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435A -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435A
KR20140007435A KR1020137024248A KR20137024248A KR20140007435A KR 20140007435 A KR20140007435 A KR 20140007435A KR 1020137024248 A KR1020137024248 A KR 1020137024248A KR 20137024248 A KR20137024248 A KR 20137024248A KR 20140007435 A KR20140007435 A KR 2014000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tact
side element
contact point
elemen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095B1 (ko
Inventor
베른트 라타이
자샤 클레트
옌스 슈나이더
구이도 조예츠
요아힘 슈티어
페터 빈클러
라이너 마이어
그레고르 예니히
바스티안 부흐홀츠
제바스티안 루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0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10), 특히 가스 센서의 세라믹 센서 소자 상에 형성된 접촉점(14)의 콘택팅을 위한 콘택 소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콘택 소자는 상기 접촉점(14) 상에 압력 끼워맞춤 방식 지지를 위한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전기 접속 도체(15)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2개의 소자 섹션들(11, 12)을 서로 접속하는, 열 팽창 보상용 중간 섹션(13)을 포함한다. 특히, 콘택 소자용 고가의 내열성 재료의 절감에 의해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후속하는 조립시 조립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적어도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각각의 소자 섹션(11, 12)의 기능에 알맞은 재료 특성을 가진 상이한, 화합 결합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CONTACT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바디, 특히 가스 센서의 세라믹 센서 소자 상에 형성된 접촉점의 콘택팅을 위한 콘택 소자에 관한 것이다.
가스 센서 또는 가스 측정 센서의 센서 소자와 접속 케이블의 전기 도체와의 공지된 전기 콘택팅(DE 196 38 208 C2)은 적어도 하나의 콘택 부품 또는 콘택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 부품 또는 콘택 소자는 센서 소자의 접속 측 섹션 상에 형성된 접촉점들 중 하나에 압력 끼워맞춤 방식으로 접촉된다. 콘택 소자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접촉점 상에 놓인 센서 소자 측 또는 접촉점 측 섹션, 접속 케이블의 전기 도체와 접속된 접속 측 섹션, 및 콘택 소자의 열 팽창 및/또는 기계적 팽창 및 운동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치형 중간 섹션을 포함한다. 콘택 소자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접촉점은 적어도 95% 백금을 포함하는 소결된 백금-서멧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예컨대 가스 센서에 조립시 이미, 작동 중에 주어지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기능상 알맞게 설계된 영역을 갖는 콘택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콘택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 소자는 예컨대 가스 센서에 공급 및 조립시 이미, 작동 중에 주어지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기능상 알맞게 설계된 영역을 갖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비용을 줄이고 조립을 개선하거나 용이하게 한다. 고가의 내열성 재료의 사용은 접촉점 측 소자 섹션에 제한될 수 있고, 접속 측 소자 섹션은 더 낮은 강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콘택 소자에 접속 케이블의 전기 도체를 접속할 때 크림프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고 크림프 공구의 마모를 줄인다. 일체형 콘택 소자는 완성된 유닛이므로, 예컨대 가스 센서 내에 전기 콘택팅을 형성하기 위한 콘택 소자의 후속 조립시, 예컨대 센서 및 케이블 하니스 조립시, 개별 소자 섹션을 접속하기 위한 복잡한 프로세스가 생략된다.
청구항 제 2 항 내지 제 6 항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 청구항 제 1 항에 제시된 콘택 소자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접촉점 측 소자 섹션은 DIN 10269에 따른 내열성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열성 및 고내열성 니켈 기반 합금의 사용은 콘택 소자의 긴 수명과 더불어 큰 접촉력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접속 측 소자 섹션은 내식성 강, 즉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 예컨대 강 1.4303으로 이루어진다. 이 재료는 충분히 큰 파단 연신율 및 낮은 냉간 가공 경화 경향을 갖는다. 이 재료는 양호하게 성형 가능하기 때문에, 접속 측 소자 섹션과 접속 케이블의 전기 도체와의 결합을 위한 크림프에 매우 적합하고 크림프 공구의 너무 심한 마모를 방지하므로, 상기 크림프 공구가 긴 수명을 갖는다. 접속 측 소자 섹션의 충분한 변형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용화 열처리된 상태의 상기 재료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중간 섹션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냉간 가공 경화된 내식성 강, 예컨대 강 1.4310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섹션의 구조적 디자인, 예컨대 아치와 함께 상기 재료 선택에 의해, 중간 섹션의 팽창력, 즉 그 축 방향 스프링 특성 곡선은 예컨대 가스 센서에서 추가 부품들의 상이한 열 팽창이 보상되도록 설정된다. 가스 센서에서 콘택 소자는 접속 케이블 및 탄성 중합체 소켓의 전기 도체를 통해 금속 보호 슬리브와 접속되며, 상기 보호 슬리브는 온도 상승시 센서 소자보다 훨씬 더 팽창된다. 중간 섹션에서 나타나는 팽창 보상에 의해, 센서 소자에서의 접촉점과 콘택 소자 사이의 상대 운동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기계적 부식으로 인한 접촉 저항의 상승이 방지된다. 중간 섹션의 높은 항복점을 야기하는, 냉간 가공 경화된 상태는 변형 특성 곡선이 탄성 범위에 남아있어서,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변형이 가역적이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콘택 홀더 내에 부분적으로만 수용되는 콘택 소자의 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중간 섹션 내의 주기적인 변형이 탄성 범위 내에 남아 있어서 가역적이기 때문에, 콘택 소자 및 그에 따라 가스 센서는 더 높은 피로 부하에 노출될 수 있다.
재료 특성이 기능적으로 조정된 소자 섹션들을 구비한 콘택 소자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8 항, 제 9 항 및 제 10 항에 제시된다.
청구항 제 8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개별 소자 섹션이 제조 기술상 바람직한 방식으로 기능상 요구 조건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중간 섹션과 접촉점 측 소자 섹션 및 접속 측 소자 섹션과의 부분적인 일체형 구현은 접합될 개별 부품의 수를 줄이며, 중간 섹션을 상이한 열 팽창을 보상하는 기능적 요구 조건에 맞추는 것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2개의 개별 부품의 접합 및 화합 결합은 예컨대 가스 센서의 후속 조립에 완성된, 일체형 콘택 소자를 제공하므로, 예컨대 가스 센서의 센서 및 케이블 하니스 조립 동안 복잡한 조립 프로세스가 생략되고 조립 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3개의 상이한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멀티메탈 스트립의 제조에 의해, 콘택 소자가 간단한 스탬핑/벤딩 프로세스에 의해 단일 단계에서 얻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이한 소자 섹션들을 나타내는 개별 부품으로 이루어진 콘택 소자의 구성에 비해, 제조 프로세스가 간단해질 수 있고, 이는 제조 비용의 현저한 절감을 야기한다. 그러나, 3개의 상이한 재료의 금속 스트립들의 준비 및 3개의 금속 스트립의 서로 인접하는 길이 방향 인접 에지를 따른 금속 스트립들의 화합 결합은 제조 비용을 바람직할 정도로 많이 낮추지 않는다.
청구항 제 9 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재료 선택과 관련해서 접속 측 소자 섹션과 중간 섹션의 결합에 의해, 바이메탈 스트립의 제조가 2개의 상이한 재료의 금속 스트립의 인접 에지를 따른 단일 화합 결합에 의해 가능해서, 제조 비용이 더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중간 섹션과 접속 측 소자 섹션을 동일한 재료로 실시함으로써, 피로 강도 및 중간 섹션의 축 방향 스프링 특성 곡선의 최적 설계가 약간 영향을 받지만, 둘 다 중간 섹션의 적합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결합 프로세스로서, 3-스트립의 멀티기능 스트립의 제조시와 마찬가지로 전자빔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 스탬핑 및 벤딩 공구, 소위 연속식 복합 툴에 대한 요구 조건은 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예컨대 가스 센서에 조립시 이미, 작동 중에 주어지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기능상 알맞게 설계된 영역을 갖는 콘택 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 소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콘택 소자의 스탬핑/벤딩 프로세스를 위한 3개의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멀티메탈 스트립의 평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 소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콘택 소자의 스탬핑/벤딩 프로세스를 위한 2개의 금속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바이메탈 스트립의 평면도.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택 소자의 평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콘택 소자의 접합 전에 콘택 소자의 개별 부품의 사시도.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 바디 상에 형성된 전기 접촉점의 콘택팅을 위한 콘택 소자들은 예컨대 가스 센서의 세라믹 센서 소자의 표면 상에 형성된 평면 접촉점의 콘택팅을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콘택 소자는 센서 소자의 접촉점을 가스 센서로 연장되는 접속 케이블의 전기 도체와 접속한다. 센서 소자, 접속 케이블 및 콘택 소자를 포함하는 이러한 가스 센서는 예컨대 앞에서 인용된 DE 196 38 208 C2에 개시되어 있다.
콘택 소자는 3개의 소자 섹션을 포함하고, 특히 바디의 접촉점 상에 압력 끼워맞춤 방식 지지를 위한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전기 접속 도체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2개의 소자 섹션들(11, 12)을 서로 접속하는, 열 팽창 보상용 중간 섹션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완전함을 위해 바디(10)에 형성된 평면 접촉점(14), 및 예컨대 크림프에 의해 접속 측 소자 섹션(12)과 전기 전도 접속되는 전기 도체(15)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상기 접촉점(14) 상에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이 스프링에 의해 놓인다.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중간 섹션(13)은 상이한, 화합 결합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들은 각각의 소자 섹션의 기능에 알맞은 재료 특성을 각각 갖는다.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은 DIN 10269에 따른 내열성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열성 또는 고내열성 니켈 기반 합금은 가스 센서에 요구되는 4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충분히 높은 접촉력을 콘택 소자의 수명에 걸쳐 보장한다.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내식성 강, 예컨대 내식성 강 1.430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은 충분히 높은 파단 연신율 및 낮은 냉간 가공 경화 경향을 나타내므로, 크림프 시에 접속 측 소자 섹션(12)과 전기 접속 도체(15)와의 접속을 위해 양호하게 변형될 수 있고, 크림프 공구의 큰 마모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 양호한 변형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용화 열처리된 상태의 내식성 강이 사용된다. 고용화 열처리는 재료를 그 원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합금 성분의 균일한 분배와 더불어 경화의 감소가 이루어져서, 재료가 부드럽고, 그에 따라 양호하게 성형 가능하다. 중간 섹션(13)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냉간 가공 경화된 내식성 강, 예컨대 내식성 강 1.4310으로 이루어진다. 콘택 소자의 피로 거동 및 중간 섹션(13)의 팽창력의 선형 특성 곡선을 보장하기 위해, 냉간 가공 경화가 실시된다. 중간 섹션(13)은 그 팽창력의 개선을 위해 상기 재료 선택에 추가해서 적합한 구조로, 예컨대 도 1에 나타난 아치(131)로 형성된다.
콘택 소자의 제조를 위해, 먼저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중간 섹션(13) 및 접속 측 소자 섹션(12)의 상기 재료로 이루어진 3개의 금속 스트립(16, 17, 18)의 길이방향 에지들이 서로 인접하게 놓이고 서로 맞대어 화합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멀티메탈 스트립(19)을 형성한다(도 2). 화합 결합은 전자 빔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3개의 금속 스트립(16, 17, 18)으로 이루어진 멀티메탈 스트립(19)의 부분이 평면도로 도시된다. 3개의 금속 스트립(16, 17, 18)이 서로 용접되는 2개의 인접 에지들은 도면 부호 20, 21로 표시된다. 인접 에지(20)는 금속 스트립들(16, 18) 사이로 연장하고, 인접 에지(21)는 금속 스트립들(17, 18) 사이로 연장한다. 상기 멀티메탈 스트립(19)으로부터, 인접 에지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진 스탬핑 부품(22)이 스탬핑되며, 상세하게는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이 금속 스트립(16)으로부터, 중간 섹션(13)이 금속 스트립(18)으로부터 그리고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금속 스트립(17)으로부터 나오도록 스탬핑된다.
도 2에서 가장 상부의 스탬핑 부품(22) 및 멀티메탈 스트립(19)은 스탬핑된 반면, 다른 스탬핑 부품들(22)은 멀티메탈 스트립(19)에 도시되지만 여전히 스탬핑되지 않은 상태이다. 모든 스탬핑 부품들(22)은 제조 기술상의 이유로 멀티메탈 스트립(19)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장하는 홀을 가진 밴드(191)에 의해 결속되지만, 나중에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프로세스와 함께 각각의 스탬핑 부품(22)에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중간 섹션(13)이 형성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콘택 소자가 생긴다. 도 2에는 스탬핑 부품(22)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1의 콘택 소자의 기하학적 형상에 상응하지 않는다.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과 중간 섹션(13) 사이의 인접 에지(20) 및 중간 섹션(13)과 접속 측 소자 섹션(12) 사이의 인접 에지(21)는 도 1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 스프링에서,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상이한, 화합 결합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의 재료 특성은 소자 섹션(11 또는 12)의 기능에 맞춰진다.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은 도 1의 동일한 소자 섹션과 마찬가지로 DIN 10269에 따른 내열성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따른 콘택 소자에서와는 달리, 중간 섹션(13)은 접속 측 소자 섹션(12)과 동일한 재료, 즉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따른 콘택 소자의 제조를 위해, 먼저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접속 측 소자 섹션(12)의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금속 스트립(16 및 23)의 길이 방향 에지들이 서로 인접하게 놓이고 서로 맞대어 화합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바이메탈 스트립(24)을 형성한다(도 4). 결합 프로세스는 전자 빔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이렇게 제조된 바이메탈 스트립(24)의 부분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2개의 금속 스트립(16 및 23)이 서로 용접되는, 바이메탈 스트립(24) 내의 인접 에지는 도 4에서 도면 부호 25로 표시된다.
바이메탈 스트립(24)으로부터, 인접 에지(25)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진 스탬핑 부품(26)이 스탬핑되며, 상세하게는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이 금속 스트립(16)으로부터 그리고 중간 섹션(13)과 함께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금속 스트립(23)으로부터 나오도록 스탬핑된다. 바이메탈 스트립(24)으로부터 스탬핑된 스탬핑 부품(26)은 도 4에서 바이메탈 스트립(24)의 상부 가장자리에 도시되어 있다. 아직 스탬핑되지 않은 다른 스탬핑 부품들(26)은 바이메탈 스트립(24) 내에 윤곽에 맞게 도시되며 스탬핑 공구의 실시예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별로 스탬핑된다. 바이메탈 스트립(24)의 좌측 가장자리에 연장하는 홀을 가진 가장자리 밴드(241)의 후속하는 분리에 의해, 스탬핑 부품(26)이 개별적으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탬핑과 동시에 각각의 스탬핑 부품(26)에 한편으로는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 섹션(13)과 함께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형상의 콘택 소자가 생긴다. 여기서도 스탬핑 부품들(26)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콘택 스프링의 개별 스탬핑 윤곽은 도시되지 않는다. 콘택 스프링 내에 연장하며 상이한 재료들이 화합 결합된 인접 에지(25)는 도 3에 일점쇄선으로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택 소자는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중간 섹션(13)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별도의 소자 부분(27 및 28; 도 6)을 형성한다. 중간 섹션(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2개의 소자 섹션(11, 1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이며, 즉 이것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2개의 소자 부분(27, 28)은 중간 섹션(13)의 영역(29)에서 서로 화합 결합되어 예비 조립된, 일체형 유닛을 형성한다. 결합 영역(29)은 도 5에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소자 섹션들(11, 12)은 상이한 재료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들의 특성은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또는 접속 측 소자 섹션(12)의 기능에 맞춰진다.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은 DIN 10269에 따른 내열성 합금으로,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진다. 중간 섹션(13)은 부분적으로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과 동일한 재료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접속 측 소자 섹션(12)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중간 섹션(13)의 상기 부분들(13a, 13b)은 영역(29)에서 서로 화합 결합되고, 상기 화합 결합은 전자빔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형성된다.
도 5에 따른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한편으로는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각각 중간 섹션(13)의 부분(13a) 또는 (13b)과 함께 별도의 소자 부분들(27, 28; 도 6)로서 스탬핑 또는 벤딩된다. 그리고 나서, 2개의 별도의 소자 부분(27, 28)이 도 6에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접합되고, 중간 섹션(13)의 영역(29)에서 서로 화합 결합된다.
10 바디
11 소자 섹션
12 소자 섹션
13 중간 섹션
14 접촉점
15 접속 도체
19 멀티메탈 스트립
22 스탬핑 부품
24 바이메탈 스트립
26 스탬핑 부품
27, 28 소자 부분
29 영역

Claims (10)

  1. 바디(10), 특히 가스 센서의 세라믹 센서 소자 상에 형성된 전기 접촉점(14)의 콘택팅을 위한 콘택 소자로서, 상기 접촉점(14) 상에 압력 끼워맞춤 방식 지지를 위한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전기 접속 도체(15)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측 소자 섹션(12), 및 2개의 소자 섹션들(11, 12)을 서로 접속하는, 열 팽창 보상용 중간 섹션(13)을 포함하는, 콘택 소자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각각의 소자 섹션(11, 12)의 기능에 알맞은 재료 특성을 가진 상이한, 화합 결합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은 DIN 10269에 따른 내열성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성 강은 고용화 열처리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13)은 DIN 10088에 따른 1.43xx-패밀리의 냉간 가공 경화된, 내식성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섹션(13)은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 및/또는 접속 측 소자 섹션(11, 12)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별도의 소자 부분(27, 28)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섹션(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2개의 소자 섹션(11, 1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이며, 2개의 소자 부분들(27, 28)은 상기 중간 섹션(13)의 영역(29)에서 접합되고, 서로 화합 결합되어 예비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
  8. 제 7 항에 따른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은 각각 상기 중간 섹션(13)의 부분(13a, 13b)과 함께 별도의 소자 부분(27, 28)으로서 스탬핑 및 벤딩되고, 2개의 소자 부분들(27, 28)은 서로 접합되고 상기 중간 섹션(13)의 영역(29)에서 서로 화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따른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의 재료들로 이루어진 2개의 금속 스트립(16 및 23)이 서로 맞대어 화합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바이메탈 스트립(24)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메탈 스트립(24)으로부터,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이 금속 스트립(16)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중간 섹션(13)과 함께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다른 금속 스트립(23)으로부터 나오도록, 인접 에지(25)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진 스탬핑 부품(26)이 스탬핑되고, 상기 스탬핑 부품(26)에 상기 소자 섹션들(11, 12) 및 상기 중간 섹션(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상기 중간 섹션(13)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의 재료들로 이루어진 3개의 금속 스트립들(16, 18, 17)이 서로 맞대어 화합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멀티메탈 스트립(19)을 형성하고, 상기 멀티메탈 스트립(19)으로부터, 상기 접촉점 측 소자 섹션(11), 상기 중간 섹션(13) 및 상기 접속 측 소자 섹션(12)이 각각 하나의 금속 스트립(16, 18, 17)으로부터 나오도록, 인접 에지(20, 21)에 대해 횡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진 스탬핑 부품(22)이 스탬핑되고, 상기 스탬핑 부품(22)에 상기 소자 섹션들(11, 12) 및 상기 중간 섹션(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37024248A 2011-03-16 2012-02-09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6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05655A DE102011005655A1 (de) 2011-03-16 2011-03-16 Kontakt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1005655.6 2011-03-16
PCT/EP2012/052198 WO2012123195A1 (de) 2011-03-16 2012-02-09 Kontakt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435A true KR20140007435A (ko) 2014-01-17
KR101962095B1 KR101962095B1 (ko) 2019-03-27

Family

ID=4556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248A KR101962095B1 (ko) 2011-03-16 2012-02-09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27781B2 (ko)
EP (1) EP2686911A1 (ko)
JP (1) JP5800921B2 (ko)
KR (1) KR101962095B1 (ko)
CN (1) CN103444002B (ko)
BR (1) BR112013023608B1 (ko)
DE (1) DE102011005655A1 (ko)
RU (1) RU2620361C2 (ko)
WO (1) WO2012123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312492U (zh) * 2013-05-23 2013-11-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和用于连接器的电连接片
DE102014223353A1 (de) * 2014-11-17 2016-05-1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Kontaktieren eines elektrischen Bauelement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 Vorrichtung
FR3033671B1 (fr) * 2015-03-11 2018-05-11 Hypertac Sa Contact electrique
US11757225B2 (en) 2021-03-11 2023-09-12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Electrical terminal
DE102021211016B3 (de) 2021-09-30 2023-02-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
DE102021211027B3 (de) 2021-09-30 2023-02-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211A (en) * 1962-11-19 1966-02-01 Brush Beryllium Co Elongated edge bonded multi-metal strip of dissimilar alloys
JPH0554924A (ja) * 1991-07-18 1993-03-05 Tanaka Kikinzoku Kogyo Kk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ー材料
JP2006236873A (ja) * 2005-02-28 2006-09-07 Yazaki Corp 端子金具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18579A (fr) * 1945-08-22 1947-02-12 Auxiliaire Appar Electric Barrette de raccordement aluminium cuivre pour conducteurs sans tension mécanique
US3697925A (en) * 1970-07-22 1972-10-10 Amp Inc Termination means for flat cable
US3864004A (en) * 1972-11-30 1975-02-04 Du Pont Circuit board socket
US3806859A (en) * 1973-01-30 1974-04-23 Sealectro Corp Contacts for pin terminals
US4442182A (en) * 1982-05-26 1984-04-10 Teledyne Penn-Union One-piece, composite electrical connector
JPS61213764A (ja) * 1985-03-20 1986-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センサ
JPS62191790A (ja) * 1986-02-18 1987-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帯状金属板
US4723923A (en) 1986-09-05 1988-02-09 Augat Inc. Low insertion, stamped and formed contact sleeve
JPS6460979A (en) * 1987-09-01 1989-03-08 Yazaki Corp Electric connector
JP2875914B2 (ja) * 1991-07-18 1999-03-31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ー
US5533915A (en) * 1993-09-23 1996-07-09 Deans; William 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9638208C2 (de) 1996-09-19 2000-03-23 Bosch Gmbh Robert Hochtemperaturstabile elektrische Kontaktierung eines Sensorelements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29902208U1 (de) 1999-01-28 2000-08-17 Siemens Ag Mehrphasig gekapselte Freiluft-Hochspannungsschalteinrichtung
RU2249872C2 (ru) 2003-04-01 2005-04-10 Филиппов Юр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DE102004050715B3 (de) 2004-10-19 2006-03-09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Kontaktelement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zweier Anschlüsse
RU60787U8 (ru) 2006-09-15 2008-04-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электроарматур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е реле
US20090183988A1 (en) * 2008-01-17 2009-07-23 Denso Corporation Gas sensing element and gas sensor using such gas sensing el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211A (en) * 1962-11-19 1966-02-01 Brush Beryllium Co Elongated edge bonded multi-metal strip of dissimilar alloys
JPH0554924A (ja) * 1991-07-18 1993-03-05 Tanaka Kikinzoku Kogyo Kk 印刷配線板用コネクター材料
JP2006236873A (ja) * 2005-02-28 2006-09-07 Yazaki Corp 端子金具の製造方法及び該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27781B2 (en) 2017-04-18
BR112013023608B1 (pt) 2020-11-10
JP2014512067A (ja) 2014-05-19
US20140060926A1 (en) 2014-03-06
BR112013023608A2 (pt) 2016-12-06
CN103444002A (zh) 2013-12-11
EP2686911A1 (de) 2014-01-22
RU2620361C2 (ru) 2017-05-25
KR101962095B1 (ko) 2019-03-27
DE102011005655A1 (de) 2012-09-20
RU2013145972A (ru) 2015-11-27
CN103444002B (zh) 2017-07-21
WO2012123195A1 (de) 2012-09-20
JP5800921B2 (ja)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7435A (ko) 콘택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217907B2 (en) Disk having an electric connecting element
JP6720233B2 (ja) リング状またはプレート状の部材、および製造方法
KR101821465B1 (ko) 전기 연결 소자 및 연결 다리를 포함하는 디스크
US9385437B2 (en) Disc compri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US10355378B2 (en)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JP5519382B2 (ja) 圧着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194037A (zh) 具有偏心盘止挡器的底盘部件以及底盘部件的制造方法
US10186824B2 (en) Production method for conductive member, conductive member, and mold
JP5835322B2 (ja) ヘッダエクステンションの成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車体構造の製造方法、並びに、車体構造
JP7321842B2 (ja) 相手側コンタクトと嵌合するための電気コンタクト
JP2002524821A (ja) 点火プラグ電極
CN112534653A (zh) 用于电接触的组件和电流连接器
JP6127669B2 (ja) ホットスタンプ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ブランク材の製造方法
JP2005093306A (ja) 可撓性接続端子
CN107405975A (zh) 稳定杆及其制造方法
US9437803B2 (en) Piezoelectric actuator
CN114072296B (zh) 稳定器及稳定器的制造方法
JPWO2012117651A1 (ja) ばねの加熱方法
JP2013020884A (ja) 信号用電気接続端子装置及び当該装置の製造方法
ITMI950045U1 (it) Dispositivo per collegare elettricamente un elemento riscaldante a formadi barra di un sensore
JP2006253429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