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27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271A
KR20140012271A KR1020120078653A KR20120078653A KR20140012271A KR 20140012271 A KR20140012271 A KR 20140012271A KR 1020120078653 A KR1020120078653 A KR 1020120078653A KR 20120078653 A KR20120078653 A KR 20120078653A KR 20140012271 A KR20140012271 A KR 2014001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air
data
fan out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568B1 (ko
Inventor
김덕성
신동규
윤여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568B1/ko
Priority to US13/686,118 priority patent/US9280947B2/en
Publication of KR2014001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선,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꺾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하나는 상기 게이트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데이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또는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등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으로 구분되며, 주변 영역에는 구동부 및 기타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최근 표시 장치는 점점 가볍고, 더 얇아지고 저전력화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러한 경향에 더불어 표시 장치의 베젤 부분도 그 폭이 좁아지는 추세에 있다. 베젤 부분의 폭을 좁히기 위해서는 표시 영역을 둘러 싸고 있는 주변 영역의 폭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에는 다양한 배선 및 구동부가 부착되어 있어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의 배선의 길이를 줄여 작은 베젤을 가질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게이트선,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꺾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하나의 상기 꺾인 구조는 상기 게이트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꺾인 구조는 상기 데이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 아웃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가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 아웃 배선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상기 신호 전달부와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꺾인 구조에서 서로 중첩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소는 두 개의 부화소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부화소는 하나의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부화소는 서로 다른 하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부화소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데이터선은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전압은 서로 다른 시간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을 절연시키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저유전율 물질로 형성되거나 일정 두께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꺾인 구조 중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팬 아웃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사선 방향으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는 꺾여 있는 꺾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은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 영역의 팬 아웃부에 형성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 중 인접하는 두 개를 각각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하여 팬 아웃 배선의 길이를 줄이고, 팬 아웃 영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다.
도 4는 도 3의 IV-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 및 중첩시 전압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7의 팬 아웃 배선으로 이루어진 팬 아웃 영역의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구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300), 신호 제어부(600),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를 포함한다.
먼저, 표시 패널(300)은 화소(PX)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310)과 표시 영역(310)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영역(320)을 가진다. 표시 패널(300)은 다양한 방식의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소(PX)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하나의 화소(PX)는 두 개의 부화소로 구분되어 있으며, 두 부화소는 하나의 게이트선(G1)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 별개의 데이터선(D11, D12)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부화소는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화소 전극과 삼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화소 전극은 미세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도 4의 110참고)에 게이트선(G1)이 먼저 형성되고, 그 위에 절연막(게이트 절연막; 도 4의 140참고)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데이터선(D11, D12)를 형성한다. 데이터선(D11, D12)의 위에는 보호막(도 4의 180참고)을 형성한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선(D11, D12)이 먼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부화소의 크기가 다르게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실시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 및 -표시를 통하여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하나의 화소에 속하는 두 부화소는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다. 하지만, 이 내용도 실시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2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선을 통하여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되면 그 때 한 쌍의 데이터선에 흐르는 한 쌍의 데이터 전압이 각 부화소로 인가된다.
도 2와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소가 부화소로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고, 두 개의 게이트선과 하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거나, 하나의 게이트선과 하나의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를 가지며, 데이터 구동부(550)는 데이터선(D1, D2)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게이트 구동부(450)는 게이트 온 전압을 순차적으로 게이트선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는 인쇄 회로 기판(PCB; 510, 410)과 표시 패널(300)을 연결하는 인쇄 회로 필름(FPC; 520, 420)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550)는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510)과 표시 패널(300)을 연결하는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450)는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410)과 표시 패널(300)을 연결하는 게이트 인쇄 회로 필름(420)위에 형성되어 있다. 인쇄 회로 필름(FPC; 520, 42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표시 패널(300)의 뒤로 인쇄 회로 기판(PCB; 510, 410)을 꺾어 숨길 수 있다.
도 1에서는 게이트 구동부(450),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410) 및 게이트 인쇄 회로 필름(420)은 표시 패널(30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패널(300)의 주변 영역(320)에 화소(PX)의 형성 공정시 함께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주변 영역(320)의 폭이 증가할 수 있어 베젤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인쇄 회로 필름(FPC; 520, 420)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을 통하여 표시 패널(300)의 패드부(도 3의 P1, P2 참고)로 전달된다.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는 신호 제어부(6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부(550) 및 게이트 구동부(450)를 제어하여 화상이 표시 패널(3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신호 제어부(600)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는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와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와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를 모두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으로 전달하고,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에서 표시 패널(300)의 S 부분을 통하여 양측의 게이트 구동부(45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S 부분에 형성될 배선이 증가되어 표시 패널(300)의 주변 영역(320)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는 신호 제어부(600)에서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410)으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주변 영역(320)은 표시 영역(310)의 외곽에 매우 좁게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는 더 좁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주변 영역(320)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550) 주변의 구조(S도 표시되어 있음)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며, 도 4는 도 3의 IV-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주변 영역(320)은 팬 아웃 배선 영역(325) 및 정전기 방지 영역(321)을 더 포함한다. 정전기 방지 영역(321)은 표시 영역(310)에 더 가까이 위치하며, 팬 아웃 배선 영역(325)은 데이터 구동부(550) 및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전기 방지 영역(321)과 표시 영역(310)의 사이에 더미 화소 영역(도시하지 않음)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먼저, 정전기 방지 영역(32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패널 제조시 및 기타 사용시에 생성된 정전기가 표시 영역(310)의 화소(PX)로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전기 방지 영역(321)에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정전기가 표시 영역(310)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정전기 방지 영역(321)의 상부에 위치하는 팬 아웃 배선 영역(325)에는 패드(P1, P2), 신호 전달부(C1, C2) 및 연결부(S1, S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의 구조는 인접하는 두 개의 데이터선(D11, D12)로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팬 아웃 배선을 도시한 것이다.
각 팬 아웃 배선은 기판(110)의 주변 영역(320)의 팬 아웃 배선 영역(325)에 형성된다. 각 팬 아웃 배선은 패드(P1, P2) 및 신호 전달부(C1, C2)를 포함한다. 패드(P1, P2)는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고, 팬 아웃 배선이 연결되어야 하는 배선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이므로 하나의 연결부(S1, S2)를 통하여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게이트선 층의 배선을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부(S1, S2)는 신호 전달부(C1, C2)를 신호 전달부와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는 패드 또는 배선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각 팬 아웃 배선은 패드(P1, P2), 신호 전달부(C1, C2) 및 연결부(S1, S2)를 포함하게 된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S1, S2)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D11의 데이터선과 연결되는 팬 아웃 배선(이하 D11용 팬 아웃 배선이라 함)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1)를 포함하며,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S1)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1)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진다. 이 부분은 팬 아웃 배선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즉, 팬 아웃 배선을 통하여 신호가 전달되게 되는데, 팬 아웃 배선이 방사 형태로 퍼지는 구조를 기본 구조로 가지기 때문에 각 팬 아웃 배선의 길이가 다르고 그로 인하여 저항이 달라 신호 지연이 서로 다르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각 팬 아웃 배선의 저항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길이가 짧은 팬 아웃 배선은 신호 전달부(C1, C2)를 꺾어서 길이를 늘려 모든 팬 아웃 배선에서의 저항을 일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S1)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전극은 보호막(18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D12의 데이터선과 연결되는 팬 아웃 배선(이하 D12용 팬 아웃 배선이라 함)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2)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2)와 신호 전달부(C2)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S2)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 전달부(C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2)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며, C2 신호 전달부의 꺾인 구조와 C1 신호 전달부의 꺾인 구조는 서로 중첩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든 팬 아웃 배선은 그 저항값이 일정해야 하므로 D11용 팬 아웃 배선과 D12용 팬 아웃 배선도 서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먼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경우를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었더라도 두께가 다른 경우에는 폭을 다르게 하여 저항을 일정하게 맞춘다. 도 3에서는 C1 신호 전달부와 C2 신호 전달부의 폭이 다르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두 선폭이 동일한 경우 서로 중첩하는 것을 도시하기 어려워 이와 같이 도시한 것으로 반드시 선폭이 달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었고, 두께가 같은 경우에는 C1 신호 전달부와 C2 신호 전달부의 폭을 동일하게 하여 저항을 같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된 경우를 살펴본다.
두 층이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께 및 선폭 그리고 길이를 조절하여 저항을 동일하게 맞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의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하여 전체 저항이 일정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중첩하는 구간이 길어서 중첩에 의하여 발생하는 커패시턴스가 크고 그로 인하여 신호 간섭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첩하는 팬 아웃 배선이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하나의 화소(PX)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데이터선(D11, D12)과 연결하고 있다.
먼저, 도 2와 같은 한 쌍의 부화소를 가지는 구조에서 한 쌍의 데이터선(D11, D12)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대해서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 및 중첩시 전압 차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서의 하이 신호(high signal)는 데이터 전압으로 하이 부화소(도 2의 부화소 중 작고 위에 위치하는 부화소임)에 인가되며, 로우 신호(low signal)은 데이터 전압으로 로우 부화소(도 2의 부화소 중 크고 아래에 위치하는 부화소)에 인가된다.
도 5에서는 두 부화소에 인가되는 전압을 개별 도시하고 있지만, 도 6에서는 이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그래프로 합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최대 전압인 화이트 전압 및 최저 전압인 블랙 전압에서는 하이 신호나 로우 신호나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즉, 하나의 화소가 화이트나 블랙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한 쌍의 데이터선에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팬 아웃 배선에서 두 신호 전달부(C1, C2)가 중첩하더라도 전압의 크기 차이로 인한 상호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도 6에서 살펴보면, 중간 계조(Gray)를 표시할 때에는 한 쌍의 데이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부화소에 인가되는 레벨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상호 간섭이 크지 않다.
즉, 도 3과 같은 서로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이 서로 인접하는 화소 (또는 서로 다른 화소에 속하는 부화소)와 연결되는 경우 두 화소가 서로 다른 계조를 표현하게 되면 두 데이터 전압의 차이가 크게 되고, 또한, 극성 반전을 하는 경우에는 그 값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5 및 6의 실시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신호 간섭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이 있더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두 배선(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140)의 물질을 저유전율 물질을 사용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하여 중첩하여 발생하는 커패시턴스값을 낮추어 주는 것에 의하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로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을 반으로 나누어 서로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에 교대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두 데이터 전압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이 서로 중첩하지 않거나(도 11 및 도 12 참고) 일부만 중첩(도 13 및 도 14 참고)하도록 하여 신호 간섭을 줄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7에서는 팬 아웃 배선 영역(325)에서 표시 영역(310)의 외곽선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팬 아웃 배선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다.
각 팬 아웃 배선은 패드(PG11, PG12) 및 신호 전달부(CG11, CG12)를 포함한다. 패드(PG11, PG12)는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고, 팬 아웃 배선이 연결되어야 하는 배선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이므로 하나의 연결부를 통하여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게이트선 층의 배선을 연결한다. 또한, 팬 아웃 배선이 사선으로 형성되면서 중첩하고 있으므로 마지막 단에서 꺾여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그 결과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하나는 꺾여서 연결되는 꺾임부(CG12’)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각 팬 아웃 배선은 패드(PG11, PG12), 신호 전달부(CG11, CG12, CG12’) 및 연결부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꺾임부(CG12’)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1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11)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11)는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팬 아웃 배선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충분히 큰 저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한편, 꺾임부(CG12’)가 형성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12)와 데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1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G12)와 신호 전달부(CG12)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 전달부(CG1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지만, 연결되기 위하여 꺾여 있는 꺾임부(CG12’)를 가진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12)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대부분의 구간에서 CG11 신호 전달부와 중첩하는 구조를 가진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든 팬 아웃 배선은 그 저항값이 일정해야 하므로 D11용 팬 아웃 배선과 D12용 팬 아웃 배선도 서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져야 한다.
도 3의 팬 아웃 배선과 도 7의 팬 아웃 배선은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550)의 출력을 데이터선으로 전달하는데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3 및 도 7의 팬 아웃 배선으로 이루어진 팬 아웃 영역의 배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55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내에 형성된 배선을 거쳐 팬 아웃 배선의 패드로 전달된다. 그 후 팬 아웃 배선은 표시 영역(310)의 데이터선으로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도 2에서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이 부착된 영역과 영역 사이에 공간이 있으므로 팬 아웃 배선은 방사 형태로 퍼지면서 연장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도 8에서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의 중앙부에서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배선이 위치하고, 외각에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배선이 위치하게 된다. 이 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배선과 도 7의 실시예에 다른 팬 아웃 배선은 모두 저항값이 일정하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이 중첩하면서 연장되므로 정해진 주변 영역(320)에서 팬 아웃 배선이 지그재그로 꺾이면서 연장될 수 있는 좌우 공간이 두 배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지그재그로 꺾이는 구조가 짧아질 수 있어 주변 영역(32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데이터 인쇄 회로 필름(520)의 외각에 위치하는 팬 아웃 배선도 도 3과 같이 지그재그로 꺾이는 구조를 가지면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통하여 다양한 실시예의 팬 아웃 배선 구조를 살펴본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팬 아웃 배선의 구조이다.
먼저, 도 9 및 도 10은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패드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P2 패드가 P1 패드와 달리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P1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1)를 포함하며,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1)는 ‘F’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진다. 이 부분은 팬 아웃 배선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전극은 보호막(18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P2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2)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2)와 신호 전달부(C2)는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전달부(C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2)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며, 대부분의 구간에서 C1 신호 전달부와 중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9의 P2 패드에 연결된 팬 아웃 배선은 별도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도 10의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PG2 패드가 PG1 패드와 달리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꺾임부(CG2’)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1)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1)는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팬 아웃 배선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충분히 큰 저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그 재그 꺾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꺾임부(CG2’)가 형성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2)와 데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G2)와 신호 전달부(CG2)는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신호 전달부(CG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지만, 연결되기 위하여 꺾여 있는 꺾임부(CG2’)를 가진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2)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대부분의 구간에서 CG1 신호 전달부와 중첩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10의 실시예에서 꺾임부(CG2’)가 형성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은 별도의 연결부 없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신호 전달부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 실시예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3,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신호 전달부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중첩하지 않는 구조도 인접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므로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주변 영역의 폭이 줄어든다.
즉,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P1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1)를 포함하며,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1)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진다. 이 부분은 팬 아웃 배선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전극은 보호막(18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P2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2)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2)와 신호 전달부(C2)는 연결부(S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전달부(C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2)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며, C1 신호 전달부와 일정 거리를 띄어 형성되며, 서로 중첩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7, 도 10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신호 전달부가 서로 중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꺾임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먼저, PG1 패드와 연결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1)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1)는 도 11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팬 아웃 배선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충분히 큰 저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그 재그 꺾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PG2 패드와 연결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2)와 데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G2)와 신호 전달부(CG2)는 연결부(SG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신호 전달부(CG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2)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CG1 신호 전달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중첩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7 및 도 10의 실시예와 달리 신호 전달부 CG1 및 CG2가 서로 중첩하지 않으므로 마지막 단에서 서로를 분리시켜 주는 꺾임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신호 전달부가 일부만 중첩하는 실시예이다.
도 13의 실시예는 도 3, 도 9, 도 11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신호 전달부가 일부만 중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중첩하는 구조도 인접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므로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주변 영역의 폭이 줄어든다.
즉,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P1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1)를 포함하며,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1)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진다. 이 부분은 팬 아웃 배선의 저항값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화소 전극은 보호막(18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P2 패드와 연결된 배선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2)와 데이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2)와 신호 전달부(C2)는 연결부(S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전달부(C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2)는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며, C1 신호 전달부와 일부 중첩하면서 꺾이는 구조를 가진다.
도 14의 실시예는 도 7, 도 10,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신호 전달부가 일부만 중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꺾임부는 별도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PG1 패드와 연결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1)와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1)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1)는 도 13의 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팬 아웃 배선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충분히 큰 저항을 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그 재그 꺾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PG2 패드와 연결되어 있는 팬 아웃 배선을 살펴본다.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패드(PG2)와 데이트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신호 전달부(CG2)를 포함한다. 그 결과 패드(PG2)와 신호 전달부(CG2)는 연결부(SG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신호 전달부(CG2)는 마지막 단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선 층의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연결부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CG2)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지그재그로 형성된 구조를 가져 CG1 신호 전달부와 일부 중첩한다.
또한, 도 7 및 도 10의 실시예와 달리 신호 전달부 CG1 및 CG2가 서로 중첩하지 않으므로 마지막 단에서 서로를 분리시켜 주는 꺾임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3, 도 7, 도 9 내지 도 14를 통하여 팬 아웃 배선의 다양한 구조를 살펴보았다.
하나의 표시 패널(300)의 주변 영역(320)에 형성되는 팬 아웃 배선은 모두 일정한 저항을 가질 필요가 있으므로, 어떠한 구조를 사용하여 팬 아웃 배선을 형성하더라고 동일한 저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550)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두 종류의 팬 아웃 배선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 도 9, 도 11 및 도 13과 같이 지그재그로 꺾인 구조를 가지는 팬 아웃 배선과 도 7, 도 10, 도 12 및 도 14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뻗은 구조를 가지는 팬 아웃 배선이 사용될 수 있다. 지그재그로 꺾인 구조의 팬 아웃 배선은 데이터 구동부(550)의 중앙 부분에서 형성되며, 사선 방향으로 뻗은 팬 아웃 배선은 데이터 구동부(550)의 양측 외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종류의 팬 아웃 배선도 모두 동일한 저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즉,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을 형성하는 물질이 동일한 경우 두께/길이/폭을 이용하여 저항을 일정하게 한다. 먼저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면, 길이/폭도 동일하게 하여 저항을 일정하게 할 수 있고, 두께가 다르면, 길이/폭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하여 저항을 일정하게 한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을 형성하는 물질이 다른 경우에는 두께/길이/폭을 이용하여 저항을 일정하게 한다. 한편,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을 형성하는 물질이 다른 경우 화소 전극층을 이용하여 연결부를 형성하여 저항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즉, 팬 아웃 배선을 단선 시키고 해당 단선 부분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저항값을 변경시켜 전체 팬 아웃 배선의 저항값을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중첩하지 않거나 중첩하거나 일부만 중첩할 수 있는데, 일부 또는 대부분의 영역이 중첩하는 경우에는 중첩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생 커패시턴스는 줄일 필요가 있어, 이를 줄이는 방법도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먼저, 도 2의 화소 구조와 같이 하나의 화소를 두 개의 부화소로 나누고 한 쌍의 데이터선이 각 부화소와 연결되는 경우 두 부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이 한 쌍의 데이터선이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연결되도록 하여 전압 차에 의한 신호 간섭이 적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의 화소 구조와 다른 경우에도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통하여 인가되는 두 개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 타이밍을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하거나 중첩하는 시간을 줄여 기생 커패시턴스 및 신호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때에는 하나의 게이트 온 타이밍을 두 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 하나씩의 데이터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사이에 형성되는 절연막(게이트 절연막)의 두께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하거나 저 유전 물질로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턴스 값을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중첩하지 않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형성하거나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일부만 중첩하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일 수 있다. 이 때에도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다른 층(게이트선층과 데이터선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기판 140: 게이트 절연막
180: 보호막 300: 표시 패널
310: 표시 영역 320: 주변 영역
321: 정전기 방지 영역 325: 팬 아웃 배선 영역
410, 510: 인쇄 회로 기판 420, 520: 인쇄 회로 필름
450: 게이트 구동부 550: 데이터 구동부
600: 신호 제어부
D1, D2, D11, D12: 데이터선 G1, G2: 게이트선
P1, P2, PG1, PG2, PG11, PG12: 패드
C1, C2, CG1, CG2, CG11, CG12: 신호 전달부
CG12’, CG2’: 꺾임부 S1, S2, SG2: 연결부

Claims (16)

  1. 게이트선,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꺾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 중 하나의 상기 꺾인 구조는 상기 게이트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꺾인 구조는 상기 데이터선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ㄹ’자 형태로 지그재그 꺾인 구조를 가지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팬 아웃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가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지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팬 아웃 배선은 상기 신호 전달부를 상기 신호 전달부와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꺾인 구조에서 서로 중첩하고 있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화소는 두 개의 부화소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부화소는 하나의 상기 게이트선과 연결되며, 상기 두 개의 부화소는 서로 다른 하나의 데이터선과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부화소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데이터선은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각각 연결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에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전압은 서로 다른 시간에 인가되는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을 절연시키는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저유전율 물질로 형성되거나 일정 두께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꺾인 구조 중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하고 있는 표시 장치.
  10. 제3항에서,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는 서로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팬 아웃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 패드, 및 상기 데이터 전압을 사선 방향으로 전달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팬 아웃 배선의 상기 신호 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는 꺾여 있는 꺾임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상기 꺾인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팬 아웃 배선은 서로 동일한 저항 값을 가지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주변 영역은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한 쌍의 팬 아웃 배선과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078653A 2012-07-19 2012-07-19 표시 장치 KR10190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53A KR101903568B1 (ko) 2012-07-19 2012-07-19 표시 장치
US13/686,118 US9280947B2 (en) 2012-07-19 2012-11-2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653A KR101903568B1 (ko) 2012-07-19 2012-07-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271A true KR20140012271A (ko) 2014-02-03
KR101903568B1 KR101903568B1 (ko) 2018-10-04

Family

ID=4994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653A KR101903568B1 (ko) 2012-07-19 2012-07-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0947B2 (ko)
KR (1) KR101903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4324A (ja) * 2016-12-20 2020-02-06 深▲セン▼市華星光電技術有限公司 表示装置
US10985233B2 (en) 2019-06-03 2021-04-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69302B2 (en) 2019-06-05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extended connecting l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84391U (zh) * 2012-12-19 2013-07-2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及液晶显示器
US10140924B2 (en) * 2014-11-04 2018-11-27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9589521B2 (en) * 2014-11-20 2017-03-0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wire-on-array structure
US20160195708A1 (en) * 2015-01-05 2016-07-0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ot inversion layout
JP6590505B2 (ja) * 2015-04-06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5047143A (zh) * 2015-09-07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424443B1 (ko) 2015-09-14 2022-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137682A (zh) * 2015-09-25 2015-12-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扇出结构及电子装置
CN105487314A (zh) * 2016-01-07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和显示装置
KR20180024081A (ko) * 2016-08-25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CN107634072B (zh) * 2017-10-25 2020-04-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面板
KR101984971B1 (ko) * 2017-12-12 2019-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90258345A1 (en) * 2018-02-22 2019-08-22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Assembling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of Touch Panel
US20200092992A1 (en) * 2018-09-13 2020-03-19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anout trace layou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WI697141B (zh) * 2018-12-11 2020-06-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元件基板
CN109449194A (zh) * 2018-12-17 2019-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全屏显示面板
KR20200116582A (ko) * 2019-04-01 2020-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포토 마스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08201A (ko) 2019-07-10 2021-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13449A (ko) * 2019-07-25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8542A (ko) 2020-02-25 2021-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1240114B (zh) * 2020-03-16 2021-06-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液晶显示面板
CN111933674A (zh) * 2020-08-18 2020-1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7308A1 (en) * 2005-10-31 2007-05-03 Wen-Hsiung Liu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56769A1 (en) * 2008-12-24 2010-06-24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7796104B2 (en) * 2005-04-13 2010-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199A (en) 1993-01-27 1997-01-07 Sharp Kabushiki Kaisha Assembly structure of a flat type device including a panel having electrode terminals disposed on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3276557B2 (ja) 1996-05-23 2002-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166329A (ja) 1998-11-11 2001-06-22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
CN1149438C (zh) 1998-11-11 2004-05-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2003255381A (ja) 2001-12-28 2003-09-10 Advanced Display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78090B2 (ja) 2003-09-19 2008-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極配線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0961268B1 (ko) 2003-12-30 2010-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060078675A (ko) 2004-12-30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4799952B2 (ja) 2005-08-08 2011-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171184B1 (ko) 2005-09-06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300683B1 (ko) * 2006-02-06 2013-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117268A (ko) 2006-06-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판
KR101353493B1 (ko) * 2007-02-28 201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어레이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627245B1 (ko) 2009-05-11 2016-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675839B1 (ko) 2009-12-14 2016-1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30101330A (ko) 2012-03-05 2013-09-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6104B2 (en) * 2005-04-13 2010-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70097308A1 (en) * 2005-10-31 2007-05-03 Wen-Hsiung Liu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56769A1 (en) * 2008-12-24 2010-06-24 Au Optronics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4324A (ja) * 2016-12-20 2020-02-06 深▲セン▼市華星光電技術有限公司 表示装置
US10985233B2 (en) 2019-06-03 2021-04-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83965B2 (en) 2019-06-03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69302B2 (en) 2019-06-05 2021-07-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extended connecting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568B1 (ko) 2018-10-04
US20140022148A1 (en) 2014-01-23
US9280947B2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2271A (ko) 표시 장치
US10838532B2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US11796878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display panel
JP5680282B2 (ja) 表示装置
US96716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50047400A (ko) 표시 장치 멀티 패널 표시 장치
US20120319623A1 (en) Lead line structure and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KR101984971B1 (ko) 표시 장치
KR20120049322A (ko) 디바이스 기판
KR101931248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007159B2 (en) Display device
US8670101B2 (en) Display device
US110481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4868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5577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61444A (ko)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