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597A - 견인 조립체 - Google Patents

견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597A
KR20140017597A KR1020137026772A KR20137026772A KR20140017597A KR 20140017597 A KR20140017597 A KR 20140017597A KR 1020137026772 A KR1020137026772 A KR 1020137026772A KR 20137026772 A KR20137026772 A KR 20137026772A KR 20140017597 A KR20140017597 A KR 2014001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s
assembly
members
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392B1 (ko
Inventor
채드 레이튼 헬랜드
찰스 케니스 핀처
파울 마이클 엘하딧
엘리스 제이 스미스
Original Assignee
디펜스 프로덕츠 앤 서비시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펜스 프로덕츠 앤 서비시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펜스 프로덕츠 앤 서비시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67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 B60D1/1675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consisting of articulated or rigidly assembled bars or tubes forming a V-, Y-, or U-shaped draw gear comprising extendable, retractable or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근 불가능한 위치에서 차량을 끌어내는 관절식 조립체로부터 도로상의 차량을 안전하게 견인하기 위한 강성 조립체로 전환될 수 있는 견인 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견인 조립체 {TOWING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견인을 위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들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 봉(bar) 조립체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접근 불가능한 위치로부터 차량을 더 쉽게 끌어내기 위한 관절 조립체로부터 도로 상의 차량을 더 안전하게 견인하기 위한 강성 조립체로 전환할 수 있는 견인 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관절 운동하는 조립체로부터 강성인 조립체로 전환할 수 있는 조립체를 갖춤으로써, 이제까지 실현될 수 없었던 결과를 갖는 안전한 견인이 달성될 수 있다.
차량들을 견인하기 위한 조립체들은 많은, 종종 모순된 기능들을 요구한다. 많은 디자인에 있어서와 같이, 하나의 작동에 대한 기능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다른 작동에 대한 기능성에 수반하는 감소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수로와 같은 접근 불가능한 위치로부터 차량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수로에 빠진 차량에 도달하기 위한 유연하고 가요성 있는 조립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조립체들은 종종 직조 섬유, 다중-스트랜드 케이블, 또는 다른 실질적인 인장 구조물들이다. 그러나, 끌어낸 후에 도로상에 있는 차량을 견인할 때에는 견인된 차량을 견인 차량에 더 확실하게 부착하기 위한 강성 조립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조립체들은 종종 강성의 삼각형 형상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강성 조립체들은 도로상에서 견인하기에 더 안전할 수 있지만, 끌어내는 공정에는 훨씬 덜 사용된다. 그러므로, 어려운 위치들에 도달할 수 있고 끌어낸 차량을 또한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견인 조립체에 대한 커다란 수요가 본 기술 분야에 있어 왔다.
따라서, 견인 차량들에 내재된 전술한 난점들 및 오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한 개선된 견인 조립체들이 이후에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들 문제점들은 간단하고, 편리하며 고효율적인 방식에 의해 견인 조립체를 구성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서, 견인 조립체는 히치(hitch), 및 히치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견인 조립체가 개시된다. 각각의 부재는 제 1 샤프트, 제 2 샤프트, 및 이들 사이의 로킹 조인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루넷(lunette), 루넷에 한 단부에서 부착되는 제 1 샤프트, 루넷에 한 단부에서 부착되는 제 2 샤프트, 다른 단부에서 제 1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 1 엘보 조인트, 다른 단부에서 제 2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 2 엘보 조인트, 한 단부에서 제 1 엘보 조인트에 부착되는 제 3 샤프트, 및 한 단부에서 제 2 엘보 조인트에 부착되는 제 4 샤프트를 포함하는 견인 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히치 및 히치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관절 견인 조립체가 개시된다. 부재들의 각각의 쌍은 두 개의 샤프트들 및 부재들 쌍의 각각의 두 개의 샤프트들 각각의 사이에 있는 로킹 조인트를 가진다. 부재들의 쌍은 히치에 대해 그의 방위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로크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어려운 위치들에 도달할 수 있고 끌어낸 차량을 또한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견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그와 같은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예증하는 첨부 도면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논의를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연장된 위치에 있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며,
도 1b는 부분적으로 접힌 위치에 있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며,
도 1c는 견인 조립체의 완전히 접힌 위치에 있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며,
도 2는 범퍼에 부착된 견인 조립체의 연장된 위치에 있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며,
도 3은 범퍼에 부착된 견인 조립체의 완전히 접혀진 위치에 있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며,
도 4는 견인 조립체의 운동 범위를 예시하는 견인 조립체의 직교 투시도이다.
도면들에 의해 예증된 바와 같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함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견인을 위한 조립체(1)는 움직일 수 없는(immobilized) 차량을 끌어낸 후에 이를 견인하기 위한 것이다. 견인 조립체(1)는 바람직하게, 중실형 또는 중공형 요소들의 스틸로 만들어진다. 견인 조립체는 산업분야에서 종종 루넷으로서 지칭되는 히치(2)를 포함한다. 히치(2)는 통상적으로, 견인 차량에 부착되는 핀틀 후크(pintle hook)(도시 않음)와 결합하기 위한 도넛 형상이다. 히치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와 같은 결합을 위해 다양한 형태들일 수 있다. 히치(2)에 부착된 것은 두 개의 부재(4a,4b)들이다. 부재(4a,4b)들은 각각 핀(6a,6b)에 의해 히치(2)에 각각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재들을 히치에 피봇가능하게 부착하는 핀은 그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갖는 나사식 볼트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핀은 히치 자체 내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또는 코터핀(cotterpin)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장전된 멈춤쇠 기구(detent mechanism)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이, 다중 형태들의 부착물들이 부재들을 히치에 피봇가능하게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부재(4a,4b)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대칭이며 따라서 부재(4a)는 그 사이에 조인트(12a)를 갖춘 두 개의 샤프트(8a,10a)들을 가지며 부재(4b)는 그 사이에 조인트(12b)를 갖춘 두 개의 샤프트(8b,10b)를 가진다. 히치(2)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은 각각, 부재(4a,4b)의 샤프트(8a,8b)들이다. 히치에 대한 부재들의 부착 방위는 각각, 로킹 기구(14a,14b)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치에 대한 부재들의 방위를 고정하는 로킹 기구는 이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갖는 나사식 볼트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로킹 기구는 히치 자체 내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또는 코터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 장전 멈춤쇠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이, 다중 형태들의 로킹 기구들이 히치에 대한 부재들의 방위를 로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재들 각각의 두 개의 샤프트들 각각은 조인트(12a,12b)에 의해서 서로에 부착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엘보 조인트로서 통상적으로 지칭되는 조인트(12a,12b)들이 또한, 정렬된 위치에 각각의 샤프트들의 각각의 방위를 로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에 대해 샤프트들의 방위를 고정하는 로킹 조인트(12a,12b)들이 핀(16a,18a;16b,18b)들을 각각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핀들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각각 갖는 나사식 볼트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로킹 기구는 조인트 자체 내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또는 코터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 장전 멈춤쇠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이, 다중 형태들의 로킹 기구들이 서로에 대해 샤프트들의 방위를 로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정렬된 위치는 견인 조립체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견인 조립체가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정렬된 위치는 인장력이 부재들의 각각의 쌍의 샤프트들의 각각의 쌍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질 때 달성될 수 있다.
핀(14a,14b,16a,16b,18a,18b)들 각각이 그들 각각의 조인트들로부터 분리될 때, 견인 조립체는 그의 연장된 정렬 위치로부터 도 1b에 예시된 중간 위치를 통해서 도 1c에 예시된 접힌 위치로 관절운동될 수 있다. 견인 조립체가 도 1c에 예시된 완전히 접힌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부재의 각각의 샤프트는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샤프트(10a,10b)들의 단부에 부착된 것은 견인될 차량에 부착을 위한 부착 기구(20a,20b)들이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섀클(shackle)들, 아이 볼트들,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들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의 그와 같은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견인될 차량의 범퍼(22)에 부착된 견인 조립체(1)를 묘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22)는 각각 부착 기구(20a,20b)들과 맞물리기 위한 두 개의 부착 장치(24a,24b)들을 가진다. 로킹 핀(14a,14b,16a,16b,18a,18b)들이 그들의 각각의 조인트들과 결합할 때까지, 견인 조립체는 달리 접근불가능한 차량에 용이한 부착을 위해 관절운동할 수 있다.
도 3은 또한, 실질적으로 접힌 위치에 있을 수 있지만, 차량의 범퍼(22)에 부착되는 견인 조립체(1)를 묘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견인 조립체가 부착되는 차량의 범퍼는 견인 차량이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 이를 접힌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견인될 차량에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히치(2)이다.
도 4에서, 점선(26)에 의해 한정된 공간은 견인 조립체의 운동 범위를 예시한다. 이와 같이, 강성 구성요소들로 만들어지지만, 견인 조립체는 넓은 운동 범위에 걸쳐서 관절운동할 수 있다. 이는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있을 때 차량에 대한 부착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수로에 빠진 차량이 그의 움직일 수 없는 위치로부터 끌어내어 질 때, 견인 조립체는 그의 관절 위치(도 1b)로부터 그의 완전히 연장된 위치(도 1a)로 이동될 수 있다. 그의 완전히 연장된, 실질적으로 정삼각형 구성(도 1a)으로 이동되면, 모든 샤프트들은 그들의 각각의 로킹 조인트들 내측에 로크될 수 있어서 견인되는 차량이 주요도로를 따라 더 안전하게 견인될 수 있다.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이 속한 견인 기술분야에서 많은 적용들에 유용하다는 것이 입증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추가의 변형예들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나타날 것이다. 그와 같은 모든 변형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견인 조립체로서,
    a) 히치, 및
    b) 상기 히치에 각각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부재는 제 1 샤프트, 제 2 샤프트, 및 샤프트들 사이의 로킹 조인트를 가지는,
    견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 1 위치와 상기 부재들 각각의 쌍의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들이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견인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치에 대한 상기 부재들의 상기 피봇가능한 부착은 그에 대한 상기 부재 각각의 상기 제 1 샤프트들의 방위를 고정할 수 있는,
    견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은 내부에 핀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는,
    견인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나사식이고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견인 조립체.
  6. 제 2 항에 있어서,
    인장력이 상기 부재들 쌍들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질 때 상기 부재들 쌍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들은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로킹 조인트를 로킹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견인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인트는 그에 연결되는 상기 샤프트들 각각을 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견인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인트들 각각의 상기 로킹은 상기 구멍들 각각의 내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식 핀을 포함하는,
    견인 조립체.
  9. 견인 봉으로서,
    a) 루넷과,
    b) 한 단부에서 상기 루넷에 부착되는 제 1 샤프트와,
    c) 한 단부에서 상기 루넷에 부착되는 제 2 샤프트와,
    d)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 1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 1 엘보 조인트와,
    e) 다른 단부에서 상기 제 2 샤프트에 부착되는 제 2 엘보 조인트와,
    f) 한 단부에서 상기 제 1 엘보 조인트에 부착되는 제 3 샤프트, 및
    g) 한 단부에서 상기 제 2 엘보 조인트에 부착되는 제 4 샤프트를 포함하는,
    견인 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제 1 부착 기구를 그리고 상기 제 4 샤프트의 다른 단부에 제 2 부착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 기구들은 견인될 차량에 부착하기 위해 적응되는,
    견인 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샤프트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및 상기 제 4 샤프트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실질적인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샤프트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2 및 상기 제 4 샤프트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견인 봉.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루넷에 대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샤프트들의 상기 부착은 그에 대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샤프트들의 방위를 고정할 수 있는,
    견인 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은 내부에 핀을 갖는 구멍을 포함하는,
    견인 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나사식이고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견인 봉.
  15. 제 11 항에 있어서,
    인장력이 상기 제 1, 상기 제 2 , 상기 제 3 및 상기 제 4 샤프트들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가해질 때,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엘보 조인트들을 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3 샤프트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2 및 상기 제 4 샤프트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어서 상기 조립체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게 되는,
    견인 봉.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 조인트들 각각은 그에 연결된 상기 샤프트들 각각을 로킹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하는,
    견인 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 조인트들 각각의 상기 로킹은 상기 구멍들 각각의 내부에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식 핀을 포함하는,
    견인 봉.
  18. 관절식 견인 조립체로서,
    a) 히치, 및
    b) 상기 히치에 부착되는 한 쌍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들의 각각의 쌍은 두 개의 샤프트들 및 상기 부재들 쌍 각각의 상기 두 개의 샤프트들 각각의 사이에 로킹 조인트를 가지며, 상기 부재들 쌍 각각은 상기 히치에 대해 그의 방위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로킹될 수 있는,
    관절식 견인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은 상기 부착물 내의 구멍을 통해서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나사식 핀을 포함하는,
    관절식 견인 조립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부재들 각각의 상기 샤프트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실질적인 정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연장된 제 1 위치와 상기 부재들 각각의 상기 샤프트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관절식 견인 조립체.
KR1020137026772A 2011-03-31 2012-04-02 견인 조립체 KR101936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76,520 US8353522B2 (en) 2011-03-31 2011-03-31 Towing assembly
US13/076,520 2011-03-31
PCT/US2012/031799 WO2012135810A1 (en) 2011-03-31 2012-04-02 Towing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597A true KR20140017597A (ko) 2014-02-11
KR101936392B1 KR101936392B1 (ko) 2019-01-08

Family

ID=4692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772A KR101936392B1 (ko) 2011-03-31 2012-04-02 견인 조립체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353522B2 (ko)
EP (2) EP2691248B1 (ko)
JP (1) JP5788586B2 (ko)
KR (1) KR101936392B1 (ko)
CN (1) CN103702846B (ko)
AU (2) AU2012236104B2 (ko)
BR (1) BR112013024073B1 (ko)
CA (2) CA2890393C (ko)
DK (2) DK3002135T3 (ko)
ES (2) ES2839078T3 (ko)
HR (1) HRP20200676T1 (ko)
HU (2) HUE049167T2 (ko)
IL (1) IL228456A (ko)
LT (1) LT2691248T (ko)
MX (1) MX349320B (ko)
PL (2) PL2691248T3 (ko)
PT (2) PT3002135T (ko)
RS (2) RS61301B1 (ko)
SI (2) SI2691248T1 (ko)
WO (1) WO2012135810A1 (ko)
ZA (1) ZA201306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612B2 (en) * 2011-03-31 2015-03-24 Defense Products and Services Holding Company Towing assembly
US9592711B2 (en) * 2011-03-31 2017-03-14 Defense Products and Services Holding Company Towing assembly with pivot joints
US8690181B1 (en) * 2012-01-30 2014-04-08 Automatic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Tow bar having compact swivel unit with pin-less stowing lobes
US8833790B2 (en) * 2012-06-27 2014-09-16 Black Mountain Industries, Inc. Military vehicle towing assembly
CN103042889A (zh) * 2012-12-01 2013-04-17 冉恒印 机动车与中置轴挂车的连接方法
US9597935B2 (en) 2013-08-01 2017-03-21 J.H. Fletcher & Co. Towing implement for vehicle with a passage and related method
US9033357B1 (en) 2013-12-23 2015-05-19 Automatic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Tow bar with a sliding mechanism for converting legs thereof from an aligned tubular structure to an articulated structure
WO2016153563A1 (en) 2015-03-24 2016-09-29 Defense Products and Services Group holding Company Towing assembly with pivot joints
EP3277528A4 (en) * 2015-03-24 2019-03-13 Defense Products and Services Group Holding Company TOWING ARRANGEMENT WITH SWIVELS
CN105523310B (zh) * 2016-02-14 2017-11-10 南通润邦重机有限公司 一种折叠式料斗拖动支架
US11046132B1 (en) * 2017-06-26 2021-06-29 Burley Design Llc Bicycle trailer latch
CN110065351B (zh) * 2019-05-24 2023-10-31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士官学校 一种装甲车辆快速抢救装置
DE102020108418B3 (de) * 2020-03-26 2021-06-10 Deutsche Post Ag Koppelein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zwei Elementen einer Förder- und/oder Sortier-Vorrichtung und entsprechende Förder- und/oder Sortier-Vorrichtung
CN112554060B (zh) * 2020-11-20 2023-02-28 中车石家庄车辆有限公司 一种试验用预制梁的制备方法、结构及其架设方法
CN112389141A (zh) * 2020-11-30 2021-02-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拖车装置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52257C (de) * 1927-11-08 Fried Krupp Akt Ges Kupplung fuer Lastkraftwagen-Anhaenger mit gegabelter Deichsel
US3572765A (en) * 1969-09-12 1971-03-30 James B Tieben Collapsible tow hitch
JPS58569Y2 (ja) * 1978-12-16 1983-01-07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トラクタの回転収納型ドロ−バヒッチ装置
JPH0121044Y2 (ko) * 1981-01-16 1989-06-23
JPS60175705U (ja) * 1984-05-02 1985-11-21 堤 啓介 自動車牽引装置
US4869521A (en) * 1989-03-13 1989-09-26 Johnson Andrew B Collapsible towing hitch
JPH0322908U (ko) * 1989-07-13 1991-03-11
JPH0483806U (ko) * 1990-11-29 1992-07-21
US5232240A (en) * 1992-10-29 1993-08-03 Johnson Andrew B Towing hitch
CN2146386Y (zh) * 1993-02-26 1993-11-17 刘继英 可折叠的缓冲式车辆牵引杆
US5429382A (en) * 1994-06-03 1995-07-04 Duncan; Lee H. Vehicle tow bar
US5647604A (en) * 1995-06-07 1997-07-15 Russell; Gregory A. Trailer hitch
US5957477A (en) * 1996-02-13 1999-09-28 Dethmers Manufacturing Company Self-locking telescoping towing arm
JP3064239B2 (ja) * 1996-08-30 2000-07-12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折畳み式牽引部材
US7125031B1 (en) * 2004-05-24 2006-10-24 Schoonover Donald R Tow bar having a single, centrally-located ball-and-socket joint for accommodating pitch, yaw and roll movements between a towing vehicle and a towed vehicle
CN2767221Y (zh) * 2005-01-05 2006-03-29 陈智 一种随车便携式拉杆
US20060249926A1 (en) * 2005-05-09 2006-11-09 Smith Philip N Tow bar
US7390007B2 (en) * 2005-06-06 2008-06-24 Ibis Tek, Llc Towbar system
US7506889B2 (en) * 2006-11-16 2009-03-24 Ibis Tek Tow-bar mount for a HMMWV or other vehicle
US7942435B1 (en) * 2009-04-15 2011-05-17 Automatic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Tow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2135A2 (en) 2016-04-06
CN103702846A (zh) 2014-04-02
CN103702846B (zh) 2016-12-14
RS60286B1 (sr) 2020-07-31
IL228456A0 (en) 2013-12-31
DK3002135T3 (da) 2021-01-11
AU2012236104B2 (en) 2016-03-17
EP2691248A1 (en) 2014-02-05
CA2827538C (en) 2015-07-14
ES2786055T3 (es) 2020-10-08
IL228456A (en) 2016-05-31
JP5788586B2 (ja) 2015-09-30
CA2890393A1 (en) 2012-10-04
HRP20200676T1 (hr) 2020-10-02
US20120248737A1 (en) 2012-10-04
NZ707255A (en) 2017-03-31
LT2691248T (lt) 2020-05-25
AU2016204045A1 (en) 2016-07-07
EP2691248A4 (en) 2015-09-23
PT2691248T (pt) 2020-05-05
PL2691248T3 (pl) 2020-07-27
ES2839078T3 (es) 2021-07-05
PT3002135T (pt) 2021-01-08
SI2691248T1 (sl) 2020-07-31
NZ613958A (en) 2015-05-29
PL3002135T3 (pl) 2021-07-05
ZA201306477B (en) 2014-10-29
EP2691248B1 (en) 2020-02-05
BR112013024073B1 (pt) 2021-09-21
KR101936392B1 (ko) 2019-01-08
CA2827538A1 (en) 2012-10-04
MX349320B (es) 2017-07-21
BR112013024073A2 (pt) 2016-12-06
AU2016204045B2 (en) 2018-01-04
MX2013011213A (es) 2014-06-23
EP3002135B1 (en) 2020-10-07
US8353522B2 (en) 2013-01-15
RS61301B1 (sr) 2021-02-26
HUE049167T2 (hu) 2020-09-28
AU2012236104A1 (en) 2013-08-22
CA2890393C (en) 2016-03-22
DK2691248T3 (da) 2020-04-14
JP2014512301A (ja) 2014-05-22
EP3002135A3 (en) 2016-09-07
SI3002135T1 (sl) 2021-07-30
HUE051978T2 (hu) 2021-04-28
WO2012135810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392B1 (ko) 견인 조립체
US9592711B2 (en) Towing assembly with pivot joints
CN111365360B (zh) 一种用于车辆拖移的连接销及其使用方法
CA2913911C (en) Towing assembly with pivot joints
US20150191063A1 (en) Towing assembly with automatic articulating mechanism
US8985612B2 (en) Towing assembly
WO2014066065A1 (en) Hitch apparatus for vehicles
EP2939856B1 (de) Pick-up hitch mit direkter krafteinleitung
CA2896948C (en) Attachment system for attaching an external component to a chassis of a vehicle
NZ707255B2 (en) Towing assembly
NZ613958B2 (en) Towing assembly
CN212737649U (zh) 牵引装置和车辆
CN211106794U (zh) 一种伸缩式拖车杠
CA2980572A1 (en) Towing assembly with automatic lock
EP3277528A1 (en) Towing assembly with pivot joints
GB2473738A (en) Towbar with connection for eyelet of towed vehicle
WO2016154268A1 (en) Towing assembly with automatic articula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