 연동된다. 따라서, 가압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를 조임으로써, 엔진축과 기어박스의 유입축 사이에서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클러치의 사용은 마찰 디스크의 마찰 패킹 및 관련 반응 플레이트와 가압 플레이트의 대응 소재의 마모를 유발한다. 이것은 다이아프램 및/또는 관련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가압 플레이트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의 변화 및/또는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및 접촉 지점의 변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접촉 지점은 클러치를 닫을 때 엔진의 출력 일부가 기어박스의 축으로 전달되기 시작하는 지점이다.
본 출원인 명의의 문헌 FR 2 847 626호는,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덮개 상에 장착된 다이아프램과 가압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마모 보정 수단을 설치한 클러치를 제안한다. 이 마모 보정 수단은 가압 플레이트의 상보적 대응 슬로프와 협력하는 원주상의 슬로프를 구비한 링을 포함한다. 이 슬로프 링은 또한 다이아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가압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링이 회전하면 대응 슬로프에 대하여 상기 슬로프의 변위가 유발되고 이로써 다이아프램, 덮개 및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가압 플레이트가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렇게, 가압 플레이트와 관련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마모를 보상한다.
또한, 톱니 장치가 상기 슬로프 링에 고정되어, 덮개에 고정된 카세트 내에 장착된 웜 기어와 연동하며, 상기 톱니 장치는 웜 기어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웜 기어는 덮개에 고정된 스토퍼와 협력하는 래칫장치와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웜 기어 및/또는 래칫장치는 탄성 기구에 의하여 카세트의 윙으로 가압지지된다.
상기 스토퍼는 제어 탭을 구비하는 탄성 박판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제어 탭은 상기 래칫장치의 톱니와 협력하여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장치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장치의 회전을 반회전 방향으로는 제한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스토퍼의 복귀 탭에 대하여 베어링지지되어, 제어 탭의 작동시 이것을 변위시킨다. 상기 스토퍼는 제어 베어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것은 다이아프램의 작동시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 덮개 상에 베어링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아프램의 연속 작동시 및 마모의 경우, 스토퍼가 래칫장치 및 웜 기어의 회전을 유발하고, 상기 웜 기어는 톱니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슬로프를 구비한 링의 회전을 유발한다. 이로써 가압 플레이트와 덮개 사이의 거리가 점차 증가되고 가압 플레이트와 관련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감소하여 마모가 보상된다.
상기한 문헌 EP 2 048 397호에서도, 클러치 장치에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에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다이아프램은 일반적으로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분리 단계에서 비교적 큰 기계적 하중과 응력을 받게 된다. 실제로,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은 일반적으로 가압 플레이트에 큰 하중을 필요로 하는 높은 마력의 엔진에 적용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다이아프램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덮개의 환형 돌출부 상의 다이아프램의 베어링부도 불변으로 유지되는데, 이로인해 이 돌출부의 마모가 증가한다.
이렇게,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는, 다이아프램을 링크시키는 역할을 하는 덮개의 환형 돌출부가, 마모를 일으킬 수 있는 국소적인 큰 기계적 응력을 받게 된다. 사실상, 실제의 기술에서, 덮개는 금형 작업에 의하여 구현되어야 하므로 비교적 강성이 낮은 소재로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덮개와 일체형인 환형 돌출부 또한 강성이 낮다.
이러한 마모 현상은 다이아프램의 불량한 포지셔닝을 유도하고 클러치의 특성 곡선의 괴리를 유발한다. 특히 가압 플레이트와 클러치 베어링에서의 하중 증가를 크게 한다. 다른 면에서, 이것은 클러치의 거동과 성능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특히 다이아프램의 위치를 제어하고자 마모 보정 수단을 설치한 클러치의 경우 회피되어야 한다.
문헌 DE 10 2010 054 288호는, 덮개와 다이아프램 사이에 위치하여 다이아프램을 링크하는 역할을 하는 제 1 베어링부가, 덮개와는 별도의 환형 링에 의하여 형성된 클러치 장치를 제안한다. 이 경우, 특히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다이아프램에 인가되는 기계적 응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더 강성의 소재로 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링과 덮개 사이의 접촉부가 원으로 제한되어, 이 원이 (특히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큰 응력을 국소적으로 받게 되어, 덮개에 링이 박히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의 불량한 포지셔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덮개와 다이아프램 사이에 상기 링의 장착하는 작업과 덮개 상에 이 링의 센터링작업 및 유지는 비교적 소모적인 작업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를 제안하는데, 상기 장치는 대응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협력하여 마찰 디스크를 조이도록 되어 있는 가압 플레이트를 변위시키도록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변환하는 환형 다이아프램이 수용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각각 제 1 및 제 2 베어링부의 둘레에 링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쪽에, 각각, 다이아프램과 덮개의 사이 및 다이아프램과 가압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장치의 특징은, 상기 장치가 스러스트 와셔를 포함하며, 이 스러스트 와셔가 덮개 상에 장착되고, 덮개의 대응면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면, 예컨대 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트 와셔가, 다이아프램의 제 1 베어링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덮개 상에 지지되는 연장면을 갖는 스러스트 와셔를 이용함으로써, 덮개가 받는 기계적 응력을 제한하고 이로써 스러스트 와셔 및/또는 덮개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어 다이아프램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덮개와는 별도의 와셔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현에 비교적 강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와셔는 또한 담금질과 같은 열처리를 더 용이하게 견딜 수 있어 그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스러스트 와셔는, 상기 스러스트 와셔의 고정 수단을 덮개 상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러스트 와셔는 덮개에 비교적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형 작업에 의하여 스러스트 와셔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는 환형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스러스트 와셔의 원주 상에서 연장되는 인접 세그먼트들로 형성된다.
복수의 별개의 세그먼트들로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금형 작업에 의한 스러스트 와셔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보조 와셔를 포함하며, 이것은 다이아프램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에 또는 다이아프램의 핑거 상에 베어링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레그를 포함하여, 클러치 분리시 다이아프램에 인가되는 하중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스러스트 와셔 및 보조 와셔는 하나의 동일한 와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와셔는 방사상 외측 환형부와 방사상 내측 환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상 외측 환형부는 다이아프램의 제 1 베어링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내측 환형부로부터 보조 레그가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외측 및 방사상 내측 환형부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보조 레그가 시작되는 내측 방사상 부분에 양호한 탄성을 부여한다.
덮개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구에 의하여 제 2 베어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지지 기구는 C형 섹션을 가지며 제 1 분기부부 및 제 2 분기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분기부부는 덮개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분기부의 자유 단부는 다이아프램의 제 2 베어링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지지 기구의 제 2 분기부가 다이아프램을 스러스트 와셔의 돌출부에 가압 지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 기구는 탄성일 수 있다.
끝으로, 본 장치는 가압 플레이트를 반응 플레이트 가까이 끌어당길 수 있는 마모 보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마모 보정 수단은 장기간에 걸쳐 클러치의 양호한 기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상기 개시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이 설치된 클러치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이아프램이 비교적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이 실시양태에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이루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의하여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것이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특징 및 장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의 하면 사시도,
도 3 및 4는 각각 도 1의 A 및 B 라인을 따른 반쪽 단면도,
도 5는 지지 기능 및 보조 기능을 동시에 보장하는 와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변형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와셔의 사시도.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1)를 도시하며, 상기 장치는 종래의 수단에 의하여 자동차의 플라이휠(도시되지 않음)과 회전 연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회전형 덮개(2)를 포함한다.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환형 다이아프램(3)이 상기 덮개(2)에 수용된다. 이 덮개(2) 및 다이아프램(3)은 실질적으로 동축을 갖는다.
상기 다이아프램(3)에는 내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핑거(4)가 구비된다. 이들 핑거(4)는 축방향으로 접혀 다이아프램(3)에 탄성을 부여한다.
클러치가 자동차에 조립될 때, 상기 다이아프램(3)은 제어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되며, 덮개(2)에 수용되고 이것에 회전 연동되는 가압 플레이트(5)와 협력한다.
상기 다이아프램(3)이 휴지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5)에 하중을 가하여, 가압 플레이트(5)와 반응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조여, 상기 마찰 디스크와 상기 장치(1)를 결합시킨다(클러치 연결 위치).
제어 베어링이 작동될 때, 이것은 상기 다이아프램(3)의 핑거(4)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여, 상기 다이아프램(3)의 탄성적인 변형을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 다이아프램(3)이 피봇하여 가압 플레이트(5)를 풀어 줌으로써 마찰 디스크가 분리된다(클러치 분리 위치).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이아프램(3)은 각각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의 둘레에 링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는 상기 다이아프램(3)의 양쪽에, 각각, 다이아프램(3)과 덮개(2)의 사이 및 다이아프램(3)과 가압 플레이트(5)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장치(1)에는, 가압 플레이트(5)와 다이아프램(3) 사이에 개재되는 마모 보정 수단(8)이 추가로 장비된다. 이 마모 보정 수단(8)은 가압 플레이트(5)의 상보적인 대응 슬로프와 협력하는 원주상의 슬로프를 구비한 링(9)을 포함한다. 상기 슬로프 링(9)은 상기 다이아프램(3)의 지지대(10) 역할도 하므로, 상기 가압 플레이트(5)에 대하여 상기 링(9)이 회전하면, 상기 대응 슬로프에 대한 상기 슬로프의 변위가 유발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3), 덮개(2) 및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가압 플레이트(5)의 축방향 변위가 유발된다. 이로써, 가압 플레이트(5) 및 관련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압력이 보상된다.
추가로 톱니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슬로프 링(9) 상에 고정되고 상기 덮개(2)에 고정된 카세트(12) 내에 장착된 웜 기어(11)와 맞물려 웜 기어(11)와 직각으로 배치된다.
웜 기어(11)는 상기 덮개(2)에 고정된 스토퍼(13)와 협력하는 래칫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회전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웜 기어(11) 및/또는 래칫장치는 탄성 기구에 의하여 카세트(12)의 윙으로 가압 지지된다.
상기 스토퍼(13)는 제어 탭(14)을 구비하는 탄성 박판의 형태로 존재하며(도 3), 상기 제어 탭은 상기 래칫장치의 톱니와 협력하여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장치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장치의 회전을 반회전 방향으로는 제한하며, 상기 다이아프램(3)은 상기 스토퍼(13)의 복귀 탭(15)에 대하여 베어링지지되어, 제어 탭(14)의 작동시 이것을 변위시킨다. 상기 스토퍼(13)는 제어 베어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것은 다이아프램(3)의 작동시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 덮개(2)에 베어링지지 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아프램(3)의 연속 작동시 및 마모의 경우, 스토퍼(13)가 웜 기어(11)의 회전을 유발하고, 상기 웜 기어(11)는 톱니장치를 매개로 하여 슬로프를 구비한 링(9)의 회전을 유발한다. 이로써 가압 플레이트(5)와 덮개(2) 사이의 거리가 점차 증가되고 가압 플레이트(5)와 관련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점차 감소하여 마모가 보상된다.
클러치에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이 설치되는 경우, 다이아프램(3)은 일반적으로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분리 단계에서 비교적 큰 기계적 하중과 응력을 받게 된다.
스러스트 와셔(16)는 덮개(2)와 다이아프램(3) 사이에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이 스러스트 와셔(16)는 도 5에 더 잘 도시되어 있으며 방사상 외측 환형부(17)와 방사상 내측 환형부(18)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내측 환형부로부터 탄성의 보조 레그(19)가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보조 레그(19)는 다이아프램(3)의 방사상 핑거(4) 사이에서 연장되며, 다이아프램(3)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클러치 베어링 상에 베어링지지 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보조 레그(19)는 특히 본 출원인 명의의 문헌 EP 2 048 397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3)의 핑거(4)에 베어링지지 될 수 있다. 모든 경우, 이 보조 레그(19)는 클러치 분리시 다이아프램(3) 상에 인가되는 하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사상 외측 및 내측 환형부(17, 18)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방사상 외측 환형부(17)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며 덮개(2)의 대응 평면(21) 상에 지지되는 비교적 큰 평면을 포함한다(도 3 및 4). 스러스트 와셔(16)는 또한 돌출부(22)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의 정상부는 다이아프램(3)의 제 1 베어링부(6)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22)는 스러스트 와셔에 금형 작업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토퍼(13)의 통과 및 작동 가능하도록, 통로(23)(도 5)도 금형 작업에 의하여 스러스트 와셔(1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상 외측 환형부(17)는 상기 덮개(2) 상에 상기 스러스트 와셔(16)를 고정할 수 있는 리벳(25)의 장착을 위한 구멍(24)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돌출부(22)는 환형으로 그 전체 원주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돌출부(22)는 방사상으로 길쭉한 개구부(26)에 의하여 분리된 인접 세그먼트들로 형성된다.
제 2 베어링부(7)는 리벳(25)에 의하여 덮개(2)에 고정되는 지지 기구(27)에 의하여 형성된다.
각 지지 기구(27)는 C형 섹션을 가지며 제 1 분기부(28) 및 제 2 분기부(29)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분기부(28)는 덮개(2)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분기부(29)의 자유 단부는 다이아프램(3)의 제 2 베어링부(7)를 형성한다(도 3 및 4). 각 지지 기구(27)는 탄성을 갖는 구조로서, 그 제 2 분기부(29)가 다이아프램(3)을 스러스트 와셔(16)의 돌출부(22)에 가압 지지시킨다.
도 7은 또한 스러스트 와셔(16)에 내측 환형부(18) 및 보조 레그(19)가 없는 다른 실시 변형예를 도시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 상에서 지지되는 연장면을 갖는 스러스트 와셔(16)를 이용함으로써, 이것은 덮개(2)가 받는 기계적 응력을 제한하고 이로써 스러스트 와셔(16) 및/또는 덮개(2)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어, 다이아프램(3)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덮개(2)와는 별도의 와셔(16)를 이용함으로써 그 구현에 비교적 강성이 높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와셔(16)는 또한 담금질과 같은 열처리를 더 용이하게 견딜 수 있으므로 그 강성이 더 증가될 수 있다.

Claims (11)

  1. 대응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협력하여 마찰 디스크를 조이도록 되어 있는 가압 플레이트(5)를 변위시키도록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변환하는 환형 다이아프램(3)이 수용된 덮개(2)를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1)로서,
    상기 다이아프램(3)은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의 둘레에서 피봇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베어링부(6, 7)는 상기 다이아프램(3)의 양측에, 각각, 다이아프램(3)과 덮개(2)의 사이 및 다이아프램(3)과 가압 플레이트(5)의 사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클러치 장치(1)에 있어서,
    스러스트 와셔(16)를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트 와셔(16)는 덮개(2) 상에 장착되고, 덮개(2)의 대응면(21)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면, 예를 들어, 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스러스트 와셔(16)는, 상기 다이아프램(3)의 제 1 베어링부(6)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와셔(16)는 상기 스러스트 와셔(16)의 고정 수단(25)을 상기 덮개(2) 상에 장착하기 위한 구멍(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스러스트 와셔(16)에 금형 작업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2)는, 환형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스러스트 와셔(16)의 원주 상에서 연장되는 인접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보조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와셔는 다이아프램(3)의 핑거(4) 상에 또는 다이아프램(3)을 작동시키는 클러치 베어링 상에 베어링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레그(19)를 포함하여, 클러치 분리시 다이아프램(3) 상에 인가되는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러스트 와셔 및 상기 보조 와셔는 유일의 동일한 와셔(16)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는 방사상 외측 환형부(17)와 방사상 내측 환형부(18)를 포함하며, 상기 방사상 외측 환형부(17)는 다이아프램(3)의 제 1 베어링부(6)를 형성하는 돌출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내측 환형부(18)로부터 보조 레그(19)가 내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및 방사상 내측 환형부(17, 18)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부(7)는 덮개(2)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기구(27)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27)는 C형 섹션을 가지며 제 1 분기부(28) 및 제 2 분기부(29)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기부(28)는 덮개(2)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 2 분기부(29)의 자유 단부는 다이아프램(3)의 제 2 베어링부(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27)는 탄성이어서, 상기 제 2 분기부(29)가 다이아프램(3)을 스러스트 와셔(16)의 돌출부(22)에 가압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 플레이트(5)를 반응 플레이트 가까이 끌어당길 수 있는 마모 보정 수단(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
KR1020130090191A 2012-08-03 2013-07-30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KR102154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7596A FR2994237B1 (fr) 2012-08-03 2012-08-03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1257596 2012-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119A true KR20140018119A (ko) 2014-02-12
KR102154873B1 KR102154873B1 (ko) 2020-09-10

Family

ID=4713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191A KR102154873B1 (ko) 2012-08-03 2013-07-30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93070B1 (ko)
KR (1) KR102154873B1 (ko)
CN (1) CN103573844B (ko)
FR (1) FR2994237B1 (ko)
TR (1) TR201808568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608B1 (fr) * 2014-04-04 2016-03-11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amortissement d'oscillations de torsion
FR3026803B1 (fr) * 2014-10-01 2016-11-04 Valeo Embrayages Amortisseur de torsion a lame
FR3029998B1 (fr) * 2014-12-16 2018-04-20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32247B1 (fr) * 2015-02-04 2017-01-13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equipe d'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comprenant un cliquet presentant un corps forme de deux plaques
JP6666604B2 (ja) * 2015-08-06 2020-03-18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クラッチ駆動ユニットおよび鞍乗り型車両
CN106545593B (zh) * 2015-09-23 2019-09-20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离合器压盘总成及其装配方法、以及车辆
DE102015219734B3 (de) * 2015-10-12 2017-02-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und Kraftfahrzeug
DE102016214545A1 (de) * 2016-08-05 2018-02-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pressplatte für eine Reibungskupplung und/oder Bremse eines Kraftfahrzeugs
FR3071890B1 (fr) * 2017-10-04 2021-01-22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7016A2 (en) * 1996-03-19 1997-09-24 Exedy Corporation Multi-plate clutch mechanism
FR2919032A1 (fr) * 2007-07-19 2009-01-23 Valeo Embrayages Mecanisme perfectionne pour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P2048397A1 (fr) * 2007-10-11 2009-04-15 Valeo Embrayages Mécanisme d'embrayage, notamment de véhicule automobile, à assistance perfectionnée à l'embrayag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42893A5 (en) * 1973-08-28 1975-03-28 Ferodo Sa Gearshift-lever housing for diaphragm clutch on vehicle - has diaphragm attached to cover via bolts and intermediary supports
GB8820538D0 (en) * 1988-08-31 1988-09-28 Automotive Prod Plc Clutch cover assembly
ES2119668B1 (es) * 1994-12-24 1999-04-01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muelle auxiliar para asistir a la fuerza de desembragado.
GB2296541B (en) * 1994-12-24 1999-01-06 Fichtel & Sachs Ag Friction clutch
DE19535712C1 (de) * 1995-09-26 1996-10-31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es
FR2847626B1 (fr) 2002-11-25 2005-08-19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68491B1 (fr) * 2004-04-01 2006-05-19 Valeo Embrayages 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ecanisme a couvercle perfectionne
EP1972816B1 (de) * 2007-03-22 2011-07-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lbstnachstellende Reibungskupplung sowie Doppelkupplung mit einer solchen Reibungskupplung
DE102010054288A1 (de) 2009-12-22 2011-06-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91074 Stützfeder
DE102011105989A1 (de) * 2010-07-12 2012-01-1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97016A2 (en) * 1996-03-19 1997-09-24 Exedy Corporation Multi-plate clutch mechanism
FR2919032A1 (fr) * 2007-07-19 2009-01-23 Valeo Embrayages Mecanisme perfectionne pour 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P2048397A1 (fr) * 2007-10-11 2009-04-15 Valeo Embrayages Mécanisme d'embrayage, notamment de véhicule automobile, à assistance perfectionnée à l'embray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94237B1 (fr) 2015-07-03
EP2693070B1 (fr) 2018-05-16
CN103573844B (zh) 2017-10-03
CN103573844A (zh) 2014-02-12
KR102154873B1 (ko) 2020-09-10
TR201808568T4 (tr) 2018-07-23
EP2693070A1 (fr) 2014-02-05
FR2994237A1 (fr)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8119A (ko)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US20150008090A1 (en) Friction device for a clutch
KR2014010443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KR20160040561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장치
KR880000567B1 (ko) 스프링 클러치
KR20090037329A (ko) 클러치용 메카니즘 및 클러치
JP5536609B2 (ja) クリアランス修復装置を有するクラッチ
CN218787268U (zh) 一种具有扭矩限制器的动力总成
KR102396061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용 어셈블리
KR20140104431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이중 클러치
US6260684B1 (en) Clutch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KR20140040029A (ko) 자동차용의 토크 전달 조립체
CN110573758A (zh) 离合器装置
CN102084148B (zh) 包括始终在反作用盘轴承上施加轴向预紧力的膜片的离合装置
JPS61206130U (ko)
US6161669A (en) Clutch mechanism for clutch friction with low declutching effort
KR102548139B1 (ko) 마찰 클러치 장치
KR102060340B1 (ko) 커플링 장치
US6460675B1 (en)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US8689959B2 (en) Clutch assembly for hybrid transmission
KR100227048B1 (ko) 클러치 기구
WO2013065559A1 (ja) クラッチ装置
CN106351977B (zh) 用于离合器机构的磨损补偿装置的斜坡环带
KR100633967B1 (ko) 마찰 클러치
EP2428694B1 (en) Clutch cov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