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86B1 - 야외용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야외용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86B1
KR101416986B1 KR1020130009163A KR20130009163A KR101416986B1 KR 101416986 B1 KR101416986 B1 KR 101416986B1 KR 1020130009163 A KR1020130009163 A KR 1020130009163A KR 20130009163 A KR20130009163 A KR 20130009163A KR 101416986 B1 KR101416986 B1 KR 10141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rcoal
gas
box
charco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태
Original Assignee
김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태 filed Critical 김병태
Priority to KR102013000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야외용 숯불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본체(100);
일회용 부탄가스통의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212)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스장착부(210)와, 상기 레귤레이터(212)와 가스공급관(222)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관(222)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헤드(220)를 포함하는 가스버너(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
숯이 담아져서 상기 본체(100)에 거치되는 숯통(4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구이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가스버너(200)와 송풍팬(300)을 작동시켜 숯통(400)에 담아진 숯을 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야외용 숯불구이기{Charcoal fire roaster}
본 발명은 야외용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야외용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여행이나 나들이시에 야외에서 육류나 생선 등을 숯불구이로 즐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대부분 통체형상을 갖는 구이기본체에 숯이 담아지는 숯통을 거치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숯을 착화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번개탄이나 가스토치 등을 이용하여 숯을 착화시키는데, 숯이 쉽게 착화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연기도 많이 발생되므로 숯을 착화시키는 일은 상당히 곤욕스럽다.
대한민국특허 제10-0865450호(2008. 10.2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숯을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화시킬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도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야외용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본체(100);
일회용 부탄가스통의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212)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스장착부(210)와, 상기 레귤레이터(212)와 가스공급관(222)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관(222)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헤드(220)를 포함하는 가스버너(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
숯이 담아져서 상기 본체(100)에 거치되는 숯통(4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구이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가스버너(200)와 송풍팬(300)을 작동시켜 숯통(400)에 담아진 숯을 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스버너(200)에는 버너헤드(220)가 점화된 후에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버너헤드(220)를 소화시키는 자동소화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와 숯통(400)은 사각통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숯통(400)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하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삽입공(405)이 형성된 브라켓(406)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공(405)에 삽탈되는 걸림볼(104)이 구비되어, 상기 숯통(400)은 상기 걸림볼(104)이 삽입되는 삽입공(405)의 위치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구이판(500)의 좌우 단부와 상기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숯통(400)의 전후면(403,404)은 좌우측면(401,402)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숯통(400)의 높이조절시에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이 상기 구이판(500)과 본체(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a)으로 출몰되고, 숯통(400)의 전후면(403,404)은 구이판(5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숯통(400)의 바닥면은 숯통(400)과 별체로 형성되어 구이시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410)를 이루고, 상기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하단에 입수구(408)와 배수구(409)를 갖는 중공부(407)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407)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410)에 물이 공급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에는 상하단에 입수구(112)와 배수구(114)가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110)에 의해 숯의 열기가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가스버너(200)와 송풍팬(300)에 의해 숯이 신속하게 착화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어디서나 간편하게 숯불구이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숯이 착화된 후에는 가스버너(200)가 자동으로 소화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사용자가 가스버너(200)를 끄는 것을 잊어버리면 불필요하게 가스버너(200)가 장시간 점화되어 가스가 낭비될 뿐만 아니라 가스버너가 가열되어 휴대용 부탄가스통이 폭발할 위험성도 있는데, 본 발명은 가스버너(200)가 소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소화되기 때문에 안전성도 우수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은 상기 숯통(4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하고,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 조리용기를 올려놓아, 가스버너(200)로 조리용기를 직접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숯통(400)이 본체(100)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거치되므로 숯불(400)과 구이판(5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음식에 전해지는 화력이 조절된다. 종래에는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숯을 덜어내거나 숯을 더 집어넣어야 하였는데, 본 발명은 숯통(400)의 거치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은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과 본체(100)의 전후면에 중공부(407, 110)가 형성되어, 이들 중공부(407,110)에 의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숯불구이시에 숯불의 열기가 사용자가 전달되어 구이를 하는 사용자가 뜨거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중공부(407,110)에 의한 단열효과로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숯통의 분해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자동소화수단을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 일측에 구비되며 본체(100) 바닥 중앙부에 장착되는 버너헤드(220)를 가지는 가스버너(200)와, 본체(100) 내부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과, 숯이 담아져서 상기 본체(100)에 삽탈되는 숯통(400) 및 상기 숯통(400)의 상단부 또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구이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좌우로 긴 사각통체형상을 가지며, 하단에는 본체(100)를 바닥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다리(102)가 구비된다. 이 다리(102)는 본체(100)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전후면에는 상하단에 입수구(112)와 배수구(114)가 형성된 중공부(110)가 형성되는데, 이 중공부(110)에 물을 담아 사용한다. 이는 중공부(110)에 물을 담으면 숯의 열기가 본체(10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숯의 열기에 의해 구이기 주변이 뜨거워지면 고기를 굽는 사람이 덥고 힘들 수 있는데, 상기 중공부(110)에 위한 단열효과로 인해 구이기 주변이 뜨거워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중공부(110)의 물이 데워지면 배수구(114)로 물을 배출시키고, 물을 새로 보충하며, 보관시나 운반시에는 물을 제거하여 보관 운반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중공부(110)에서 데워진 물을 세안이나 설거지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미 설명 부호 116, 118은 상기 입수구와 배수구를 커버하는 마개이고, 120은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접이식 상판이다. 그리고 미 설명부호 125는 본체(100)의 바닥부에 형성된 가로판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숯통(100)을 제거하고 본체(100)에 냄비 등을 올려서 조리할 때 가로판(125)이 삼발이와 같은 기능을 하며, 후술하는 자동소화장치의 전기배선 등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상기 가스버너(200)는 숯을 착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회용 부탄가스통이 삽탈되는 가스장착부(210)와, 가스장착부(210)와 연결되어 부탄가스통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222)과, 상기 가스공급관(22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버너헤드(220)로 이루어진다.
가스장착부(210)는 일회용 부탄가스통이 삽입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데, 가스장착부(210)의 상부는 회동커버(211)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가스장착부(210)는 일회용 부탄가스통이 착탈되며 부탄스가통의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212)가 일측에 설치되고, 부탄가스통을 레귤레이터(212)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이 구비된다. 레귤레이터와 착탈수단은 종래의 휴대용 가스버너에 적용되는 레귤레이터 및 착탈수단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미 설명 부호 214는 상기 착탈수단을 조작하는 안전손잡이이고, 216은 레귤레이터(212)의 가스배출량을 조절하여 버너헤드(220)의 화염량을 조절하는 화염조절손잡이이다. 상기 레귤레이터(212)에는 본체(100) 바닥부로 연장되는 가스공급관(222)이 연결되고, 가스공급관(222)의 단부에 버너헤드(220)가 구비되는데, 버너헤드(220)는 본체(100) 바닥 중앙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는 송풍팬(300)이 구비된다. 이 송풍팬(300)은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0)의 바닥부에서 본체(100) 상측으로 강제 송풍시켜서, 숯이 가스버너(200)의 화염에 의해 좀 더 신속하게 착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100)의 바닥부에는 송풍을 위한 송풍구(122,124)가 형성된다. 송풍팬(300)은 상용전원(AC) 등의 외부전원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되거나, 충전배터리 및 충전회로(AC를 DC로 변환하는 회로를 가짐)가 구비되어, 상기 충전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충전배터리는 상기 상용전원에 의해 충전됨은 물론 차량용 배터리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숯통(4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체 형상으로 되어 상기 본체(100)에 삽탈된다. 바람직하게는 숯통(400)의 바닥은 숯통(400)과 별체로 형성된 트레이로 이루어져서 기름받이(410)를 이루고, 중앙에는 가스버너(200)의 화염이 전달되도록 관통공(412)이 형성된다. 사용시에는 기름받이(410)에 물을 담아 기름받이(410)에 떨어진 기름이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숯통(400)의 양측면(401,402)에 중공부(407)가 형성되어, 이 중공부(407)을 통해 기름받이(410)에 물을 보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미 설명 부호 408과 409는 중공부(407)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입수구와 배수구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구(409)에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407)에 물이 저장되고, 기름받이(410)에 물이 줄어들면 중공부(407)에 저장된 물이 자동으로 기름받이(410)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숯통(400)에는 상기 기름받이(410) 상측으로 다공판(420)을 깔고 이 다공판(420) 위에 숯을 담는다. 미 설명부호 416과 417은 송풍팬(300)에 의한 송풍을 위해 숯통(400)에 형성된 송풍구이고, 418과 424는 각각 기름받이(410)와 다공판(420)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구이다.
이러한 숯통(400)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100)에 거치된다. 본 발명은 본체(100)의 양측면 상단부에 걸림볼(104)이 구비되고, 숯통(40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볼(110)이 삽입되는 삽입공(405)이 상하로 다수개 이격 형성된 브라켓(406)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볼(104)이 삽입공(405)에 삽입됨에 따라 숯통(40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볼(104)은 스프링(105)에 의해 외향으로 탄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삽입공(405)이 걸림볼(104)이 삽탑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40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숯통(40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500)은 본체(100) 상단에 놓여진다. 바람직하게는 구이판(500)의 좌우폭은 숯통(400)의 좌우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구이판(500)의 좌우 단부와 본체(100)의 좌우측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a)이 형성되고, 숯통(400)의 전후면(403,404)은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숯통(400)을 상승시키면 숯통(400)의 양측면(401,402)은 상기 공간(a)을 통해 외부로 출몰되고, 구이판(500)의 전후면은 구이판(500) 하측에 위치되어 숯통(400)이 상승되더라도 숯통(400)이 구이판(500)과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이판(500)을 본체(1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숯통(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가스버너(220)를 자동으로 소화시키기 위한 자동소화수단이 구비된다. 가스버너(200)에 의해 숯이 착화되면 더 이상 가스버너(200)를 켜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데, 사용자가 가스버너(200)를 끄는 것을 잊어버리면 불필요하게 가스가 소모될 뿐만 아니라 가스버너(200)가 가열되어 위험하기 때문에 가스버너(200)가 점화된 후에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가스버너가 자동으로 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공급관(222)에는 가스공급관(222)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602)가 구비되고, 솔레노이드밸브(602)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600)에는 타이머(604)가 구비되고, 타이어(604)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00)는 가스공급관(222)을 차단시키는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602)에 보내고 솔레노이드밸브(602)에 의해 가스공급관(222)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스버너(200)와 송풍팬(300)의 작동을 하나의 스위치로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부(600)의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제1, 2스위치(606,608)로 이원화하였다. 제1스위치(606)는 송풍팬(300)과, 상기 타이머(604) 및 솔레노이드밸브(602)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이고, 제2스위치(608)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02)만 작동시키는 스위치이다.
사용자가 휴대용 부탄가스통을 가스장착부(21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제1스위치(606)를 온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602)가 작동되어 가스공급관(222)이 개방되고, 타이머(604)가 작동된다. 그리고 제어부(600)에 의해 송풍팬(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송풍팬(300)이 작동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스버너(200)의 화염조절손잡이(216)를 돌리면 버너헤드(220)가 점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버너헤드(200)가 점화된 후 타이머(604)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602)가 가스공급관(222)을 차단시키고, 송풍팬(300)의 전원공급도 차단된다. 이에 의해 가스공급이 중단되어 가스버너(200)가 소화되고, 송풍팬(300)도 정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서 숯통(400)을 제거하고, 버너헤드(220) 위에 냄비 등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스위치(606)는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608)를 온시킨다. 제1스위치(606)가 오프된 상태이므로 송풍팬(300)과 타이머(604)는 작동되지 않고, 제2스위치(608)에 위해 솔레노이드밸브(602)만 작동되어 가스공급관(222)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화염조절손잡이(216)를 돌리면 버너헤드(220)가 지속적으로 점화되어 냄비가 가열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숯을 담은 숯통(400)을 본체(100)에 거치시키고, 구이판(500)도 본체(100)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일회용 부탄가스통을 가스장착부(210)에 장착시키고, 제1스위치(606)을 온시키고, 화염조절손잡이(216)를 돌린다. 제1스위치(606)에 의해 가스공급관(222)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버너헤드(220)가 점화되고, 송풍팬(300)도 작동된다. 버너헤드(220)의 화염에 의해 숯통(400)의 숯이 착화되는데, 송풍팬(300)에 의해 본체(100) 바닥측에서 상측으로 공기가 강제송풍되므로 숯이 신속하게 착화된다. 가스버너(100)는 점화된 후 타이머(604)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가스공급이 차단되어 버너헤드(220)가 자동으로 소화되고, 송풍팬(300)의 작동도 중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숯이 착화되면 구이판(500)에 음식재료를 올려 놓고 구이를 하는데, 좀 더 신속하게 구이를 하기 위해서는 숯통(400)을 상승시켜 숯을 구이판(500)에 근접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숯통(400)이 상승되더라도 구이판(500)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구이를 하면서 숯통(400)을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기름받이(410)의 물이 증발되면, 숯통(400)의 중공부(407)를 통해 기름받이(410)에 물을 보충한다. 구이판(500)을 그대로 둔 채로 기름받이(410)에 물보충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본체(100)의 중공부(110)와 숯통(400)의 중공부(407)에 의해 숯의 열기가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덜 전달되므로 특히 하절기에 사용이 편리하고, 중공부(110,407)에서 데워진 물을 세안이나 설거지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숯통(400)을 본체(100)에서 분리하고, 버너헤드(220) 위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직접 올려놓고 조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송풍팬(300)과 타이머(604)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1스위치(606)는 오프하고, 제2스위치(608)를 온하여 가스버너(200)를 점화시킨다.
이상에서는 가스버너(200)를 자동으로 소화시키기 위해 제어부(6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602)가 가스공급관(222)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가스버너(200)의 화염조절손잡이(216)에 화염조절손잡이(216)를 역회전시키는 링크기구나 기어를 구성하고, 타이머에 의해 상기 기구들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스너버(200)가 자동으로 소화되도록 하는 등 자동소화수단은 다양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통체형상의 본체(100);
    일회용 부탄가스통의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212)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스장착부(210)와, 상기 레귤레이터(212)와 가스공급관(222)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공급관(222)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키는 버너헤드(220)를 포함하는 가스버너(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300);
    숯이 담아져서 상기 본체(100)에 거치되는 숯통(400); 및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놓여지는 구이판(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가스버너(200)와 송풍팬(300)을 작동시켜 숯통(400)에 담아진 숯을 착화시키며,
    상기 숯통(400)의 바닥면은 숯통(400)과 별체로 형성되어 구이시 음식물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410)를 이루고, 상기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하단에 입수구(408)와 배수구(409)를 갖는 중공부(407)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407)를 통해 상기 기름받이(410)에 물이 공급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에는 상하단에 입수구(112)와 배수구(114)가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110)에 의해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200)에는 버너헤드(220)가 점화된 후에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버너헤드(220)를 소화시키는 자동소화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와 숯통(400)은 사각통체형상을 가지며, 상기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 상단부에는 상하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삽입공(405)이 형성된 브라켓(406)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좌우 양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삽입공(405)에 삽탈되는 걸림볼(104)이 구비되어, 상기 숯통(400)은 상기 걸림볼(104)이 삽입되는 삽입공(405)의 위치에 따라 거치되는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구이판(500)의 좌우 단부와 상기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숯통(400)의 전후면(403,404)은 좌우측면(401,402)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숯통(400)의 높이조절시에 숯통(400)의 좌우측면(401,402)이 상기 구이판(500)과 본체(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a)으로 출몰되고, 숯통(400)의 전후면(403,404)은 구이판(500)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숯불구이기.
  4. 삭제
KR1020130009163A 2013-01-28 2013-01-28 야외용 숯불구이기 KR10141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63A KR101416986B1 (ko) 2013-01-28 2013-01-28 야외용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163A KR101416986B1 (ko) 2013-01-28 2013-01-28 야외용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986B1 true KR101416986B1 (ko) 2014-07-09

Family

ID=5174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163A KR101416986B1 (ko) 2013-01-28 2013-01-28 야외용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719A (ko) 2015-02-23 2016-08-31 오석재 야외용 송풍기
GB2546752A (en) * 2016-01-26 2017-08-02 O'connell Stewart Charcoal barbecue
CN107374395A (zh) * 2017-09-08 2017-11-24 浙江福得尔电器有限公司 一种烧烤炉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47A (ko) * 1999-04-07 2000-11-15 김현식 가스연소식 숯불 구이기
KR20110119303A (ko) * 2010-04-27 2011-11-02 만 길 박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647A (ko) * 1999-04-07 2000-11-15 김현식 가스연소식 숯불 구이기
KR20110119303A (ko) * 2010-04-27 2011-11-02 만 길 박 숯불구이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719A (ko) 2015-02-23 2016-08-31 오석재 야외용 송풍기
GB2546752A (en) * 2016-01-26 2017-08-02 O'connell Stewart Charcoal barbecue
GB2546752B (en) * 2016-01-26 2020-02-19 Stewart Oconnell Charcoal barbecue
CN107374395A (zh) * 2017-09-08 2017-11-24 浙江福得尔电器有限公司 一种烧烤炉
KR102023865B1 (ko) * 2019-01-31 2019-09-20 조진환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995B2 (en) Dual-fuel gas-pellet burner assembly
US20140326233A1 (en) Dc pellet burner assembly
EP2019947B1 (en) Method of cooking food using a combustible gas produced with an electrolyzer
KR101464629B1 (ko) 양방향 가열타입 구이기
KR101416986B1 (ko) 야외용 숯불구이기
KR101242169B1 (ko) 직화 및 간접가열이 가능한 다기능 육류구이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JP7165776B2 (ja) ガスグリル
US20170238761A1 (en) Forced Air Grill
ZA200504095B (en) Barbecue (grill unit).
KR20100002316U (ko) 황토 참숯 바베큐용 구이기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7339137B1 (en) Electric grilling appliance
KR200454479Y1 (ko) 화구 내장형 숯불구이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200467254Y1 (ko) 전기구이장치
KR20150028864A (ko) 회전구이기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20140137959A (ko) 숯불 오븐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KR200384374Y1 (ko) 열풍가열식 고기구이구
KR200475507Y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