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811U - 바비큐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바비큐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811U
KR20140005811U KR2020130003577U KR20130003577U KR20140005811U KR 20140005811 U KR20140005811 U KR 20140005811U KR 2020130003577 U KR2020130003577 U KR 2020130003577U KR 20130003577 U KR20130003577 U KR 20130003577U KR 20140005811 U KR20140005811 U KR 201400058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arrel
heater
cooking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507Y1 (ko
Inventor
김점성
Original Assignee
김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성 filed Critical 김점성
Priority to KR2020130003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50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치 상단에 구비되어 연소물로서 고체 입자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이통의 중앙에 메인 요리재료와, 상기 연료공급부가 공급한 연료를 위치시키고 연료를 연소하여 조리하는 조리부와; 상기 구이통의 하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구이통 내부의 재가 배출되게 하여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요리 메인재료가 과도한 열에 타지 않으면서 자동으로 적절하게 구워지게 되고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히터를 정지시키고 재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편리한 바비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열선과 가스를 모두 열공급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비큐 구이장치 { BARBECUE ROASTER }
본 고안은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입자의 연료와 히터를 통해 간접 열로 재료가 타지 않게 바비큐를 만들 수 있고 열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며 전체 장치의 부피가 작고, 재의 배출이 신속하여 바비큐 조리의 연속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업체나 가정에서 바비큐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바비큐 장치들이 판매되고 있는 바, 일반적인 바비큐 장치는 숯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는 장치이다.
등록특허 제454,115호는 여러 종류의 고체 입자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직화 구이기 뿐만 오븐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잔류 연기를 2차로 연소시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는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바비큐 구이기는 직화상태로 열을 직접 받게 되므로 육류가 쉽게 타게 되고, 육류가 타지 않게 처리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어느 한 재료에 대한 바비큐가 완료되면 재를 버려야 하는 등의 부수적인 준비과정이 필요하므로 연속적으로 바비큐를 조리할 수 없고, 바비큐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체 입자와 히터를 통해 간접 열로 재료가 타지 않게 바비큐를 진행할 수 있고 열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며 전체 장치의 부피가 작고, 재의 배출이 신속하여 바비큐 조리의 연속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과 편의성이 우수한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열선과 가스를 모두 열공급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비큐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장치 상단에 구비되어 연소물로서 고체 입자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이통의 중앙에 메인 요리재료와, 상기 연료공급부가 공급한 연료를 위치시키고 연료를 연소하여 조리하는 조리부와; 상기 구이통의 하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구이통 내부의 재가 배출되게 하여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재 배출부는 구이통의 하단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를 통해 상기 구이통의 하단이 폐쇄된 경우에만 구이통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부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통과; 상기 연료통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장착된 이송파이프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 이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부는 하부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료와 메인 요리재료를 내장하며 상부가 개구된 구이통과; 상기 절개부를 덮으면서 구이통 내부로 열을 발생시켜 연료를 연소시키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 배출부는, 구이통의 하단에 개폐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을 상단에 결합시키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설치되며 양측에 롤러가 부착된 히터 프레임과; 상기 히터 프레임의 양측이 요입되어 상기 히터 프레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히터 프레임의 중앙 소정부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히터 프레임이 주행되도록 하는 기어봉과; 상기 기어봉에 회전력을 가하는 타공판 이송모터와; 상기 구이통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통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와; 상기 통공을 통해 구이통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상기 구이통 내부를 훈연시키기 위한 참나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 의하면, 요리 메인재료가 과도한 열에 타지 않으면서 적절하게 구워지고 미리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히터를 정지시키고 재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편리한 바비큐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 의하면, 열선과 가스를 모두 열공급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 구성된 재 배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에 구성된 재 배출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는 고체 입자의 연료와 히터를 통해 간접 열로 재료가 타지 않게 바비큐를 진행할 수 있고 열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며 전체 장치의 부피가 작고, 재의 배출이 신속하여 바비큐 조리의 연속성을 담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성과 편의성이 우수한 바비큐 구이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상단에 구비되어 연소물로서 고체 입자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4)와, 연료공급부(4)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이통(22)의 중앙에 메인 요리재료(26)와, 연료공급부(4)가 공급한 연료(28)를 위치시키고 연료(28)를 연소하여 조리하는 조리부(20)와, 구이통(22)의 하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구이통(22) 내부의 재가 배출되게 하여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 배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는 그 내부에 구이통(22)의 하단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56)가 더 포함되고, 접촉센서(56)를 통해 구이통(22)의 하단이 폐쇄된 경우에만 구이통(22)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74)는 구이통(22) 하단이 폐쇄된 경우에만 구이통(22) 내부에 열을 가하는 히터(3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제어부(74)는 접촉센서(56)를 통해 구이통(22)의 폐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히터(30)는 열선 또는 가스에 의해 구이통(22)의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에 포함된 연료공급부(4)는 고체 입자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시간 주기로 일정한 연료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공급부(4)에는 보리와, 톱밥과, 옥수수 등의 고체 입자가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훈연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료로서 참나무 칩이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연료공급부(4)는 연료(28)를 저장하는 연료통(6)과, 연료통(6)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10)가 장착된 이송파이프(8)와, 이송스크류(1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 이송모터(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연료 이송모터(12)는 펄스신호에 의해 정확하게 회전량이 정해질 수 있어야 하므로 스텝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에 포함된 조리부(20)는 하부 중앙에 절개부(24)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료(28)와 메인 요리재료(26)를 내장하며 상부가 개구된 구이통(22)과, 절개부(24)를 덮으면서 구이통(22) 내부로 열을 발생시켜 연료(28)를 연소시키는 히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체 입자의 연료는 열원에 의한 잠열이 큰 연료이므로 내부에 메인 요리재료(26)를 넣은 상태에서 서서히 연소되어 메인 요리재료(26)가 과도하게 타지 않으면서 은은하게 구이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에 포함된 재 배출부(40)는 구이통(22)의 하단에 개폐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공(54)이 형성된 타공판(52)과, 타공판(52)을 상단에 결합시키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30)가 설치되며 양측에 롤러(48)가 부착된 히터 프레임(46)과, 히터 프레임(46)의 양측이 요입되어 히터 프레임(46)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50)과, 히터 프레임(46)의 중앙 소정부에 체결되어 회전시 히터 프레임(46)이 주행되게 하는 기어봉(44)과, 기어봉(44)에 회전력을 가하는 타공판 이송모터(42)와, 구이통(22) 하단에 설치되어 구이통(22)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60)와, 통공(54)을 통해 구이통(2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히터 프레임(46)에는 스프링(47)이 추가로 장착되어 타공판(54)을 외부방향(구이통의 절개부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진출시킬 때 타공판 이송모터(42)의 구동력이 감소되어도 쉽게 진출될 수 있게 할 수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 히터 프레임(46)은 그 양측이 각각 가이드레일(50)의 내부에 요입되어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인 바, 히터 프레임(46)의 양측면에는 각각 롤러(48)가 설치되어 가이드레일(50)을 타고 히터 프레임(46)이 이동될 때 마찰력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에는 연료이송모터(12) 및 타공판 이송모터(42)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66)와, 히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히터구동부(70)와, 송풍팬(62)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구동부(72)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이통(22)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64)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장치(2)는 사용자가 구이통(22)의 내부에 약간의 고체 입자의 연료를 깔아둔 다음, 메인 요리재료(26)를 투입하고 장치 구동을 위한 스위치(미도시)를 턴온시킨다. 이 때, 제어부(74)는 스위치의 턴온신호를 통해 상기 타공판 이송모터(42)에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회전시킨다.
타공판 이송모터(42)가 회전하면, 타공판 이송모터(42)와 축결된 기어봉(44)이 회전하고, 기어봉(44)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에 체결된 히터 프레임(46)은 기어봉(44)의 비틀림 응력을 전달받아 수직 이동력으로 변환시켜 구이통(22) 방향으로 진입한다.
히터 프레임(46)이 지속적으로 구이통(22)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구이통(22)의 일단에 부착된 접촉센서(56)에 히터 프레임(46)이 접촉하게 되면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부(74)는 타공판 이송모터(42)에 정지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연료이송모터(12)에 소정의 펄스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연료이송모터(12)는 해당 펄스신호만큼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송스크류(10)의 축을 회전시키고, 이송스크류(10)의 회전에 의해 소정량의 연료가 구이통(22)으로 낙하된다.
그 상태에서, 제어부(74)는 히터(30)에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연료가 연소되게 하고 송풍팬(62)에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공기가 타공판(52)의 통공(54)을 통과하여 구이통(22)측으로 유입되게 한다. 공기가 구이통(22)의 절개부(24)를 통과하여 연료쪽으로 이송되면 대류현상에 의해 연료가 더 잘 연소될 수 있도록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지속적으로 온도센서(64)로부터 검출신호를 인가받아 구이통(22)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된 경우라면, 제어부(74)는 히터(30)에 구동 정지신호를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74)는 기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 조리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며 재차 온도센서(64)로부터 검출신호를 인가받아 설정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라면 다시 히터(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히팅되게 한다.
이러한 일련의 제어부(74) 동작은 메인 요리재료(20)가 과도하게 타지 않으면서 은은하게 구워질 수 있게 바비큐 조리되므로 최적의 요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면, 기설정 조리시간이 도래된 경우라면, 제어부(74)는 타공판 이송모터(42)에 인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인출 구동제어는 타공판 이송모터(42)에 역회전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기어봉(44)이 역회전되게 하고, 기어봉(44)의 역회전으로 인해 히터 프레임(46)이 구이통(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이동될 수 있게 기어봉(44)의 비틀림 응력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히터 프레임(46)이 완전히 인출되면 구이통(22) 내의 재는 하방의 재받이(60)로 낙하되게 된다. 또한, 히터 프레임(46)이 구이통(2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는 순간 히터 프레임(46)의 접촉센서(56)가 구이통(22)으로부터 이탈되게 되므로 그 검출 해제신호를 이용하여 히터(30) 및 송풍팬(62)을 자동으로 구동정지시킨다. 미설명부호 76은 타이머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2 : 바비큐 구이장치 4 : 연료공급부
6 : 연료통 8 : 이송파이프
10 : 이송스크류 12 : 연료 이송모터
20 : 조리부 22 : 구이통
24 : 절개부 26 : 메인 요리재료
28 : 연료 30 : 히터
40 : 재 배출부 42 : 타공판 이송모터
44 : 기어봉 46 : 히터 프레임
47 : 스프링 48 : 롤러
50 : 가이드레일 52 : 타공판
54 : 통공 56 : 접촉센서
60 : 재받이 62 : 송풍팬
64 : 온도센서 66 : 모터구동부
72 : 팬구동부 74 : 제어부

Claims (6)

  1. 장치 상단에 구비되어 연소물로서 고체 입자의 연료(28)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4)와;
    상기 연료공급부(4)의 하부에 구비되고 구이통(22)의 중앙에 메인 요리재료(26)와, 상기 연료공급부(4)가 공급한 연료(28)를 위치시키고 연료(28)를 연소하여 조리하는 조리부(20)와;
    상기 구이통(22)의 하단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구이통(22) 내부의 재가 배출되게 하여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 배출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 배출부(40)는 구이통(22)의 하단이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센서(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56)를 통해 상기 구이통(22)의 하단이 폐쇄된 경우에만 구이통(22)으로 열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4)는 연료(28)를 저장하는 연료통(6)과;
    상기 연료통(6)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10)가 장착된 이송파이프(8)와;
    상기 이송스크류(1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 이송모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20)는 하부 중앙에 절개부(24)가 형성되고 내부에 연료(28)와 메인 요리재료(26)를 내장하며 상부가 개구된 구이통(22)과;
    상기 절개부(24)를 덮으면서 구이통(22) 내부로 열을 발생시켜 연료(28)를 연소시키는 히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 배출부(40)는,
    구이통(22)의 하단에 개폐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공(54)이 형성된 타공판(52)과;
    상기 타공판(52)을 상단에 결합시키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30)가 설치되며 양측에 롤러(48)가 부착된 히터 프레임(46)과;
    상기 히터 프레임(46)의 양측이 요입되어 상기 히터 프레임(46)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50)과;
    상기 히터 프레임(46)의 중앙 소정부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히터 프레임(46)이 주행되도록 하는 기어봉(44)과;
    상기 기어봉(44)에 회전력을 가하는 타공판 이송모터(42)와;
    상기 구이통(22)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통(22)으로부터 낙하되는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60)와;
    상기 통공(54)을 통해 구이통(2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28)는 상기 구이통(22) 내부를 훈연시키기 위한 참나무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장치.
KR2020130003577U 2013-05-07 2013-05-07 바비큐 구이장치 KR200475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77U KR200475507Y1 (ko) 2013-05-07 2013-05-07 바비큐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77U KR200475507Y1 (ko) 2013-05-07 2013-05-07 바비큐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11U true KR20140005811U (ko) 2014-11-17
KR200475507Y1 KR200475507Y1 (ko) 2014-12-08

Family

ID=5245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577U KR200475507Y1 (ko) 2013-05-07 2013-05-07 바비큐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5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12B1 (ko) * 2015-07-08 2016-12-08 동양에코 주식회사 소각로용 재 배출장치
US10259271B2 (en) 2015-11-30 2019-04-16 Hankook Tire Co., Ltd. Noise-reducing apparatus for tire and tire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0034A (ja) * 2002-10-09 2004-04-30 Keita Tsunakawa 蒸し焼き式バーベキュー兼用石焼調理装置
KR200454115Y1 (ko) * 2009-03-25 2011-06-17 김점성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KR101051707B1 (ko) * 2009-06-11 2011-07-25 김병환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261519B1 (ko) * 2011-04-27 2013-05-06 류승철 목재펠릿 연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12B1 (ko) * 2015-07-08 2016-12-08 동양에코 주식회사 소각로용 재 배출장치
US10259271B2 (en) 2015-11-30 2019-04-16 Hankook Tire Co., Ltd. Noise-reducing apparatus for tire and tir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507Y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8408A1 (en) Pellet grills
US5251607A (en) Pellet-fired cooking grill
US20160255999A1 (en) Cooking Grill Using Pellet Fuel
KR101242169B1 (ko)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US4287870A (en) Indoor barbeque cooking device
KR101635714B1 (ko) 야외용 우드 펠릿 그릴
KR20140008927A (ko) 고기구이장치
US20210186039A1 (en) Smoking Article and Method
US20150282668A1 (en) Barbeque oven
WO2019204723A1 (en) Smoker with smoke on demand system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200475507Y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10086907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416986B1 (ko) 야외용 숯불구이기
CN210493798U (zh) 一种烧烤炉用燃烧机构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484910B1 (ko) 펠릿을 이용한 구이기
JP6400989B2 (ja) グリル装置
KR20130112440A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US20170202395A1 (en) Igni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orming embers for barbecues, oven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