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830A -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830A
KR20140016830A KR1020130088964A KR20130088964A KR20140016830A KR 20140016830 A KR20140016830 A KR 20140016830A KR 1020130088964 A KR1020130088964 A KR 1020130088964A KR 20130088964 A KR20130088964 A KR 20130088964A KR 20140016830 A KR20140016830 A KR 2014001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spection
target
optical path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472B1 (ko
Inventor
료지 스즈키
노리츠구 노자와
유이치로 가나자와
유키토 히라야마
고바야시 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14001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용이하게 원용 광로와 근용 광로를 전환 가능하여,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한다.
(해결 수단) 오목면 미러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시켜,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에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유닛을 구비하고, 시표 정시 유닛을 사용해서 피검안에 원용 검사용 광로로 시표를 정시하고, 피검안의 원용시 기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있어서, 원용 검사용 광로와, 오목면 미러의 반사를 통하지 않고 피검안으로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도광하는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수단과,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서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검안 장치{OPTOMETRIC APPARATUS}
본 발명은, 시기능 (視機能) 검사를 위한 검사 시표 (視標) 를 표시하여,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스체 내에 시표판, 시표판을 조명하는 할로겐 램프 등의 광원, 비스듬하게 형성된 빔 스플리터 및 오목면 미러가 배치되어서, 광원에 의해 조명된 시표판의 시표 광속을 빔 스플리터 및 오목면 미러를 통해 피검안 (피검자의 눈) 으로 도광하여, 검사 시표를 정시 (呈示) 하는 시표 정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오목면 미러와 빔 스플리터를 통해서 시표판으로부터의 시표 광속 (光束) 을 피검안으로 도광하는 원용 (遠用) 광로와, 오목면 미러를 통하지 않고, 시표 광속을 피검안으로 도광하는 근용 (近用) 광로를 전환할 수 있는 검안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978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299032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시표판을 대신하여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자 한 경우, 디스플레이의 광량이 낮기 때문에, 빔 스플리터를 통해서 정시되는 시표의 광량이 부족하여 적확한 검사를 실시할 수 없다. 또한, 종래에는 큰 사이즈의 빔 스플리터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케이스체의 스페이스 절약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원용 광로 (원방시의 검사 광로) 와 근용 광로 (근방시의 검사 거리) 를 전환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 있어서 동일하게 피검안을 위치시키고, 광로를 전환하여 시표의 관찰을 실시한 경우, 피검안으로 도광되는 시표에 왜곡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시기능 검사의 정밀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하면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는 검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상에 배치된 오목면 미러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시켜,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에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을 사용하여 피검안에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 시표를 정시하여, 피검안의 원방시의 시기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있어서,
원방시의 검사 광로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고,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에 삽입 및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와 상기 오목면 미러의 반사를 통하지 않고 피검안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도광하는 근방시의 검사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서 변경하는 제 1 각도 변경 수단을 구비한다.
(2) 상기 (1) 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으로 유도되는 근방시의 검사 광로로 전환하고,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 사이로부터 상기 반사 부재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이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으로 유도되는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 전환한다.
(3) 상기 (2) 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 변경 수단은, 상기 근방시의 검사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고,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4) 상기 (2) 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검사창에 광학 소자를 전환 배치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을 갖는 안굴절력 측정 유닛과,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사창이 상기 기준축과 동일해지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굴절력 측정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 유닛을 구비한다.
(5) 상기 (3) 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추가로 상기 반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제 2 각도 변경 수단을 갖고,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와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반사 부재를 기준축 상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각도 변경 수단이 상기 반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근방시의 검사 광로에 있어서의 근방시의 검사 거리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 1 각도 변경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6)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의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미러의 광축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입사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상기 오목면 미러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시켜 배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원용 광로와 근용 광로를 용이하게 전환 가능하여,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검안 장치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검안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검안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시표 표시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디스플레이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케이스체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은 측정 유닛의 퇴피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검안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 는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은 시표 표시부 및 광로 전환 유닛 부분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검안 장치의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1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안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안 장치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검안 장치 (1) 는 시표 정시 유닛 (3) 과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이하, 측정 유닛 (8) 으로 약기한다) 을 구비한다. 검안 장치 (1) 는 시표 정시 유닛 (3) 을 사용해서 피검안에 원용 검사용 광로 (원방시의 검사 광로) 로 시표를 정시하여, 피검안의 원용시 기능 (원방시의 시기능) 을 검사한다. 측정 유닛 (8) 은 검사창 (81) 에 광학 소자 (예를 들어, 교정 렌즈) 를 전환 배치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 (80) 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검안 장치 (1) 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보는 피검안에 검사 시표를 정시하여, 피검안의 원용시 기능을 검사한다.
또한, 검안 장치 (1) 는 검안 테이블 (검안 테이블 유닛) (2) 과 유지 수단 (유지 유닛) (10) 을 갖는다. 유지 유닛 (10) 은 시표 정시 유닛 (3) 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검사창 (81) 이 기준축 (L1) 과 동일해지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측정 유닛 (8) 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은 시표 정시 유닛 (3) 을 검안 테이블 유닛 (2) 상에서 유지한다.
또한, 시표 정시 유닛 (3) 은 유지 유닛 (10) 에 의해 검안 테이블 유닛 (2) 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이 벽걸이 타입의 구성을 구비하여, 시표 정시 유닛 (3) 이 벽에 설치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오목면 미러 (50) 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5) 를 갖는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시켜,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에 시표를 정시한다. 예를 들어, 시표 정시 유닛 (3) 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에 대해 경사시켜 배치하여,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입사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로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나 유기 EL (Electro Luminescence)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는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좌우눈의 중심축) (L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는 케이스체 (5) 에 수납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체 (5) 는 기준축 (L1) 에서 오목면 미러 (50) 의 전면 (前面) 에 배치된 정시창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을 갖고, 측정 유닛 (8) 의 정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패널 (52) 은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투과시키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을 다시 투과하여 케이스체 (5) 밖으로 사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 광속의 광량 손실이 큰 빔 스플리터를 통하지 않고 시표를 정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큰 광량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력 검사 등에서 필요시 되는 휘도를 확보한 검사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 (5) 는 빔 스플리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체 (5) 의 박형을 꾀할 수 있어, 보다 스페이스가 절약된 검안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의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45), 투명 패널 (52), 광로 전환 유닛 (60),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의 순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의 구성은 적절히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독립된 구성으로서 실시해도 된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체의 외부에서 기준축 (L1) 밖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는, 피검안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소정의 시야각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체 (5) 의 외부에 배치되며 또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케이스체 (5) 외부에서부터 투명 패널 (52) 을 개재하여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좀더 말하자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주변에 배치되어, 피검안측으로부터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시표 광속을 출사한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를 대는 곳 (82) 의 주변에 배치된다. 좀더 말하자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를 대는 곳 (82) 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에 의해서 피검자에 대해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는 투명 패널 (52) 을 통해서 케이스체 (5) 의 내부에 원용 시표를 관찰할 때에, 보호 패널 (51) 로부터 피검자측에 여분의 구조물인 디스플레이 (45) 를 보는 일이 없어진다. 이로써, 피검자가 디스플레이 (45) 를 주시하는 것이 없어져, 원용 검사시에 시표 이외의 구조물을 보는 것으로 인한 피검안의 조절의 개입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정밀도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았을 때의 소정의 시야각 범위 밖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케이스체 (5) 의 외부에 배치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케이스체 (5) 외부에서부터 투명 패널 (52) 을 개재하여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게 하는 위치로서,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45) 를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여 출사했을 때에,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한 입사각과 오목면 미러 (50) 로부터 반사될 때의 반사각이 작아져 있다. 이 때문에, 시표의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투명 패널>
케이스체 (5) 에 형성된 투명 패널 (52) 은, 투명 패널 (52) 전면의 법선 방향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배치된다. 또, 투명 패널 (52) 의 경사 각도는,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되어, 투명 패널 (52) 의 전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소정 위치의 피검안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투명 패널 (52) 에서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강한 광이 피검안으로 입사함으로써, 피검자의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되는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피검자의 후방 배경의 외란광 및 검안 장치 (1) 의 상방의 외란광이 투명 패널 (52) 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으로 입사함으로써, 피검자의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되는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케이스체 (5) 에는 오목면 미러 (50) 의 전면측에서 투명 패널 (52) 의 주위에 차폐 부재 (차폐부 (53)) 가 배치되고, 차폐부 (53) 에 둘러싸인 투명 패널 (52) 이, 피검안이 케이스체 (5) 내부에서 시표를 관찰하기 위한 정시창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차폐부 (53) 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체 (5) 의 내부 구조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물론, 정시창에는 투명 패널 (52) 만으로 구성되고, 차폐부 (53)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로부터 디스플레이 (45) 까지 사이의 광로의 상부를 덮는 상방 차폐 부재 (차폐 커버 (6))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투명 패널 (52) 로부터 디스플레이 (45) 까지 사이의 광로의 측방을 덮는 측방 차폐 부재 (차폐 커버 (6)) 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차폐 부재의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형광등 등에 의한 외란광이 장치 내의 광학 부재로 입사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폐 커버 (6) 가 상방 차폐 부재와 측방 차폐 부재를 겸용하는 구성이지만, 각각 별도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상방 차폐 부재와 측방 차폐 부재의 일방만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광로 전환 수단>
또, 검안 장치 (1) 는, 원용 검사용 광로과 오목면 미러 (50) 의 반사를 통하지 않고 피검안으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도광하는 근용 검사용 광로 (근방시의 검사 광로) 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수단과,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서 변경하는 각도 변경 수단 (제 1 각도 변경 수단) 을 구비한다.
각도 변경 수단은, 광로 전환 수단에 의해서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에서 전환했을 때, 피검안이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을 본 경우에, 기준축 (L1) 에 대하여 화면이 대략 수직에 위치하는 화면으로서 관찰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또,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을 경사시키는 구성으로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이 수직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는 기준축 (L1) 에 대하여 화면이 완전히 수직일 필요는 없으며,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는 정도로 경사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즉,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는 대략 수직으로 경사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광로 전환 수단은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와 사이에 삽탈 (揷脫) 가능한 반사 부재 (반사 미러) (62) 를 갖고,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에서 반사 부재 (62) 를 삽탈함으로써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유닛 (60) 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부재 (62) 로는 평면 미러, 볼록면 미러, 오목면 미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각도 변경 수단은, 근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즉, 각도 변경 수단은, 근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법선 방향에서 출사된 상기 시표 광속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피검안을 향하는 기준축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으로는, 근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변경하는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의 변경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는 정도로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즉,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변경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원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즉, 원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법선 방향에서 출사된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에 의해 피검안을 향하는 기준축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또,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으로는, 원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변경하는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의 변경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는 정도로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즉,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구성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변경하는 구성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광로 전환 수단은,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반사시켜 피검안으로 도광하는 반사 부재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사이의 광로에 삽탈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사이의 광로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광로 전환을 실시한다. 이로써,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광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광로의 전환을 실시한 경우라도,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변용예로서, 예를 들어, 광로 전환 유닛 (60) 이 반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반사 부재용 경사 각도 변경 수단 (제 2 각도 변경 수단) 을 구비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광로 전환 유닛 (60) 은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와 사이에 반사 부재 (62) 를 삽입한 상태로, 반사 부재 (62) 를 기준축 (L1) 상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반사 부재용 경사 각도 변경 수단에 의해 반사 부재 (62)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여, 근용 검사용 광로의 근용 검사 거리를 변화시킨다. 또 각도 변경 수단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로써, 원용 검사 및 근용 검사뿐만 아니라, 중거리용 검사도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검안 장치 (1) 의 변용예로서, 피검안의 이마 부근에 배치된 광로 변경 미러 (반사 미러) (123) 를 구비하고, 원용 검사용 광로가, 디스플레이 (120) 가 오목면 미러 (50) 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120)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광로 변경 미러 (123) 에 의해 반사시켜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광로 전환 수단은, 디스플레이 (120) 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의 광로에 삽탈시킴으로써,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각도 변경 수단은, 기준축 (L1) 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120) 의 화면이 대략 수직인 관계가 되도록 디스플레이 (120)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측정 유닛 (8) 은 시기능 검사에 사용하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피검안의 눈앞의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에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에는 지지 수단 (예를 들어, 지지 아암 (20))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수단은,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눈앞의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은, 제 1 유지 부재 (지주 (支柱)) (10a), 지주 (10a) 에서 연장된 제 2 유지 부재 (상부 지주) (10b) 로 구성된다. 지주 (10a) 는, 검사 위치에 놓인 측정 유닛 (8) 에 대하여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케이스체 (5) 를 유지한다. 상부 지주 (10b) 는 지주 (10a)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45) 를 유지하기 위해 케이스체 (5) 의 상방에서부터 피검자측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수단은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은, 지지 아암 (20),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지주) 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수단으로 지지 아암 (20) 을 사용하는 경우, 지지 아암 (20) 이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되고, 연결 위치 (O) 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구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 (20) 은 지지 아암 (20) 의 선회에 의해서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로써, 장치의 컴팩트화로 이어져, 보다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연결 위치 (O) 는 검안 장치 (1) 의 중심축 (좌우눈의 중심축) (C) 상에서부터 지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연결되면 더욱 좋다. 이와 같이, 연결 위치 (O) 를 검안 장치 (1) 의 중심축 (C) 에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서 연결함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로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가동 범위가 작기 때문에, 검사자에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한, 지지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지지 부재는 상하 이동 수단 (예를 들어, 주지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기구) 을 구비한 지지 부재로서, 상부 지주 (10b) 에 장착된다.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보다 상방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해서,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측정 유닛 (8) 이 검사자의 얼굴을 가로지르지 않게 되므로, 검사자에 접촉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정 유닛 (8) 과 연결한 지지 수단이 유지 유닛 (10) 을 개재하여 시표 정시 유닛 (3) 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 유닛 (10) 을 개재하지 않고, 지지 수단이 시표 정시 유닛 (3) 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검안 장치의 외관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검안 장치 (1) 를 도 1 상의 X 방향에서 관찰한 검안 장치 (1)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 의 검안 장치의 정면도는,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을 퇴피 위치에 배치한 경우의 검안 장치 (1) 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3 은, 검안 장치 (1) 를 도 2 의 A-A 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에서는 측정 유닛 (8) 에 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검안 장치 (1) 는 검안 테이블 유닛 (2) 과 시표 정시 유닛 (3) 과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8) (이하, 측정 유닛 (8) 으로 약기한다) 을 구비한다. 검안 테이블 유닛 (2) 은 테이블 (2a) 과 테이블 (2a) 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 구동 유닛 (2b) 과 테이블 (2a) 의 상하 이동의 지시 신호를 입력하는 높이 조절 스위치 (2c) 를 구비한다. 상하 구동 유닛 (2b) 은 모터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구동원이 스위치 (2c) 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의해서 구동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5) 를 갖는 시표 표시부 (4) 와 오목면 미러 (50) 가 수납된 케이스체 (5) 와 외관 커버 (차폐 커버) (6) 와 후술하는 광로 전환 유닛 (60) 을 구비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테이블 (2a) 에 세워서 형성된 지주를 갖는 유지 유닛 (10) 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유지 유닛 (10) 의 예로서, 테이블 (2a) 단 (端) 에 세워서 형성한 제 1 유지 부재 (지주) (10a) 에 케이스체 (5) 가 장착되어, 유지되고 있다. 유지 유닛 (10) 은 지주 (10a) 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45) 를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스체 (5) 의 상방에서부터 피검자측 (케이스체 (5) 의 앞측) 으로 연장된 제 2 유지 부재 (상부 지주) (10b) 를 갖고, 상부 지주 (10b) 의 전방 부분에 시표 표시부 (4) 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측정 유닛 (8) 은 측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 유닛 (10) 에 유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측정 유닛 (8) 은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지지 아암) (20) 를 통해서 측정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지주 (10b) 에 지지되어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검안 테이블 유닛 (2) 및 측정 유닛 (8) 은 일체형의 검안 장치 (1) 를 구성한다. 그러나, 검안 장치 (1) 는 측정 유닛 (8) 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측정 유닛 (8) 은, 피검안에 굴절력을 부여하는 여러 가지 광학 소자 (구면 렌즈, 원주 렌즈, 보조 렌즈 등) 가 좌우의 검사창 (81) 에 전환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 (80) 을 구비한다. 또한, 측정 유닛 (8) 은 검사창 (81) 에 대하여 피검안을 소정의 위치 관계로 하기 위한, 이마 대는 곳 (82) 을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 유닛 (8) 이 측정 위치에 위치할 때,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서 시표가 정시되는 소정의 기준축 (L1) 높이에 검사창 (81) 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케이스체 (5) 의 외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시켜 피검안을 향하게 하여,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 (예를 들어, 5 m 의 검사 거리) 에서 시표를 정시한다. 또한, 시표 정시 유닛 (3) 은 오목면 미러 (50) 와 피검안 사이에 반사 미러 (62) 가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반사 부재 (62) 에 의해 반사시켜 피검안을 향하게 하여, 소정의 근용 검사 거리 (예를 들어, 40 ㎝) 에서 시표를 정시하는 근용 시표 정시 유닛으로 전환된다. 시표 정시 유닛 (3) 은 시표 광속의 광량 손실이 큰 빔 스플리터를 통하지 않고 시표를 정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큰 광량을 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시력 검사 등에서 필요시 되는 휘도를 확보한 검사를 적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 (5) 는 빔 스플리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체 (5) 의 박형이 꾀해져, 보다 스페이스가 절약된 검안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시표 표시부>
도 3 에 있어서, 시표 표시부 (4) 는 지지부 (41),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45) 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 (41) 는 후술하는 샤프트 (회전축) (42) 를 개재하여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베이스 (65) 는 유지 유닛 (10) 에 지지된다. 이로써, 시표 표시부 (4) 는 유지 유닛 (10) 에 의해서 지지된다. 디스플레이 (45) 에는 란돌트 고리 (Landolt ring) 시표 등의 검사 시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로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나 유기 EL (Electro Luminescence)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45) 로서 LCD 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이하의 설명을 실시한다.
도 4 는 시표 표시부 (4) 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에 지지되어 있고, 지지부 (41) 에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45) 의 기판 등이 배치된다. 지지부 (41) 의 표면에는 기판 등의 부재를 덮기 위한 마스크판 (커버) (49) 이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판 (49) 은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 주위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45) 주위의 여분의 물체가 피검안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마스크판 (49) 은, 예를 들어 흑색의 아크릴 수지나 검은 도장이 도포된 철판 (鐵板) 등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피검안에 정시되는 시표의 화면 이외에, 디스플레이 (45) 주변의 기판 등이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흑색의 마스크판 (49) 을 사용함으로써 투영되는 시표의 배경을 흑색으로 할 수 있어, 시표가 확인하기 쉬워진다. 물론, 마스크판 (49) 은 흑색이 아니어도 된다.
도 5 는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45) 는, 피검자가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들여다 보아 시표를 관찰했을 때, 검사창 (81) 으로부터의 소정의 시야각 (α1) 범위 밖이 되도록 배치된다. 즉, 시야각 (α1) 은, 피검안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해서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좌우눈의 중심축) (L1) 을 중심으로 한 시야각으로, 측정 유닛 (8) 에 있어서 피검안보다 먼 측에 형성된 검사창 (81) 의 개구의 크기에 따라서 설계적으로 결정된다. 측정 유닛 (8) 의 시야각 (α1) 은, 예를 들어, 기준축 (L1) 을 중심으로 40 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기준축 (L1) 의 상하 위치는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의 측정 광축 (검사창 (81) 에 배치되는 구면 렌즈의 광축) 과 대략 동일한 위치이다. 또한, 기준축 (L1) 의 좌우 위치는 좌우의 검사창 (81) 의 좌우 중앙 위치와 대략 동일한 위치이다. 소정 위치에 놓인 피검안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L1) 상에 오목면 미러 (50) 가 배치되어 있다.
오목면 미러 (50) 는 기준축 (L1) 밖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피검안을 향해서 반사시키기 위해,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오목면 미러 (50) 의 곡면의 법선 방향) 이 기준축 (L1) 에 대해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면 미러 (50) 에 있어서의 기준축 (L1) 의 반사축인 축 (L2) 상에 디스플레이 (45) 가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수직인 축 (법선 방향) 이 축 (L2) 의 방향이 되도록 기준축 (L1) 에 대한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각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피검안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을 보았을 때, 그 화면을 기준축 (L1) 에 대하여 수직에 위치하는 화면으로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상하 위치는 시야각 (α1) 의 범위 밖이면서 또한 기준축 (L1) 에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는 검사창 (81) 보다 상방 위치에서 측정 유닛 (8) 의 이마대는 곳 (82) (즉,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되고, 피검안측에서부터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해 시표 광속을 출사한다. 또, 디스플레이 (45) 의 좌우 방향의 배치 위치는 피검자가 오목면 미러 (50) 와 정대할 때의 중앙 위치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축 (L1) 에 대한 오목면 미러 (50) 의 광축 (O1) 의 경사 각도는 5°로 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서 반사되고, 피검안으로 도광될 때의 반사각은 5°로 되어 있다. 또한, 광축 (O1) 에 대한 디스플레이 (45) 의 축 (L2) 의 경사 각도는 5°로 되어 있다. 즉,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에 입사될 때의 입사각은 5°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 및 오목면 미러 (50) 의 경사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검안에 정시되는 시표의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45) 를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해 출사했을 때에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한 입사각과 오목면 미러 (50) 로부터 반사될 때의 반사각이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표의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하면서, 적확한 검사를 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사각 5°, 반사각 5°라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표의 왜곡의 발생이 적은 입사각 및 반사각으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45) 의 하부에 미소한 차폐벽 (69)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암실 등에서 본 장치를 사용할 때의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직접 피검안으로 입사되는 광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벽 (69) 은 차폐 커버 (6) 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차폐 커버 (6) 가 디스플레이 (45) 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차폐벽 (69) 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에 의해 피검자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는 시표 정시창 (투명 패널 (52)) 을 통해서 케이스체 (5) 의 내부에 원용 시표를 관찰할 때, 보호 패널 (51) 로부터 피검자측에 여분의 구조물인 디스플레이 (45) 를 보는 일이 없어진다. 이로써, 피검자가 디스플레이 (45) 를 주시하는 것이 없어져, 원용 검사시에 시표 이외의 구조물을 보는 것으로 인한 피검안의 조절의 개입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호한 정밀도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검사창 (81) 의 시야각은 약 40°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입이 상이한 측정 유닛 (8) 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검사창 (81) 의 사이즈나 형상이 다양하여, 각 타입의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으로부터의 시야각은 상이하다. 또한, 시야각은 피검안으로부터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까지의 거리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이러한 점에서, 시야각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45) 의 배치 위치를 미조정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마대는 곳 (82) 에 피검자의 이마를 갖다 댐으로써, 피검안으로부터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광로 전환 유닛>
광로 전환 유닛 (60) 은 지지부 (61), 반사 미러 (예를 들어, 평면 미러) (62), 손잡이 (63) 를 구비한다. 광로 전환 유닛 (60) 은 반사 미러 (62) 를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삽탈시키는 구성에 의해,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케이스체>
도 6 은 케이스체 (5) 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는, 각 부재의 광학 배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 는, 보호 패널 (51) 에 의한 표면 반사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케이스체 (5) 는 오목면 미러 (50) 를 수납하는 케이스이다. 케이스체 (5) 는 오목면 미러 (50) 의 앞측 (반사면측) 에 배치된 보호 패널 (51) 을 갖는다. 보호 패널 (51) 은 아크릴 수지나 유리판 등의 투명 부재로 구성된 투명 패널 (52) 과 투명 패널 (52) 의 주위에 배치된 차폐부 (53) 를 구비한다. 투명 패널 (52) 은 케이스체 (5) 의 외부에 배치된 시표 표시부 (4)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시표 광속을 통과시키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을 통과시켜, 케이스체 (5) 의 외부로 출사한다 (취출한다).
또, 케이스체 (5) 로는 수납하는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체 (5) 는 적어도 오목면 미러 (50) 의 반사면이 먼지나 외부에서의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구성이면 되고, 케이스 형상의 구성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50) 의 일부를 덮지 않은 케이스체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오목면 미러 (50) 의 이면이 덮여 있지 않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오목면 미러 (50) 는 적어도 오목면 미러 (50) 주위의 어느 위치에서 케이스체에 의해 유지되고, 오목면 미러 (50) 의 앞측에는 보호 패널이 배치된다. 또한,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케이스체 (5) 가 구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투명 패널 (52) 은, 피검자가 케이스체 (5) 의 내부에 시표를 관찰할 때의 시표 정시창의 역할을 한다. 피검자는 시표창의 투명 패널 (52) 을 통해 중앙에 시표를 본다. 차폐부 (53) 는, 예를 들어 그 이면 (케이스체 내부) 측에 흑색의 도장이나 흑색의 필터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 (5) 의 내부는 흑색으로 도장되어 있어, 내부 구조가 잘 보이지 않게 하고 있다. 보호 패널 (51) 을 갖는 케이스체 (5) 에 의해서, 고정밀도로 구성된 오목면 미러 (50) 에 먼지가 부착되거나 상처가 생기거나 하는 일에서부터 보호된다. 오목면 미러 (50) 는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배치된다. 오목면 미러 (50) 는 오목면 미러의 광축 (O1) 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45) 와 피검안의 광학 거리를 5 m 의 검사 거리로 하도록 그 초점 거리가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투명 패널 (52) 은, 기준축 (L1) 에 대한 투명 패널 (52) 면의 법선 (법선 방향) (L3) 의 경사 각도 (θ) 가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0°이상) 가 되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각도 (θ) 는, 시표 표시부 (4) (디스플레이 (45)) 로부터의 광이 투명 패널 (52) 의 표면에서 반사되었을 때, 그 반사광이 피검안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향하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45) 는 강한 광을 발하기 때문에, 투명 패널 (52)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광이 피검안으로 입사되면, 그 반사광은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해서 정시되는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된다. 또한, 피검자 후방의 배경의 외란광 및 장치 (1) 상방의 외란광이 투명 패널 (52) 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으로 입사하는 경우도, 피검자의 시표 관찰의 방해가 된다. 본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 (θ) 의 설정에 의해 이들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어,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하면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차폐 커버>
또한, 시표 정시 유닛 (3) 이 갖는 광학 부재 (디스플레이 (45), 반사 미러 (62), 보호 패널 (51) 및 오목면 미러 (50)) 로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차폐 커버 (6) 는 유지 유닛 (10) 의 상부 지주 (10b) 의 상방 위치 및 측방 위치에 배치된다. 차폐 커버 (6) 는 장치의 상방 및 기준축 (L1) 보다 상측의 측방을 덮음으로써, 형광등 등에 의한 외란광이 장치 내의 광학 부재로 입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폐 커버 (6) 가 상방 위치 및 측방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폐 커버 (6) 는, 바람직하게는 상방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측방 위치의 차폐 커버 (6) 가 없는 구성이어도 된다.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의 이동 기구>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에 의해,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이 이루는 면의 중심축 (C) 상의 상방 위치에서 유지 유닛 (10) 에 지지된다. 물론, 지지 아암 (20) 이 지지하는 위치는 검사창 (81) 이 이루는 면의 중심축 (C) 상의 상방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측정 유닛 (8) 의 어느 위치에서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지지 아암 (20) 은 자유롭게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유지 유닛 (10) 에 연결된다. 이로써, 지지 아암 (20) 에 지지되는 측정 유닛 (8) 이 유지 유닛 (10) 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검사자는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눈앞의 검사 위치에 배치한다. 피검자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대는 곳 (82) 에 이마를 맞댐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피검안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로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해서 시표를 관찰하여, 시기능의 검사를 실시한다.
또한,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에 의해서, 유지 유닛 (10) 에 대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은, 측정 유닛 (8) 의 퇴피 수단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는,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 (측정 위치) 에 배치한 경우의 장치의 정면도와, 장치를 F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 는, 측정 유닛 (8) 을 퇴피 위치에 배치한 경우의 장치의 정면도와, 장치를 F 방향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측정 유닛 (8) 은 지지 아암 (20) 과 유지 유닛 (10) 의 연결 검사창 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 상에서 선회 이동시킨다. 즉, 측정 유닛 (8) 을 지지 아암의 연결 위치 (O) 를 중심으로 선회 이동시킴으로써, 측정 유닛 (8) 이 기준축 (L1) (오목면 미러 (50)) 에 대하여, 측정 유닛 (8) 이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에서 이동시킨다.
여기서, 예를 들어,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상에 위치시킨 경우,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차폐 커버 (6) 나 유지 유닛 (10) 과 간섭하지 않도록, 측정 유닛 (8) 과 차폐 커버 (6) 또는 유지 유닛 (10) 과의 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즉,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원호 이동을 할 때의 가동 범위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지 아암 (20) 의 길이 (검사창) 를 보다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의 평면도에서 연결 위치 (O) 는, 장치의 중심축 (C) 상에서부터 지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 위치 (O) 를 장치의 중심축 (C) 에서부터 이동시킨 위치에서 연결함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로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지지 아암 (20) 의 길이 (W) 를 짧게 하여 측정 유닛 (8) 의 가동 범위를 작게 하여도, 차폐 커버 (6) 나 유지 유닛 (10) 과 간섭이 생기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평면도 상에 있어서,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보다 상방향 (정면도의 지면에 대하여 왼쪽 방향) 위치시킨 경우,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선회 이동의 가동 범위가 작아진다. 또한, 평면도 상에 있어서, 연결 위치 (O) 를 중심축 (C) 보다 하방향 (정면도의 지면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 위치시킨 경우, 측정 유닛 (8) 을 피검안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그 선회 이동의 가동 범위는 작아진다.
이상과 같이, 측정 유닛 (8) 을 시표 정시 유닛 (3) 에 일체적으로 연결하고, 연결 위치 (O) 는 장치의 중심축 (C) 상에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가동 범위로 측정 유닛 (8) 을 퇴피할 수 있다. 이로써, 장치의 컴팩트화로 이어져, 보다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가동 범위가 작기 때문에, 검사자에 접촉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지주 (10b) 에 연결된 지지 아암 (20) 이 연결 위치를 중심으로 회선 (선회)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지지 아암 (20) 의 선회 이동에 의해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와 퇴피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지 유닛 (10) 의 상부 지주 (10b) 에 상하 이동 수단을 장착하고, 측정 유닛 (8) 을 검사 위치보다 상방의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측정 유닛 (8) 은, 주지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기구에 의해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게 유지 유닛 (10) 에 연결된다. 그리고, 측정 유닛 (8) 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 유닛 (8) 을 퇴피시킨다. 이로써, 측정 유닛 (8) 을 이동시킬 때에 측정 유닛 (8) 이 검사자의 얼굴을 가로지르는 일이 없어지므로, 검사자에 접촉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측정 유닛 (8) 을 상하 이동에 의해서 퇴피시킨 경우, 피검안의 시야 내에 측정 유닛 (8) 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 더욱 좋다.
또한, 지지 아암 (20) 에 대해 측정 유닛 (8) 이 상하동 가능한 구성을 형성하여, 측정 유닛 (8) 이 상하 이동되도록 해도 된다. 물론, 상하 이동과 선회 이동이 조합되어 퇴피 수단이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
도 8 은 검안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부 (70) 에는 측정 유닛 (8), 디스플레이 (45), 컨트롤러 (90), 메모리 (72) 등이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72) 에는 란돌트 고리 시표 등의 검사 시표의 데이터가 다수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력치 0.1 ∼ 2.0 의 시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 (72) 로부터 해당하는 시표 데이터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 상에 시표를 표시시킨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 (90) 로부터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부 (70) 에 입력되지만,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광로 전환>
본 장치에는, 시표 정시 유닛 (3) 의 시표 정시에 있어서,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광로 전환 유닛 (60) 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광로 전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는,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는, 원용 검사용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 는, 근용 검사용 광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 에 있어서 측정 유닛 (8) 은 생략되어 있다.
원용 검사용 광로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시표 광속을 오목면 미러 (50) 를 향해 출사하고,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서 반사된 시표 광속을 피검안에 정시시킨다. 피검자는 정시된 시표를 관찰하여, 원용의 시기능 검사를 실시한다.
근용 검사용 광로로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반사 미러 (62) 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의 기준축 (L1) 상에 배치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반사 미러 (62) 에 의해 반사된 축 (L4) 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45)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은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하지 않고, 기준축 (L1) 을 따라서 피검안으로 도광된다. 시표 광속이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하지 않고 피검안으로 도광됨으로써, 검사 거리가 근거리 (예를 들어, 40 ㎝) 가 된다.
또 원용 검사용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기준축 (L1) 이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축 (L2) 의 방향이 대략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한다.
이하, 광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은,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에 있어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는, 원용 검사용 광로시의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b) 는, 근용 검사용 광로시의 시표 표시부 (4) 및 광로 전환 유닛 (60)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시표 표시부 (4) 는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샤프트 (42), 회전 제한부 (돌기부 (44a), 스토퍼 (44b)) (44), 디스플레이 (45), 돌기부 (46), 스프링 (47) 을 구비한다. 시표 표시부 (4) 의 각 부재는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디스플레이 (45) 는 지지부 (41) 를 통해서 샤프트 (42) 에 연결된다. 샤프트 (42) 는 그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지 유닛 (10) 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해진다.
또한, 샤프트 (42) 에는 스프링 (47) 이 연결되어, 샤프트 (42) 는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스프링력은 샤프트 (42) 를 상시 B1 방향 (도 9 참조) 으로 회전시키는 힘 (디스플레이 (45) 를 경사시키는 힘) 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 회전 제한부 (44) 에 의해서 회전량이 제한된다. 즉,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회전 제한부 (44) 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로 제한된다. 회전 제한부 (44) 는, 돌기부 (44a), 스토퍼 (44b) 로 구성된다. 돌기부 (44a) 는 샤프트 (42) 에 형성된다. 스토퍼 (44b) 는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샤프트 (42) 가 소정량 회전하면, 샤프트 (42) 에 형성된 돌기부 (44a) 가 스토퍼 (44b) 에 끼워져서 샤프트 (42) 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45) 가 소정의 경사 각도 (근용 검사용의 LCD 경사 각도) 까지 각도 변경이 가능해진다 (도 10(a), (b) 참조). 또, 원용 검사를 실시할 때에는, 반사 미러 (62) 의 지지부 (61) 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45) 의 지지부 (41) 에 형성된 돌기부 (46) 가 B2 방향으로 가압되어,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의 변경이 억제되어 있다 (도 10(a) 참조).
광로 전환 유닛 (60) 은, 지지부 (61), 반사 미러 (예를 들어, 평면 미러) (62), 손잡이 (63), 샤프트 (회전축) (66), 회전 제한부 (돌기부 (67a), 스토퍼 (67b)) (67), 자석 (68) 을 구비한다. 광로 전환 유닛 (60) 의 각 부재는 시표 표시부 (4) 와 동일하게 하여, 베이스 (65) 를 개재하여 유지 유닛 (10) 에 의해 지지된다.
반사 미러 (62) 는 지지부 (61) 를 개재하여 샤프트 (66) 에 연결된다. 샤프트 (66) 는 그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베이스 (65) 에 유지된다. 이로써, 유지 유닛 (10) 에 대해 지지부 (61) 의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해져, 반사 미러 (62) 를 광로로 삽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경사 각도의 변경량은 시표 표시부 (4) 와 동일하게 하여, 회전 제한부 (67) (돌기부 (67a), 스토퍼 (67b)) 에 의해서 제한된다. 즉, 회전 제한부 (67) 에 의해서 반사 미러 (62) 의 삽입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반사 미러 (62) 에는 손잡이 (63) 가 연결되어 있어, 검사자는 손잡이 (63) 를 조작하여 반사 미러 (62) 의 삽탈을 실시한다. 원용 검사시에는, 반사 미러 (62) 는 자석 (68) 의 자력에 의해, 시표 표시부 (4) 의 광로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10(a) 참조). 또, 자석 (68) 에 의한 자력은, 시표 표시부 (4) 의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보다 강한 힘이다. 이 때문에, 자석 (68) 은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에 유지하는 것과 함께, 돌기부 (46) 를 통해서 지지부 (41) 를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45) 를 원용 검사시의 경사 각도 (배치 위치) 에 유지하고 있다. 검사자에 의해서 손잡이 (63) 가 조작되어 반사 미러 (62) 가 삽입되면, 돌기부 (46) 를 가압하고 있던 자석 (68) 의 자력이 없어진다. 이로써, 스프링 (47) 의 스프링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45) 의 기준축 (L1) 에 대한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도 10(b) 참조).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는, 피검안이 기준축 (L1) 방향에서 반사 미러 (62) 에 의해 반사되는 디스플레이 (45) 의 화면을 보았을 때, 그 화면 (허상의 화면) 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수직인 화면으로서 보이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근용 검사용 광로에서 원용 검사용 광로로 전환하는 경우, 검사자는 손잡이 (63) 를 들어 올려, 퇴피 위치까지 반사 미러 (62) 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 (68) 을 사용하여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사 미러 (62) 를 퇴피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래치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원용 검사용 광로와 근용 검사용 광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광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기 때문에, 광로의 전환을 실시한 경우라도 왜곡이 경감된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할 수 있다. 이로써,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구성으로, 적확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시표 정시를 실시할 수 있다.
시표 정시에 의한 검사를 간단히 설명한다. 검사자는, 측정 유닛 (8) 의 이마대는 곳 (82) 에 피검자의 이마를 갖다 대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이마대는 곳 (82) 과 이마를 맞댐으로써, 일정한 위치에 피검안을 위치시킨다. 원용 검사시에는, 반사 미러 (62) 가 기준축 (L1) 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기준축 (L1) 상에 오목면 미러 (50) 를 통해서 시표를 정시하고, 피검자에게 측정 유닛 (8) 의 검사창 (81) 을 통해서 정시되는 시표를 관찰시켜, 시기능의 검사를 실시한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에 의해서 입력되는 원용 시표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고, 원용 시표를 디스플레이 (45) 에 표시시킨다.
근용 검사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반사 미러 (62) 를 기준축 (L1) 에 삽입하는 것과 함께 디스플레이 (45) 의 각도를 변경한다. 제어부 (70) 는 컨트롤러 (90) 에 의해서 입력되는 근용 시표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45) 의 표시를 제어하고, 근용 시표를 디스플레이 (45) 에 표시시킨다.
<변용예>
또한 본 실시예의 광로 전환 유닛 (60) 에 있어서는, 손잡이 (63) 를 형성하여 수동으로 광로의 전환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사 미러 (62) 를 삽탈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형성하고, 원용 검사 또는 근용 검사의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반사 미러 (62) 의 구동 기구가 제어되어 광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검자의 이마 부근 (측정 유닛 (8) 의 이마를 대는 곳 (82) 부근) 에 디스플레이 (45) 를 배치하고, 반사 미러 (62) 의 삽탈에 의해서 원용 검사용과 근용 검사용의 광로가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검자의 이마 부근에 광로 변경용의 반사 미러 (123) 를 배치하고, 오목면 미러 (50) 측에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120) 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원용 검사용의 광로를 구성해도 된다. 반사 미러 (123) 의 배치 조건은 도 5 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45) 의 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장치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120) 를 삽탈함으로써 광로의 전환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원용 검사시에는, 디스플레이 (120) 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이 반사 미러 (123) 에 의해서 반사되고, 케이스체 (5) 에 배치된 투명 패널 (52) 을 통과하여 오목면 미러 (50) 로 향한다. 오목면 미러 (50) 에 의해 반사된 시표 광속은 투명 패널 (52) 을 다시 통과하여, 기준축 (L1) 방향에 위치하는 피검안으로 도광된다. 또, 투명 패널 (52) 의 경사 각도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이다.
근용 검사의 경우, 디스플레이 (120) 를 피검안과 오목면 미러 (50) 사이의 광로에서 기준축 (L1) 상에 삽입하여, 피검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120) 의 표시가 직접 관찰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120) 의 삽입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경사 각도 변경 수단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120) 의 경사 각도를 근용 검사용의 경사 각도로 변경한다. 근용 검사용의 경사 각도는, 디스플레이 (120) 의 화면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각도이다. 이렇게 해서 광로를 전환한다. 또, 원용 검사시의 디스플레이 (120) 의 경사 각도는, 기준축 (L1) 방향에 관찰되는 디스플레이 (120) 의 화면 (허상의 화면) 이 기준축 (L1) 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로 위치하도록, 반사 미러 (123) 및 오목면 미러 (50) 의 경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변용예로서, 도 9(b) 에 나타낸 반사 미러 (62) 를 기준축 (L1) 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검사 거리를 근거리에서 중거리로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미러 (62) 를 기준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과 함께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반사 미러 (62) 의 이동 후의 각 위치에 대응한 경사 각도로 변경함으로써, 원용 검사 및 근용 검사뿐만 아니라, 중거리용의 검사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45) 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피검안에 투영되는 시표의 왜곡을 경감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처리에 의해서 왜곡을 경감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45) 에 표시하는 시표의 형상의 왜곡을 고려하여 표시한다. 즉, 미리 각 광로에 대응한 왜곡의 발생량을 산출해 두고, 그 발생량을 고려하여 표시하는 시표를 기억시켜 놓는다. 이렇게 해서 왜곡이 경감된 시표가 피검안에 투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로 전환용 부재로서 평면 거울인 반사 미러 (62) 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로 전환용 부재로는, 반사 부재이면 된다.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 볼록면 미러 등을 들 수 있다. 볼록면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 광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근용 검사를 하기 위한 거리 (예를 들어, 40 ㎝) 로 하기 위해서 오목면 미러 (50) 의 직전에 삽입하면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오목면 미러 (50) 의 곡면 형상 (배율) 에 따라서 시표 광속의 오목면 미러 (50) 로의 입사각과 오목면 미러 (50) 로부터 반사될 때의 반사각을 조정하면 더욱 좋다. 오목면 미러 (50) 의 배율이 변경됨으로써, 왜곡이 발생하는 입사각 및 반사각도 변화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오목면 미러보다 배율이 높은 오목면 미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입사각과 반사각이 보다 예각이 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 오목면 미러 (50) 는 구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구면 미러, 자유 곡면의 미러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 검안 테이블 유닛
3 : 시표 정시 유닛
4 : 시표 표시부
5 : 케이스체
6 : 외관 커버
8 :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유닛
10 : 유지 유닛
20 : 지지 아암
45 : 디스플레이
50 : 오목면 미러
51 : 보호 패널
52 : 투명 패널
53 : 차폐부
60 : 광로 전환 유닛
62 : 반사 미러
70 : 제어부
72 : 메모리
81 : 검사창
90 : 컨트롤러

Claims (6)

  1. 피검안이 정면을 볼 때의 정면 방향의 기준축 상에 배치된 오목면 미러와,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된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시켜, 광학적으로 소정의 원용 검사 거리에 시표를 정시하는 시표 정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피검안에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 상기 시표를 정시하여, 상기 피검안의 원방시의 시기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반사 부재를 갖고, 상기 반사 부재를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에 삽입 및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와 상기 오목면 미러의 반사를 통하지 않고 상기 피검안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을 도광하는 근방시의 검사 광로를 전환하는 광로 전환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원용 검사와 근용 검사에서 변경하는 제 1 각도 변경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상기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피검안으로 유도되는 상기 근방시의 검사 광로로 전환하고, 상기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 사이로부터 상기 반사 부재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이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피검안으로 유도되는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 변경 수단은, 상기 근방시의 검사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고, 상기 원방시의 검사 광로로의 전환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오목면 미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검사창에 광학 소자를 전환 배치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실 유닛을 갖는 안굴절력 측정 유닛과,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사창이 상기 기준축과 동일해지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굴절력 측정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추가로 상기 반사 부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제 2 각도 변경 수단을 갖고,
    상기 광로 전환 수단은, 상기 피검안과 상기 오목면 미러와 사이에 상기 반사 부재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반사 부재를 기준축 상에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각도 변경 수단이 상기 반사 부재의 상기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근방시의 검사 광로에 있어서의 근방시의 검사 거리를 변화시키고,
    상기 제 1 각도 변경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과 상기 기준축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된 축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표 정시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시표 광속을 상기 오목면 미러의 광축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여 입사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대한 법선 방향을 상기 오목면 미러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KR1020130088964A 2012-07-31 2013-07-26 검안 장치 KR102099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0444 2012-07-31
JP2012170444A JP6057055B2 (ja) 2012-07-31 2012-07-31 検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30A true KR20140016830A (ko) 2014-02-10
KR102099472B1 KR102099472B1 (ko) 2020-04-09

Family

ID=5003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964A KR102099472B1 (ko) 2012-07-31 2013-07-26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57055B2 (ko)
KR (1) KR102099472B1 (ko)
CN (1) CN103565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6342B2 (ja) * 2015-11-13 2020-10-14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JP6930095B2 (ja) * 2016-12-01 2021-09-01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JP6962016B2 (ja) 2017-06-15 2021-11-05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JP7271871B2 (ja) * 2018-08-03 2023-05-12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CN109820475A (zh) * 2019-02-25 2019-05-31 上海雄博精密仪器股份有限公司 内读式投影视力仪的光路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867A (ja) 1992-11-12 1994-07-19 Topcon Corp 視力表表示装置
JPH07299032A (ja) 1994-04-30 1995-11-14 Canon Inc 検眼装置
JPH0966026A (ja) * 1995-08-31 1997-03-11 Nidek Co Ltd 視力検査装置
JP2005342042A (ja) * 2004-05-31 2005-12-15 Topcon Corp 検眼装置
JP2007068583A (ja) * 2005-09-02 2007-03-22 Nidek Co Ltd 検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24A (ja) * 1990-04-20 1992-01-07 Topcon Corp 自覚式検査装置
JPH0412728A (ja) * 1990-05-01 1992-01-17 Topcon Corp 自覚式検査装置
JP3066112B2 (ja) * 1991-05-24 2000-07-17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US5485231A (en) * 1994-01-31 1996-01-16 Nidek Co., Ltd. Apparatus for visual acuity test having an adjustable mirror
JPH11244239A (ja) * 1998-03-02 1999-09-14 Nikon Corp 視機能検査装置
EP1042984B1 (en) * 1999-04-06 2005-06-08 Nidek Co., Ltd. Optometric chart presenting apparatus
WO2007114426A1 (ja) * 2006-03-31 2007-10-11 Nidek Co., Ltd. 眼科装置
JP2008307104A (ja) * 2007-06-12 2008-12-25 Right Manufacturing Co Ltd 眼屈折力測定装置
JP5073521B2 (ja) * 2007-09-28 2012-11-14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CA2742155A1 (en) * 2008-10-29 2010-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Target presentation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867A (ja) 1992-11-12 1994-07-19 Topcon Corp 視力表表示装置
JPH07299032A (ja) 1994-04-30 1995-11-14 Canon Inc 検眼装置
JPH0966026A (ja) * 1995-08-31 1997-03-11 Nidek Co Ltd 視力検査装置
JP2005342042A (ja) * 2004-05-31 2005-12-15 Topcon Corp 検眼装置
JP2007068583A (ja) * 2005-09-02 2007-03-22 Nidek Co Ltd 検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7055B2 (ja) 2017-01-11
CN103565398B (zh) 2016-05-04
CN103565398A (zh) 2014-02-12
KR102099472B1 (ko) 2020-04-09
JP2014028067A (ja)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4259B2 (ja) 視標呈示装置
CN108209855B (zh) 主观式验光装置
JP6582536B2 (ja) 視標呈示装置
KR20140016830A (ko) 검안 장치
JP6197274B2 (ja) 視標呈示装置
JP6057056B2 (ja) 検眼装置
KR102099473B1 (ko) 검안 장치
JP6146011B2 (ja) 視標呈示システム
JP6798287B2 (ja) 自覚式検眼装置
KR102378394B1 (ko) 자각식 검안 장치
JP2020018715A (ja) 自覚式検眼装置及び自覚式検眼プログラム
JP6079989B2 (ja) 検眼装置
JP7162480B2 (ja) 検眼装置
JP2018189475A (ja) レンズチェッカー
JP2022525675A (ja) 個人の眼を検査するための視力測定装置及び関連する方法
JP2014028068A (ja) 検眼装置
JP6885201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2015085163A (ja) 眼鏡装用パラメータ測定用撮影装置
JP2019177097A (ja) 検眼装置
JP2019177046A (ja) 視標呈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