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68A -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68A
KR20140006368A KR1020120072988A KR20120072988A KR20140006368A KR 20140006368 A KR20140006368 A KR 20140006368A KR 1020120072988 A KR1020120072988 A KR 1020120072988A KR 20120072988 A KR20120072988 A KR 20120072988A KR 20140006368 A KR20140006368 A KR 20140006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ehicle
unit
distance
room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419B1 (ko
Inventor
이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7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4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60R2300/802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in addition to a rear-view mirr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의 영상을 감시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되, 차량 시동 여부와 방향전환 스위치 및 후진 기어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방향전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어 위치 센서와; 상기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의 좌, 우측 후방의 영상과 상기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취득부와; 상기 영상 취득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시동 상태 정보와 방향전환 상태정보 및 기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룸미러에 표시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룸미러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Th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room mirr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룸미러(room mirror)를 이용한 영상표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의 영상을 감시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되, 차량 시동 여부와 방향전환 상태 및 후진 기어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안전 운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측면 도어에 설치되어 측면 후방의 시야 확보를 위해 설치된 사이드 미러(side mirror)와 자동차 실내의 루프 라이닝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설치된 룸 미러(room mirror)가 있다.
이러한 미러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는 측면 및 후방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나, 후방상황을 인지하는 데 불충분한 지역, 즉 미러에 의해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도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사각지대에 사물 또는 사람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에 큰 손상을 입을 수 있음은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후방의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에는 후방 감시를 위한 후방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내비게이션이나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차량 후방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해주어, 운전자가 좀 더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차량 후방의 상황을 인지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후방감시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차량에 장착된 후방감시 시스템은 후방 감시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해야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비로 별도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차량 미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은 기존 차량에 장착된 후방감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에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룸미러를 활용하여 후방감시 영상을 표시해주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룸미러를 활용한 후방감시 영상 표시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09711호(2002.2.2. 공개)(발명의 명칭: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2933호(2008.01.08. 공고)(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룸미러 및 이를 구비한 후방감지시스템)(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 1은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룸미러를 통해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차량의 후방 상태나 공중파 방송을 시청하게 하여, 후방 시야의 사각지대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차량 설계시 고려되지 않은 기기의 장착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게 된다.
또한, 개시된 종래기술 2는 룸미러 하우징, 룸미러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프미러, 하프미러 후면에 설치되며 영구자석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용 룸미러의 내부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후진시 손쉽게 후방 화면을 주시할 수 있어 사고예방 및 차량의 파손을 막아주게 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09711호(2002.2.2. 공개)(발명의 명칭: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구현장치)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2933호(2008.01.08. 공고)(발명의 명칭: 자동차용 룸미러 및 이를 구비한 후방감지시스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차량 후방을 감시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운전자가 주차시나 후진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해주는 장점은 있으나,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 표시는 불가능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 판단 미스로 주차시나 후진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와 연동하여,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주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좌측 및 우측 측방의 물체를 감시하는 것도 불가능하였으며, 차량의 주행상태정보(예를 들어, 차량 시동 여부, 방향전환 스위치 조작, 후진 기어 위치, 기타 등)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표시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해줄 수 없는 단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의 영상을 감시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되, 차량 시동 여부와 방향전환 스위치 및 후진 기어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해주어,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 판단 미스로 주차시나 후진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와 연동하여,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방향전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어 위치 센서와;
상기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의 좌, 우측 후방의 영상과 상기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취득부와;
상기 영상 취득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시동 상태 정보와 방향전환 상태정보 및 기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룸미러에 표시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룸미러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고, 상기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영상 취득부는.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제3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영상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스위치에 의해 시동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에 의해 좌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좌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에 의해 우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3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우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 위치 센서에 의해 후진 기어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운전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의 영상 표시를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블랙박스 영상 선택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을 룸미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후방 및 측방의 영상을 감시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하되, 차량 시동 여부와 방향전환 스위치 조작 상태 및 후진 기어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중에 해당 차량 이동 방향의 영상을 보기 위해 별도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전 편의성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표시해주어,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 판단 미스로 주차시나 후진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해소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와 연동하여,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어, 룸미러의 기능 향상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룸미러의 영상 표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룸미러의 예시도로서, 입력부(101), 시동 스위치(102), 방향전환 스위치(103), 기어 위치 센서(104), 거리 감지 센서(105), 제어부(106), 영상 취득부(107), 영상 처리부(108), 영상 선택부(109),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11), 경보음 발생부(112), 메모리(113), 통신 모듈(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부(101), 제어부(106), 영상 처리부(108), 영상 선택부(109),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11), 경보음 발생부(112), 메모리(113) 및 통신모듈(114)이 도 2와 같은 룸미러(100)에 내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06)에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시동 신호, 방향전환 신호, 기어 위치 신호, 거리 감지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영상 입력 포트를 통해 영상 취득부(107)로부터 획득한 영상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입력부(101)는 복수의 운전자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운전자가 블랙박스와 연동하기 위해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의 영상 표시를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시동 스위치(102)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의 키 박스에 설치된다.
방향전환 스위치(103)는 상기 차량의 방향전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조작하는 방향전환 레버를 의미한다. 운전자가 방향전환 레버를 아래쪽으로 조작하면 방향전환 스위치(103)에서 왼쪽 방향전환 신호가 제어부(106)에 전달되고, 이와는 달리 운전자가 방향전환 레버를 위쪽으로 조작하면 방향전환 스위치(103)에서 오른쪽 방향전환 신호가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기어 위치 센서(104)는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어 포지션을 검출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하되, 본 발명에서는 후진 기어 상태만을 검출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거리 감지 센서(105)는 상기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며, 차량 후방의 좌측, 우측, 중앙 부분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하여,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거리 감지 센서(105)는 차량 후방의 좌측, 우측, 중앙 해서 3개의 거리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거리 감지 신호에 대응하게 입력 포트를 별도로 구현함으로써, 제어부(106)에서는 용이하게 거리 감지 신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취득부(107)는 상기 차량의 좌, 우측 후방의 영상과 상기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카메라(107a)와;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카메라(107b)와;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제3카메라(107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처리부(108)는 상기 영상 취득부(107)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 카메라(107a ~ 107c)에서 각각 획득한 영상을 각각 처리하여 3개의 후방 영상을 영상 선택부(109)에 전달하며, 통상의 CCTV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처리하는 코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선택부(109)는 상기 제어부(106)에서 발생하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카메라(107a ~ 107c)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10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영상 선택부(109)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복수의 입력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같은 스위칭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6)는 시동 상태 정보와 방향전환 상태정보 및 기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룸미러(100)에 표시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 표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컴, 중앙처리장치, 컨트롤러와 같은 제어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부(106)는 상기 시동 스위치(102)에 의해 시동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107a)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좌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카메라(107b)에 의해 획득한 차량 좌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103)에 의해 우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3카메라(107c)에 의해 획득한 차량 우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 위치 센서(104)에 의해 후진 기어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107a)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룸미러(100)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06)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TFT LCD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보음 발생부(112)는 상기 제어부(106)와 연동하고, 상기 제어부(106)에서 출력되는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11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는 제어부(106)에서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메모리(113)에 미리 다양한 경보음 발생신호를 저장하고, 해당 거리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대응하는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신호이다.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근접할수록 소리는 점점 커지고 경보음 발생 주기(1차 경보음과 다음 경보음 간의 간격)를 점점 짧게 하여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통신 모듈(114)은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06)에 전달되는 블랙박스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룸미러(100)에 화면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는 차량에 전원이 공급되거나 시동 스위치(102)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구동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을 시작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시동 스위치(102)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켜져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간주하며, 구동 전원은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내장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06)는 초기화를 수행하고, 시동 스위치(102)에 의해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이므로 영상 선택부(109)를 통해 차량 후방의 영상 즉, 영상 취득부(107)의 제1카메라(107a)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해준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룸미러(100)의 화면을 의미한다.
실제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영상 취득부(107)의 제1카메라(107a)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부(108)에 전달하고, 제2카메라(107b)는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부(108)에 전달하며, 제3카메라(107c)는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처리부(108)에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08)는 주지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3개의 영상을 각각 처리한 후 영상 선택부(109)에 전달한다.
영상 선택부(109)는 내부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3개의 영상 중 제어부(106)에서 발생하는 영상 선택신호에 대응하게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하게 되는 데, 현재 차량의 상태가 단순히 시동 상태이므로 차량 후방의 영상을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거리 감지 센서(105)는 내장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좌측, 중앙, 우측 후방의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하게 되는 데, 현재 차량의 상태가 시동 상태이므로 차량 후방의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의 감지 거리는 임의적으로 설정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차량 출고시 미리 설정되어 출고되는 것이 좋다.
제어부(106)는 영상 선택부(109)에 의해 선택된 차량 후방 영상에 상기 거리 감지 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거리 값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하게 되고, 이로써 룸미러(110)에는 차량 후방 영상과 함께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표시된다. 여기서 후방 감지 물체가 미리 설정된 초음파 센서의 감지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메모리(113)에 미리 설정된 거리(예컨대, 2m이상)를 표시해준다.
예컨대, 본 발명은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무조건 차량 후방의 영상을 선택하여 룸미러(100)에 디스플레이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경보음 발생부(112)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데, 이러한 경보음 발생신호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특정 거리(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발생하며,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보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후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제어부(106)는 방향전환 스위치(103)와 기어 위치 센서(104)에서 각각 발생하는 방향전환 상태정보 및 기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룸미러(100)에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가변하여, 운전자에게 별도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해주게 된다.
즉, 운전자는 차량 운전중 좌회전을 하는 경우 방향전환 레버를 아래쪽으로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향전환 스위치(103)에서 좌측 회전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제어부(106)는 좌측 회전 신호가 전달되면 영상 선택부(109)에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영상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선택부(109)는 입력되는 3개의 영상 중 차량 좌측의 후방 영상을 선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거리 감지 센서(105)를 통해 차량 좌측 후방의 감지 물체에 대한 거리 값을 전달받고, 상기 차량 좌측의 후방 영상에 감지 물체와의 거리 값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이로써 룸미러(100)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차량 좌측 후방의 영상이 표시된다. 예컨대, 운전자가 방향전환 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룸미러(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해당 회전 방향의 영상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과 좌측 후방의 감지 물체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경보음 발생부(112)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데, 이러한 경보음 발생신호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특정 거리(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발생하며,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보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좌측 회전이 완료되어 방향전환 스위치(103)가 원래의 상태에 위치하면, 제어부(106)는 입력되는 방향전환 상태정보(이 경우 방향전환 상태정보는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에 따라 영상 선택부(109)에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다시 차량 후방의 영상을 선택하고, 차량 후방의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차량 후방의 영상에 중첩하여 룸미러(100)에 표시해주게 된다.
이때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경보음 발생부(112)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데, 이러한 경보음 발생신호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특정 거리(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발생하며,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보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운전자는 차량 운전중 우회전을 하는 경우 방향전환 레버를 위쪽으로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향전환 스위치(103)에서 우측 회전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제어부(106)는 우측 회전 신호가 전달되면 영상 선택부(109)에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영상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선택부(109)는 입력되는 3개의 영상 중 차량 우측의 후방 영상을 선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거리 감지 센서(105)를 통해 차량 우측 후방의 감지 물체에 대한 거리 값을 전달받고, 상기 차량 우측의 후방 영상에 감지 물체와의 거리 값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이로써 룸미러(100)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차량 우측 후방의 영상이 표시된다. 예컨대, 운전자가 방향전환 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룸미러(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해당 회전 방향의 영상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경보음 발생부(112)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데, 이러한 경보음 발생신호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특정 거리(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발생하며,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보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후진을 위해 기어 위치를 후진 기어(R상태) 상태에 위치시키면 기어 위치 센서(104)에서 후진 기어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된다.
제어부(106)는 후진 기어 신호가 전달되면 영상 선택부(109)에 차량 후방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영상 선택신호에 대응하여 영상 선택부(109)는 입력되는 3개의 영상 중 차량 후방의 영상을 선택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거리 감지 센서(105)를 통해 차량 후방의 감지 물체에 대한 거리 값을 전달받고, 상기 차량 후방의 영상에 감지 물체와의 거리 값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한다. 이로써 룸미러(100)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차량 후방의 영상이 표시된다. 예컨대, 운전자가 기어 위치를 후진 기어로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룸미러(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차량 후방의 영상으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에 따라 메모리(113)로부터 경보음 발생신호를 추출하여 경보음 발생부(112)에 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청각적으로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데, 이러한 경보음 발생신호는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특정 거리(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경우에만 발생하며, 차량과 감지 물체와의 거리가 상기 특정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경보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룸미러(100)에서 블랙박스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룸미러(100)를 이용하여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면, 입력부(101)를 통해 블랙박스 영상 재생 버튼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 영상 선택신호가 제어부(106)에 전달되고, 제어부(106)에서는 통신 모듈(114)을 제어하여 블랙박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후 블랙박스와 통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저장된 영상을 전송받게 된다. 즉,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수신하게 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전달함으로써, 룸미러(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블랙박스의 영상 확인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의 영상을 확인하려면 블랙박스와 별도의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시켜야 하므로, 블랙박스에 저장된 메모리 칩을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하는 등의 복잡함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룸미러(100)에 구비된 블랙박스 영상 재생버튼만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운전자는 편리하게 블랙박스의 영상을 룸미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 입력부
102… 시동 스위치
103… 방향전환 스위치
104… 기어 위치 센서
105… 거리 감지 센서
106… 제어부
107… 영상 취득부
108… 영상 처리부
109… 영상 선택부
110… 디스플레이부
112… 경보음 발생부
113… 메모리
114… 통신 모듈

Claims (5)

  1. 차량의 시동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방향전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방향전환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어 위치 센서와;
    상기 차량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차량의 좌, 우측 후방의 영상과 상기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취득부와;
    상기 영상 취득부에서 획득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시동 상태 정보와 방향전환 상태정보 및 기어 상태 정보를 기초로 룸미러에 표시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룸미러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선택한 영상과 후방 감지 물체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에 따라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고, 상기 차등적인 경보음 발생신호에 따라 후방 감지 물체와의 거리를 식별하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경보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취득부는.
    차량의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제3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카메라에서 각각 출력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영상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 스위치에 의해 시동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에 의해 좌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2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좌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 전환 스위치에 의해 우회전 방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3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우측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시동 신호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기어 위치 센서에 의해 후진 기어 상태가 검출되면 상기 제1카메라에 의해 획득한 차량 후방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의 영상 표시를 위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블랙박스와 통신을 통해 상기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블랙박스 영상 선택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블랙박스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을 룸미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KR1020120072988A 2012-07-04 2012-07-04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KR10140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988A KR101400419B1 (ko) 2012-07-04 2012-07-04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988A KR101400419B1 (ko) 2012-07-04 2012-07-04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68A true KR20140006368A (ko) 2014-01-16
KR101400419B1 KR101400419B1 (ko) 2014-05-30

Family

ID=5014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988A KR101400419B1 (ko) 2012-07-04 2012-07-04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4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00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차량의 후방영상 표시장치
KR102117900B1 (ko) * 2019-06-25 2020-06-03 에이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방향전환에 따른 좌우측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CN111824020A (zh) * 2019-04-23 2020-10-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显示器内部镜的系统和方法
CN112918382A (zh) * 2021-02-18 2021-06-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10111A (ko) * 2021-07-08 2023-01-18 이하준 차량의 후방영상 표시제어장치
WO2024071475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212A (ko) * 2015-10-13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KR102439439B1 (ko) 2015-12-23 2022-09-02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 제어 유닛을 공유하는 차량용 영상 감시 장치
KR102095676B1 (ko) 2019-04-25 2020-03-31 유니텔전자 (주) 차량의 측후방 영상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47258A (ko) 2021-04-27 2022-11-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미러 자동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92B1 (ko) * 2005-12-07 2007-03-19 주식회사단해 차량 외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0649B1 (ko) * 2007-02-02 2008-05-20 정종찬 룸미러 블랙박스
KR20100019605A (ko) * 2008-08-11 2010-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카메라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0095202A (ja) * 2008-10-19 2010-04-30 Alpine Electronics Inc ルームミラー位置後視カメラ画像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400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차량의 후방영상 표시장치
CN111824020A (zh) * 2019-04-23 2020-10-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显示器内部镜的系统和方法
KR102117900B1 (ko) * 2019-06-25 2020-06-03 에이에스 주식회사 차량의 방향전환에 따른 좌우측 영상 표시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CN112918382A (zh) * 2021-02-18 2021-06-0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10111A (ko) * 2021-07-08 2023-01-18 이하준 차량의 후방영상 표시제어장치
WO2024071475A1 (ko) * 2022-09-29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419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19B1 (ko) 차량의 룸미러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
US907786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63930B1 (ko) 후방 영상 제공 시스템이 구비된 룸미러
US9131123B2 (en) Device for monitoring surroundings of 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surroundings of vehicle
JP3182941U (ja) 車載用映像記録装置
KR101596751B1 (ko) 운전자 맞춤형 사각 영역 표시 방법 및 장치
US9466002B2 (en) Real-time system for aiding drivers during vehicle backup and image capture and transmitter unit for use therein
US10596970B2 (en) Auto-switch display intelligent rearview mirror system
WO2002060727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de video monte sur vehicule
JP2006260011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9078597A (ja) 後方確認システム
CN106169258A (zh) 用于辅助车辆操纵过程的方法和装置
KR101305310B1 (ko) 차량의 어라운드 뷰 제공 방법
KR101726835B1 (ko) 차량의 후방영상 표시장치
US85701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driver when reversing motor vehicle
JPH10322687A (ja) 車輌後方監視装置
KR100792933B1 (ko) 자동차용 룸미러 및 이를 구비한 후방감지시스템
JP2011184044A (ja) 車両周辺表示装置
TWM392773U (en) Auxiliary apparatus with panoramic viewing and recording for car driving
CN109690559A (zh) 用于提供车辆环境信息的装置
KR101476678B1 (ko) 차량용 미러 일체형 카메라 송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50026280A (ko) 차량의 후방 모니터링 장치
JP3159466U (ja) 鳥瞰とバックレーダを結合する知恵型のアラームシステム
KR102125738B1 (ko) 주차 보조 시스템
KR20130021978A (ko) 거리 측정 차량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거리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