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286A -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 Google Patents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286A
KR20140016286A KR1020137024195A KR20137024195A KR20140016286A KR 20140016286 A KR20140016286 A KR 20140016286A KR 1020137024195 A KR1020137024195 A KR 1020137024195A KR 20137024195 A KR20137024195 A KR 20137024195A KR 20140016286 A KR20140016286 A KR 20140016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se
foot
coupler
coaxi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231B1 (ko
Inventor
프랑크 미르케
게르하르트 슈타틀러
플로리안 붓쳐
게르하르트 포크트
요한 프리쉬
Original Assignee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filed Critical 카트라인-베르케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1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through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루프 톱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루프 톱 안테나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베이스(7)는 자신의 베이스-하부 면(7e)에 돌출하는 베이스-푸트(foot) 부분(17)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푸트부(17)는 베이스(7)의 남아 있는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남아 있는 부분과 결합 되며, 그리고 이때 상기 베이스-푸트부(17)는 전기 전도성이거나 베이스(7)와 함께 전기 전도성 층으로 코팅된다; 상기 베이스-푸트부(17)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coaxial line)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푸트부(17)를 상기 베이스(7)에 대하여 가로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플러그-인(plug in)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관통하는 채널(11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동축 라인(21)의 외부 도체(27)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 섹션이 상기 베이스-푸트부(17)의 채널(117)의 전기 전도성 내벽과 기계식으로 압착되어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푸트부(17)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 내부에 동축 라인(21)이 삽입되어 있다.

Description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ROOFTOP ANTENNA, IN PARTICULAR MOTOR VEHICLE ROOFTOP ANTENNA WITH ASSOCIATED PLUG-TYPE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루프 톱 안테나,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특히 자동차 공학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한 편으로는 이동 무선 통신 구역 안에서 작동하기에 적합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자동차-루프 톱 안테나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자동차-루프 톱 안테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표준에 상응하게 소위 GPS-수신기로 이루어지고 자동차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신 시스템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장착할 수 있는 안테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하우징은 상응하는 베이스 상에 장착된 안테나 후드(antenna hood)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상에는 일반적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하게 회로 기판이 설치되며, 추후에 상기 회로 기판상에서는 개별 안테나 소자들이 위치 설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아래로부터, 다시 말하자면 자동차 실내로부터 설치될 수 있는 적합한 기계식 고정 부재에 의해서 자동차 안테나가 적합한 장소에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제공된 개구를 통해 상응하는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를 관통시켜서 회로 기판 영역에 연결하는 것도 통상적이다. 이때에는 일반적으로 안테나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동축 케이블이 제공된다.
조립- 및 케이블 설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상응하는 개수의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가 안테나 하우징에 설치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도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이와 같이 형성된 인터페이스에는 케이블 하니스의 단부 측에 제공된 상응하는 개수의 추가 플러그형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들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상응하는 루프 톱 안테나는 예를 들어 DE 43 36 191 A1호, DE 295 00 961 U1호, DE 2 032 619호 또는 DE 10 2004 046 979호에도 공지되어 있다.
관련 고정 장치를 구비한 안테나는 WO 2006/087225 A1호에서도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인용될 수 있다.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의 섀시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자동차 루프 내에 있는 개구를 통해 자동차 내부로 삽입되고 예컨대 조임 장치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간행물에서는 루프 관통의 범주 안에서 다수의 HF-플러그형 접속부가 제공되며, 상기 HF-플러그형 접속부는 푸트부(foot part)에 고정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 위로는 케이블 하니스에 설치된 커플러(coupler)가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체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종종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특히 자동차 루프 아래에 있는 설치 공간이 일반적으로 매우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 후에 공개된 간행물 DE 10 2009 051 605 A1호로부터는 자동차용의 고집적(highly integrated) 다중 대역-핀 안테나(fin antenna)가 인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핀 안테나는 베이스 부 상부에 대하여 평행한 회로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 기판상에서 선행하는 측에서는 중앙에 그리고 후속하는 측에서는 측면 영역 쪽으로 변위 배치된 상태로 플러그형 콘택이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형 콘택에서는 자동차 내부 면으로부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아래로부터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플러그형 커넥터 사이에는 또한 회로 기판에 연결된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별도의 세 개의 와이어 라인이 더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라인은 직사각형의 플러그 하우징으로 뻗는다.
DE 10 2007 050 109 A1호로부터도 마찬가지로 차량용 안테나 및 차량용 안테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된 것으로 인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베이스 및 베이스 상부 면에 제공된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상기 동축 라인의 외부 도체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부분과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되고, 공동으로 전기 전도성이다. 상기 동축의 외부 도체 내부에는 유전제로부터 분리된 내부 도체가 뻗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안적인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 부분과 바람직하게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된 외부 도체는 단지 제조에 관련된 이유에서만 처음에는 외부 도체와 결합 되고, 완전하게 제조된 후에는 상기 외부 도체로부터 기계식으로 분리되어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체는 스프링 콘택에 의해서 회로 기판에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속된 외부 도체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위에 있는 회로 기판상에 연결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아래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축의 외부 도체는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서 보호 및 피복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추가의 한 제조 단계에서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외부 도체 둘레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별도로 제조되어 외부 도체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HF-신호 경로를 위한 플러그 장치도 또한 DE 20 2004 015 503 U1호로부터 공지된 것으로 인용될 수 있다. 상기 선행 공개문은 베이스 또는 베이스와 유사한 플레이트 구조물을 구비한 구성 부품을 보여주고 기술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베이스와 유사한 플레이트 구조물은 하나 또는 다수의 동축 라인에 의해서 관통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 도체는 상기 구성 부품의 벽과 각각 고정식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와 외부 도체의 재료 결합 방식의 결합에 의해서는 상기 외부 도체 내부에서 뻗는 내부 도체를 위한 통로가 만들어지고, 상기 통로는 상기 선행 공개문에 따르면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부분은 하나의 나선형 스프링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와 고정 결합 된 외부 도체 이외에는 별도의 추가 베이스 부분이 제공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대하여 개선되었고 관련 HF-플러그형 접속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안테나도 EP 1 801 932 B1호 또는 DE 20 2005 020 107 U1호로부터 인용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형성하는 선행 공개문들에 따르면, 회로 기판에서의 플러그형 커넥터-유닛의 기계적으로 우수한 고정은 적어도 소수의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에 플러그-인 방향으로 뻗는 돌출부가 제공되거나 상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상응하는 전기 전도성 추가 부분이 제공됨으로써 구현되며, 이 경우 상기 돌출부들은 예컨대 회로 기판 내부에 형성된 보어(bore) 내로 돌출한다. 상기 보어는 바람직하게 관통 플레이트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들의 단부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납땜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일반적으로는 그곳에 형성된 큰 면적의 전위와 - 또는 접지와 - 납땜 되며, 이로 인해 실드(shield)가 얻어진다. 그럼으로써, 회로 기판에 집적된 동축의 플러그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유닛 사이에서는 전기적인 접지 접속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고정 결합도 보증된다.
상기 HF-내부 도체가 더 이상 회로 기판 내부에 형성된 보어를 관통해서 회로 기판-상부 면까지 돌출하지 않거나 상기 회로 기판-상부 면을 초과해서 돌출하지 않고, 오히려 리플로(reflow) 납땜에 의해서 회로 기판-하부 면과 납땜 되기 때문에, 상기 간행물에 따르면 심지어는 예컨대 표준-세라믹-패치-안테나를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유닛 상부에 위치 설정하는 것,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회로 기판의 마주 놓인 면에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의 내부 도체 단부들이 배치되어 납땜 되는 영역에 위치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DE 20 2005 004 658 U1호에 따라 상응하는 개수의 소위 제 1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가 소위 플러그형 인터페이스 내에서 안테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또한 추가의 플러그형 커넥터 부분에 고정된 제 2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가 제공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동축 라인이 전기 접속을 형성하면서 두 개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서로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도 이미 제안되어 있음이 더 언급되어야만 할 것이다.
당연히 공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의 동시 삽입이 추후에 계속해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DE 20 2005 004 658 U1호에 따르면 소위 플러그-인터페이스에 고정되고 위치 설정된 플러그형 커넥터를 탄성적이고 탄력적으로 장착 및 위치 설정하는 것, 그리고 더욱이 탄성적인 스프링 소자들을 이용해서 상기와 같이 장착 및 위치 설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상기 스프링 소자들은, 제 2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가 사전에 결정된 각각의 위치에서 허용 오차를 포함하여 전방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장소로부터 플러그-인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서 탄성적이고 탄력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배치되고 형성되었다.
DE 20 2004 004 658 U1호는 또한 자동차-안테나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자동차-루프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플러그형 커넥터가 차량-실내 내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본 간행물에서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는 루프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케이블 단자로부터 시작되는 그리고 스트립 라인의 형태로 형성된 신호 도체-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도체-소자는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추가의 동축 플러그형 커넥터로 뻗으며, 이를 통해 동축의 플러그형 접속부는 자동차-루프 상에 제공된 안테나로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EP 1 903 632 B1호, EP 1 863 119 B1호 그리고 DE 10 2006 025 176 A1호도 더 참조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행 공개문들에는 차체 시트 외부에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고, 차체 시트 내부에 -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안테나 장치의 형태로도 형성된 - 추가의 구성 부품을 구비하는 안테나 상부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한 편으로는 높은 기계적인 안정성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우수한 전기적인 연결- 및 접속 가능성을 갖고, 그와 동시에 루프, 특히 자동차-루프 아래에서 가급적 단지 적거나 최소의 설치 공간만을 필요로 하는, 더욱 개선된 루프 톱 안테나, 특히 자동차-루프 톱 안테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기재된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 다른 무엇보다 HF-플러그형 접속부의 형성에 의해서는 루프 톱 안테나와 루프 아래에 제공된 -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의 회로 기판을 구비한 - 내부-유닛 사이에 매우 유리한 접속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외판 아래에서 필요한 조립용 홀 및 결합 공간이 최소인 동시에 (선행 기술에서와 달리 더 이상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이) 동축- 및 HF-라인이 분기 되도록 구성된 안테나 형태의 외부-유닛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접적인 플러그-인 결합의 부가 기능으로서 또한 스탠드-얼론(Stand-Alone)-해결책으로서 구현되어 통상적으로 차량 내부 어느 곳에나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 내 다른 내부 유닛으로 뻗는 매우 긴 (그리고 그로 인해 또한 비용 집약적인) 동축 라인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 상기의 경우에는 또한 제공된 동축의 라인에 관련하여 최적화된 HF-특성들이 구현될 수 있는데, 특히 심지어 소정의 공차 오류가 발생하게 될 때조차도 접속(interfacing)이 확실하게 피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사실도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이 제공해주는 특별한 추가의 장점은, (예를 들어 전기 신호 혹은 HF-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전자 내부 유닛이 더 이상 자동차 내에서 안테나로부터 먼 장소에 설치될 필요가 없으며(그 결과 추후에는 상응하는 길이의 라인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오히려 상기 전기 및 전자 소자들이 차량-외판 아래에서 루프 개구를 관통하여 삽입된 자동차-루프 톱 안테나의 푸트부의 영역에 직접 위치 설정되어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회로 기판에 전기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회로 기판에 기계식으로 고정 결합 된(이 경우 회로 기판은 통상적으로 자동차-루프에 마주 놓인 안테나-섀시 측 섀시 상에 제공됨) 본 발명에 따른 HF-플러그형 접속 유닛의 수직 부분은 공지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를 둘러싸는 유전체 및 외부 도체를 구비하는 동축의 라인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외부 도체가 바람직하게 크기가 작게 치수 설계된 핀 형태의 베이스 포인트(base point)를 통해 회로 기판에 납땜 됨으로써, 기계적인 결합도 구현된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 개선된 기계적인 고정 및 전기적인 차폐는 안테나 장치의 섀시가 외부 도체를 위한 실드로 사용됨으로써 구현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상기 섀시의 한 부분은 자동차-조립용 홀을 관통해서 아래로 연장되고, 이와 동시에 플러그 소켓의 캐리어- 및 고정 장치로서 이용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소켓은 전술된 외부 도체, 내부 도체 및 유전체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 소켓이 플러그-인 방향 또는 결합 방향으로 뻗는 그리고 섀시 내부에 있는 상응하는 (수직의) 채널 내부에 프레싱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외부 도체는 이로 인해 기계적으로 단단히 고정 및 지지가 되는 동시에 섀시의 연장된 섹션의 갈바니 전기식 접촉에 의해서는 실드로서 그리고/또는 외부 도체로서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하나의 개선 예에서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대한 90°-천이부를 만들기 위하여 동축 라인의 하단부에 인터페이스가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자동차-내부 유닛이 플러그-인 동작에 의해서 자동차-외판(즉, 일반적으로는 자동차-루프)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동차-루프 내에 있는 조립용 개구를 관통해서 뻗는 섀시의 푸트부가 전술된 실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 섀시에 대한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을 만들기 위하여 결합 단계 동안에는 회로 기판으로부터 분기 되는 외부 도체가 - 언급된 바와 같이 - 섀시의 푸트부 내부로, 다시 말하자면 섀시의 푸트부 내에 있는 상응하게 수직으로 뻗는 채널 내부로 프레싱 될 수 있다. 개별 내부 도체들의 선행하는 피크가 후속하는 내부 도체의 결합 방향으로 선행하는 슬롯 형태의(홀 형태의) 부분 내부로 프레싱 삽입됨으로써,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내부 도체-섹션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내부 도체의 콘택은 후속하는 내부 도체-섹션으로 만들어진다(상기 후속하는 내부 도체-섹션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분기 되는 제 1 내부 도체-섹션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뻗는데, 다시 말하자면 조립용 개구가 제공된 자동차 외판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뻗는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호 수직으로 정렬된 두 개의 내부 도체 간 접속 영역 내에서는 공기가 유전체로 제공되었다.
그와 유사하게, 서로 평행하게 뻗고 하부에 구부러진 부분을 구비한 다수의 핀을 통해서 데이터 버스,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를 들어 다수 데이터 라인 형태의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데이터 라인의 핀 단부도 마찬가지로 자동차-안테나의 회로 기판으로 뻗는 수직 섹션에 대하여 수평으로, 다시 말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다.
동축 라인 및 데이터-버스의 단부가 상기와 같이 90°만큼 구부러져서 뻗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평평하게 구성된 하우징을 수평의 플러그 방향을 통해서 자동차-외판의 내부 면에 곧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무 문제 없이 가능해지며, 상기 평평하게 구성된 하우징 내부에는 HF-신호를 처리하는 추가의 전자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식의 또는 고주파-접촉 형성 가능성을 갖는, 특히 전기 신호 및 고주파-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자동차-내부 유닛을 구비한 루프 톱 안테나에도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접속은 바람직하게 우세한 설치 공간-조건들을 고려한 상태에서 직접 플러그-인 방식을 통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에, 상기와 같은 상황은 차량-외판 내에 있는 조립용 개구가 최소인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특히 차량-외판과 상응하는 차량-천장 사이에서 최소로 가능한 설치 공간만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상황은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는 90°-라인 천이부가 제공되며, 상기 90°-라인 천이부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케이블 및 바람직하게 추가의 데이터- 및 고주파-처리를 위해서 이용되는 전술된 내부-유닛이 결합 방향을 통해서 바람직하게 조립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자동차-안테나용 단자에 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유닛에 의해서는 자동차-안테나가 아래로 돌출하는 푸트부와 함께 자동차-외판의 조립용 개구 내부로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틀 안에서는 개별 소자들의 공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플러그 블록과 개별 플러그들의 통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루프 톱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는 내부 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소수의 소자가 생략된, 특히 안테나 장치의 하우징 커버가 생략된 도 1에 상응하는 도면이며;
도 3은 (안테나 후드가 생략된 상태에서) 자동차-내부 유닛에 결합 된 안테나 유닛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안테나 유닛의 주요 부분 그리고 상기 안테나 유닛에 연결될 자동차-내부 소자 또는 자동차-내부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5는 자동차-루프 톱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용 개구가 그 내부에 형성된 차체 시트(자동차-외판)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여섯 개의 개별 라인들로 이루어진 버스 접속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7은 하나의 고정 블록을 통해서 기계식으로 고정된 세 개의 동축 라인 및 하나의 데이터 링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결합 된 내부 유닛의 부분들을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특히 내부 유닛에 상응하는 커플러에 결합 된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 동축 도체에 대한 횡단면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따른 단면도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특히 나란히 배치된 동축 라인의 내부 도체를 통과하는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a는 섀시 내부에 통합된 데이터 링크를 위한 플러그 하우징을 부분 확대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b는 데이터 링크의 플러그 하우징에 커플링 하기 위한 상응하는 소켓 플러그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1a는 안테나 장치 및 자동차-내부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개략적인 횡단면도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선 XIb-XIb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12a는 도 11a에 대하여 약간 변형된 실시 예에 관련해서 도 11에 대하여 변형된 도면이며; 그리고
도 12b는 도 11a의 선 XIIb-XIIb를 따라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에는 안테나(1), 즉 특히 루프 톱 안테나 또는 자동차-안테나(1)가 개략적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장착 상태에서는 루프 내에 제공된 관통 개구의 영역에서 직접 전자 소자(3)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안테나(1)는 통상적으로 안테나 하우징(5)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하우징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자기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안테나 후드(5a)를 구비한다.
안테나 후드(5a)는 통상적으로 베이스 또는 섀시(7) 상에 장착되어 있거나 상기 베이스 또는 섀시와 고정 결합 되어 있으며, 이 경우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섀시(7)는 금속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와 같은 재료를 함유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또는 섀시(7)는 바람직하게 금속-주조부(casting part)로 이루어진다. 또한, 밀링부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사출 성형부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 면의 자동차-루프 아래에 설치된 전자 소자(3)를 구비한 안테나(1)의 도 1과 유사한 사시도가 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따른 도면에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안테나 하우징(5)의 안테나 후드(5a)가 생략되어 있다.
도 3에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와 결합 된 전자 소자 또는 내부 유닛(3)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통상적으로 안테나가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는 평면(E)을 수직으로 바라보고 도시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이 경우 상기 평면 내에는 예를 들어 두 개의 회로 기판 또는 안테나(13a, 13b)가 놓일 수 있거나 상기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음), 상기 평면은 회로 기판(9)의 평면(E-LP)에 대하여 통상 수직으로 정렬된 안테나 하우징(5)의 수직 중앙 평면에 상응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배열 상태에 의해서 형성된 베이스 또는 섀시(7)의 상부 면(7a)에 회로 기판(9) - 이 회로 기판(9)은 평면도 상으로 볼 때 외부 윤곽(9a)을 갖고, 상기 외부 윤곽은 통상적으로 베이스-섀시(7)의 개별 가로 연장부 및 세로 연장부보다 적은 가로 연장부 및 세로 연장부를 갖도록 형성되었으며, 이에 관련해서는 또한 도 4가 참조 될 수 있음 - 이 상기 베이스 또는 섀시(7)의 상부 면(7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 후드(5a)가 베이스(7) 상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회로 기판(9)을 완전히 둘러싸서 소위 안테나 하우징-내부 공간(5b)에 수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술된 회로 기판(9)의 상부 면(9b)에는 상이한 서비스를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제 1 안테나 또는 안테나 장치(13a)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9)에 대하여 수직으로 서있는 추가 회로 기판(13'a)의 형태로 제공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추가 회로 기판상에는 예를 들어 이동 무선-통신의 범주 안에서 수신 및 송신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제 1 안테나를 형성하면서 금속 코팅된 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외에 제 2 안테나(13b)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안테나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회로 기판(9)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재차 추가 회로 기판(13'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추가 회로 기판은 제 1 안테나(13a)와 달리 주행 방향으로 앞에 놓인,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선행하는 안테나(13a)에 대하여 오히려 후방 영역에 놓여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주행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뒤따라 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그 위에 형성된 안테나는 다른 서비스를 실행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13a)와 상기 제 2 안테나(13b) 사이에는 패치-안테나 형태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위성-프로그램, 즉 위성을 통해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특히 위성을 통해서 방송되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제 3 안테나(13c)가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는 제 4 안테나(13d), 즉 GPS-안테나(13d)도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제 4 안테나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평면도 상으로 볼 때 거의 정사각형의 외부 형상을 갖고, 제 1 안테나(13a)의 제 1 회로 기판(13'a)의 영역에 있는 리세스(13") 아래에서 베이스(7)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회로 기판(9) 상에 위치 설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섀시(7)의 베이스가 통상적으로는 주변을 둘러싸는 베이스-에지(7c)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에지가 베이스-상부 면(7a)에서 베이스-기저부 또는 베이스-바닥(7b)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 위로 융기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바닥(7b)과 상기 회로 기판(9)의 하부 면(9c) 사이에서 (도 4 참조) 상기 베이스-바닥(7b) 및 상기 회로 기판(9)의 하부 면(9c)에 의해 형성된 컴포넌트-공간(12) 내에는 전기 및 전자 부품이 설치될 수 있고, 그곳에서 뻗는 도체 트랙 상에서 회로 기판상에 상기 전기 및 전자 부품이 전기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해서는 안테나 장치의 주요 부분 그리고 상기 안테나 장치에 연결될 전자 소자(3)의 주요 부분이 분해도로 재현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또는 섀시(7)를 상부 면(7a)으로부터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도면 도시 방식을 통해서는 상기 베이스 또는 섀시(7)에 주변을 둘러싸는 전술된 베이스-에지(7c)가 제공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7b)으로부터 융기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다수의 베이스-리지(7d)(ridge)도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드러나며, 이때 상기 베이스-리지는 원래의 컴포넌트-공간(12)을 상이한 컴포넌트-공간 영역(12a)으로 세분한다. 다시 말해, 상기 공간 영역(12a)은 차폐 작용을 하는 리지(7d)(이 리지는 베이스(7)의 한 부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전도성 재료로 코팅되었음)에 의해서 상호 분리되어 있다.
베이스-하부 면(7e)에,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베이스-바닥(7b)의 하부 면에 아래로 돌출하는 푸트부 혹은 고정부(17)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도 4의 도시로부터 이미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푸트부 혹은 고정부(17)는 전체 베이스와 예컨대 통합된 금속 부분으로서 일체로 (즉,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푸트부 혹은 고정부(17)는 원래의 베이스(7)에 대하여 또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래의 베이스와 기계식으로 그리고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전체 장치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푸트부 혹은 고정부(17)의 구조는 여러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푸트부 혹은 고정부(17)가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실드로서의 효과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외부 도체로서의 작용까지도 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 부분들이 기계식으로 그리고 갈바니 전기식으로 결합 되어야 한다.
자동차 내부에 최종적으로 조립을 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안테나의 푸트부 및 고정부(17)가 자동차의 루프 상에 장착되며,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자동차 루프에 있는, 다시 말해 보통 소위 자동차-외판(16)에 있는 조립용 개구(15)를 통해서, 아래로 베이스-바닥 위로 돌출하는 상기 푸트부 및 고정부(17) 내부로 추후에 안테나가 삽입되어 자동차-내부로 돌출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도면들로부터는, 회로 기판-하부 면(9c)으로부터 다수의 동축 도체가 뻗어나온다는 것, 도시된 실시 예(도 1 및 도 2 참조)에서는 나란히 배치된 세 개의 동축 도체(21)가 뻗어나온다는 것을 이미 알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동축 도체(21)는 내부 도체(23),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세로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도체를 둘러싸는 유전체(25) 및 상기 유전체(25)를 수용하는 외부 도체(27)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로 기판(9) 쪽을 향하고 있는 개별 외부 도체(27)의 측에는 실린더형 외부 도체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변위 배치되어 있고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2)과 반대로 (다시 말해 회로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하는 네 개의 푸트 또는 핀(27a)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푸트 또는 핀은 회로 기판(9) 상의 연결 장소에 있는 상응하는 보어 내부에 삽입되어 그곳에 납땜 된다.
내부 도체(23)는 통상적으로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의 상응하는 보어를 통과해서 돌출하거나 또는 회로 기판-하부 면(9c)에는 상기 내부 도체의 정면이 직접 접하여 그곳에서 상응하는 접점에 납땜 된다.
그럼으로써, 회로 기판에 대한 개별 동축 도체(21)의 내부 도체(23) 및 외부 도체(27)의 갈바니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접속에 의해서는 개별 동축 라인(21)이 전기식으로 접촉을 형성하게 되고 기계식으로 고정되는데, 그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도 외부 도체(27)가 금속 실린더 혹은 금속 튜브로서 형성되었고, 원주 방향으로 변위 배치된 상기 외부 도체의 다수의 고정 푸트 또는 핀(27a)에 의해서 외부 도체가 회로 기판과 갈바니 전기식으로 단단히 그리고 안정적으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회로 기판에 기계식으로도 결합 되었으며, 그리고 그로 인해 전체 동축 라인(21)이 회로 기판(9)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렬 및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또 하나의 버스 접속부(29), 다시 말해 예를 들어 다수의 데이터 라인(29a) 형태의 버스(29)가 제공되었으며, 상기 버스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 상호 간격을 두고 고정된 여섯 개의 개별 와이어 또는 개별 라인(29b)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버스" 또는 "버스 접속부" 혹은 부분적으로 "버스 구조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차폐되지 않은 데이터 라인, 즉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개별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는 차폐되지 않은 신호 라인 및/또는 전압 공급부로 이해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섯 개의 개별 라인(29b) - 이 개별 라인들은 각각 나란히 놓인 세 개의 개별 라인(29b)을 갖춘 두 개의 행(row)으로 형성되었음 - 을 구비한 상기 데이터 버스(29a)는 세 개의 동축 라인(21) 옆에 바로 이웃하여서 접속된다.
실제로, 상기 버스(29)의 언급된 데이터 라인(29a, 29b)은 신호 전송 또는 전류 전달에 이용되고, 상기 언급된 동축 라인(21), 특히 내부 도체(23)는 고주파-신호(HF-신호)의 전송에 그리고 특히 다양한 서비스의 전달을 위해서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특히 도 7, 도 8 및 도 9가 더 참조 되며, 이 경우 도 7에는 나란히 배치된 세 개의 동축 라인(21) 및 그 옆에 배치된 데이터 링크(29)의 사시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동축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링크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언급될 상응하는 고정 블록(33) 내부에 추가로 배치되고, 지지되며 고정된다. 이때 도 8에는 최종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배치되고 장착된 단 하나의 동축 라인의 횡단면도가 재현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8에 따른 단면도에 대하여 수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추가의 단면도가 재현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각각 중앙 축을 통과하는, 더 상세하게 말해서 내부 도체(23) 및 데이터 링크(29a)를 통과하는 한 평면에 고정 블록(33)을 세로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재현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동축 라인(21), 즉 동축 라인(21)의 외부 도체(27)는 회로 기판에 이웃하여 고정 블록(33)에 의해서 추가로 고정 및 조정되며, 이 경우 상기 고정 블록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부분으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기 비-전도성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블록(33)은 회로 기판(9) 쪽을 향하고 있는 측에 일련의 돌출하는 푸트, 핀 또는 리브(rib) 등(33a)을 구비하며, 상기 부재들도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9)의 상응하는 보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블록(33)을 밀림 또는 비틀림 현상에 대항해서 추가로 보호해준다. 더 나아가서는 고정 블록(33) 내에 있는 상응하는 보어(33b)를 관통하는 동축 라인(21)도 서로 상대적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측면에서 밀리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에 대항해서, 그리고 또한 전체 장치의 밀림 또는 구부러짐 혹은 비틀림 현상에 대항해서도 추가로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보호 및 지지해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그리고 아래로 돌출하는 동축 라인(21), 버스 링크(29) 및 고정 블록(33)이 장착된 회로 기판(9)은 추후에 상기 고정 블록(33)이 베이스-바닥(7b)에 있는 상응하는 홈(133) 내부로 삽입될 때까지 섀시 상에 혹은 베이스(7) 상에 장착되며, 이 경우 베이스-바닥(7b)에 있는 상기 홈(133)은 세로 연장부 및 가로 연장부 그리고 형상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부가 고정 블록(33)의 세로 연장부 및 가로 연장부 그리고 형상부에 적어도 전반적으로 상응함으로써, 결국 다른 말로 말하자면 상기 고정 블록의 둘레 윤곽의 한 부분은 베이스-바닥(7b)에 있는 상응하는 홈(133) 내부에 삽입되어 밀리지 않게 그리고 비틀리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Z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플러그-인 과정 및 결합 과정 중에는, 고정 블록(33) 위로 결합 방향(Z)으로 돌출하는 동축 라인(21) 그리고 고정 블록(33) 위로 마찬가지로 돌출하는 고정 블록 확대부(33c) - 이 고정 블록 확대부는 내부에 세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 채널이 버스 접속부(29)에 의해 관통됨으로써, 상기 버스 접속부는 추가로 보호되며, 추후에도 계속해서 결합 상태를 유지함 - 가 상응하게 수직으로 뻗는 그리고 상호 차폐된 푸트부(17) 내 채널(117 또는 117')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다른 말로 더 상세하게 표현하자면, 동축 라인(21) 및 데이터 링크(29)는 베이스 바닥(7b)에 있는 상응하는 개구 또는 보어를 통해 돌출하는데, 다시 말해 베이스 바닥(7b)에 있는 홈(133) 영역에서 뻗어나오는 채널(117 또는 117') 내부로 돌출하며, 상기 채널들은 베이스 바닥 그리고 푸트부 및/또는 고정부(17)를 관통한다.
이때 푸트부 내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뻗는 상기 채널(117)은 (특히 베이스가 푸트부와 함께 주조부로서 제조된 경우에도) 아래쪽으로 가면서 적어도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남아 있는 외부 직경에 대하여 심지어 약간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는) 플러그 방향으로 선행하는 동축 라인(21)의 외부 도체(27)의 접촉 형성 섹션(27b)이 플러그-인 동작 중에 플러그-인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푸트부(17) 내 채널(117)에 충돌하도록 그리고 플러그-인 동작의 마지막에는 충분한 접촉력을 형성하면서 외부 도체(27)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푸트부(17) 및 그와 더불어 베이스(7) 간에 구현되는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이 보증되도록 치수 설계가 이루어진다. 관련 내부 도체, 유전체 및 조립 전에 푸트부(17) 내 상응하는 채널(117) 내부에 배치된 것과 같은 외부 도체를 구비한 동축 도체(21)에 대한 상응하는 횡단면도는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동축 도체(21)의 고정 및 외부 도체(27)의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은 콘택 에지(27b)의 선행하는 단부 섹션에 의한 기계적인 및 갈바니 전기적인 접촉 형성에 의해서 야기되며(도 8 참조), 이 경우 상기 콘택-에지(27b)는 충분히 높은 결착력(clamping power)을 형성하면서 상기 영역에서 좁아진 상기 채널(117)의 횡단면의 내벽과 인접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하는 콘택 에지가 원주 방향으로 변위 배치된 다수의 슬롯 또는 리세스(27c)를 구비하는 것(도 7 참조)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슬롯 또는 리세스는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일부분의 길이로 형성되되 특히 적어도 약간 탄력적인 콘택 핑거(127)를 형성하면서 형성되며, 상기 콘택 핑거는 추후에 본 실시 예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직경으로 형성된 상기 채널(117)의 하단부(117a)의 내벽에 상응하는 높은 결착력으로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는, 베이스(7)의 푸트부(17) 내 관련 채널(117) 내에 있는 개별 동축 도체(21)의 고정 및 지지에 관련해서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안전이 보증된다. 또한, 그로 인해 동축 도체(21)의 개별 외부 도체(27)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푸트부(17) 및 그와 더불어 베이스 또는 섀시(7) 간에는 전체적으로 최적의 갈바니 전기적인 접촉이 형성되며, 이 경우 동축 라인(21)의 외부 도체(27)가 프레싱 삽입되는 상호 분리된 채널(117)은 또한 개별 동축 라인과 버스(29)를 수용하는 채널(117') 사이에서 최적의 차폐 작용을 야기한다.
제조시에도, 다시 말해 내부 도체(23)와 회로 기판(9) 사이에 혹은 외부 도체(27)와 회로 기판(9) 사이에 납땜 결합부를 위치 설정하고 제조하는 경우에도 공차 에러가 발생한다면, 베이스(7)의 푸트부(17) 내 상응하는 채널(117) 내부로 외부 도체(27)를 플러그-인하는 동작 및 결합 동작에 의하여, 상기 발생 가능한 공차 에러가 상응하게 보상되며, 그로 인해 개별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의 노출된 단부는 고도로 정확하게 전체적으로 제조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지금까지 언급된 실시 예에서, 루프 톱 안테나(1)는 상기 루프 톱 안테나(1)와 언급된 전자 소자(3) 형태의 내부 도체(3) 간에 플러그-인 동작에 의해서 최적으로 형성된 직접 접속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그와 동시에 차량-외판(다시 말해 일반적으로는 루프) 아래에서 필요한 조립용 홀 및 결합 공간도 최소화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언급된 전자 소자(3)의 범주 안에 있는 내부 유닛(3)은 일반적으로 마찬가지로 추가의 회로 기판(109)을 구비할 수 있으며(도 4 참조), 상기 추가의 회로 기판은 도면에 도시된 배열 상태에서 안테나 하우징(5) 내에 설치된 제 1 회로 기판(9)에 대하여 평행하게 놓이게 되며, 이 경우 안테나 하우징(5) 내에 있는 제 1 회로 기판(9)은 차량-외판(16)(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루프) 외부에 놓이게 되며, 내부 유닛(3)은 차량-외판(16) 아래에 그리고 그로 인해 자동차 내부(116)에서는 차량-외판(16)에 직접 이웃하여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 평평한 구조는 다른 무엇보다도 내부 유닛(3)이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가 아니라 오히려 가로로 또는 특히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으로 동축 케이블 및 데이터 버스의 상응하는 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은 바람직하게 동축 도체(21) 및 그와 더불어 푸트부(17) 혹은 채널(117)의 동축의 길이 연장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방사형으로 뻗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일반적으로는 재차 상기 회로 기판(9 또는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다. 물론, 필요시에는 - 그리고 이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 그로부터 약간의 각도 편차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도면들로부터는, 개별 동축 라인(21)이 자신의 하단부에 수평의 그리고 그로 인해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내부 도체(37a) 및 외부 도체(37b)를 구비하는 커플러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37)를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는 것을 이미 알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커플러 또는 플러그형 커넥터는 플러그 형태로 또는 슬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동심도(concentricity)의 이유에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동축 도체(21)의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동축 배열의 이유에서, 일체로 형성된 또는 연속하는 내부 도체를 90°만큼 구부려서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되었거나 연속하는 외부 도체 내부로 삽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의 틀 안에서 볼 때 내부 도체 및 외부 도체 그리고 유전체는 서로에 대하여 가로로 뻗는, 즉 특히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는 소자들 내부에서 상호 분리되며, 이 경우에 일반적으로 동축 라인은 장착된 상태에서 대체로 수직으로 뻗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수직 소자"로 언급될 것이며, 이때 내부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소자들은 - 이 소자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수직으로도 그리고 수평으로도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한 번이라도 반드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적어도 약간의 각도만큼 수직 및 수평 상태로부터 벗어나서 정렬되어야만 하거나 정렬되어 있다 하더라도 - 이하에서는 단순화를 위해서 간략하게 "수평 소자"로 언급될 것이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자들은 또한 필요시에는 90°로부터 벗어나는 각도, 예를 들면 85° 내지 95° 등의 각도로 정렬될 수도 있다. 이에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제한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출원서에서는 특히 도 8에 따른 단면도에서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특별한 구조가 제안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동축 도체(21) 아래에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공기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전체(25)가 90°-각도 연결부(51) 바로 앞에서 각각 중단되고, 그곳에서 각각 하나의 내부 도체(37a)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내부 도체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동축 도체(21)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방사형으로 뻗고, 바람직하게는 커플러(37)의 부분이다. 이때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적어도 내부 도체(37a)의 연결 영역 및/또는 접속 영역(37'a) 내에 있는 관련 내부 도체(37a)의 직경은 개별 동축 도체(21)의 내부 도체(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도체(37a)의 연결 영역 및 접속 영역(37'a)에는 내부 도체(37a)의 축 연장부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그리고 그와 동시에 수직으로 뻗는 보어 또는 슬롯(39)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어 또는 슬롯 내부로는 동축 도체(21)의 관련 내부 도체(23)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보어(39)를 관통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동축 도체(21)의 내부 도체(23)와 커플러(27)에 속하는 내부 도체(37a) 사이에서는 우수한 갈바니 전기 접속이 보증된다.
전술된 보어(39) 대신에 예를 들어 관련 내부 도체(37a) 내부에 삽입되어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도체를 전체 두께에 걸쳐서 관통하는 슬롯 형태의 모든 적합한 개구도 고려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심지어 회로 기판(9)에 대한 동축 도체(21)의 접속에 관련하여 공차 에러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축의 내부 도체(21)가 다른 무엇보다도 푸트부(17)를 관통하는 언급된 채널(117) 내부에서의 위치 설정에 의해서 최고로 정확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정렬 및 고정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는 커플러(37)의 외부 도체(37c)가 우선 푸트부(17)의 하단부에 있는 상응하는 가로 보어(40, 41) 내부로 바람직하게 프레싱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는 연결 영역(37'a) 내에 제공된 그리고 내부 도체(37a)를 관통하는 보어(39)(또는 상응하는 슬롯 등)가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에 대하여 직접 축 방향으로 놓이도록 정렬되었다. 회로 기판-하부 면(9c)에 연결되고 고정된 동축 도체(21)와 회로 기판(9)의 하강 또는 결합에 의해서는, 추후에 한 편으로는 개별 동축 도체(21)의 외부 도체(27)와 푸트부(17) 내 관련 채널(117)의 내부에 놓인 상부 면 사이에 언급된 바와 같은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이 보증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각각의 관련 내부 도체(23)가 보어(39)를 통해서 상기 커플러(37)의 관련 내부 도체(37a)와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속된다.
내부 도체(23과 37a) 사이에서 조립 및 기계적인 그리고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을 실행하기 위하여, 푸트부 및 고정부(17)는 적어도 동축 라인(21)에 관련해서 채널(117)의 축 방향 연장부 내에 상기 푸트부 및 고정부(17)의 바닥을 관통하는 연장된 보어(17b)를 구비하며, 본 경우에 상기 연장된 보어는 제조 과정(결합 동작) 중에 내부 도체들 간의 접속까지도 만들기 위한 개방된 접근로(access)를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에 이어서 상기 보어(117)는 상응하는 캡(17c)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캡은 프레싱 삽입될 수 있거나 나선의 경우에는 회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캡(17c)도 마찬가지로 재차 전기 전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 혹은 금속 합금 또는 적어도 전기 전도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차폐 효과를 야기하는 상응하는 전도성 외부 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도성 외부 층은 또한 동시에 상기 푸트부 및 고정부(17)의 나머지 부분과의 갈바니 전기적인 접촉 형성에 의해서 전체 외부 도체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도 8에 따른 횡단면도로부터는 또한, 연결 접속부(37'a)의 영역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유전체가 제공되지 않고, 오히려 본 경우에는 공기 형태의 유전체(36)가 사용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추후에 내부 도체(37a)를 커플러(37)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커플러(37)의 유전체(37b)가 상기 공기 형태의 유전체에 연결된다.
커플러(37)의 전체 영역에서도 외부 도체(37b) 및 그와 더불어 실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베이스(7)의 푸트부(17)에 의해서 함께 형성된다.
이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플러(37)를 수용하기 위하여 푸트부(17)의 하단부에 제공된 가로 보어(40, 41)는 계단식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상응하게 계단식으로 형성된 외부 도체(37c)의 섹션이 상기 가로 보어 내부에 삽입 결합 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이때에는 커플러(37)의 외부 도체가 바람직하게 상응하게 계단식으로 형성된 가로 보어(40, 41) 내부로 프레싱 삽입됨으로써, 한 편으로는 우수한 기계적인 결합이 보증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최적의 갈바니 전기적인 접촉 형성이 보증된다. 이와 같은 사실은 또한 푸트부(17)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형성되는 보어(39)의 중심축이 결합 과정에서 상기 보어(39) 내부에 삽입 결합 되는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의 중심축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도록 상기 보어(39)가 연결 영역(37'a) 내 내부 도체(37a) 내에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커플러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도 열어준다. 이때 푸트부(17) 내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보어(40, 41)의 상기와 같은 축 방향 정렬은, 상기 가로 보어(40, 41)의 중심축이 관련 동축 도체(21)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그리고 그로 인해 푸트부(17) 내에 있는 관련 플러그-인 채널 및 수용 채널(117)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실시된다.
원칙적으로 언급될 사실은 커플러에 외부 나선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때 상기 외부 나선은 계단식으로 형성된 보어(40, 41) 내부에 있는 상응하는 내부 나선에 맞물린다. 그러나 결합 과정에서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에 의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하여, 추후에 상기 보어(29)를 관련 내부 도체(37a)의 단부에 정확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추가의 조치들도 필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서는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섯 개의 개별 라인(29b)을 구비한 버스 접속부(29)가 설명된다.
상기 각각의 개별 라인(29b)은 회로 기판 측 접속 단부(29c)를 구비하며, 이때에는 상기 접속 단부가 90°만큼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접속 단부(29c)는 각각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된 그리고 아래로 꺾인 섹션들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섹션들은 개별 라인(29a)이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행에 대해서 상호 떨어져서 뻗도록 정렬되어 있다.
상기 접속 단부(29c)에서는 개별 라인들이 상응하는 납땜 장소에서 갈바니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된 상태로 회로 기판(9)의 하부 면(9c)에 있는 관련 접속 장소에 일체로 납땜 될 수 있다.
상기 아래로 꺾인 접속 단부(29c) 근처에서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고정 블록(33)에 가로 브리지(233)가 제공될 수 있으며(도 9 참조), 그럼으로써 상기 가로 브리지(233)에 의해 상호 분리된 두 개의 이웃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개구 중에 하나의 개구를 통해서는 세 개의 데이터 라인(29b)으로 구성된 한 그룹(이 데이터 라인의 꺾임부(29c)는 모두 한 가지 방향을 향하고 있음)이 뻗는 한편, 다른 하나의 개구를 통해서는 세 개의 다른 데이터 라인(29b)이 뻗는다(이 데이터 라인의 꺾임부(29c)는 모두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음).
또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및 고정 블록(43)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 및 고정 블록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섯 개의 보어를 구비하고, 상기 보어들은 개별 라인(29a)에 의해서 관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절연체로 구성된 상기 지지- 및 고정 블록(43)이 개별 와이어(29b)의 90°-꺾임부(45) 다음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그리고 차량 내측에 놓인 접속 단부(29d)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간격을 두고서 고정된다.
상응하는 보어(33b) 내부에 동축 도체(21)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33)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되었다. 상기 고정 블록(33)은 자신의 한 가로 측에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더 큰 길이 또는 높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고정 블록-섹션(33c)을 구비하며, 횡단면도 상으로 볼 때 상기 고정 블록-섹션에는 바람직하게 오히려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내부 채널(33'c)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내부 채널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섯 개의 개별 라인(29a)을 구비한 버스 접속부(29)를 수용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동축 라인(21) 및 버스 접속부(29) 그리고 전술된 라인을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33)을 구비한 상태로 준비된 회로 기판(9)이 베이스(9) 상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 블록 위로 돌출하는 동축 도체(21) 및 버스 접속부(29)를 구비한 고정 블록 확대부(33c)가 베이스(7) 및 관련 푸트부(17) 내부에 형성된 상기 푸트부(17) 내 채널(117, 117')을 기술된 방식으로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관통하게 되면(이때 동축 도체(21)의 내부 도체(23)는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와 갈바니 전기식의 접촉을 형성하고 있음), 예를 들어 나란히 배치된 세 개의 동축 커플러(37) 및 다중-라인-커플러(137) 형태의 버스-접속-구조물(137)을 구비한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커플러들은 모두 회로 기판(9 및 109)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이와 같은 정렬 상태는 상기 언급되고 전자 소자 형태로 형성된 내부 소자(3)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자동차-안테나의 인터페이스에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플러그-인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내부 소자(3)는 도면으로부터 드러나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커플러(47)를 구비하며, 상기 커플러가 상응하는 장소에서 푸트부(17) 내에 있는 커플러(37)와 동일한 상호 축 방향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내부 소자(3)는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에 상응하게 안테나의 상응하는 인터페이스에 장착되고 그 후에는 유전성으로(dielectrically)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모듈(3) 내에는 상응하는 버스-인터페이스(147),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예컨대 슬리브 형태의 플러그 리셉터클(plug receptacle)을 구비한 추가의 커플러(147)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리셉터클 내부로는 회로 기판(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그리고 그와 더불어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버스 접속부(29)의 접속 단부(29d)가 삽입되어 전기식으로 접촉을 형성하고, 그로 인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관련해서는 도 10a 또는 도 10b가 더 참조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10a에는 커플러(37) 및 섀시 내에 통합된 데이터 링크를 위한 데이터-커플러(137)를 구비한 푸트부(17)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b에는 상응하는 슬리브형 플러그(147)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형 플러그는 내부 유닛(3)에 형성되어 있고,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링크를 위한 커플러(137)의 플러그 하우징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내부 모듈(3)은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따른 도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추가 커플러(53) 형태의 추가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인터페이스에는 자동차-내부 공간(116) 내의 다른 소자, 예컨대 전화의 핸즈-프리 통화 시스템(hands-free speaking system), 라디오, 네비게이션 장치용 디스플레이가 접속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뻗는 상응하는 케이블, 특히 동축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자동차-외판(6)(다시 말해 자동차의 차체 시트) 내에 있는 조립용 개구(15)를 관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푸트부(17)는 가이드 부재(17d)(도 1)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푸트부(17)의 마주 놓인 두 개의 가로 측(17e)에 설치되어 있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푸트부(17)에 놓여 있고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하여 가로로 그리고 특히 수직으로 정렬되어 90°만큼 마주 놓인 외부 면(17d)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 소자(3)는 플러그-인 방향, 결합 방향 또는 슬라이딩 방향(S)으로 선행하는 자신의 측에 내부 리세스(103)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103)는 이 리세스 내부로 돌출하는 그리고 슬라이딩 방향(S)으로 뻗는 두 개의 측면 제한부 또는 일반적으로는 측면 가이드 장치(3c)(도 4)를 갖추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측면 제한부 또는 측면 가이드 장치는 장착된 상태에서 푸트부(17)에 있는 전술된 가이드 장치(17d)와 상호 작용을 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슬라이딩-온 동작에 의하여 그리고 경우에 따라 푸트부(17)에 제공되는 추가 전자 소자와 자동차-내부 소자(3)의 전기 접속에 의하여 상기 내부 소자(3)의 접속 영역과 자동차 내부 공간(116)에서 아래로 돌출하는 푸트부(17) 간에는 기계식 결합과 형상 결합 방식의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안테나(1)와 함께 전체적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안테나(1)는 더 이상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과 반대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는, 평행한 결합 방향(S)으로 함께 장착될 수 있고 높이 변위 된 상태(V)로 배치된 두 개의 회로 기판 사이에서 플러그 접속부를 직접 제조하는 것이 중심적인 원리임이 드러난다. 이때 상기 하나의 회로 기판은 자동차 외측의 안테나 장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회로 기판은 자동차 내측에 설치된 내부 소자(3)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하고 상술 된 접속 부재들은 안테나로부터 출발하여 90°만큼 꺾여 있다. 수평 정렬 상태로부터 수직 정렬 상태로 변환되거나 동축의 구조물로부터 상황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내부 소자(3)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의 영역에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구조물로 변환되는 천이 부분은 동축 구조물 내부에 있는 그리고 내부 도체로부터 기판상의 도체 트랙으로 변환되는 천이 영역에 있는 구조물을 최적화함으로써 적합하게 될 수 있으며, 특히 예를 들어 50 Ohm의 임피던스에서 6 GHz까지의 주파수 범위를 위해서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는 언급된 바와 같이 동축 영역 내에서 유전체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공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내부 도체의 직경은 적합할 수 있다. 이때 회로 기판으로 천이 되는 영역은 외부 도체의 형상에 의해서 그리고 레이아웃의 구조에 의해서 상응하게 최적화될 수 있다.
(반드시 수직으로 뻗을 필요가 없고, 오히려 단순화를 위해서 단지 간략하게 "수직 부분"으로만 표기되더라도) 소위 "수직 영역"은 회로 기판(9)으로부터 출발하는 내부 도체(21)를 갖춘 안테나 하우징(5) 내의 회로 기판(9) 그리고 회로 기판 장착부, 언급된 블록- 또는 플라스틱 캐리어(33) 및 안테나 모듈의 회로 기판(9) 상에 수직으로 서있는 SMD-가능한 내부 도체(23)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SMD-가능한 내부 도체는 유전체(25) 및 외부 도체(27)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도체(27)는 회로 기판(9) 상에 납땜 되는 언급된 베이스 포인트 또는 핀(27a)을 갖추고 있다.
커플러(37)를 사용해서 수직 영역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방사형으로 정렬된 접속 구조물 형태의 소위 "수평 영역"은 다른 무엇보다도 푸트부를 갖춘 섀시가 실드 및 외부 도체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언급된 바와 같이 소위 푸트부(17)의 형태로 형성된 섀시의 한 부분이 자동차-외판(16) 내에 있는 조립용 홀(15)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고, 자동차-내부 공간(116)까지 돌출한다. 이때 푸트부(17)의 형태로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상기 섀시(7)의 부분은 동시에 커플러(37)의 플러그 리셉터클을 위한 캐리어로서 이용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리셉터클은 재차 외부 도체(37b) 및 내부 도체(37a)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준비된 커플러는 추후에 섀시 내부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상응하는 보어(39) 내부로 프레싱 삽입되는 동시에 실드에 대하여 원하는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수직 영역과 수평 영역 간의 결합은 장착된 회로 기판(플러그 블록 포함)이 섀시에 결합 될 때에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결합 단계에서는 내부 도체(23)(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소위 수직 영역)의 선행하는 단부가 커플러(37)(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수평 영역)의 상응하는 내부 도체-보어(39) 내부로 삽입되고 관통된다.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 예는 도 11a를 참조하여 간소화된 개략적인 횡단면도에 그리고 추가의 도 11b에 재현되어 있으며(이 경우 도 11b는 도 11a의 선 XIb-XI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를 재현함), 상기 도면들로부터는 두 개의 회로 기판(9, 109) 간의 가로 편차(V)도 볼 수 있다. 도 11a에서 연결 전의 내부 유닛(3)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연결된 상태에서의 내부 유닛(3)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안테나에 속하는 장치의 수직 및 수평 영역이 재현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및 수평 영역은 최종적으로 90°-꺾임부와 함께 제 1의 안테나 모듈 측 플러그 절반(A)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안테나 모듈 측 플러그 절반(A)은 결합 방향(S)에 상응하게 내부 모듈 측 플러그 절반(B)과 기계식으로 그리고 전기식으로 결합 될 수 있다.
결합 방향(Z)에 상응하는 전술된 결합 단계 중에는 소위 수직 영역의 외부 도체(27)가 섀시(7) 및 그와 더불어 푸트부(17)의 채널(117) 내부로 프레싱 되어 갈바니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한다. 내부 도체의 콘택이 만들어지고, 상기 콘택 내에서는 내부 도체(23)의 각각 선행하는 단부의 뾰족한 부분이 커플러(37)로 뻗거나 커플러(37)에 속하는 다른 내부 도체의 슬롯 형성된 부분 내부로 프레싱 삽입된다. 상기 내부 도체의 결합 영역 내에서는 공기가 유전체로서 존재한다.
또한, 조립용 홀(15)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는 안테나-섀시(7)의 푸트부(17)에는 한 편으로는 소자들이 결합 과정 중에 가이드 된다는 특징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예를 들어 회로 기판(9)과 같은 전기 소자들이 완전히 가이드 된 상태에서는 기계적으로 하중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섀시(7)를 갖춘 푸트부를 통해서는 내부 유닛과 외부 유닛 간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이 만들어지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내부 유닛(3)으로서 제공된 전기 어셈블리와 자동차-안테나(1)의 형태로 형성된 외부 유닛 간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이 만들어진다.
지금까지의 실시 예들을 참조해서는 한 가지 변형 예가 기술되었으며, 상기 변형 예에서는 가장 적은 전체 높이로 방사형의 그리고 특히 평행한 연결 가능성, 다시 말해 자동차 외측에 장착된 안테나의 베이스(7) 상에 장착된 회로 기판에 대하여 또는 베이스에 대하여 평행한 연결 가능성이 구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차-내부 공간(17)에 있는 내부 부품은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슬라이딩 방향(S)으로 추가의 전자 소자에 가장 간단히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와 달리 다른 적용 예들의 경우에는 언급된 90°-각도 연결부가 생략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차-내부 공간 내에서 플러그-인 방향 또는 결합 방향(Z)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뻗는 동축의 일 변형 예 또는 버스-연결-변형 예가 만들어진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를 위한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도면과 대등한) 상응하는 도면에 단지 개략적으로만 재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응하는 커플러(37)는 아래로부터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S)에 대하여 반대로 푸트부(17) 내에 있는 상응하는 보어 내부로 프레싱 삽입되며, 본 실시 예에서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는 관련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까지 연장되는 축 방향 연장부 안에 놓인다. 이 경우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의 정면에서는 축 방향의 블라인드 홀(blind hole)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라인드 홀 내부에는 추후에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뾰족하게 형성된 상기 내부 도체(23)의 선행하는 연결 단부가 결합 과정 중에 삽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레싱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에 대하여 반대로 플러그-인 될 수 있는 버스-커플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 예에서는 버스 접속부(29)가 단지 소수의 와이어(29b)만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들은 회로 기판(9)으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만곡부(45)도 없이 곧바로 뻗어서 끝나는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뻗어서 끝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개별 와이어(29b)는 비-전도성 재료,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유전체)으로 이루어진 블록(33)에 의해서 상호 간격을 두고 기계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도 9a의 선 IXb-XIb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된 횡단면도에 개략적으로 재현되어 있는 도 9가 더 참조 된다.

Claims (24)

  1. 플러그 접속 장치를 구비한 루프 톱 안테나, 특히 자동차-안테나에 있어서,
    - 상기 안테나는 베이스(7)를 구비하며,
    - 베이스-상부 면(7a)에는 회로 기판(9)이 배치되어 있으며,
    - 회로 기판-상부 면(9b)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13a, 13b, 13c, 13d)가 제공되어 있으며,
    - 회로 기판-하부 면(9c)에는 가로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상기 회로 기판-하부 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뻗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이 제공되어 있으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은 내부 도체(23)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도체는 유전체(25)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고, 상기 유전체는 외부 도체(27)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 상기 외부 도체(27)는 외부 도체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도체 실린더는 회로 기판 측에서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하부 면(9c)에 전기 접속되어 있고 기계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 상기 내부 도체(23)는 회로 기판(9) 상에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 상기 베이스(7)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전기 전도성 재료로 코팅되어 있으며,
    - 상기 베이스(7)는 자신의 베이스-하부 면(7e)에 돌출하는 베이스-푸트부(17)를 구비하며,
    - 상기 베이스-푸트부(17)는 베이스(7)의 남아있는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부분과 결합 되는 동시에 전기 전도성이거나 상기 베이스(7)와 함께 전기 전도성 층으로 코팅되었으며,
    - 상기 베이스-푸트부(17)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을 수용하기 위하여 베이스(7)에 대하여 가로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Z)으로 상기 푸트부(17)를 관통하는 채널(117)을 구비하며, 그리고
    - 상기 동축 라인(21)의 외부 도체(27)의 외주면의 적어도 한 섹션이 상기 베이스-푸트부(17)의 채널(117)의 전기 전도성 내벽과 기계식으로 압착되어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푸트부(17)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 내부에 동축 라인(2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 이외에 상기 동축 라인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고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다수의 개별 라인(29b)을 구비한 버스 접속부(29)가 제공되며, 상기 개별 라인은 베이스-푸트부(17)를 관통하는 별도의 채널(117)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그리고 바람직하게 회로 기판(9)의 평면(E-LP)에 대하여 수직의 정렬 상태로 회로 기판-하부 면(9c)으로부터 떨어져서 뻗도록 제공된 다수의 동축 라인(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동축 라인(21)은 베이스-푸트부(17) 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호 분리된 상태로 뻗는 다수 채널(117)의 별도의 하나의 채널(17)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트부(17) 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채널(117')이 바람직하게 다른 채널(117)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버스 접속부(29)에 의해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접속부(29)가 다수의 개별 라인(29b)을 구비하며, 상기 개별 라인은 평행 정렬 상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전기 비-전도성 고정 블록(33)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블록은 개별 라인(29b)에 의해서 일부분의 길이로 관통되는 일련의 개별 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라인(29b)의 회로 기판 측 단부는 바람직하게 아래로 꺾인 라인 단부 형태의 접속 단부(29c)를 구비하며, 상기 접속 단부는 회로 기판(9)과 납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보어 또는 채널(117)을 구비하는 고정 블록(33)이 제공되며, 각각 하나의 동축 도체(21)가 상기 보어 또는 채널을 통과하고, 상기 동축 도체는 상기 고정 블록 위에 고정 및 안정화되어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고정 블록(33)은 데이터 접속부(29)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33)은 바람직하게 회로 기판 측에서 돌출하는 푸트, 핀 또는 리브(33a)를 통해 회로 기판-하부 면(7e)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의 베이스 바닥(7b)에는 리세스 또는 홈(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 또는 홈 내부로는 상기 고정 블록(33)이 적어도 소정의 부분 높이로 밀리지 않게 그리고/또는 비틀리지 않게 잠기는(submerg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도체(21) 및/또는 데이터 접속부(29)는 회로 기판(9)에 대하여 떨어져서 마주한 측에서 상기 고정 블록(33) 위로 돌출하며, 상기 고정 블록(33) 위로 돌출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의 섹션 및/또는 상기 고정 블록(33)의 고정 블록 확대부(33c)는 그 내부에서 뻗는 데이터 접속부(29)에 의해 푸트부(17) 내의 관련 채널(117 또는 117')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9)에 대하여 마주 놓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의 단부에는 커플러(37)가 접속되고, 상기 커플러의 커플러-내부 도체(37a)는 상기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와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속되며, 상기 커플러(37)의 외부 도체(37c)는 푸트부(17) 내에 있는 보어(40, 41) 내부에 기계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푸트부와 갈바니 전기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의 외부 도체(37c)는 상기 푸트부(17) 재료 내 보어(40, 41) 내부로 프레싱 삽입되거나 회전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는 상기 내부 도체(37a)를 둘러싸는 유전체(37b)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는 자신의 세로 연장부 내에서 관련 동축 라인(21)의 축 연장부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가로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로 기판(9)에 마주 놓인 상기 동축 라인(21)의 단부에는 각도 연결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각도 연결부는 커플러(37)로 뻗으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동축 라인(21)의 축 연장부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가로로 그리고 특히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27a)는 자신의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뻗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보어 또는 슬롯 형태의 개구(39)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에 의하여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 및 상기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는 실드 및/또는 동축 라인의 외부 도체로서 이용되는 푸트부(17) 내부에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의 내부 도체(37a)와 상기 동축 라인(21)의 내부 도체(23) 사이에 제공된 연결 영역(37'a)은 유전체로서의 공기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7) 및/또는 버스(29)의 접속 단부에는 상응하게 형성된 인터페이스의 내부 소자(3)가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소자(3)는 회로 기판(109)을 둘러싸고, 상기 회로 기판의 평면은 커플러(37)의 축 연장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소자(3)는 회로 기판(9, 109)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는 플러그-인 방향 및 결합 방향(S)에 의해서 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소자(3)는 회로 기판(9)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행되는 접속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러(37) 및/또는 버스 단자에 플러그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푸트부(1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고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푸트부(17)의 마주 놓인 양쪽 측벽(17c)에 가이드 장치(17c)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장치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소자(3)의 상응하는 가이드 장치(3c)와 상호 작용을 하며, 상기 내부 소자(3)의 가이드 장치(3c)는 상기 푸트부(17)의 세로 연장부에 대하여 가로로 그리고 특히 방사형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3.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3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의 축 연장부 내에서 회로 기판(9)을 마주보면서 상기 푸트부(17)의 보어(40 또는 41)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프레싱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트부(17)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축 라인(21)의 축 연장부 내부에서는 폐쇄용 캡(17c)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 또는 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폐쇄용 캡은 전기 전도성 층에 의해 코팅되며, 상기 전기 전도성 층은 바람직하게 푸트부(17) 내의 개구(17b) 내부에 프레싱 삽입되거나 회전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 톱 안테나.
KR1020137024195A 2011-04-07 2012-03-15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KR101667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6294A DE102011016294B4 (de) 2011-04-07 2011-04-07 Dachantenne, insbesondere Kraftfahrzeug-Dachantenne mit zugehöriger Steckverbindungseinrichtung
DE102011016294.1 2011-04-07
PCT/EP2012/001164 WO2012136306A1 (de) 2011-04-07 2012-03-15 Dachantenne, insbesondere kraftfahrzeug-dachantenne mit zugehöriger steckverbind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286A true KR20140016286A (ko) 2014-02-07
KR101667231B1 KR101667231B1 (ko) 2016-10-28

Family

ID=4593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195A KR101667231B1 (ko) 2011-04-07 2012-03-15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0018B2 (ko)
EP (1) EP2695238B1 (ko)
JP (1) JP5960797B2 (ko)
KR (1) KR101667231B1 (ko)
CN (1) CN103493290B (ko)
DE (1) DE102011016294B4 (ko)
ES (1) ES2537731T3 (ko)
WO (1) WO20121363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28A1 (ko) * 2020-06-11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및 안테나 어셈블리를 차량에 설치하는 방법
KR102625280B1 (ko) * 2023-08-04 2024-01-16 (주)글로벌코넷 전자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를 갖는 수신전용 탈부착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8303B4 (de) * 2012-05-16 2014-05-1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tennenmodul mit Sende- und Empfangsantennenelement
US9509357B2 (en) * 2012-08-17 2016-11-29 Motorola Solutions, Inc. Removable vehicular rooftop communication system
DE102013222951A1 (de) * 2013-11-12 2015-05-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ennen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der Antennenbaugruppe
EP2985842B1 (en) * 2014-08-15 2020-03-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nector arrangement
EP3192126A1 (de) * 2014-09-09 2017-07-1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nmodul
DE102014018428B4 (de) 2014-12-11 2018-10-31 Kathrein Se Antennenmodul
WO2016097182A1 (de) * 2014-12-18 2016-06-23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Wasserdichte lte-antenne mit pu-verguss
DE102015104543A1 (de) * 2015-02-17 2016-08-18 Peiker Acustic Gmbh & Co. Kg Antennenmodul
CN106207496B (zh) * 2015-05-30 2023-03-10 安费诺三浦(辽宁)汽车电子有限公司 组合天线振子及使用该组合天线振子的矮型车载天线
DE102015210321B4 (de) * 2015-06-03 2017-09-0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tennen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10324A1 (de) * 2015-06-03 2016-12-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ntennenmodul
DE102015212170A1 (de) * 2015-06-30 2017-01-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ntaktierung
FR3048130B1 (fr) * 2016-02-19 2018-03-23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Module d'antenne(s)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artie superieure et une partie inferieure
DE102016205927A1 (de) * 2016-04-08 2017-10-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ntennenmodul und Antenn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7178384A1 (fr) * 2016-04-12 2017-10-19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Module d'antenne(s)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feuille métallique
FR3060214B1 (fr) * 2016-12-08 2019-08-16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Module d'antenne(s)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feuille metallique
FR3050076B1 (fr) * 2016-04-12 2020-03-06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Module d'antenne(s)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artie superieure et une partie inferieure
DE102016118629A1 (de) * 2016-06-09 2017-12-14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Kommunikationssystem eines Fahrzeuges mit verbessertem Wärmemanagement
KR101841601B1 (ko) * 2016-09-29 2018-03-23 (주) 멀티패스 자동차용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체결 구조
DE102017202046A1 (de) 2017-02-09 2018-08-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ntennenmodul und Antenn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206697590U (zh) * 2017-03-21 2017-12-0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遥控器和天线组件
DE102017206632B3 (de) * 2017-04-20 2018-03-01 Audi Ag Wandlervorrichtung zur Anpassung einer Antennenimpedanz mit Gehäus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eingebauter Wandlervorrichtung
US10267383B2 (en) * 2017-05-03 2019-04-23 The Boeing Company Self-aligning virtual elliptical drive
JP2019009712A (ja) * 2017-06-28 2019-01-17 マツダ株式会社 車載用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6543663B2 (ja) 2017-09-07 2019-07-10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装置
US10103503B1 (en) 2017-09-27 2018-10-16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02744B1 (en) * 2018-02-23 2019-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nsor assembly
CN110911801B (zh) * 2018-09-14 2023-12-26 法雷奥汽车内部控制(深圳)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天线模块
KR102217182B1 (ko) * 2018-11-19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장치
EP3896787A4 (en) 2018-12-10 2022-11-30 LG Electronics Inc. VEHICLE MOUNTED ANTENNA SYSTEM
CN110654321B (zh) * 2019-09-29 2022-06-28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导航系统的安装结构及工程机械
CN115461950A (zh) * 2020-05-13 2022-12-09 Gaf能源有限责任公司 电力电缆穿透件
FR3111240B1 (fr) * 2020-06-08 2022-08-05 Speedinnov Support d’antenne propre à être monté sur une caisse d’une voiture de véhicule, dispositif de communication, voiture et procédé d’installation associé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15503U1 (de) * 2004-10-06 2004-12-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anordnung für HF-Signalweg
WO2006108624A1 (de) * 2005-04-12 2006-10-1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 für ein fahrzeug mit verbesserter bodenplatte und kontaktier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2619A1 (de) 1970-07-01 1972-01-20 Kathrein Werke Kg Fahrzeugantenne, insbesondere Kraft fahrzeug-Funkantenne
DE4336191C2 (de) 1993-10-23 1999-05-06 Fuba Automotive Gmbh Sockelaufbau für eine Kraftfahrzeug-Stabantenne
FR2719418B1 (fr) 1994-04-27 1996-07-26 Ernest Pizon Embase d'antenne ayant un écrou porté par un support muni de moyens de montage unidirectionnel.
DE29500961U1 (de) 1995-01-13 1995-06-14 Hirschmann Richard Gmbh Co Antennenanordnung
US6441315B1 (en) 1998-11-10 2002-08-27 Formfactor, Inc. Contact structures with blades having a wiping motion
JP3743263B2 (ja) * 2000-05-31 2006-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電話機用アンテナ装置
ITRE20010081A1 (it) 2001-07-30 2003-01-30 Zendar Spa Antenna multifunzione da padiglione, per autoveicoli
DE102005044611A1 (de) * 2004-09-28 2006-03-3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Antenne an einem Fahrzeug mittels Klemmkraft, erzeugt vorzugsweise durch einen Schiebvorgang
DE102005044610A1 (de) 2004-09-28 2006-03-3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Antenne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Antenne an einem Fahrzeug mittels Klemmkraft, erzeugt vorzugsweise durch ein Drehbajonett
DE102005029686A1 (de) 2005-02-21 2006-08-24 Wilhelm Sihn Jr. Gmbh & Co. Kg Antenne und Mittel zum Befestigen der Antenne auf einem Fahrzeug sowie zum Anschließen der Antenne an ein oder mehrere Kabel eines im Fahrzeug verlegten Kabelbaumes
DE202005004658U1 (de) * 2005-03-22 2005-06-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fz-Dachantenne
DE102005044618B4 (de) * 2005-04-12 2022-06-3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Befestigung einer Dachantenne eines Fahrzeuges mit einem Klemmteil
DE112006000067A5 (de) * 2005-04-12 2007-08-23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 in einfacher und kostengünstiger Bauweise
DE202005020107U1 (de) * 2005-12-23 2007-02-15 Kathrein-Werke Kg An einer Leiterplatine elektrisch angeschlossene koaxiale H-Steckverbindungs-Einrichtung sowie zugehörige Steckverbindereinheit
DE102006025176C5 (de) 2006-05-30 2023-02-23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Antennenmodul für ein Fahrzeug
JP2008085386A (ja) * 2006-09-25 2008-04-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アンテナの取付構造
ATE510321T1 (de) * 2006-11-30 2011-06-15 Kathrein Werke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anbauteil inbesondere in form einer kfz-antenne
DE102007050109B4 (de) * 2007-10-19 2009-08-20 Wilhelm Sihn Jr. Gmbh & Co. Kg Fahrzeuganten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hrzeugantenne
DE102009012641A1 (de) * 2009-03-10 2010-09-23 Wilhelm Sihn Jr. Gmbh & Co. Kg Fahrzeugantenne
DE102009051605B4 (de) * 2009-11-02 2022-08-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ochintegrierte Multiband-Finnenantenne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15503U1 (de) * 2004-10-06 2004-12-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anordnung für HF-Signalweg
WO2006108624A1 (de) * 2005-04-12 2006-10-19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 für ein fahrzeug mit verbesserter bodenplatte und kontaktier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528A1 (ko) * 2020-06-11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및 안테나 어셈블리를 차량에 설치하는 방법
KR102625280B1 (ko) * 2023-08-04 2024-01-16 (주)글로벌코넷 전자 빔 조향 위상배열 안테나를 갖는 수신전용 탈부착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5238A1 (de) 2014-02-12
ES2537731T3 (es) 2015-06-11
JP5960797B2 (ja) 2016-08-02
DE102011016294B4 (de) 2013-09-12
EP2695238B1 (de) 2015-03-04
DE102011016294A1 (de) 2012-10-11
JP2014514834A (ja) 2014-06-19
US9270018B2 (en) 2016-02-23
CN103493290A (zh) 2014-01-01
WO2012136306A1 (de) 2012-10-11
CN103493290B (zh) 2015-09-02
US20140028507A1 (en) 2014-01-30
KR101667231B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6286A (ko) 루프 톱 안테나, 특히 관련 플러그형 연결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루프 톱 안테나
US7384306B2 (en) RF connector with adjacent shielded modules
US7307495B2 (en) Electrical filter assembly having IDC connection
US7160151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4364265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7252513B1 (en) Coaxial RF connection devic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as well as associated connector unit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CN110247262B (zh) 具有阻抗控制体的电气装置
US7789678B2 (en) Multipolar connector and portable radio terminal or small-sized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olar connector
US1064441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4729307B2 (ja) 一体品の誘電性カバーを有する回路基板用コネクタ
CN110034430B (zh)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US7014480B1 (en)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or assemblies
US10998652B2 (en) Shield terminal
CN108155499B (zh) 板对板型射频插头、插座及其连接器组件
CN110190431B (zh) 电连接器
US6215457B1 (en) Transmitter and / or receiver unit for an antitheft system of a motor vehicle
KR100765653B1 (ko) 자동차용 글래스 안테나 잭
US20100099301A1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electrically coupled to a cable shield
US10096922B2 (en)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biased electrical connection
JP2005347172A (ja) ガラス板の電気接続構造
KR20150028690A (ko) 자동차용 복합 플러그 커넥터 및 복합 커넥터 조립체
JP2003249318A (ja) 電子素子内蔵コネクタ端子構造
JP2004055203A (ja) ダイバーシティ受信機用基板コネクタ
US20230411893A1 (en) Mini type fakra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